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퇴한 노인의 여가제약과 여가동기가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소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은퇴한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의 참여를 방해하는 여가제약과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이유인 여가동기가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노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7차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 본조사(2017년)와 부가조사(2018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65세 은퇴한 노인 2,446명이다. 여가제약은 은퇴한 노인이 지각하는 경제적제약, 프로그램적제약, 사회적제약, 건강적제약의 수준을 살펴보았다. 여가동기는 내재적동기, 외재적동기, 무동기로 구분하였다. 여가활동참여는 두가지 유형-관광활동(국내여행, 해외여행),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인터넷검색 및 채팅, SNS하기, 컴퓨터 핸드폰을 이용한 게임)-에 대한 참여여부와 참여빈도로 분류하였다. 기술통계분석과 집단분석(t-test, χ2), 로지스틱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첫째, 여가제약에서 성별의 차이는 건강적제약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건강문제를 언급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여가동기에서 성별의 차이는 무동기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무동기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비율이 남성노인보다 높았다. 셋째, 여가활동참여는 관광활동의 참여여부를 제외한 모바일기기이용활동에서 남성노인은 여성노인보다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제약이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제약은 관광활동과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의 참여여부를 낮추는 반면, 건강적제약은 관광활동 참여여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제약이 여가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관광활동은 사회적제약의 부정적 영향이 여성노인에게 더 크게 작용하였고,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은 사회적제약의 부정적 영향이 여성노인보다 남성노인에게 더 크게 작용하였다. 여섯째, 여가동기가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관광활동의 경우 내재적동기와 비교해 외재적동기일 때 참여여부를 낮추었으며, 무동기일 때 참여빈도를 낮추었다.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의 경우 내재적동기와 비교해 무동기일 때 참여여부가 낮은 반면 참여빈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가활동참여에 대해 여가동기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노인에게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관광활동의 경우 남성노인이 내재적동기보다 외재적동기일 때 참여여부가 낮았고, 무동기일 때 참여빈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의 경우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무동기일 때 참여여부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관광활동의 참여수준을 높이기 위해 여성노인의 여가동반자의 부재를 완화할 수 있으며 남성노인의 관광편의와 흥미를 고려한 관광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바일기기이용활동의 참여수준을 높이기 위해 남성노인의 여가동반자 부재 완화와 동기 수준을 높여야하는데 복지관에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활동의 단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여성노인의 모바일기기이용활동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노인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을 발견하도록 돕는 지속적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은퇴한 노인뿐만 아니라, 각 세대에 맞는 여가사회화 교육을 통해 여가유형의 폭을 다양하게 경험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은퇴한 남녀노인의 여가활동 증진을 위해 성별의 차이에 기반한 실천적·정책적 개입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motivation o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older men and women.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the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motivation might differ between older men and women. Data were drawn from the 7th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Main (2017) and Additional Surveys (2018).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2,446 retired older men and women aged 65 years old and older. Four types of leisure constraints were considered in the analyses: Economic constraint, program constraint (availability of leisure information or leisure programs), social constraint, and health constraint. Leisure motivation was categorized into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little motivation. As for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ourism activiti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ips) and mobile device use (internet search, texting, SNS, gaming on mobile phones) were examined. For analyses, t-tests, χ2 tests, logistic regress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wo aspect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were considered: Whether an older adult participated in tourism activities or used mobile device at least once during the last year, and if so how many times he or she engaged in those activitie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full sample of men and women first, and identical analyses were followed with older men sample and women sample separate from each ot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tests and χ2 tests revealed som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Older women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health constraint compared to older men; and a higher percentage of older women reported little leisure motivation compared to older men. In addition, older men reported higher chances of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volving mobile device, and they also reported more frequent use of mobile device than older women. Second,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social constraint might have greater negative effects on chances of tourism participation among older women compared to older men. On the other hand, social constraint might have greater negative effects on chances of mobile device use among older men compared to older women. Health constraint and program constrain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hances of engaging in tourism activities among older men. Third, according to results from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 effects of leisure motivation were found only among older men. Older men with external motivation had lower chances of participation in tourism activities compared to older men with internal motivation. As for mobile device use, older men with little leisure motivation had lower chances of using mobile device compared to older men with internal motivation. In addition, older men with little leisure motivation reported fewer numbers of participation in tourism activities compared to older men with internal motivation for leisure. For older women, leisure motivation had no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in tourism activities and mobile device use. The results of this suggest that first, to improve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ocial constraint should be addressed first and foremost. Older women with no family and friends to jointly participate in tourism activities, and older men with no family and friends to enjoy the benefits of mobile device use (e.g., texting, SNS) should be targeted first to facilitate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those leisure activities. Second, to cultivate leisure motivation among older women, more leisure opportunities specifically for women should be provided in the communities, so that older women could develop stronger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leisure activities, which is likely to lead to higher chances of (continued) participation in meaningful leisure activities. Last, quality leisu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more widely, before and after retirement, for older adults to help them enjoy the benefits of leisure in later life. Ideally, diverse leisu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ffered much earlier in life so that individuals could be informed of the importance of leisure in one’s life and develop lifestyles in which leisure is an integral part.

      •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수업 방안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실제와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증가와 또 그들과 관련된 언어 문제, 경제적 문제, 그리고 자녀 양육의 문제는 매우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언어 문제는 당장 한국에서 살아가야 할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방법은 다양하지 않아서 노래를 활용한 수업은 기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기존 교재를 분석하고 노래 수업에 필요한 노래 선정 기준을 정한다. 교재 분석과 노래 선정을 하고 나서 10편의 노래를 선정한 다음 각 노래의 중요 문법과 어휘를 분석한다. 앞서 연구 되었던 노래 수업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본 뒤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맞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 수업에 적용한 다음 설문지를 통해 노래의 흥미도와 자신감의 향상 정도를 알아 본다. 그 결과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한국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여 주고 자신감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충분이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을 생기게 하고 한국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풀어준다는 점에서 노래를 활용한 교육은 충분히 그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余一呜 의 『夏瓜紅, 秋瓜白』중·한 번역에 관한 연구

        예지 단국대학교 국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본 고는 여일명(余一鸣)의 단편소설인 『夏瓜瓤红,秋瓜瓤白』를 B언어인 중국어를 A언어의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대조 분석하였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余一鸣은 장쑤성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1984년 소주대학교 중어중문학과로 졸업했다. 그리고 그 해에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2007년에는 중국 작가협회에 가입되었다. 余一鸣의 소설 『夏瓜瓤红,秋瓜瓤白』은 일본의 지배를 받는 중국의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 시대에 살았던 젊은이 스님과 백도령을 중심으로 두 명을 대조하며 그 시대 상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고는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는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을 소개하며, 제 2장에서는 余一鸣의 소설 『夏瓜瓤红,秋瓜瓤白』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번역 과정에서 초래하는 오류들을 분석 하였다. 제3장 결론에서는 오류와 번역 분석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를 하였다. 주제어: 余一鸣 『夏瓜瓤红,秋瓜瓤白』중·한 번역, 번역오류분석 This thesis translated the short story of a YU Yiming's novel, "Summer watermelon is red, autumn watermelon is white" to B Korean Chinese to A Korean, and the linguistic Control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viewpoint. We also proposed a 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 He was born in a small town in Jiangsu Province, and graduated in ShuZhou University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in 1984. Then, he started his work for that year and was registered in China Association of Writers in 2007. Based on the periodical background of China who undergoes control of , YU Yiming's the novel a young monk who lived at that time and a back order It contrasts two people in the center, indirectly showing the time situation. This paper consisted of three sheets in total. Chapter 1 Introduction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purpose, and in chapter 2, we translate the novel into Korean, an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We analyze the errors that are introduced. In conclusion, I mad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error and translation analysis. keyworld: YuYiMing's novel Chinese-Korean Translation, translation error analyisis

      • 신세기 위화(余華) 작품 속 욕망의 변주

        신민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위화(余華, 1960~)는 1983년 <첫 번째 기숙사(第一宿舍)>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중국당대문학계를 이끌어가는 작가이다. 특히 위화는 1987년 <십팔 세에 집을 나서 먼길을 가다(十八歲出門遠行)>를 기점으로 하여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글쓰기를 통해서 인간 존재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자신의 작품 속에 반영하였다. 이후 중국 사회는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모든 방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위화의 글쓰기 역시 이에 따라 창작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첫 장편 소설인 ≪가랑비 속의 외침(在細雨中呼喊)≫에서 과도기적인 변화를 보여준 위화는 ≪인생(活着)≫에서부터 본격적으로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하는 리얼리즘 작품을 선보이며, 당대 중국 역사 속 진실된 인간의 이야기를 그려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신세기 이전의 글쓰기 속에서 위화는 ‘욕망’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인간의 잔혹성, 폭력성을 보여줌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으며, 이후 보편적 인류애를 담은 ‘공감과 연민’이라는 주제의식을 욕망에 담아내면서 인간 존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00년 이후 신세기를 맞이하면서 위화는 또 한 번의 창작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는 작품 ≪형제(兄弟)≫를 시작으로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체제를 받아들인 새로운 당대 중국 사회를 그려내었고, 새로운 변화와 함께 나타난 새로운 부조리를 인간의 욕망과 결부시켜 나타내었다. 위화는 작품을 통해 동일성에 의해서 ‘예속된’ 욕망과 그로부터 기인한 ‘예속된’ 주체가 만들어내는 온갖 부조리함을 매우 집약적이면서 예리하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위화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새로운 윤리적 방향성과 욕망이 지닌 본질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부조리함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혁명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이후 위화는 작품 ≪제7일(第七天)≫을 선보이며 당대 중국 사회의 부조리를 좀 더 사실적으로 묘사해내었다. 특히 ‘사후세계’라는 독특한 시공간적 배경을 통해 문학적 효과는 물론, 현실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위화는 이를 바탕으로 ≪형제≫에서 보여주었던 예속된 욕망과 주체를 더욱 생생하게 폭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글쓰기는 새로운 윤리적 방향성과 욕망의 본질적인 가능성을 작품 속에서 구체화시키게 해주었다. 위화는 사후세계 속에서 ‘기억’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공감과 연민’이라는 윤리적 가치와 자신들을 예속시키는 동일성의 가치가 만든 사회적 코드로부터 탈주하고자 하는 내재적 욕망을 선명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 위화는 여기서 더 나아가 ‘공감과 연민’이라는 ‘정동(情動, affect)’적 에너지를 발산하며 내재적 욕망이 발휘될 수 있는 배경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각 개체들 간에 서열을 만들어낸 동일성에서 벗어나 ‘공감과 연민’이 근본을 형성하며 ‘공명(共鳴, resonance)’을 이룬 유토피아적인 공간을 보여줌으로써 욕망이 지닌 새로운 형태의 혁명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러한 위화의 신세기 작품 속 글쓰기는 새로운 당대 중국 사회에 대한 과감한 폭로와 함께 새로운 사회적 가치 및 혁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당대성(當代性) 글쓰기’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모든 것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욕망’이라는 키워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각 방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간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접근 또한 가능했다는 점에서 강한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소외 계층에 대한 접근과 그에 대한 ‘공감과 연민’, 그리고 이것들이 중심이 된 혁명의 가능성은 ‘당대성 글쓰기’중에서도 ‘저층(低層) 서사’로서의 가능성 역시 담고 있다. 물론 위화는 작품 속 가능성을 사후세계라는 비현실적 가상공간에 담아내었다. 그러나 그는 사후세계와 현실 세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면서 현실 세계에서의 가능성을 분명하게 염두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전통 탈을 통한 무용공연 표현 방식 비교 연구 : -한(탈춤)·중(나무儺舞)·일(노오무能舞) 비교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xpression methods of dance performances through traditional masks Focusing on the comparison among Korean(Mask Dance), Chinese(Nuo Dance) and Japanese(Noh Dance) Yu, Na Dep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xpression methods of dance performances of Korean Mask Dance using masks, Chinese trees and Japanese Noh Dance. After examining the history of mask dance and differences in the policies of each government on mask dance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classification, aesthetic characteristics, semantic characteristics of masks, and sanctions and contents of mask dance were compared. And finally the stage effects of mask dance were compared through analysis of the dance and acting forms of masked dances in each country. The history of Chinese Nuo Dance and Korean Mask Dance(Talchum) is much longer than that of Japanese Noh Dance, and Japanese Noh Dance was influenced by Chinese Nuo Dance and Korean Mask Dance(Talchum). It is a fact that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have more sound protection and transmission polici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mask dance, than in China. There are 14 Hahoe masks, of which 3 are lost, and the existing Hahoe Mask consists of 11 masks including Bune Mask, Yangban Mask, Imae Mask, Jung Mask, Choraengi Mask, Halmae Mask, Baekjeong Mask, Seonbi Mask, Gagsi Mask, and Juji Mask. It has features such as asymmetric beauty, flawed beauty, and three-dimensional beauty, and has a semantic characteristic of reflecting social status through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mask. There are over 400 Nuo masks and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t can be divided into six types, such as main god, evil god, good god, daimon, animal god mask, and human mask. There are aesthetic features such as, rough beauty, ferocious beauty, manly beauty, decorative beauty and semantic features of popular culture with primitive, folk, and mass cultural combinations. There are about 60 basic types of Japanese Noh Mask and it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such as okina(old man), jo(elders), otoko(man), onna(woman), kishin(demons) and onryo(ghost and spirit) masks. There are aesthetic features such as, defect beauty, mysterious beauty, peaceful beauty, decorative beauty and semantic features of calming effect. The performance of Korean Mask Dance(talchum) is composed of several chapters, each of which deals with the plot of an independent story, and the contents are often satirical. The Chinese Nuo Dance dramatizes the stories, and the entire content shows a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Nuo Dance also uses a lot of catching. Most of the performances of Japanese Noh Dance are about the rebirth of the protagonist as a ghost, and are not scary and grotesque, but depict the essence or spirit of human beings that do not change over time. Lastly, the difference of the stage effects among Korean Mask Dance(talchum), Chinese Nuo Dance, and Japanese Noh Dance was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nce steps and acting styles.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ask dance of the three countries, belonging to Northeast Asia,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independence, interrelationship, and mutual influence of the folk culture of each country, and is valuable in researching, protecting and transmitting the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keywords: mask, Korean Mask Dance(talchum), Chinese Nuo Dance, Japanese Noh Dance 전통 탈을 통한 무용공연 표현 방식 비교 연구 본 연구는 탈(가면)을 사용하는 한국 탈춤, 중국 나무(儺舞)와 일본 노오무(能舞)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각국 가면무의 표현 방식을 비교하는 데에 목적을 두어 한·중·일 삼국 가면무의 변천사, 각국 정부가 가면무 대한 정책 차이 등을 살펴보고 탈(가면)의 분류, 탈(가면)의 미학적 특징, 탈(가면)의 의미적 특징, 가면무의 제재 및 내용을 비교하며 각국 가면무의 춤사위와 연기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가면무의 무대효과를 비교하였다. 중국 나무(儺舞)와 한국 탈춤의 역사는 일본 노오무(能舞)보다 훨씬 길며 일본 노오무(能舞)는 중국 나무(儺舞)와 한국 탈춤의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과 일본 정부가 가면무를 포함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및 전승 정책이 중국보다 건전하다는 사실이다. 고대 씨족 사회의 토템 신념에서 비롯된 나무(儺舞)뿐만 아니라, 한국 탈춤과 일본 노오무(能舞)는 인류사회의 매우 중요한 무형 문화유산으로 민속학, 예술학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있으며 보호와 전승의 필요가 있다. 하회탈은 14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3가지는 소실되어 현존의 하회탈은 부네탈, 양반탈, 이매탈, 중탈, 초랭이탈, 할매탈, 백정탈, 선비탈, 각시탈, 주지탈 등 11개로 구성되며 비대칭미(非對稱美), 결함미(缺陷美), 입체미(立體美) 등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탈의 입모양을 통해 사회지위를 반영한다는 의미적 특징이 있다. 중국 나무(儺舞)에서 사용된 나면(儺面)은 400개가 넘어 지역의 차이도 존재하고 크게 주신 가면(主神面), 악신 가면(惡神面), 선신 가면(善神面), 사신 가면(邪神面), 동물신 가면(獸神面), 인물 가면(世俗人物面) 등 여섯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조광미(粗獷美), 흉악미(凶惡美), 웅강미(陽剛美), 장식미(裝飾美) 등 미학적 특징과 원시적, 민속적, 풍부한 문화적 결합을 가진 대중문화의 의미적 특징이 있다. 일본 노오무(能舞)에서 사용된 노오멘(能面)의 기본 종류는 60 여 가지가 있는데 옹면(翁面), 위면(尉面), 남면(男面), 여면(女面), 귀신면(鬼神面), 원령면(怨靈面) 등 6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결함미(缺陷美), 유현미(幽玄美), 평화미(平和美), 장식미(裝飾美) 등 미학적 특징과 진정 효과가 있다는 의미적 특징이 있다. 탈춤의 공연은 여러 과장(科场)으로 구성되어, 각 과장은 각기 독립적인 이야기의 줄거리를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은 풍자적인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 중국 나무(儺舞)는 한편의 이야기를 극화(剧化)하여, 전체 내용이 서사적 전개를 보이며 나무(儺舞)에서는 또한 잡기를 많이 사용한다. 일본 노오무(能舞) 공연은 대부분 주인공이 유령으로 왕생(往生)을 이야기하며 무섭고 괴기스러운 내용이 아니고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인간의 본질이나 정(情)을 그린 내용이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탈춤, 중국 나무(儺舞)와 일본 노오무(能舞)의 춤사위와 연기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삼국 가면무의 무대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동북아에 속하는 세 나라의 가면무에 대한 비교 연구는 각국 민속 문화의 독립성, 상호 관계, 상호 영향을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세계 무형문화유산 연구, 보호와 전승에 가치가 있다.

      • 특목고 미술교육을 위한 표현기법 실기프로그램 사례연구

        여새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는 어떤 미술을 교육하여야 하는가? 과연 지금의 미술교육은 이 시대의 요구에 부흥하고 있는가? 만약 바람직하지 않다면 그것의 대안은 무엇인가? 또 그러한 미술교육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라면 누구나 이러한 질문을 자문해 보았을 것이다. 해마다 우리의 미술대학은 입학시험 응시생 작품의 순서를 매기는 일을 되풀이 하고 있다. 장래 미술전문인이 되려는 학생들은 이 같은 행사를 위해 수년간 같은 대상을 같은 기법으로 훈련했을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기능과잉과 사고력 부재의 교육의 결과를 낳는 것과 다름없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미술의 끝없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시대착오적인 미술전문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추상미술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왜 추상미술인가?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학생들은 20세기의 문을 열었던 추상미술의 조형원리와 그 의미를 학습해야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추상미술은 오늘을 사는 인간이 내일을 향한 삶의 의지의 발로이고 그러한 변혁 의지는 바로 21세기를 살아야 할 우리 학생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비젼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추상미술이 우리 학생들에게 ‘시각예술의 원리를 생각하고 탐색하게 하는 장르’라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생각과 탐색은 조형적 성찰을 말한다. 20세기 추상미술이 등장하면서 조형예술은 비로써 성찰과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추상미술의 제작과정은 본질적으로 시각 재료에 의한 조형 원리를 과학적으로 탐색하고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조형에 대한 사고력 배양은 현재의 모사 중심의 재현적 조형보다는 추상적 조형의 실습과 분석, 그리고 평가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 조형적 원리 탐색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추상미술 수업모형을 제시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미술의 역사는 추상미술이 순수 조형적 성찰과 의미 있는 미술 교육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20세기의 빛나는 교육적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지금도 여전히 현대 미술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은 그 좋은 예이다. 공예품의 제작과 장인적 기술을 목표로 하는 바우하우스의 설립자 그로피우스는 모든 실기 반을 두 반으로 나누고 한 개 반은 장인 교육을 담당할 공예가에게 맡기고 나머지 반은 당대의 최고 조형 이론가들인 추상미술 화가들에게 가르치게 했다. 그로피우스는 학생들이 모더니즘 대가들이 가르치는 창조의 이론과 신비를 전수 받길 원했고 바우하우스의 추상화가 교수들은 단순한 장인 공예가가 되려는 학생들에게 부족할 수 있는 현대 조형이론과 실습과정에 있어서 현대미술의 요체를 각기 독창적인 교수법으로 가르쳤다. 그리고 수업에 관한 일련의 지침서를 책으로 출간했다. 본고에서는 5가지 수업모형을 제시했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상과 추상의 병치, 조합이다. 미술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추상미술의 양식은 원시미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리엔탈 미술이나 중세시대에서 우리는 추상적 편린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들을 추상미술이라 부르지 않는다. 그것은 예술가들의 의식적인‘조형의지의 발로’가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적 성찰 속에 태어난 ‘추상미술’은 20세기에 들어서부터이다. 그러한 추상미술은 현대미술의 주류를 이루다 1970년대 이후 다시 형상의 기운이 가세를 보이기 시작하고 현재는 구상과 추상이 접목되는 양상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구상과 추상의 병치 양식을 수업모형으로 선택한 것은 이러한 추세도 의식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추상화를 위한 시작(試作)과 몽타주 기법이다. 이것은 제시된 사진 이미지에 해체와 결합을 반복한 다음 거기서 얻어지는 추상적 이미지를 보고 다시 그려나가는 프로그램이다. 추상적 이미지를 주어진 자료를 반복적으로 해체, 조합하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가는 제작 과정이다. 세 번째, 파피에 콜레(콜라주)를 이용한 추상적 회화 표현이다. 이것은 어떤 구체적인 이미지에 또 다른 이미지의 인쇄물을 부착하면서 화면에 추상적 이미지를 도출한 다음, 그 도출된 이미지 위에 다시 그려나가면서 2차, 3차의 추상적 표현을 하는 수업이다. 네 번째, 제시된 구상적 사진을 색채와 형태의 작은 형태소로 파악하고 그것을 색채분해와 형태분해의 과정을 거치며 추상 이미지로 전환하는 제작과정이다. 이 수업은 어떤 이미지-그것이 추상이든 구상이든-를 ‘평면적인 시각적 요소(재료)’로 이해하는 눈의 훈련이다. 그것은 조형예술가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자질이며, 따라서 수업 실습에 앞서 꼭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를 보고 하나의 추상적 총체로 인식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사물의 이미지를 추상적 총체로 인식하는 시각적 훈련은 음악에 있어서 음표가 만들어내는 소리의 화음 분석의 연구와 다르지 않다. 다섯 번째, 하드에지 추상으로 공간의 깊이를 표현하는 수업이다. 학생은 주어진 몇 가지 대상물을 정밀묘사나 제시된 한 장의 실내풍경 사진을 하드에지적 추상화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 수업에서 교사는 이른바 차가운 추상과 뜨거운 추상의 특징을 학생에게 개괄 설명해야하고 각 장르의 대표작과 스타일의 차이점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수업의 요체는 복잡한 형태와 공간을 단순하고 명쾌한 평면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추상미술 수업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미술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하였는데 수업 결과물은 전반적으로 기대 이상의 교육적 결과를 냈다. 특히 첫 번째의 구상(재현)과 추상의 병치 수업에서 그러했다. 물론 재현적 기법에 익숙한 이유도 있었겠지만 그보다는 학생들이 화면의 반을 차지하는 재현적 묘사 표현의 색채와 형상에 대비해서 추상의 균형감과 색채 조화를 본능적으로 드러냈다. 그리고 그러한 병치된 결과물에서 자연스럽게 뿜어내는 ‘추상적 표현성’은 세련된 미학적 표현력과 함께 나름대로 화면상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성과를 냈다. 이는 우리 학생들이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자질과 정서가 이미 내재화 되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추상미술 프로그램 수업의 최대의 성과는 우리 학생들이 비로써 ‘조형’을 하나의 과학적인 조형의 법칙과 원리로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점이다. 더욱 고무적인 현상은 미술은 본래 조형의 요소인 점, 선, 면 형상 그 자체에 대한 천착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들의 비례감, 무게감, 균형감, 통일감 등에 대해 연구와 탐색 또한 질문과 토론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우리 학생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미술인의 자질로 인식하였다는 점일 것이다. What type of art education is to be done in today’s world? Indeed, is our contemporary art education satisfying this generation’s demands? If inappropriate, what should be the alternatives? Any instructor who is teaching at the scene would have asked himself such a question. Each year, applicants' works of art are ranked by art colleges in order. For this annual day event, students, or future professional artists, would have endlessly practiced the same technique with the same subject for many years. This is no more than resulting in excessive technique and lack of thinking in students. However, our world is simultaneously demanding the infinite changes in the art paradigm. This paper is to suggest abstract art program as an alternative for today’s anachronistic, professional art education. Why abstract art? Students living in the 21 century believe in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abstract art that has opened the 20st century. It is because abstract ar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will for tomorrow’s life and such revolutionary will is an indispensable vision for students of the 21st century. Also, it is because for students, abstract art is a ‘genre that stimulates people to contemplate and search for the principles of visual art’. The process for abstract art is essentially not too different from that for scientific search and theoretic erection of molding principles done by visual materials. Therefore, cultivating the thinking skills for molding will be obtained from the practice, analysis and evaluation process of abstract molding, rather than the present depiction-centered, representational molding. 5 types of class model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irst type is the juxtaposition and association of figuration and abstraction. When tracing back the history of art, the format of abstract art goes all the way back to primitive art. A portion of abstraction can be witnessed in the oriental art or medieval ages. However they are not considered an abstract art because they are not part of artists’ conscientious ‘manifestation of will for molding’. Second is experiment(試作) and montage technique for an abstract painting. This program repeats deconstruction and association of image from a given photograph and draws again on that newly created image.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through which an abstract image is artificially created by repeatedly deconstructing and combining given sources. Third is an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 using papier colle(collage). This deduces abstract image on canvas by attaching another image to a specific image and draws again on the deduced image, displaying the secondary and tertiary abstract expression. Fourth is a process in which given figurative photograph is segmented as color and shape morpheme and later transformed into an abstract image by color and shape disintegration. This class is an eye training to understand certain image -whether it is abstract or not- as a plane, visual factor (material). This is a necessary skill for plastic artists and before class students will be required to practice perceiving certain images from painting or photograph as one abstract whole. Fifth is expressing the depth of a space with hard edge abstraction. In this class, students have to transform a precise delineation or given painting of indoor scenery into a hard edge abstract painting. The key to this class is reconstructing complex shape and space into a simple and clearly plane space. Aforementioned five abstract art class programs were practiced for one semester with sophomore students in high school preparing to enter an art college and the educational outcomes were generally more than what was expected. It was especially the case with the first, representational (reproductive) and juxtapositional abstraction class. Of cours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representational technique, but moreover, students instinctively demonstrated the balance and color harmony of abstraction in contrast to representational color and shape of descriptive expression which takes up almost half of the canvas. In addition, the ‘abstract expressiveness’ that is naturally secreted from the juxtaposed outcomes was in its own way successful in harmonizing on the canvas with the refined aesthetic expression. This demonstrates the internalization of our students’ talent and feelings toward modernism art. Most importantly however, the biggest accomplishment from this abstract art class is that students are finally able to accept ‘molding’ as one scientific law and principle. A more inspiring phenomenon is that students have recognized that art should be delved and analyzed with molding factors themselves such as point, line, and plane and that they have understood the necessity as an artist of further study and research or questioning and discussion about proportionality, gravity, balance and uniformity of such factors.

      •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은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여은혜 지도교수 김 윤 태 본 연구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전반적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중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가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발달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생각한다.

      • 벨라 바르톡 [미크로코스모스]의 리듬지도 방안 연구 : kim's 통합이론에 근거하여

        소정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ABSTRACT A research of the guide principles of rhythms from Bela Bartok's“Mikrokosmos” -Based on Kim's Integrated Theories– Sojeong Yeo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Piano Pedagogy Major Academic Advisor Youngsook Kim In the piano education filed in Korea, it takes a great part that the students are taught following the test pieces for performance tests, exams for enrolment, or competitions. With this reason, it is tend to learn only Classical and Romantic works, and it is rare to see to handle modern music. Modern music is out of the forms of traditional composing methods, free from harmonics and counterpoints, and shoot out creative ideas with innovated expressive techniques and abundant new musical vocabularies. However,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faced modern music a lot, it is rather difficult to feel these ideas and expressive techniques. Therefore, this thesis is written by researching meters and rhythms, which are the new expressive techniques of modern music, through “Mikrokosmos”, a work for music education, by Béla Viktor János Bartók (1881 – 1945). This teaching material is called as a “introductory of the modern music”, and provided from book 1, which is a novice level to book 6, an advanced level, in 6 levels, so that the students are able to perform with their levels. For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thesis, 1. First of all,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basic concepts of rhythm and the rhythm teaching methods of several music pedagogists, like Jaques-Dalcroze, Kodály, and Orff, and created a teaching method of “Mikrokosmos” through Kim’s rhythm axis theory. 2.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usic and Bartók’s musical tendencies, then researched the basic background knowledge of “Mikrokosmo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meters and rhythms. 3. The researcher researched with emphasis on the 4 different types of Bartók’s meters and rhythms, such as shifting accents, changing meter, ostinato, and Bulgarian rhythm; looked into the works, which presents the 4 rhythms, from the book Ⅰ to book VI, selected a few works and suggested a teaching guide with Kim’s rhythm axis theory. Wit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earn the educational effects on “Mikrokosmos” and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ters and rhythms of modern music easily. <국문 초록> 벨라 바르톡 <미크로코스모스>의 리듬지도 방안 연구 - kim's 통합이론에 근거하여- 여 소 정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피아노 페다고지 전공 지도 교수: 김 영 숙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현장을 살펴보면 실기, 입시, 콩쿠르 지정곡에 따라 학생들을 많이 지도하는데, 대부분 지정곡이 고전과 낭만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아 현대음악을 다루는 것은 드물게 나타난다. 현대음악은 전통적 작곡방식 틀을 벗어나 화성법과 대위법에 얽매이지 않으며, 혁신적 표현기법과 풍부한 새로운 음악적 어휘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뿜고 있다. 하지만 현대음악을 많이 다뤄보지 못한 학생들에겐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새로운 표현기법은 어렵게 느껴진다. 본 논문에서는 벨라 바르톡 (Bela Viktor Jáanos Bartók,1881-1945)의 음악교육용 작품인 <미크로코스모스>를 통해 현대 음악의 새로운 표현 기법 중 박자와 리듬을 연구하였다. 본 교재는‘현대음악의 입문서’라고 말하고 있으며, 1권 초급과정부터 6권 고급과정까지 단계별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연주할 수 있다. 연구방법은 첫째, 먼저 리듬에 대한 기본개념과 음악교육학자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리듬 지도법을 연구하였으며, 피아노 교육학자 김영숙의 통합이론 중 리듬축을 통해 <미크로코스모스> 리듬 지도를 창안해냈다. 둘째, 현대 음악의 특징들과 바르톡의 음악적인 성향을 살펴본 뒤, <미크로크스모스>의 기본 배경지식과, 음악적인 특징, 박자와 리듬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바르톡의 박자와 리듬 중 그의 성향이 잘 나타나는 4가지 리듬 악센트의 이동(Shifting Accents), 변박자(Changing Meter), 오스티나토(Ostinato), 불가리아 리듬(Bulgarian rhythm)에 중심을 두고 연구하였다. Ⅰ권부터 Ⅵ까지 4가지 리듬의 성향이 잘 나타나는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그 중 몇 가지의 작품을 선택하여 김영숙의 통합이론 중 리듬축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크로코스모스>의 교육효과는 물론이며, 현대음악의 박자와 리듬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본다. 주제어: 벨라바르톡, 미크로코스모스, 리듬지도

      •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의 효과성 검증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 적용 후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변화는 어떠한가? 나.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 적용 후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B초등학교 4학년 남·여학생 49명으로 총 2개 학급 중 1학급은 실험집단으로 1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고, 담임교사와 상의하여 학생들의 체육기능수준과 발달특성, 개인적 성향 등을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였다. 여가활동 영역의 ‘전통놀이와 여가’단원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으로 비교집단은 일반적 체육수업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비판적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조아미 외(2009)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지를 탁형수(2015)가 초등학생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선모(1980)가 Guerney(1977)의 관계성 변화 척도를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전대수(2012)가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업 전 사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부터 7월 21일까지 6주간 총 14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진실추구성, 개방성, 객관성, 자기신뢰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의사소통, 신뢰감, 개방성, 이해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판적 사고와 대인관계 능력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중 핵심역량에 속하는 것들이다. 비판적 사고는 창의적 문제해결의 발판이 되고 대인관계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성공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기반 체육수업을 통해 미래사회를 대비한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다는 것과, 체육교과는 핵심역량 함양 교육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경제특구제도에 관한 법적연구

        명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국문초록 경제특구제도에 관한 법적연구 국제법무학과 여 명 주 지도교수 권 한 용·장 영 수 경제특구제도는 일정하게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특정한 규제를 완화하거나 자금, 세제, 부동산, 행정서비스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국가와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이념이 확산되면서 경제규제개혁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국가적 정책으로서의 이슈가 되어 왔다. 많은 선진국들이 국가의 효율성과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경제규제 개혁을 천명하고 지속적으로 시장경제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개선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0년대 이후부터 국가균형발전정책 하에 다양한 경제특구제도를 도입하였다. 기존에 운용하고 있는 전통적 경제특구인 자유무역지역, 경제자유구역 외에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국내기업과 외국인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특화발전특구, 대덕연구개발특구, 기업도시 등의 다양한 경제특구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특구제도는 대부분 참여정부 전반기에 관련 부처가 각각 개별법을 제정하여 도입함으로써 유사제도와 중복성이 있고, 상위법의 입법 취지에 위배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역이 장소적·목적적인 면에서 중복성이 있으며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우대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국내기업과의 역차별 현상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경제특구제도가 동 법제의 집행자 및 이용자에게 혼선과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이상의 문제를 종합하여 경제특구제도의 법적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제도개선방안의 정립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제기를 통한 본 논문의 의도와 지향점 및 연구의 배경을 설명하고, 제2장에서는 경제특구제도의 이론적 고찰로서 개념과 유형, 법적 근거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경제특구제도의 운영현황으로 제1절은 자유무역지역의 지정요건, 설치 및 운영, 지원내용을 기술하였고, 제2절은 경제자유구역, 제3절은 지역특화발전특구, 제4절은 관광특구의 지정요건, 설치 및 운영 그리고 지원내용을 분석하였다. 제4장은 중국, 일본, 북한 등 주변국의 경제특구제도 사례를 소개하였다. 중국의 경우 상해 푸동신구(浦東新区)의 개발구, 경제기술개발구, 보세구(保税区)를 중심으로 입법 현황과 투자우대조치, 행정관리체제 및 투자관리제도를 소개하였다. 일본은 오키나와 자유무역지역, 구조개혁특별지역 그리고 북한은 우리에게도 친숙한 개성공업지구과 금강산지구를 비롯하여 나선경제무역지대를 소개하고 전체적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경제특구제도의 문제점과 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제특구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제도의 운영상 문제점, 특구 지정절차의 문제점, 경제규제 완화 및 특례에 대한 문제점, 법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법적 개선방안은 운영시스템 정비 및 지방분권의 반영, 계획 확정절차 및 인·허가절차의 개선, 국내기업에 대한 지원 법제 강화, 경제특구 관련 법제의 통일성 확보 순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제1장부터 제5장까지 제기된 제반 문제를 종합하여 연구결과를 검토·정리하고 결론으로 요약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제시하였다. 주요어 : 경제특구, 경제규제, 자유무역지역, 경제자유구역, 지역특화발전특구, 관광특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