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의 특성이 주관적 기후변화 적응 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양태경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개인의 특성이 주관적 기후변화 적응 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양태경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공공정책 전공 (지도교수 임재빈) 본 연구는 기후변화 관련 정책에 대한 주관적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인적 관점, 기후변화 영향에 대 한 체감,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각 요인이 기 후변화 관련 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주 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으로 성별, 소득수준, 교 육 수준은 정책 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기후변화 관련 개인적 관 점 요인인 “이상기후 현상별 피해 심각성 인식”, “전반적인 기후변화 심 각성 인식”, “기후변화 대응 노력 필요성 인식”은 정책 리터러시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체감요인으로서 “기후변화 영향과 일상생활의 연관성 인식”, “폭염이 많 이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것”, “열대야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 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 으며 특히, 열대야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관점과 경험적 요인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실증하여 기후변화 관련 정책의 수립과 추진에 있어 기후변화를 현재의 실질적 위험으로 인식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nalyzed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factor affecting subjective literacy on climate change-related policies. Personal perspective, experience of climate change impact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eparately, and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climate change-related policy literacy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licy literacy, while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xt, the personal perspective factors of "perceived severity of damage from extreme weather events," "perceived severity of climate change in general," and "perceived need for climate change response efforts"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licy literacy. Finally, in terms of perceived climate change impacts, "perceived relevance of climate change impacts to daily life", "living in a region with a high number of heat waves", and "living in a region with a high number of tropical nights" were analyz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ith "living in a region with a high number of tropical nights" being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atistically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factors, suggesting the need to recognize climate change as a real and present danger in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climate change-related policies.

      • 태권도의 정체성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탐구 : 동양무예의 공통적 특성과 태권도의 특성 비교를 중심으로

        양태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태권도의 정체성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탐구 -동양무예의 공통적 특성과 태권도의 특성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태권도학전공 양태경 태권도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선행연구는 역사 혹은 철학을 주제로, 한국·일본·중국을 범위로 이루어져 왔다. 한·중·일 3국을 범위로 한 태권도 역사연구와 철학연구는 동양무예의 역사적, 철학적 기원을 중국에 두는 한계점을 지닌다. 태권도 역사를 고려하지 않은 태권도 철학연구는 어떤 과정을 통해 태권도 철학이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대답을 줄 수 없어, 연구자마다 각자의 방식으로 결과를 도출해 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영역에 한·중·일 3국의 무예 외에 인도무예를 추가하였으며, 역사와 철학을 동시에 탐구할 수 있는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태권도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태권도와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난 류큐왕국의(현, 일본 오키나와) 맨손무예 당수술(唐手術)과 당수술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남소림무술, 소림무술 등의 중국무술, 그리고 달마대사의 소림무술 창건설을 통해 중국무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무예를 연구범위로 선정하였으며 류큐, 중국, 인도 3국 맨손무예의 공통범주를 도출하여 태권도와 비교·분석하였다. 각 국가의 무예에 대한 자료는 유목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문헌연구, 민족역사학(ethnohistory), 다현지 민족지(multi-sited ethnography)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류큐·중국·인도무예 사이에 역사적 연관성과 공통적 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양무예의 공통적 특성은 태권도에서도 발견되는데 그것은 동양의학에 기반한 급소·경혈과 건강법, 동물을 본뜬 동작, 명상, 호흡 등의 형태적 특성과 신성함이 깃든 수련장소, 삶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는 무예지도자, 동양사상에 기반하여 깨달음을 획득한 성숙한 인간을 지향하는 수련목표, 타 무예와의 연관성으로 나타났다. 한편, 태권도의 고유한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한국인의 고유한 사상인 태극, 팔괘, 고구려의 선배, 태백, 한수, 십장생 등이 태권도 정신으로 품새 속에 존재하고 있으며 경기화, 공연화 등의 현대화 과정을 통해 타 무예와 구분되는 형태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태권도 정체성에 대한 다음과 같은 최종 결론에 도달하였다. 동양사상에 기반한 태권도는 신체수련을 통한 진리탐구를 지향하는 한국 고유의 무예이다. ABSTRACT Cultural Anthropological Study for the Identity of Taekwondo: Comparative common factors between Asian martial arts and Taekwondo By Taekyung Yang Major in Taekwondo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dentity of Taekwondo.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completed in the area of Korea, Japan, China and on the field of the history or the philosophy. Those have limits as following. First, they made that the origin of the Asian martial arts is China. Second, the Taekwondo philosophy researches without the history make too much philosophies of Taekwondo. As a solution of these limits, this study include Indian martial arts that have a connection with Chinese martial arts and choose a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 that can research both of the history and the philosophy. Ryukyuan, Chinese, Indian bare hand martial arts have selcted for this study those hav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link with Taekwondo. Sampled by purposeful sampling and snowballing. Studied by literature review, ethnohistory, multi-sited ethnography method. Conclusion: Ryukyuan, Chinese, Indian bare hand martial arts have common factor and historical connection. Taekwondo has common factors with Ryukyuan, Chinese, Indian bare hand martial arts. The common factors are healing art and killing arts from vital spot knowledge, animal posture, meditation, breathing method for training mind and body, holy practice place, martial arts instructor roles a whole life mentor, training goal for the ultimate truth. And Taekwondo specific factors are Korean philosophies of Poomsae(taegeuk, palgwae, sunbae, tebek, hansu, sipjangsaeng) and modern form(Olympic style competition, acrobatic movement, demonstration kicks). So Taekwondo is Korean martial art pursue the ultimate truth by body-mind training in the field of Asian philosophy.

      • 경락 마사지를 활용한 샴푸 테크닉 연구

        양태경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경락 마사지를 활용한 샴푸 테크닉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헤어전공 양 태 경 샴푸는 미용실의 서비스 부분으로 매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용실의 주 업무인 컷트, 염색, 퍼머, 업스타일, 메이크업 등과 같은 미용 서비스 업무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상승 시킬 수 있는 기초가 샴푸이다. 샴푸는 모발의 청결과 두피의 혈액순환 및 모발의 성장, 두피의 탈모에도 큰 도움을 주고, 스트레스 해소 및 건강한 생활에 목적을 둘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모발과 두피에 대한 학문적 고찰을 바탕으로 환경적, 물리적, 화학적 손상 요인에 대해 고찰 하고 두피 상태와 모발 상태에 따른 요인을 분석․이해하여 경락 마사지를 활용한 테크닉을 습득, 샴푸 테크닉을 익혀야 한다는 필요성을 갖고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2009년 미용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은 전문화, 세분화 되어가고 있으며, 샴푸 또한 전문화, 세분화된 서비스 부분의 한 분야가 되어져 가고 있는 흐름이다. 현재 미용실에서 시술하고 있는 샴푸시술은 디자이너가 시술하지 않고 있는 미용실이 대부분이며 초급 실습생이 간단하게 샴푸를 하고 있는 수준으로 전문 샴푸관리사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미용대학교와 미용학교, 미용학원등에서 미용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만, 샴푸의 중요성은 다른 분야 보다 전문화 되지 않고 있다. 현재의 미용시장은 샴푸도 분야별로 전문가가 양성되면서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샴푸는 단순히 위생적으로 두피와 모발의 먼지, 땀, 비듬, 모발 화장품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상쾌함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만 생각해 왔지만, 경락 마사지를 고찰함으로써 두피의 역할 및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경락을 활용한 샴푸 테크닉을 연구하게 되었다. 샴푸는 미용사와 두피관리사에 의해 시술 하고 있으며, 좀 더 체계화된 샴푸법을 후배들에게 알리고자 함이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 구성하였으며,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경락의 의의와 경락의 분포를 경락을 활용한 샴푸 마사지 테크닉 연구에 14개의 순환 경로 중 10개의 순환 경로의 경혈점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으며, 샴푸와 린스의 이해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3장은 샴푸, 린스, 타올 테크닉을 경락의 경혈점의 위치와 경락 마사지 테크닉 방법으로 설명하였다. 4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경락을 접목시킨 샴푸 테크닉을 완성하는 연구과정과 아쉬웠던 부분을 설명하였다. 앞으로도 경락마사지를 활용한 샴푸 테크닉이 더 다양화 되고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학문적 차원에서 계속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더 나아가 샴푸관리사 또는 그에 준하는 자격증 제도를 만들어 새로운 직업으로 직업 창출에 도움을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Abstract A Study on Shampoo Technique Applying Meridian Massage tae- kyung Yang Departmen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Sung-Nam Kim A shampoo plays an important role in sales as a service part of beauty shop. It is the foundation that can improve more and more effectively beauty service jobs such as beauty shop's main jobs, cut, dyeing, perm, up-style and make-up. It can be a great help to hair's cleanness, scalp's blood circulation, hair's growth and scalp's hair loss, and devote to stress relief and healthy life. This study was made by the need that should inquire into the environmental, physical and chemical damage factors based on an academic inquiry into hair and scalp, and analyze and understand factors by scalp and hair conditions to learn shampoo technique applying meridian massage. The general flow of beauty market in 2009 is specialized and segmented, Shampoo is also becoming a field of the specialized and segmented service part. Shampoo treatment is now carried out in many of beauty shops that a designer doesn't give a shampoo treatment, and as a primary apprentice is simply giving a shampoo treatment, a special shampoo manager is urgently needed. Beauty special human resources are also trained in the beauty college, beauty school and beauty academy, but the importance of shampoo is not specialized than other fields. The current beauty market is in need of diversified and segmented specialists, as shampoo specialists are trained by field. Shampoo has been simply recognized as a thing that sanitarily removes scalp's and hair's dust, sweat, dandruff, and hair beauty product's pollutants to keep up refreshment, but as scalp's role and function could be improved by inquiring into the meridian massage, shampoo technique applying meridian massage was studied. The hairdresser and scalp manager are giving a shampoo treatmen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juniors of more systematized shampoo method. Chapter one was composed of the need and purpose of study, a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study as an introduction. Chapter two inquired into the meaning and distribution of meridian as theoretical background centered on acupuncture points of ten circulating routes among 14 circulating routes to a study on shampoo massage technique applying meridian, and also inquired into the understanding of a shampoo and rinse. Chapter three explained shampoo, rinse and towel techniques by the position of meridian's acupuncture and the method of meridian massage technique. Chapter four explained the research process completing meridian-integrated shampoo technique and the regretted parts as conclusion and proposal. Shampoo technique applying meridian massage will have to be continuously more diversified, as well as concrete follow-up studies will have to be continuously pushed ahead at the scientific level. Futhermore, it is hoped that shampoo manager's certificate system or certification system proportionate to this will be made to be a help to job creation into a new job.

      • 디스플레이용 고분자 필름의 기계적 물성 강화와 발수성 및 반사방지 특성에 대한 연구

        양태경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향후 디스플레이가 flexible한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각 구조별로 소재 개발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디스플레이 윈도우로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고릴라 글래스의 경우 flexible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만한 충분한 flexibility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고분자물질에 나노입자를 도입하여 flexibility와 강도를 부여하는 방식이 시도되었지만 도입하는 입자의 뭉침 현상으로 인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윈도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변형을 가하여도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고연신 특성과, 강화유리와 유사한 표면경도를 갖는 소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7 nm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에 PEG 사슬을 그래프트 (graft)하여 실리카 나노입자와 매트릭스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경화과정 중 우레탄 결합에 직접 참여 가능한 반응성기를 말단으로 갖는 하이브리드 입자를 합성하였다. 이를 통해 우레탄과 실리카 나노입자 사이의 상용성을 증가시켜 경화 과정 중 발생하는 미세 상분리를 억제하여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양 말단에 실리카 나노입자와 PU pre-polymer 두 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linker 역할을 할 수 있는 bi-functional PEG를 합성하였다. 이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그래프트 시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grafting density: ∼0.22 mmol/g), 이 입자를 10 wt% 비율로 PU pre-polymer에 도입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외광에 노출되는 경우 반사광에 의해 선명도가 감소하여 화면을 보는 것이 어려워지며 눈에 피로감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방지 특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반사방지 필름은 (anti-reflective coating)은 다층 박막 구조로,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단층 반사방지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부 오염원과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발수성, 방오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위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발수성이 향상된 반사방지 코팅을 진행하였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분자 기판 (PU, CPI) 위에 반응성 모이어티 및 과불소계 모이어티가 포함된 복합형 저굴절률 반사방지 필름과, 고분자 기재 위에 Stöber 방식으로 제조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박막 코팅 후, 발수특성을 부여하는 과불소계 층을 코팅하는 방식인 적층형 방식으로 발수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복합형 방식은 flexibility 향상을 위해 dimethyldimethoxysilane (DMDMS), 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해 1,2-bis(triethoxysily)ethane (BTESE), 그리고 발수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1H,1H,2H,2H-perfluorooctyltriethoxysilane (FAS 13)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적층형 방식의 경우 가장 뛰어난 발수성을 보였던 1H,1H,2H,2H-perfluorodecyltriethoxysilane (FAS 17)을 이용하여 발수특성을 부여하였고 반사율 저감 효과를 위해 굴절률이 작은 TEOS 입자를 이용하였다. 복합형과 적층형 두 방식 모두 고분자 기판 위에 코팅을 진행했으며 발수특성 및 반사방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세 상분리를 억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개발했으며 차세대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한, 발수특성 및 반사방지 특성이 향상된 반사방지 필름을 개발하였다.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도입한 결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복합형 방식과 적층형 방식 모두 반사방지 특성 및 발수특성이 코팅 전에 비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도네페질의 서방형 주사제 적용을 위한 PLGA 미립구 배합조건

        양태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LGA microsphere formulation for depot parenteral application of donepezil Taekyung Yang Graduate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and Applied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20 Gung-Dong, Yuseong-Gu, Daejeon305-764,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o-Suk Choi) Donepezil (DP) is a promising drug that has been studied as a palliative treatment for Alzheimer's disease. However, repetitive injections are necessary to keep DP effectiveness for Alzheimer's patients. For the efficient use of DP, poly(d, l-lactic-co-glycolic acid) (PLGA) sustained-release microsphere (PLGA-MS) in the form of injection was required to ensure stable and sustained drug release was required. Although the DP loaded PLGA microspheres (MS-DP) were capable of being used in sustained release, it was difficult to apply industrially due to the "drug initial release" in which 75 % of DP was released for 5-7 day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epared PLGA-MS with various formulation conditions for stable and sustained release of DP and‘drug initial release’control. MS-DP containing only DP as a comparative group was prepared. DPG was prepared through ion interaction between DP and polygalacturonic acid (PGA), and MS-DP / DPG added with DPG was prepared. MS-DP / HNA added with 1-Hydroxy-2-naphthoic acid (HNA) was also prepared. Loading efficiency was measured by using 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orphologies were determined by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as assesed for thermal analysi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P loading efficiencies of MS-DP / HNA and MS-DP / DPG was higher than that of MS-DP. MS-DP / HNA showed a mean loading efficiency of 25.8 % and MS-DP / DPG had a mean loading efficiency of 25.7 %. In vitro DP release experiments of MS-DP / HNA and MS-DP / DPG at 37 ℃ showed initial drug release delay of 0-50 % DP cumulative release for 5-6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vivo pharmacokinetic studies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tabilized DP releas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optimal PLGA-MS formulations with stable sustained release of DP. These microspheres are effective drug delivery agents and has great potential for long-term palliative treatment of severe Alzheimer's disease, which is expected to be widely availabl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Chemical Engineering and Applied Chemistry in August 2018.

      • 다성분 졸-겔 산화물 전자 수송층을 이용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의 전하 균형 개선

        양태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Nano size의 반도체 물질이며 독특한 광·전기적 특성을 가진 콜로이드 양자점 (Colloidal Quantum Dots)은 입자의 특성으로 양자 제한 효과 (Quantum confinement effect)로 인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밴드갭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같은 물질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광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양자점은 반치폭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이 좁아 순도 높은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순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재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넓다. 또한 양자 효율이 높고 흡수 파장이 넓기 때문에 양자점을 이용한 양자점 전계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s light emitting diode)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1994년 최초로 QLEDs 가 제작된 이후로 양자점 전계 발광 다이오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잇는 기술로 연구되고 있으며 양자점 소재 부문에서는 core/shell 구조에 대한 연구, 소자의 부문에서는 전하 수송 층 등의 변수를 통해 발광 소자의 광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OLEDs 에 비해 낮은 전류 효율 및 소자 안정성의 문제가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하 수송 층의 charge balance를 맞추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정공의 이동보다 빠른 전자의 이동을 제어하여 전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자 수송 층을 Radio Frequency Sputter(RF-sputter)를 이용하여 다양한 Ar-O2 분위기에서 제작하여 oxygen vacancy를 조절하였다. Oxygen vacancy 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carrier concentration 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측정 결과 current density가 작아지게 되며 소자의 효율이 증가하다 일정 이상의 산소 분압 분위기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lution process를 통해 ZnO 에 다양한 dopant 들을 첨가하며 oxygen vacancy 가 아닌 substitutional ion을 이용하여 carrier concentration 및 mobility를 조절하여 charge balance를 맞추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소자의 효율 특성이 7.1 cd/A에서 각각 9.1 cd/A, 8.9 cd/A 까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lloidal Quantum Dots, a semiconductor material of Nano size and with uniqu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luminous wavelength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icles, as the band gap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icles due to the quantum limiting effect. The quantum dot has a narrow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that enables high purity colors and has a wide range of colors to be reproduced because of its excellent purity. Quantum dots light emitting diode using quantum dots is also in the spotlight a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quantum efficiency and wide absorption wavelength. Since the first QLEDs were produced in 1994, quantum dot field luminous diodes have been studied as a technology that connec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research on core/shell structures in quantum dot material sectors, and research to improve the luminous characteristics of luminous elements through variables such as charge transport layer in the element sector. Currently, however, there remains a problem with low current efficiency and element stability compared to OLEDs. In this pap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lement, a study was conducted to match the charge balance of the charge transport layer. In general, in order to balance charges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electrons faster than the movement of the porous, the electronic transport layer was produced in various Ar-O2 atmosphere using the Radio Frequency Sputter (RF-sputter) to adjust the oxygen vacuum. As the Oxygen vacuum decreases, the carrier composition is expected to decrease, and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density decreases and the efficiency of the element increases and decreases again in the atmosphere of oxygen division above a certain level. In addition, ZnO was added with a variety of dopants through solution process and a study was conducted to adjust the carriage balance and mobility using a substrate ion rather than oxygen vacuu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ment from 7.1 cd/A to 9.1 cd/A and 8.9 cd/A, respectively.

      • 도시철도에서 열차제동하중이 레일표면 열화에 미치는 영향

        양태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il surface irregularity is generated severely by train braking effect in the section of station. The braking force increases slip rate and friction factors caused by wheel-rail contact points. It brings rail surface irregularity as well. In this study, interactions between wheel and rail were investigated using rolling contact fatigue theory and mechanism of rail degradation through fracture mechanics. For the more, the Von-Mises stress occurred on the rail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wheel and rail was analyzed using 3-D finite element method. The amounts of surface irregularity of rail were measured according to accumulated passing tonnage in urban railway in fields.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rail should be separated by running and braking sections to prevent RCF defects. 레일은 차륜과의 접촉에 의한 피로와 접촉 마모(wear) 및 파상마모(corrugation), 표면박리(shelling), 표면미세균열(head crack), 압좌(squat), 파단(failure) 등 각종 결함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레일결함은 차량 주행 시 충격을 유발하여 레일 및 궤도구성품의 내구성 및 수명 단축, 소음 증대, 승차감 저하 등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철도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열차운행이 고밀화 되면서 이에 대한 문제는 더욱 크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표면에서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유형들을 파괴역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차륜과 레일의 접촉에 따른 영향을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비선형 상세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측정을 통해서는 레일연마 시행 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누적통과톤수에 따라 레일표면의 요철성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현장측정을 통해 열차운행조건(주행/제동)과 누적통과톤수에 따른 레일표면 요철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정거장(제동)구간이 주행구간보다 레일표면 요철성장률이 약 21%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차륜/레일 비선형 상세해석을 통해 열차제동 시 레일표면 및 내부에서 발생하는 등가응력은 레일표면으로부터 약 6.8mm 깊이에서 최대가 되며, 파괴역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구름접촉피로손상도는 열차제동 시 제동압력에 따라 레일표면에서 약 6~28% 증가하고, 레일표면으로부터 약 6.8mm깊이에서 약 3~12%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차륜과 레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레일 열화손상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연마작업은 열차 주행구간과 제동구간을 구분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아울러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도상상태와 레일표면 요철성장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량적 분석, 레일표면 요철량과 소음의 정량적 상관관계 및 궤도구성품의 사용수명 연장을 위한 레일표면 요철의 임계치 분석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러셀 페란테(Russell Ferrante)의 연주기법 연구 : 16분음표 분산화음 패턴, 혼합 화음 및 가스펠,블루스적 연주 연구를 중심으로

        양태경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33년간정통재즈의비밥적인요소와현대적인사운드의접목을 통해그들만의독보적인사운드를연주해왔고지금도컨템포러리재즈계 의새로운역사를쓰고있는밴드옐로우자켓의리더인러셀페란테의주 법에대해연구하였다. 우선컨템포러리재즈와러셀페란테, 그리고그가 33년동안리더로활동하고있는밴드옐로우자켓에대해간략하게서술 하였다. 러셀페란테의앨범은총25장이있지만이연구의효율성을위 해피아니스트로써그의독보적인주법인16분음표분산화음패턴, 비밥 리듬과혼합화음의사용, 마지막으로가스펠, 블루스적인연주가두드러지 게나타나는앨범『라이브와이어(Live Wires.1992)』에수록된곡들을 대표로선정해집중적으로분석하였다. ‘Claire's Song’, ‘Home Coming’, ‘Downtown’, ‘Revelation’에서찾은그 의특징들을분석하여연구하고새로운편곡의방향을제시하고자, 그결 과를바탕으로응용하여영화〈냉정과열정사이〉의OST인‘The Whole nine Yards’, 조용필의‘단발머리’, 자작곡인‘Blue Note’, 그리고마지막으 로찬송가인‘AmazingGrace’에적용시켜연주하였다. 본논문에서는이러한러셀페란테의특징적인주법을집중적으로연 구하여편곡의새로운아이디어와방향을제시하고또한실질적으로기존 곡과자작곡에적용하여결과물을도출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research of Russell Ferrante and his performing technique. Yellow Jacket; a jazz band leaded by Russell Ferrante, has been rewriting the history of contemporary jazz for the past 33 years, by combining authentic bebop jazz with modern sounds to create a unique sound. This study starts with the introduction of contemporary jazz, Russell Ferrante, and his band Yellow Jacket. For a precise and efficient study songs from 'Live Wire(1992)'; which shows unique performing technique as a pianist using sixteenth note broken chords, bebop rhythm with mixed chords, and gospel and blues performance; were chosen and analyzed among the 25 albums Russell Ferrante has released. I have performed 'The Whole Nine Yards' from the original soundtrack of 'Between Calm and Passion', Jo Yongpil's 'Danbal Muree(Short Hair), 'Blue Note' a self written song (Yang Taekyung), and the hymn 'Amazing Grace'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from ‘Claire's Song’, ‘Home Coming’, ‘Downtown’, and ‘Revelation’ to suggest a new arrangement pattern. In this paper, an intensive study of Russell Ferrante's unique performing technique is conducted to propose a new concept and style of arrangement and the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applied to existing songs and self written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