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도 초등학교 예절교육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양진수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예절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제주도 초등학교 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4개의 배경변인별로 검증을 통해 유의도를 밝혔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예절교육의 관심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며 경력이 많을수록 예절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편이다. 둘째, 초등학교 예절교육의 운영 계획은 흥미나 동기 유발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예절 프로그램이 준비가 미흡하고 예절교육의 운영 계획도 한정적으로 바른생활본에 제시되고 있으며 예절교육의 운영 결정도 생활지도 교사가 주로 운영하고 있어서 초등학교에서의 예절교육이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예절교육에 대한 목표 인지도는 대체로 알고있다에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잘 알지 못한다에 대한 반응도 적지 않다고 보여져 예절교육의 목표에 대한 더 많은 교사들이 인지가 요구된다. 넷째, 초등학교 예절교육의 지도 실태를 조사한 결과 1. 예절교육이 학교 교육의 전체 교육과정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아동의 생활지도의 측면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으며 예절실 설치 운영은 소수 학교에 불과하여 체험위주의 예절교육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예절교육의 중점적인 영역으로는 가정·이웃·학교생활 예절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초등학교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가장 예절바르지 못한 행동은 제일 먼저 언어예절을 들고 있다. 3. 교과서의 예절생활 내용 및 예제의 흥미 여부는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대체로 재미있다라고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예절교재의 주요 내용을 대체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사용 지도서는 모든 교사가 자주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보완할 점으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내용을 들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예절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정보화 수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절교육 지도교사의 선정도 담임교사가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예절교육의 지도방법으로 모범사례를 제시하여 지도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학생 수 과다를 예절교육의 애로점으로 꼽았으며 시간이 부족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예절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7. 예절교육에 대한 평가 결과는 행동 발달 상황에 반영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절 단원의 지도가 끝나고 지식·가치·태도와 직결되는 평가 방법을 대체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절교육에서 중시해야 할 내용에 대하여는 예절을 지키려는 태도에 높게 반응하였다. 학교 예절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예절교육의 개선 의지 없이는 그 효과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임은 불문가지의 사실이다. 교직 임용 이후에도 부단한 연수로 학습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하여 문제를 찾아내고 이를 보완하는 노력이 뒤따라야하겠다. 이에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예절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예절교육은 학교교육과정 속에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수정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둘째, 고른 영역에 대한 지도·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절교육 지도 목표를 단순한 지식에서 탈피 가치·태도를 포함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평가방법도 강구되어야하겠다. 셋째, 효과적인 지도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가치·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과 가정·사회와의 연계지도가 이루어져야하겠다. 넷째, 체험학습의 기회를 확대 적용해야 한다. 실생활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학습과정을 통하여 예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이루어져야하겠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론을 토대로 학교 예절교육 및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입시위주, 지식위주의 학교교육을 지양하고 아동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위한 학교교육 본래의 모습으로 하루 빨리 되돌아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할 것이며, 그럼으로써 학교교육에서의 예절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예절교육은 학교의 전체적인 교육과정 속에서 체계적 조직적으로 계획·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 관리자인 학교장이 예절교육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며, 예절교육 담당교사 및 학부모의 관심이 더욱 증대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예절교육을 체계적 조직적으로 계획·운영하기 위해서는 예절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의 선정 조직, 예절교육의 지도방법, 예절교육의 평가 등에 관한 예절교육 교육과정을 각 학교의 특수성에 맞게 개발 시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etiquette education, and presents the solution. 3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ju were surveyed about that using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and documentary research. It shows us the meaningful degree through chi-square( x²) every four background variation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First, generally, the degree of teacher's interest on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high. And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 the more they have interest on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management plan on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short of the curriculum and program. And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presented limitative only in the guidebook of right-life. Life-guidance teacher mainly decide about the management on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shows us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treated careless. Third, in survey of the recognizing degree on etiquette education goal in elementary school, many responders think that they know it in general, but some teachers respond that they don't know it well. It show us that more teachers must recognize etiquette education goal.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etiquette education goal in elementary school, 1. Etiquette education is managed careless comparative on the side of children's life guidance rather than is managed systematically in whol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etiquette education room's installation ㆍmanagement have done only few schools. This show us that activity-center etiquette education have not done actually. 2. In the most empathic area of etiquette education is etiquette in homeㆍneighbourㆍschool life, and the most basic, the most impolite behaviour is words etiquette. 3. Most students respond that they are interest generally at content and illustration in textbook. And they grasp generally main content of etiquette education textbook. 4. Teacher's Guide Book must be used frequently by 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upplement point is that content need changing to compatible content at new generation. 5. Among of Materials for etiquette education, Information-Communication-Teaching with visual aids have done many times. Most classroom charge teachers have responsibility on etiquette education. 6. Many teachers respond that they use showing impressive examples by methods of etiquette education instruction. And they think that etiquette education difficulty is many students in one classroom. As they have not enough time, they have difficulties to teach about etiquette related with practical life. 7. Most teachers reflect behaviour development condition by etiquette education evaluation result. And they use generally evaluation result with direct-related knowledgesㆍvaluesㆍattitudes after etiquette lesson units. They regard that attitude to observe etiquette is very important area among of etiquette education contents. The effect can't go to an expectation level without improvement will of teacher. After employ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 you must research students throughly and search for a problem against contents, evaluations, teaching aims. This effor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effort point for etiquette about the problem i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First, etiquet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in school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organized. Second, it must be accomplished the evaluation regarding all territory. The etiquette education aim for teaching must be including skill, values and attitudes. We must consider the evaluation method which it follows. Thir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must groped. We need the program and curriculum for making up not only theories but also valuesㆍattitudes. And we must teach etiquette witch related homeㆍsocial life. Fourth, the chance of experience studying should be more. Through the program which relates with a real life and studying process, they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effect of etiquette give relation with other person. I'd like to suggest about etiquette education of school and a succeeding research with the result and procedure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shaping children's whole character, we need systematically provision And the essential goal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stored from knowledge-oriented,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So, in such atmosphere the etiquette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e etiquette education is to be planed, managed in the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organically. Above all, concern about etiquette education of principals teachers, usual teachers, parents must be increased. Third, for the systematic and organized instruction of etiquette education, the goal of etiquette education, selecting and organizing of contents, method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must be comprehensively studi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 한국 시민사회의 분화에 대한 이론적 연구 : 경험적 분석을 위한 분석들의 형성을 중심으로

        양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시민사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분석틀의 구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를 분석적인 차원에서 정의하고, 이 차원에서 분석모델, 시민사회의 구성요소, 그리고 특징적인 한국 시민사회의 분화 구조를 이론적으로 논의한 뒤, 이를 경험적인 두 사건에 적용함으로써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적인 차원에서 시민사회는 국가, 경제와 함께 복합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의 한 차원으로 파악된다. 특히 ‘국가-경제-시민사회’의 3분모델은 시민사회의 계급적, 비계급적 복합성을 이론화와 여러 사회적 요소에 대한 균형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3분모델 속에서 정당을 중심으로 한 대의제 기구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매개구조를 이룬다. 둘째, 시민사회는 시민권, 여론 형성, 자율적 결사, 일상성의 네 가지 구성요소를 갖고 있다. 시민사회 내의 주요한 행위자로는 공식·비공식적인 정치조직, 교회와 사찰, 학교 등의 윤리-교육적인 기구들, 언론을 비롯한 여론기제, 다양한 사회운동조직과 이익집단, 사적 결사체들, 그리고 노동조합을 비롯한 계급조직들 등이 있다. 셋째, 한국의 시민사회는 이러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 속에서 행위적인 차원과 영역적인 차원에서 분화되고 있다. 행위적인 차원은 주요 조직의 계급적 지향에 따라 보수적 부문, 민중적 부문, 그리고 시민적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에 시민사회 내 행위자간의 중첩적인 권력관계는 일정한 유형의 행위자들을 특정한 층위로 분화시킨다. 시민사회의 두 차원, 즉 공공영역과 사적영역의 분화는 여론 형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적 활동과 사생활의 분리에 기반해 있다. 또한 공공영역은 정치사회, 제도적 여론 영역, 사회운동 영역이라는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 하위영역들은 일정한 서열관계를 갖는데, 이 서열화는 시민사회의 계급성의 발현에 대한 기존 권력관계의 반응에서 비롯된 것이다.

      • 체육교사에대한 역할기대 탐색

        양진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수준이 아주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좀 더 체육교사들 스스로가 교과 전문성함양과 학교업무에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처리하고 업무외적인 활동에 대하여 체육교사의 긍정적 성향과 능력을 십분 발휘 하여 일반 교사로 하여금 체육교사에 대한 존재 가치에 대하여 재인식 시키고 체육교사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자본시장 변동 시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의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양진수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자본시장이 급변에 따른 시장위기 및 시장급등 기간에서 기업의 ESG 경영 수준과 기업가치 변동성과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 ESG 경영 수준의 대용변수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2020년 10월 공표한 ESG 평가등급을 사용하였다. 기업가치 변동성 대용변수는 토빈의 Q 비율(Tobin’s Q) 변동률과 주가변동률을 사용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코스피 지수가 20.16% 급락한 2020년 1분기를 시장위기 기간으로, 23.44% 급등한 2020년 4분기를 시장급등 기간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기간에 대해 시장 변동성의 방향성과 크기를 고려해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또한 본 연구는 ESG 경영 수준과 기업가치 변동성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선행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졌던 종단적 연구가 아닌 횡단적 연구를 통해 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장위기 기간으로 설정한 2020년 1분기에 대해 ESG 통합 경영 수준을 포함한 하위 부문, 즉 ESG 환경, ESG 사회, EGS 지배구조 경영 수준 모두가 기업가치 변동성인 토빈의 Q 비율 변동률과 주가변동률에 대해 부(-)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ESG 환경 경영 수준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시장급등 기간으로 설정한 2020년 4분기 역시 ESG 통합 경영 수준을 포함한 하위 부문 모두가 기업가치 변동성과 정(+)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역시 ESG 환경 경영 수준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시장변동의 방향성과 크기를 고려하여 ESG 경영 수준이 기업가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변화를 외생적 변화 및 자연적 실험으로 ESG 경영 수준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관해 연구한 선행연구(Lins et al., 2017; Buchanan et al., 2018)을 참고하여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의 변화를 외생적 변화 및 자연적 실험으로 하여 ESG 경영 수준과 기업가치 변동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주요 선행연구들에서 기업가치 및 기업가치 변동성에 대해 부(-) 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던 ESG 환경 경영 수준이 코로나19 대유행과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쟁점으로 인해 기업가치 및 그 변동성과 긍정적인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ESG 통합, ESG 사회, ESG 지배구조 경영 수준 또한 시장의 방향성에 대응하여 기업가치 변동성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corporate ESG management level on the corporate value volatility, during the market crisis and the market surge periods due to rapid changes in capital marke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SG management is the management of ESG elements with the goal of sustainable growth of the company. Growth companies with both higher ESG management level and corporate transparency have higher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return on equity, and shareholders and companies can win-win through sustainable growth (Weber, O., 2014). This study used the ESG evaluation ratings announced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in October 2020 as a substitute variable for corporate ESG management level. Tobin's Q volatility and stock price volatility were used as the substitute variables for the corporate value volatility. For the analysis period, the first quarter of 2020, when the KOSPI index plummeted by 20.16%, was set as the market crisis period, and the fourth quarter of 2020, when the KOSPI index plummeted by 23.44%, was set as the market surge period.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SG management level and the corporate value, considering the market direction for each peri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SG management level and corporate value volatility, the study sough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through cross-sectional studies rather than longitudinal studies that were primarily conducted in prior research.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which was set as the market crisis perio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SG integrated management level including its all sub-elements, namely the ESG environment, ESG social and EGS governance management levels had the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he corporate value volatility, Tobin's Q volatility and the stock price volatility.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only for the ESG environment management level. In the fourth quarter of 2020, which was set as the market surge perio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SG integrated management level including its sub-elements had the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corporate value volatility, Tobin's Q volatility and the stock price volatility.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lso confirmed only for the ESG environment management level.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levels on corporate value volatility, considering the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market volatility, unlike previous prior studies. The study referenced prio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level and corporate value considering the change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the external changes and natural experiments (Lins et al., 2017; Buchanan et al., 2018). The study sough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levels and the corporate value volatility considering the changes the COVID-19 pandemic as the external changes and natural experiment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SG environmental management level, which has been found to be negative or irrelevant to corporate value and corporate value volatility on major prior research, is strengthen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value and corporate value volatility due to issu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climate change response.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has not been confirmed, ESG integration, ESG social, and ESG governance management levels have also been identified as positively linked to corporate value volatility in response to market direction.

      • J.S. Bach의 칸타타 BWV140의 분석연구

        양진수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Johann Sebastian Bach who perfected Baroque Music by orchestrating symphony between music and Christianity left cantata, oratorio, and passion music etc. Since he piled up great amount of contributions to the church music, and his works remaining now are at the highest level of the whole music techniques of this world, studying Bach's music will deliver us to the same result as studying whole Baroque music. He composed every genre of music, except opera. And especially, he did not write his music for the external and formal ritual, but to clearly express intrinsic and ethnic notion of German Protestantism. And as a maestro who established the canon for church music, he still has influence on the music history. From this reas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way of approaching his works and to suggest his own technique expressed, by studying and analyzing cantata, the most frequent genre among his works and one of the most loved vocal music in Baroque period. And this song, Cantata BWV140 is the especially loved one since it has the most hopeful message and mood among his over 200 enormous cantata numbers. BWV 140 is so heart-moving that it is chosen most frequently as the most beautiful cantata of Bach, and it is often played at the wedding ceremonies in the western world. It was supposedly known to be written in 1731 when Bach was in Leipzig, and its main form is chorale using counterpoint and fugue. Its lyric adopted the story of wise virgins and foolish virgins waiting for the bridegroom from Mathew 25:1~13 as its text, and is written in the basis of well-known chorale "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written and composed by Dr. Philip Nicolai, a hymn writer as well as a clergyman. Bach's cantatas mostly have a clear purpose to be used as sermon music in Sunday service; to this end, Bach adopted previously known chorale of others or his own chorale creation as his cantatas' core. Chorale in the first and the last, and recitative, aria, vocal ensemble, and another chorale in between is their usual musical order. This song is not an exception, as it is consist of 7 songs: 3 chorales, 2 recitative, and 3 aria duets. In the 3rd song, it presents Jesus, bridegroom's biblical metaphor, and it successfully used a form of conversation between Jesus the Messiah and a wise virgin to reach its aim. Chorale melody is used as cantus firmus in the first chorus, and the motives, mainly 4 songs constantly lead the main melody to movements as leading whole structure. Philip Nicolai's chorale carries out a roll as a main pillar of the whole structure, and its melody stands out from other parts with its clearly active form. Instrumental parts expose not only maintaining basic dotted rhythm but also decorative counterpoint, and in the introduction, violins and piccolos are used to harmonize with other cuntus firmus instruments by presenting splendidly decorative music form as well as its main melody. For chorus, Italian style chorale in contrapuntal fugue format and German style chorale in harmonic format are properly united by harmonic arrangements of two to be brightly sung together. And for that, continuously expanding process which is Baroque characteristic has been used with the 4th song in main, to connect all the structure in natural and beautiful atmosphere. As a result, the whole chorus is pure and simple but still magnificent at the end. Like this, he orchestrated all these imitation form of music into perfectly different form of music. BWV140 from above procedure is a masterpiece comprehending his pure heart toward God as well as his systematic and rational mind. Thus it can be appreciated as one of the best chorale cantatas of all. With the idea suggested above, the paper presented his Christianity appearing strongly in his song as it is his main church music. Also, his music understanding, his composing technique, and his instrumental structure were studied through BWV140 showing various music forms. In conclusion, it is hoped to see that Bach's music can be fulfilled and played in this world through rot practices and bibliographic studies.

      • (A) decision making model for overtaking maneuvers in autonomous driving through driver behavior analysis

        양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a myriad of stationary vehicles in urban driving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or not to overtake a stationary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To solve this decision-related problem, previous studies have depended on the parking classification of stationary vehicl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is approach- it is applicable to the limited situations where the stationary vehicle can obviously be inferred as a parked vehicle. This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drivers’ decisions, in which not only the preceding vehicle but also the context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conside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is work proposes a DNN-based decision making model that learns a situation-awareness decision making strategy from an expert driver. The paper describes two processes for designing the model. The first process is analyzing and selecting the primary factors that a driver considers when deciding on overtaking maneuvers. The second process is constructing a DNN model of which input features are the dominant factors selected in the previous proces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model was able to make situation-awareness decision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t driver. The decision making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in various traffic scenarios. In the scenarios where the preceding vehicle was not inferred as a parked vehicle, the proposed model was able to decide to overtake the vehicle. It showed the model’s ability to consider the surrounding traffic situations. By quantitatively comparing the decision results of the model and those of the expert driver, we could conclude that the model makes situation-awareness decisions in uncertain situations in the similar manner to the driver.

      • 화학공정의 위험상태 예측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양진수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Such an abnormal state as start-up or shutdown of chemical process gives a mope dangerous situation than a n d one, however, on the automation for this abnormal state the study is rare. Recently, for the option of the above situations a new methodology that mimics the behavior of human operators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a computer-based system that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In other to automize the start-up proces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ge of stat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and to develope operation supporting system which predicts some possible hazardous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HAzardous Condition Predicting Expert System(HACOPS) of operating process is attempted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considered include potential reaction hazardous property of reaction substances and physical constraint condition during start-up or shutdown as a prior question for automation of the abnormal operation. This system utilizes the experienced knowledges on the start-up or shutdown which an operator is supposed to possess. With the AI technique; the experienced knowledges can be generalized properly, and structurized, and the expert system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hazardous conditions which may be results from operational errors. In this study, subsystem of development part in ethylene plant has been chosen as a model system to evaluate the present HACOP expert system and it is tested whether the expert system can function properly at hazardous conditions resulted from the operational errors during the start-up or shutdown at the ethylene plant.

      • 강재 라인파이프의 휨좌굴강도 평가

        양진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에너지 산업의 확장으로 인하여, 해저나 극한지에서 채굴되는 원유·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고성능 강재파이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의 증가에 따라 파이프의 역학적 성능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PI-X70급 강재로 제작된 고성능 Spiral Line-pipe의 휨좌굴강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파이프의 실규모 휨실험과,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휨실험에서는 인장·압축 변형률, 파이프 중앙에서의 처짐, 그리고 파이프 측면의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들을 휨모멘트와 대비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3장에서는 유한요소 모델을 작성한 과정을 설명하였다. 재료모델은 Hill(1948)의 이방성 항복함수에 기반한 *MAT_ANISOTROPIC_PLASTIC(*MAT_103_P)을 사용하였고, 대칭문제의 특성을 이용하여 실험체의 형상을 1/4만 모델링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유한요소해석 결과로 얻은 파이프의 휨좌굴강도는 8236.7 kN·m 이었으며, 해석으로 얻은 휨좌굴강도는 실험체의 평균 휨좌굴강도인 8181.9 kN·m 와 약 0.67%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수치해석이 적절히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 유한요소모델을 활용하여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변수는 파이프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 두께와 지름의 비(t/D비), 그리고 제작오차를 선정하였다. 변수해석 결과, 파이프의 휨좌굴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파이프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휨좌굴강도는 감소하게 되며, 내압으로 인한 원주응력이 원주방향 항복강도의 80% 크기일 때, 휨좌굴강도는 6746.3 kN·m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내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휨좌굴강도 8236.7 kN·m에 비하여 약 18.2% 감소한 것이며, 이러한 휨좌굴강도의 감소는 G. Chatzopoulou 등(2016)의 논문에 나타난 경향과도 유사하다. t/D비의 변화는 휨좌굴강도에 두 번째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면 2차모멘트가 일정한 상태에서 t/D비를 0.87%~2.15%까지 변화시키며 휨 좌굴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중간값인 t/D비가 1.48%인 경우를 기준으로 t/D비 0.87%인 경우는 –14.2%, t/D비 2.15%인 경우는 +17.5%의 변동을 나타내었다.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작오차(직진도)를 해석변수로 하였을 때는 길이방향 굴곡의 진폭이 클수록 휨좌굴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길이방향 굴곡의 진폭과 파이프 두께의 비가 최대인 1%일 때 휨좌굴강도는 7995.7 kN·m 로, 굴곡이 없는 경우의 휨좌굴강도에 비하여 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의 변화폭은 다른 해석변수들의 의한 변화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작오차와 관련된 변수는, 파이프의 휨좌굴강도를 평가할 때 무시하여도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