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 평생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양은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본격 진입이 이루어지고, 노동시장 내 불확실성의 증대로 여성들의 취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참여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업체의 근무형태도 주 5일 근무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여가시간의 증대와 함께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각 자치단체,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 대학교 등에서 다양한 평생교육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고,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평생교육의 장(場)'으로서 지역사회에서 가지는 의미가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일상생활의 거점인 지역사회는 언제, 어디서든 지역주민이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여 필요한 학습활동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생학습권을 지원해야 한다. 실제로 평생교육을 체험하게 되는 지역사회는 학습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주된 원천이고 학습공동체의 주된 장으로서 평생교육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평생교육의 활성화의 성패는 지역 평생교육의 활성화에 달려 있다고 보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및 능력개발과 사회참여 확대를 지원하는 지역사회 평생교육시설(구리시·남양주시의 대표적인 평생교육 시설 4개를 선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운영상 문제점을 도출하여 다양한 평생교육시설간 네트워크 방안과 기관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관점에서 그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보고서, 문헌연구, 심층면담, 인터넷 활용, 선진 외국의 사례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관별 운영 프로그램의 검토 결과 정해진 동일한 계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획일적이고 중복된 비슷한 수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지역적으로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독창적인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프로그램의 중복운영으로 인한 교육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평생교육 기관별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특화와 다양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관별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대상의 특화가 필요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평생교육 환경에 부응하는 새로운 전문영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평생교육 기회의 확대를 위한 야간제, 주말제, 원격수업 등 교육운영 제도의 다양화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평생학습은 결코 한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므로 다양한 기관들에 의해 역할분담을 통한 형태로 추진되어야 한다. 지역평생교육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합리적인 역할분담을 통해서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 평생교육기관의 운영 분석 결과 대부분 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자원 활용의 공유도가 거의 없고, 프로그램의 중복투자로 인한 운영의 비효율성 및 지역 평생교육 기관간에 연계가 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 평생교육기관들은 기관별 뿐 아니라 유형별, 지역별, 교육대상별(학생, 성인, 노인)등에 따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중복된 사업을 피하고, 인력과 기술을 공유하면서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 및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야 한다. 그 중심체 역할로서 지역 평생학습관이 거점이 되어 지역 교육정보를 위한 지역 협의체를 구성하고 각 분야별 인적자원, 물적자원, 프로그램 DB구축을 통해 지역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 기회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넷째, 지역 주민들이 지역 평생교육 정보에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의 평생교육 시설 및 평생학습 정보를 통합 안내하고, 프로그램, 강사 등을 지역별, 분야별로 검색할 수 있는 공동 홈페이지를 제작, 운영하여 언제, 어디서든 평생교육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주기적으로 학습자들의 교육욕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을 통한 프로그램 질 관리에 힘써야 한다. 또한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평생교육 종사자의 전문화 신장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의 실시와 함께 지역 평생교육기관 관련 전문가들은 그 필요성을 공동 인식해야 한다. 여섯째, 주요 외국 선진국의 평생학습도시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은 지역주민의 평생학습에 대한 공동인식과 함께 지역주도 및 다양성의 원리, 분야별 상호 연계·협조의 원리, 특히 '위로부터의 지원'과 '아래로부터의 적극적인 활동'이 함께 이루어질 때 성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21century, the Knowledge-Based Society comes over and the variable requisition of society participation including the women's adoption of profession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the enlargement of unreliability in the Labor Market. Besides, since the working system of many enterprises has changed into the five days work,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necessiti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leisure time. Because of the rapid change, the several self governments, an establishment's annex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universities have been extending the variety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nowadays the importance of a local community as the center of continuing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 local community, a stronghold of daily life, should make the local residents to use the methods appropriate to themselves and to participate the needful learning activities. Also, it has to offer them the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as the right of continuing learning. Actually,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field experiencing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s a main fountain head for a learning society and a major field of a learning community that is the begin and the end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ccordingly, nowadays there has been enlarging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n the local society. And success and failure of activ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depends on that in the local socie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dministration pla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local communities in the point of view to make the local residents to rise the quality of life, develop their abilities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o examine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of the local community, especially in Guri city and Namyangju city, and to lead the problems in administration for increasing the various network system among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efficacy and publicity of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study paper, literature research, depth interview, practical use of internet, case study of foreign advanced countries and so o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of the administration program according to each self-government body, it reveals that their creative efforts for the activ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re not enough because of managing the program which un-inform and over lapped for the learner of same class. Accordingly, we should prevent the waste of education resources for the duplicate managing of same program and seek for the specialization and the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nsure the competitive power relating the continuing education according to each self-government body.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 subjects as the plan for these things. Also, it calls for developing the new professional program appropriat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that is changing rapidly. As well, it needs to examine the variety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such as an evening school system, an weekend school system and long distance , in order to enlarge the opportunity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and so on. Second, the continuing learning doesn't get accomplished through only one facilities. So, it should be made progress in various facilities by taking over a portion of a work.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most facilities are managed individually and almost have no the use of resources. Also, we could know the in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on through the duplicate investment and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the connection among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have to establish the network such as the those according to facilities, patterns, areas and educational subject(student, adults, the aged) by which they could escape from the overlapping business, share human strength and technology and rapidly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various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learning including the informations The local continuing study center, as a role of core, should be the operation base to compose the local committee for the education information and to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constructing human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DB program. Forth, we should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ntinuing education by manufacturing and administrating the joint homepage that could search each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formations, programs and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field. Fifth,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we should regularly invest and analyze the learner's desires of education, and develop the program to satisfy their wants, and do our best in managing the quality of program through the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Also, the continuing education related professionals should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regular education so as to extend the speciality of workers charging the continuing education.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amples related to the continuing learning city in the major foreign advanced countries, we know the facts that it will be successful whe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local community walks abreast with the common acknowledge concerning the continuing learning of local residents, the taking the initiative of the local community, the principle of variety and network according to each field, especially the active operation down to up and so on.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교과서 비교분석 : 일차방정식을 중심으로

        양은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과 미국 교과서 비교분석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는 주로 다루는 수학적 개념 비교 위주의 연구였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교과서 중 일차방정식에서 전개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한국 교과서는 문제양이 적고 압축적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상황 설명과 이해를 중점으로 문제양이 많아 이로써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한국 교과서는 별도로 실생활 문제에 관한 단원이 있으나 주로 형식적인 문제로 구성되어 있고, 미국 교과서는 실생활 문제를 모든 소단원에 구성하여 실생활과 수학의 연계를 중시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교과서는 학습내용이 많고 난이도도 높게 구성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학습내용이 세분화되어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난이도와 형태로 문제가 구성되어 있었다. Many previous researches abou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were mostly dealt with the comparison of their mathematical concepts. In this paper, we compare problems focused on using a simple(first degree) equations in Korean and America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analyse them in 3 types. Korean textbook have less problems on how to solve the equation and they are condensed. On the other hand American textbook focuses o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Therefore it has many questions which is designed to lead students to stack up their basic knowledge. Secondly Korean textbook has a chapter referring to mathematical questions related to our daily life but it deals only with perfunctory problems. American textbook deals with questions related to our daily life in every chapter which emphasizes on importance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Finally, Korean textbook has high level of difficulty with a lot of learning contents, but American textbook subdivides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s with various level of difficulty.

      • Effects of Summarizing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 요약하기 수업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양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Notwithstanding a great amount of time spent on English read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eem to have a lot of trouble working out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This may be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assess the degree of significance of text segments in relation to main ideas in a reading passage, namely “sensitivity to fine gradation of importance” (Hidi & Anderson, 1986). Summarizing has been of increasing importance to L1 researchers as a way to enhance this cognitive skill; however, it has not much transferred to 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or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rooms. The present study thus proposed the need to incorporate a summarizing instruction into English classes, and investigated how the summarizing instruction affects Korean EFL students’ cognitive processes, especially in reading. A total of 10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2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employed both introspective and retrospective measures to examine th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using questionnaires as well as think-aloud protocols. The students responded to reading strategy checklists shortly after solving each of the ten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before and after the summary instruction. Nine representativ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nk-aloud protocols. In addition, the instructional effect was examined not only for learner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but for different types of reading questions. The sam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 as the pre-test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students’ performances after summarizing instruction. The study found that summary writing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compared to that of task-oriented and cognitive strategies. Specifically, summary instruction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heightening awareness of the discourse structure and directing the students’ attention to key sentences. Think-aloud protocols revealed the students’ decreased use of inefficient strategies (e.g., ‘translating only what the reader knows’ and ‘selecting the answer with uncertainty’) and increased use of desirable strategies (e.g., ‘predicting’, ‘goal-setting’, and ‘detecting key words or sentences’). Summary instruc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intermediate proficiency group with regard to the awarenes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Regard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 types, the summary instruction group showed the most distinctive improvements in their strategy use both in th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top-down macro- and integrative processing and in the questions relating to drawing inferences. The group was also found to outperform the control group in the standardized reading test. The present study shows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summarizing instruction in EFL reading classes. It is because summary writing offers an integrative training by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reduces a sense of fear in English writing, and enhances students’ thinking ability especially in meta-cognition. Well-designed summary instruction can enable EFL students to be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ers” by improving their reading (Pressley & Afflerbach, 1995). 한국 고등학생들이 영어 독해를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함에도 불구하고,상당수의 학생들은 영어 독해 문항들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이 독해 지문에서 주제와 관련하여 지문의 중요한 부분들을 평가하는 능력, 즉‘중요성의 정도에 대한 민감성’(Hidi & Anderson, 1986)이 부족한 것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요약문 쓰기’가 L1 연구자들 사이에서 활발히 연구된 바 있으나, EFL과 ESL 교실로 그 중요성이 전이되어 현장에서 제대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요약문 쓰기 활동을 실제 영어 수업에 통합 시키는 것을 제안하고, 요약문 수업이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 독해 과정 중 일어나는 인지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04명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읽기 독해 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내성(內省)적 방법인 생각 말하기(think-aloud)와 회고(回顧)적 방법인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 사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요약문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각각 10개의 독해 문항들을 풀고 나서 바로 reading strategy checklists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9명의 학생들이 ‘생각말하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학습자 수준과 독해 문항 유형에 따른 요약문 수업의 교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읽기능력 향상도 측정을 위해 사전, 사후 독해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나타난 영어 요약문 쓰기의 학습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문 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초인지 전략의 사용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요약문 수업은 텍스트의 담화 구조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고, 지문을 읽고 핵심 문장을 선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생각말하기’ 방법은 요약문 쓰기 수업이 ‘아는 부분만 단편적으로 번역하기’, ‘확신 없이 정답 고르기’ 와 같은 비효율적인 전략들의 사용을 감소시킨 반면, ‘예측하기’, ‘읽기 목표 설정’ ‘주요 단어와 문장 찾아내기’ 와 같은 바람직한 전략들의 증가된 사용을 밝혀냈다. 둘째, 요약문 쓰기 수업은 초인지 전략에 뛰어난 향상을 보였던 중위권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요약문 쓰기 수업은 영어 독해 문장 유형 중, 하향식의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읽기 처리 과정을 요구하는 문항들과 추론적 이해력을 요구하는 문항들의 해결에 가장 두드러진 향상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요약문 쓰기 처치를 받은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영어 독해 시험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EFL 독해 수업에 관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요약문 쓰기 수업은 영어 읽기와 쓰기를 통합시키는 훈련을 통해 영어 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며, 초인지적 과정을 활성화 하여 학생들의 사고 능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학생들의 영어 독해 능력의 향상과 학업성과의 효율적 발전을 위하여 학습자에게 잘 계획된 요약문 수업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적용한 패션매장의 내·외부 이미지 통합방법에 관한 연구 : 명동에 위치한 영 캐주얼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양은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Innovative change of time, diversification and personalization of value sense require enterprises performing commercial activities to differentiate the value of each store which, in turn, makes image planning very vital part of the busines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sake of strategic image planning has become on the rise. Seeing as how great portion of brand image is transferred through stores, brand image not carefully managed not only have bad influence on brand image itself but also eventually ruin the image of enterprise. Under these circumstances,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Merchandising, the study is being conducted to find out how to integrate the interior and exterior image of the store as to express visual image of store as whole by selecting products, interior, and exterior as wel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First, the general theory of Visual Merchandising and theory of Visual Merchandising in fashion retail store were being considered, and studied what components are the factors of expressing visual image of fashion store. Second, the facts confirme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utiliz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that have major influence on how people perceive the image of the store. 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state survey conducted mainly on young and casual brands in Myung-Dong, it was turned out that many indoor/outdoor exhibitions of young casual brand stores in our country produce different images from what the real brand images are. Fourth, by selecting and comparing both two stores that produce the best similarity in terms of interior and exterior image and two stores that do the worst, how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to integrate the interior/ exterior images of the sto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ll taken into account to generate the method of integrating interior / exterior of the sto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xterior store, 1) The most influential components on integrated image such as billboard, exhibition window, POP(advertisement, poster, price tag, banner) are to be planned in order. 2) To plan color, shape, material in order as to integrate above components and brand image together 3) It may vary along with each brand image but be applicable in general. (1) color planning ① The whole number of color plan be limited up to five ② The same color of brand logo be applied to billboard which is fixed component. ③ Main color of brand logo be used for outdoor wall and billboard of facade, and POP of variable components, emphasizing color be used for lettering of billboard, POP of variable components, others such as auxiliary color or colors to change the theme be used for POP which is variable component. ④ POP color planning variable component be in compliance with interior fixture, indoor variable component and use limited number of colors. (2) Shape planning ① To choose shape associating brand image and to apply it to billboard and exhibition window as fixed components, to POP as variable component with definiteness and consistency. ② The size of billboard which is fixed component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entrance/exit of facade and ratio of vertical and horizontal length of exhibition window. ③ To determine shape of exhibition window whether it is open type or closed type in accordance with brand image and type of products. ④ Variable component such as POP be expressed simply and clearly as it provides clients with information. (3) Material planning ① To select materials associating brand image, and do not exceed 3 kinds when it comes to main material planning ② auxiliary material of fixed components be applied to POP as emphasizing material so that it increases attraction level of POP as it expresses association between fixed and variable components. Second, in case of interior store, 1) As most influential factors on integrated image, to plan fixture, floor, wall, ceiling, POP in order. 2) In pursue of integration between each components and brand image, to plan color, shape, and material in order. 3) It may vary along with each brand image but be applicable in general (1) Color planning ① color planning for floor, wall, ceiling fixed components be applied within 2 colors. ② main color of brand logo be used as base color for fixed component such as floor, wall, ceiling and variable components such as fixture and POP. Whereas, if the main color of brand is dark, use bright color as base color. ③ Variable components such as fixture and POP are associated with outdoor POP. (2) Shape planning ① To select the shape associating brand image and apply it to fixed components such as floor, wall, ceiling, pattern of floor, arrangement of fixture at wall, shape of ceiling, and arrangement of lighting and to variable components such as fixture and POP with definiteness and consistency. To enhance the change, change the variable components such as arrangement of fixture. ② POP variable component be expressed simply and clearly and avoid using too many POP as it provides information like outdoor store planning. (3) Material planning ① To select the material associating brand image but not exceed 3 materials when it comes to material planning. ② Since the fixed components such as floor, wall, and ceiling occupy large area, those are very important in terms of material planning. Accordingly, materials brand image associates be used for floor (fixed component), and main materials used for exterior store planning be applied to wall and ceiling. ③ Materials used for fixed components such as facade, wall, ceiling be applied to finishing material for fixture as variable component, materials for fixture be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materials used for facade in outdoor store planning.

      • 最近 獨逸 消滅時效制度의 改正을 통해 본 우리 民法에의 示唆點

        양은아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e law and order, right in general has a limit of time period, so the claim of right only can have effec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 time overpasses during the specific time, right itself goes unavailable, or the claim of the right cannot be effective. The prescription system is to control this type of legal status. The objective of the prescription system of law is to limit the existence of legal relation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so eventually it is to make the idea of legal stability come true. However, this prescription system does not mean that it is made to abolish a right while it does not cost the social justice more than necessary. In sum, the prescrip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system based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legal stability and social justice. It does not ignore the social justice, only focusing on legal stability and public interest. On many regulations of this prescription system of law, the fundamental examination of this particular legal system is needed to double check, given that cases and theories of the interpretation of some codes are argumentative under the current civil law.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atest trend and legislative examples of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are discussed. Also, the numerous issues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Korea such as simplified and unified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with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free contract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ts properness to the reality is discussed on the potential problems of agreement of prescription between legal parties. Especially in the Korean civil law revision, this study puts on the emphasis of law-making direction on the prescription system of law. In chapter 2, this study has introduced about the meaning extinctive prescription. And the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which have influenced many EU countries when they revised, including the legislation of German civil law and UN Convention on the Limitation Period in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which is the basic international agreement when international trade becomes problematic among many countries, focusing on prescription system of law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latest revised German civil law is mentioned. The issues raised when former German civil law was exercised, and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former civil law are considered. And those main contents and features after the German civil law was revised during this process. In chapter 4, the issues that can be found in Korean prescription system of law are discussed. It is discussed that the narrow mind on faculty and objective about the prescription system of law, lack of understanding to coordin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the agreement of prescription. And then, the issue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the details in the Korean civil law revision are discussed and the suggested points in the Korean civil law are shown, based on what the issues are raised above with the examples in other countries. In chapter 5, with the contents introduced above, the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cription system of civil law in Korea, and the legislative direction that is referable for Korean civil law.

      • 대학로의 문화·예술 공간으로의 구축에 관한 연구

        양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55

        대학로는 지난 6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대학교와 예술 및 문화와 관련된 공간으로 구축되었다.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가 공간화 되지 않은 사회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듯이, 대학로와 그 주변공간은 각 시대의 이념이나 가치의 재현장소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대학로를 사례로 오랜 시간 공간의 구축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의 지식과 이데올로기에 의해 공간이 생산되고 표현되는 방식을 인문지리학의 이론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대학로 주변 지역은 14세기 이후 처음에는 학문공간으로, 1985년 이후부터는 문화공간으로 구축되었다. 현재의 대학로 주변에 고등교육기관이 처음 설립된 것은 조선시대이다. 지금의 국립대학격인 최고학부로서 성균관이 1398년에 자리를 잡았다. 조선 태조 7년에 성균관의 교사(校舍)를 지금의 명륜동‧혜화동 일대에 건립함으로써 이 지역 일대를 유교 이념의 수호지로서 이에 충실한 관인의 양성과 왕권을 뒷받침하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따라 구축하였다. 그러나 갑오개혁 시기에는 유교이념의 가치를 부정하고 국민교육 실시를 근대 교육개혁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던 관계로, 성균관을 제향기능만 남긴 채 새로운 관제개혁 속에서 제외시켰다. 1900년을 전후로 한 대한제국기에 이르면 근대적 주요 교육시설들을 지금의 대학로 주변에 배치하면서 근대화 이데올로기에 따라 지역을 재구축하였다. 1908년에 국내 최초의 근대 공업기술교육기관인 관립공업전습소(官立工業傳習所)가 동숭동에 건립되었고, 같은 해에 연건동에는 대한의원 본관이 지어졌다. 강제적 한일합병(1910) 이후 1910-20년대에는 현재 대학로 지역에 관립고등교육기관들이 집중 배치되면서 식민지 이데올로기에 따라 공간이 재편되었다. 이 시기 대학로 일대에는 주요 근대교육시설들이 들어섬으로써 근대적인 교육제도가 한국사회에 형성되고 정착되는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한편으로는 조선총독부 당국의 교육관이 식민지에 반영되어 전략적으로 공간의 구축이 전개된 이중성을 갖는다. 관립고등교육기관의 밀집은 1924년에 경성제국대학이 지금의 대학로 지역에 설립되면서 절정에 달하게 되었다. 일본은 이 시기 식민지 통치책의 일환으로 경성제국대학을 건립하면서 식민당국으로서 가장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통치장치 중 하나를 갖추게 되었고, 지금의 대학로 일대는 이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다. 식민지 고등교육기관 중에서 교육과 연구의 기능을 갖춘 근대대학에 가까운 것은 경성제국대학 단 한 곳뿐이었다. 초기 대학로는 고등교육을 통해 국가의 최고 인재양성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장소이자, 일본의 군국주의를 식민지인에게 체화하는 상징적인 장소였다. 해방 이후 경성제국대학은 1946년 8월에 국립종합대학안이 확정·공포됨에 따라 국립서울대학교로 정식 설치되었다. 경성대학(구 경성제국대학)을 비롯한 여러 관‧공립 전문학교들은 국립서울대학교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하나의 종합대학이 되었지만 통합 이후에도 기존의 교사를 그대로 활용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문리과대학은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가 있던 동숭동의 교사를, 의과대학은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있던 혜화동의 교사를 이어받았다. 서로 다른 전통과 성격‧목적을 지닌 여러 학교들을 통합한 서울대학교는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들에 의해 고유 ‘문화’가 만들어졌다. 이로부터 소위 대학 공간과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1960-70년대 사회참여적인 학생운동의 주요 근거지가 되었다. 이들의 문화정체성과 이미지는 대학문화로서 표상되었고 이후 대학로의 문화공간화 작업에도 주요한 소재로 작용하게 된다. 동숭동 주변 대학가는 서울대학교가 관악산에 종합캠퍼스를 만들어 1975년에 이전하면서 변화했다. 지금의 이 지역이 대학로가 되고 대학로를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 시점은 서울대학교가 이전하고 난 이후부터이다. 동숭동의 서울대학교가 이주하자 서울시는 경제개발을 우선하는 정책 속에서 그동안 확보하지 못했던 문화공간을 조성하자는 건축가 김수근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의 뜻을 받아들여 문화 콤플렉스 조성을 위한 계획을 추진하게 되었다. 마로니에공원을 중심으로 새로 꾸며진 자리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과 ‘미술회관(현 아르코미술관)’, ‘문예회관(현 아르코예술극장)’으로 상징되는 공공문화기관이 들어서게 되었다. 이처럼 대학로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었던 신촌의 대학가 문화와는 달리 서울대학교의 이전으로 남겨진 유휴공간을 문화 콤플렉스로 조성하기 위해 개념화된 공간으로 구축되었다. 1980년대를 지나면서 동숭동 주변 대학가는 미술회관을 중심으로 화랑들이 생겨나면서 미술공간이 형성되었고,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소극장들이 이 지역에 오거나 새로 설립되면서 공연예술공간이 확장되었다. 이렇게 되자 정부는 1985년에 대학로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이 공간을 개념화하였다. 이 시기에 대학로에 시행된 정부의 문화정책은 크게 둘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째로 1985년에는 대학로 도시설계지구지정과 함께 ‘차 없는 거리’ 정책이 시행되었고, 둘째로 1990년대에는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과 함께 대학로 축제가 시행되었다. 정부는 대학교가 이전하면서 그 성격이 대학과 무관해진 공간에 대학로라는 이름을 붙이며 이 공간을 역사화하는 작업과 함께 다른 한편으론 기존의 이미지를 절충적으로 선택하고 활용하면서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문화‧예술 공간의 이미지를 정부는 문화정책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대학로가 문화공간으로 조성되고 1985년에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어 혜화역이 만들어지자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대학로는 상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문화·예술 관련 자원들은 지역 내에서 경쟁력을 잃고 이면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폐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서울시는 2004년 5월에 대학로 일대의 전략적인 보호와 육성을 위해 「문화예술진흥법」 및 「서울시 문화지구조례」를 근거로 ‘문화지구’로 지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화지구 지정 후에도 상업자본에 의한 잠식은 가속화되었다.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 대학로는 이에 대응하는 공공의 문화정책이 집중되었고, 이로 인한 포스트모던적인 공간으로의 변화가 보다 가시화되었다. 문화지구 지정 이후 대대적인 인프라 확충과 문화환경의 조성, 예술계에 대한 각종 재정 지원에도 불구하고 대학로는 그동안 상징적으로 구축해왔던 순수한 문화·예술의 공간에서 점점 더 멀어져갔다. 대학로의 근간을 이루는 문화·예술 자원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지 못한 채 물리적 환경정비나 외형적인 측면에 집중하면서 지역의 문화생태를 흔들어놓는 악재로 작용했다는 사회적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대학로의 사례는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가 제안한 자본주의사회에서의 ‘추상적 공간(abstract space)’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르페브르가 통찰한 것처럼, 자본의 공간전략은 공간을 평면화하고 교환 가능한 조각들로 만드는 것이다. 공간, 특히 도시공간이 가지는 상징과 의미를 거세하고 단순한 생산물로 만드는 전략이다. 이러한 추상공간은 폭력적이다. 자본주의 공간(의) 재현(representations of space)에 기초한 폭력은 하나의 장소로서 대학로가 가지는 중심성과 상징성을 와해시키고 있다. 자본주의 공간적 실천(spacial practice)이 생산하는 생산조직과 틀, 제도적 사회체제를 공간은 이러한 특성을 담아내기에 편리한 시각화 논리를 띠는 현상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시각화를 르페브르는 공간의 탈육체화(decorprealization of space)라고 명명하며 현대공간의 특징을 단적으로 표현하였다. 공간의 탈육체화는 자본주의가 출현하기 이전 시대의 지배공간이 신체가 설정되는 장소 고착적인 구체공간으로서의 양상을 띠었다면, 자본주의 출현 이후의 공간은 나의 신체작용 범위를 벗어난 초장소적, 초시간적 관계로 구성된 추상공간으로의 특징을 지님을 의미한다. 추상공간으로서의 공간은 자본 축적활동을 구성하는 단위 즉, 생산, 소비, 유통, 분배 등의 활동단위로 공간이 구획되면서 공간의 본래적 형태라 할 수 있는 구체공간이 자본주의의 이러한 추상공간에 의해 식민화된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현재 대학로의 공공공간은 소비공간의 전략을 복제하며, 소비공간은 공공공간의 가능성을 복제한다. 두 공간들의 상호복제는 공공영역의 추상공간화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이처럼 현대 도시에서 계획되고 있는 상당수의 상업공간과 공공공간을 표방하는 공간들은 역공간(liminal space)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역(liminal)의 의미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져 있지만 어떠한 지침 없이는 쉽게 이해되지 않는 어느 누구의 영역도 아닌 것을 의미하며, 역공간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문화와 경제, 시장과 장소 등을 가로지르고 결합하는 공간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소비공간은 소비와 유통의 공간인 동시에 문화적 공간이자 공적 공간이며 노동의 공간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역공간의 성격을 띤다. 이렇게 역공간은 공공영역과 상업영역을 동일화시키면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을 혼란시킨다. 이러한 소비문화 공간에는 모두에게 열려있는 중립적인 공간이라는 이데올로기가 드러나고 있으며, 자본의 모순을 시각적 상징으로 은폐하는 개념이 감추어져 있다. 최근의 대형소비공간에서 주로 나타나는 문화적 이미지를 덧씌우는 형식들이 공간의 역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공간은 복합화, 대형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업적인 행위를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문화적이고 도시 공공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공공과 민간의 영역은 역치성의 개념처럼 서로 다른 영역의 가치체계와 지향점이 역전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지금의 대학로 공간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말하는 공간의 압축과 평면화, 중심의 상실이 극대화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공간으로 재편되고 있다. 대학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과거의 전통적 공간들은 현대의 도시공간과 긴밀히 연결되지 못하면서 시간의 축적에 의해 겹쳐져 있으며, 대학로의 의미와 어울리지 않는 혹은 획일화된 시설들이 들어서면서 그 속에서 대립·중첩되어 있다.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의 특징은 서로 다른 이질적 개체들이 섞이며 애매하고 모호한 경계로 병치되고 시간의 축적에 의해 겹쳐져 있는 혼종적 공간성의 양상을 보여준다. 대학로에서는 성균관 이래 600년이 넘는 시간이 공간화 된 공간성만이 아니라, 공간의 혼성성에서도 찾아진다. 이런 양상은 특히 2000년대 이후 대학로의 상징적 공간을 표상하는 마로니에공원과 가로에 배치된 각종의 공공조형물, 역사적 기념비, 실개천 등의 시뮬라크라에서 두드러진다. 현재 대학로는 자본주의적 공간적 실천 그 자체가 불러오는 공간의 파편화와 그로 인해 생겨나는 모순과 갈등으로 인한 저항을 불러오고 있다. 르페브르는 현대사회의 이와 같은 공간의 모순을 공간의 시련이라고 명명하였다. 하지만 르페브르는 공간생산이론에서 ‘생산’이라는 용어의 선택이 인간의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실천행위에 의한 공간 형성임을 말하고 있으며, 소외된 공간 실천으로부터 저항적이고 전복적이며 차이를 생산하는 능동적 주체를 세우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삶의 변화나 사회의 변혁은 그에 상응하는 적합한 공간의 생산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사회적 관계는 새로운 공간이 필요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논문은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대학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특화전략으로서 공공부문이 추진할 수 있는 몇 가지의 제언을 덧붙였다.

      • 인물정보 중심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교과를 중심으로

        양은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reading education program to help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social stud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of persons appearing in th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like the aim and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Second, a practical knowledge of the designing process of a model reading education program. Third,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related rea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al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Followings are the principle and procedure of designing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that this study presents ; First, the content of textbook was analyzed, the object of study was set, and persons by each chapter was sampled. Second, personal information-oriented and necessary book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object of study, the content of study, the reality of reading, personal level of reading and the reality of development. Third, a practical pla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a guidance plan of teaching were made to achieve the object of study, checking diverse variables that can be revealed before, in the middle of, or after reading.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that is developed in this study ; First, an annual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prepared introducing persons and presenting person-related books according to the object of study by each chapter of the social studies. Second, monthly object of education and the main person was set and based on it, the object of activity was established, and then the content of reading activity was described in detail each week, to help operate the actual program. Third, individual program, that is, the guidance plan of teaching described in detail the activities that are obscure only by the monthly activity of the program. Lastly, the evaluation after the activity of reading education was conducted for a desirable exchange between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목에 나타나는 인물정보를 이해함으로써 사회과 과목의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그 내용을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독서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같은 이론적 배경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설계의 절차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이다. 세 번째는 실제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목을 바탕으로 인물정보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원칙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각 단원별로 인물을 추출하였다. 둘째, 인물정보를 중심으로 필요한 도서를 선정하여야 하는데 도서의 선정은 학습 목표. 학습 내용, 독서 실태, 독서의 개인별 수준과 발달 상황 등을 고려하였다. 셋째,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독서 전, 독서 중, 독서 후에 나타날 여러 가지 변인 들을 점검하여 실제적인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안과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교과서의 단원별 학습목표에 따라 인물을 소개하고 인물과 관련한 도서를 제시하여 연간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둘째, 월별로 교육목표와 주제인물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활동목표를 제시하고, 매 주에 이루어지는 독서활동의 내용을 자세히 기술하여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개별 프로그램 즉, 학습독서 지도안은 월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만으로는 명확하지 않은 활동들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넷째, 독서교육 활동 후 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환류가 올바르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 (The) effect of tax exemption on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 the case of tesla in Norway

        양은아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Using the data of Norwegian automobile market, where electric vehicles have gained much popularity, estimated is the demand model of passenger vehicles with a focus on the consumer preference for each fuel type. The result of the estimation is then applied to derive the new equilibrium price of each product for the prediction of the counterfactual sales of electric vehicles, as the exempted tax is put back into the budgetary consideration of consumers.

      • 한국 서해 어청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양은아 군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biomass of benthic marine algae at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Eocheongdo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from July 2008 to April 2009. Total 101 species including 12 of green algae, 23 of brown algae and 66 of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mong these species, 19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The dominant species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total biomass were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siformis, Saccharina japonica, Sargassum honeri and Sargassum filicinum. Annual seaweed biomass in dry weight was 237.5 gm-2 and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seasonally in winter (272.1 gm-2), while minimum was recorded in summer (204.5 gm-2).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the highest at site 1 located in southern tip at the isl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of the subtidal zone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intertidal zone and were maximal at the high subtidal zone (217.3 gm-2).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in Eocheongdo seem to be higher than those of other island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due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d transparency, and the well established rocky sh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