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 전시특징에 관한 연구 :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의 국내전시를 중심으로

        양윤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the time flows, the art changes the standard of beauty, creates new styles, and thus represents important part of pop culture. As we move from the 20th century into the new millennium, Contemporary art is going through various changes especially, expressing is it the complexity of the modern society, acting as a medium that reflects on the modern life and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Artists' intents art communicated through contemporary art to the public through oftentimes in art museum exhibitions, and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the modern society as a stream of the same time and interacts with the public.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and analysis focusing on pop art, contemporary photography, and media art exhibitions along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case studies examined, the important role as the medium reflecting the complex modern society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Moreover, in order for the contemporary art to be a true pop culture while being presented in the form of art museum exhibitions, art museums must seek ways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they develop exhibi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designing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nd how the trends in designing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 contemporary photography, and media art exhibitions that we should note is that they are the most accessible to the public nowadays, so it is important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rt. To analyze cases studies of exhibitions while accounting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each specific type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three representative places: Seoul Museum of Art, Samsung Museum of Art(Leeum), and Nam June Paik Art Center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at held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recently. The results of case studies analysis of the three art museums' exhibitions show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firstly, an important medium to reflect the modern society and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Secondly, the use of objets in exhibitions made it easy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as well as created aesthetic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Thirdly, the synthetic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meaning they go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genres, was clearly reflected as showing and mixing various forms of creative and experimental art resulted in exhibitions free from trite art exhibited in the past. However, this thesis should seeks to further various measures such as education programs and seminars of art museums in order to make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promote even mor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and therefore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making it a place for communication that can be approached as a true pop culture. Hopefully, more studies of, and efforts to improve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are expected to appear in the future,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s much as the advanced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of art museums as a true pop culture that breathes in this time.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술은 미의 기준을 달리하며,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내고, 대중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세기를 지나면서 현대미술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복잡한 현대사회를 표현하고 대중과 소통하며, 현대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현대미술은 미술관 전시를 통해서 대중에게 그 의도가 전달되며 동시대의 한 흐름으로서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이론적 고찰과 함께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 전시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진행된 전시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현대미술전시 특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현대미술이 미술관 전시와 함께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거듭나기 위해서는 미술관들이 전시발전과 함께 대중의 참여를 더욱 활발히 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먼저 현대미술전시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전시에 대한 개념 확립과 과거에 비해 현대미술전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또한 동시대미술로서 대중과 가장 밀접한 팝아트, 현대사진, 미디어 아트 전시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 특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현대미술의 유형별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전시사례 분석을 위해서는 현대미술전시가 열렸던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를 포함한 대표적인 세 곳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앞에서 이루어진 세 곳 미술관의 전시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현대미술 전시가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대표되는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둘째는 전시 안에서의 오브제의 활용은 현대미술의 미적확대와 대중의 전시참여를 용이하게 만들어주었다. 셋째는 과거의 진부한 미술전시에서 벗어나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다양한 형태의 미술전시를 보여줌으로써 미술장르에 대한 경계를 넘어선 통합적인 현대미술 전시의 특징을 반영하여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 전시가 동시대의 문화예술로서 대중의 보다 많은 참여를 위해서 전시기획만큼이나 미술관들의 교육프로그램과 세미나와 같은 다각도의 대안의 모색함으로써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다가갈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 전시는 동시대를 호흡하는 진정한 대중문화로서 미술관들의 진보된 현대미술 전시만큼이나 대중과의 소통과 참여를 위한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대중음악 활용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 연구

        양윤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의 음악교육계에서는 학교 음악교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중음악을 학교 음악 교육에 접목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음악교육의 흥미와 욕구 사이의 합일점의 대안으로서 대중 음악을 학교 음악교육에 선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긍정적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대중음악이 과연 '다양한 악곡과 음악활동'의 범주 속에 있는지,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교수·학습 요소인지, 그리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효용성은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며 대중음악을 학교 음악교육 현장에 접목시켰을 때 과연 청소년들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겠는가, 또 학습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겠는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 탐구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며 화순 N중학교 학년(중2학년) 2개반(연구반, 비교반) 남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에 나타난 학생들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음악적, 교육적으로 유용한 대중음악을 선정하였다. 이후 중학교 음악과 7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준하여 대중음악 활용 수업을 실시하였다. 한편, 비교반은 7주간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위주의 수업을 받았으며, 프로그램 적응에 따른 두 집단간 비교의 준거가 되었다. 대중음악 활용 수업 프로그램 적응 후, 연구반과 비교반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부적응을 보이던 학생이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하는 양상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의 학습 흥미 유발과 함께 다양한 음악 장르를 접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둘째, 스타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에서 스스로 비판하고 선별하며, 자신의 수용 태도를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음악에 대한 안목과 선별력을 기워 대중음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셋째, 고전음악을 차용한 대중음악 감상수업을 통해 고전음악에 대해 더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음악 장르를 수용하고 생활 속에서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학생들이 학교 음악시간에 가장 참여하기 어려운 영역인 창작부분에 대중음악을 활용함으로써 창작 대한 자신감과 협동심이 길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대중음악 또한 '다양한 악곡과 음악활동'의 범주에 속하며,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교수·학습 요소이며,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 수업은 과거의 작품이 아닌 대중음악을 포함한 현 시대의 작품도 균형있게 다루는 과정이어야 한다. 그래서 학생 각자가 지니고 있는 음악적 가능성을 일깨워 그들이 스스로 생활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그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길을 찾게 해야 하는 것이다.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생활 속에 적용하고 생활 속의 내용들을 학교에서 분석하고 비판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안정감 있고 풍요로운 정서 생활의 기본이며 학교 정규 수업과 학생들의 음악 문화 생활이 연관성의 통로가 된다. 따라서 음악이 학생의 생활 환경과 연관성을 가진 실질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는 다양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해 연구하고 또한 대중음악의 유용성을 발견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 안에서 지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음악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oday a practical application of popular music is actively under discussion to raise the efficiency in school music education. Most talks have led to the positive conclusion of introducing some collections as an alternative to incite interests and affection for music course.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whether the popular music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for various compositions and musical emotion or in the essential element for musical cspabilith, musical emotions, and creative musical power. This study is based on some basic questions and on the changes of recognition. That is. Can the popular music make students interested in music course? Can the popular music make students satisfied with substance of the courses? To get the answers, l did the sample survey for the male female 70 second grades attending Hwasoo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findings I made useful selection of popular music for musical education And I made two category, two classes. One was organized for the class employing the selection on the HRD policy at national level, the other was for usual class for 7 weeks. During the period, I examined their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 After that, l got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 the negative students with no interest turned to be positive and active. Also the showed the desire to learn more music styles. Second criticising their following the music idols blindly, they developed the recognition through the criticism. At the end, concerns about the negative effect of the popular music diminished. Third, the students who disliked the classical music was able to access to the classic source mixed the popular music and ca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musical genre in our life. Forth, the composition, the hardest part of music course to students, became a good chance to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and cooperation in the proceedings by using popular music. These findings lead to an conclusion that popular music should be included in the music course for various composition, musical activities and for musical capacity. Most of all, by attracting students interest we can prevent a one-side education. Each student can improve his or her musical talent and enjoy various music. By applying what they learn to their daily life, they can accept the popular music critically and not blindly. This will transplant school education into the living and bring about the emotional life. So teachers should find the ways to take advantage of popular music to provide students with practical benefits.

      •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수법 연구 : 게임과 노래를 이용한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양윤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의 개선 방향으로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법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여 보다 적극적인 교실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 능률과 효과를 규명하고,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교수법에 근거한 게임과 노래를 개발 및 적용을 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교수법을 통해 개발한 게임과 노래가 학습자들의 심리적으로 덜 부담감을 줄 것이며, 어휘를 종이에 쓰면서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보다는 게임과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할 경우 장기기억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게임과 노래 활용과 교과서 중심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설문조사하여 앞으로 교사의 세심한 주의와 수업 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 활동에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교수법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우왕좌왕한 모습이 많이 줄어들었다. 특히 초급단계의 학생들에게 게임과 노래를 목표어로 설명해주는 것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큰 부담감으로 다가온다. 이때 학생들이 교사가 활용하려는 게임과 노래의 규칙을 제대로 이해를 못할 경우 수업 분위기가 혼란스럽게 될 뿐만 아니라 교사가 예상했던 시간을 초과하여 다음 진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학생들 역시 규칙을 이해하는데 심적인 부담감을 갖고 초반에 흥미를 잃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교수법은 교사가 설명만 하고 뒤에서 관찰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교사가 훌륭한 반장이 되어 학생들을 올바르게 인도를 하는 것이다. 즉, 교사 역시 게임과 노래를 수행하는 일부분이 되는 것이다. 이 교수법을 현장에 적용한 후 학생들이 심적인 부담감이 줄었고, 수업을 설계하면서 예상한 소요시간 안에 게임 및 노래를 진행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습자 협동 중심의 교수법을 바탕으로 설계한 게임과 노래 활용이 학습자들의 장기기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업시간에는 단순히 읽고 외우는 지루한 학습 활동 대신에 시각적 심상을 중심으로 다양한 감각을 통해 학습하는 것 역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음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설문조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수업에서 적절한 게임과 노래의 활용을 필요로 하였으며, 지루한 학습 활동 대신에 여러 종류의 게임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 스스로 자유롭게 한국어를 말하고, 게임에 참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느끼면서 학습 활동을 지속하고 싶어 하였다. 한국어 수업에서 게임과 노래의 활용은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 학습향상에도 연결된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그러나 게임과 노래의 활용이 단순한 흥미 유발에 그치지 않도록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세심한 주의와 수업 설계가 뒷받침 되어야 하며 끊임없이 다양한 게임과 노래를 개발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n learners and learning efficiency of more active classroom activities by apply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the front lines of classes in an effort to improve Korean language learning. In doing so,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applying games and songs, based on a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 hypothesis that the games and songs developed through a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ill reliev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learners has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Another hypothesis is that learning via utilization of games and songs will be effective for long-term memory, rather than mechanical memorization through writing vocabulary on paper.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udents' opinion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games and songs in a real class, classes focused on teaching materials, the need of teachers' meticulous attention to a class and the class design are emphas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data and material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s applied to a class, the students' running about in confusion greatly diminishes. In particular, explaining to the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the games and songs as target words becomes a big burden to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If the students do not properly understand the rules of the games and songs to be utilized by the teacher, the class atmosphere can become confused, and also the class can exceed the expected time limit, which may negatively impact the progress of the class. The students also may lose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rules due to the psychological burden. In the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t is presented in this paper, a teacher becomes an excellent monitor of the class to lead the students properly, beyond the teacher's role of just explaining content and observing students. After applying this teaching metho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students decreases and games and songs can be carried out within the time limit set in the design of the class. Secondly, the games and songs designed on the basis of a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positively impacts the long-term memory of the learners. Learning through various senses concentrated on visual images, instead of simply using memorization and boring learning activities in a class, helps students in their learning. Thirdly,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he learners need to adequately utilize the games and songs in a class. Also, they want to continue their learning, feeling a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learning, while freely speaking Korean through various types of games and participating in those games, instead of conducting monotonous, boring learning activities. The utilization of games and song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induces interest and motivation, which are connected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However, such utilization of games and songs needs to be a means to achieve learning goals, not just an inducement of interest. Teachers' careful attention and class design should be backed up to attain the learning goals, and we need to constantly develop and research various games and songs.

      •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가공식품 섭취 실태와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양윤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nstruction instructions for food additive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researching their knowledge, recogni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The data were gathered by questionaries from 440 students attending in the 3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s around Incheon Province. The valid 420 out 440 questionaries were analysed by SPSS/WIN 12.0.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additives-containing processed food item consumed most frequently was confectioneries followed by beverages, ice cream products, dairy products, meat products, noodles, lunch boxes, fish products, and bread and cake.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purchased processed food at supermarkets and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for purchasing processed food was that processed food was easy and convenient to cook. When asked whether or not they made any efforts to select processed food containing less additives, 31.2% of respondents said “I don’t know.” With regard to the reason for why they did not check food labels,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55.7%) answered “because I do not have any interest.” More than 50% of respondents said they made little or no effort to select food with no additive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What respondents considered most,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was taste followed by price and date of manufacture. 2. The items that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were as follows: food additives have both dangers and benefits (P<.01); want to know the criteria for the use of food additives and the necessity to be knowledgeable of food additives (P<.05), and food with late sell by date probably contains more food additives (P<.01). The items that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were: food additives are being used for consumers (P<.01), and have trust in the ingredients of processed food and food labels on additives (P<.05). Besides, respondent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ocket money in the item ‘there is a need to be knowledgeable of food additives.’(P<.01). Respondent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in spite of their high prices, purchase food products with no additives for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the mother had a job or not (P<.05). With regard to the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who completed college or higher (31.2%)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tem ‘in spite of their high prices, purchase food products with no additives for children’ than mothers who completed high school course or less (19.6%) (P<.05). 3.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of food additive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respondent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variable, grade, with first year students gaining 4.44±1.44 point, second year students 4.44±1.74 point and third year students 4.86 point (p<.05). 4. As for channels to acquire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respondents generally acquired such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65.7%), Internet websites (21.2%) and their parents (18.5%). 5. As for respon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 scor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d received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regular class, those who had received the education gain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s the group received higher knowledge score, it had mor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conclusion,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regular class that delivers accurat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food additives, helping them with their dietary lives through the appropriate perception of food additives, and leading them to select correct information among enormou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media and people nearby. 본 연구는 인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이용실태와 구매 행동을 알아보고, 가공식품 속에 들어있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지식 정도를 파악하며, 가공식품의 또 개인적 변인에 따른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지식, 구매 행동 차이를 조사하여 중학생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x²-test, t-test, ANOVA,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첨가물 관련 가공식품의 품목별 이용횟수는 과자류, 음료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유가공품, 식육제품, 면류, 도시락류, 어육제품, 빵과 케익류 순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장소는 슈퍼마켓이 가장 많았으며, 가공식품을 구입하는 이유에 대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 식품첨가물을 적게 든 것을 구입하려는 노력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의 비율이 31.2%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표시에 관심이 없어서가 5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 식품첨가물이 든 것을 구입하기 위해서 노력하지 않거나, 거의 노력하지 않는 편이다가 50%이상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을 살 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맛, 가격, 제조일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식품첨가물은 위험과 이점을 동시에 가진다(P<.01)와,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에 대해서 알고 싶다와 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이다 (P<.05),유통기한이 긴 식품은 식품첨가물이 더 들어갔을 것이다(P<.01)였다. 뒤의 세가지 항목 모두 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학년별 차이는 식품첨가물은 소비자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P<.01)와 가공식품의 원료 및 식품첨가물 표시를 신뢰한다의 항목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5). 어머니의 직장여부에 따라서는 조금 비싸더라도 식품첨가물이 없는 식품을 먹으려고 한다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5). 용돈에 따라 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에서 유의적 인 차이를 보였다(P<.01).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조금 비싸더라도 식품첨가물이 없는 식품을 먹으려 한다는 항목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19.6%)일 때보다 전문대졸 이상(31.2%)에서 더 많았다(P<.05). 3. 관련 변인에 따른 식품첨가물에 관한 지식 점수의 평균차이는 1학년이4.44±1.44점, 2학년이 4.44±1.74점, 3학년이 4.86±1.57점으로 학년별 변인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5). 4. 식품첨가물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대체로 대중매체(65.7%), 인터넷 홈페이지(21.2%), 부모님(18.5%) 등을 통해 습득하고 있었다. 5. 정규 수업시간에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른 인식 점수는 교육경험이 있었을 때 점수가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지식점수가 높은 군일수록 식품첨가물의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해줄 수 있는 정규 수업시간의 교육과정이 제공되어, 올바른 인식으로 학생들의 식생활 생활에 도움이 되고, 언론이나 주변 사람들을 통해 습득하는 무수히 많은 정보 중 올바른 사실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BL의 평가’를 활용한 ‘수행평가’ 모형 개발

        양윤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구현한다는 의미는 학습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성이 강조되고 더불어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 여부에 중심을 둔 결과중심의 평가에서 학생들이 참여하고 다양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평가패러다임이 바뀐다는 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장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인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서, 교사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 다시 말해 학습자를 학습의 주체로 보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모형 중의 하나인 PBL(Problem-Based Learning)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활동의 평가방법으로 학습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학습 환경 전 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적 학습 환경을 구현하려고 한다. 현행 수행평가가 본래 목적하는 ‘과정평가’와 달리 결과중심적인 평가로 실행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과정 중심적’, ‘학습자 중심적’ 수행평가를 하기 위해 현행 수행평가를 수정·보완한 대안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차례의 PBL 수업을 적용 한 뒤 그에 따라 수정·보완된 수행평가를 실행 하고, 이어 이에 대한 학부모의 실제적인 피드백을 기반 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학습과정 및 참여를 확연하게 볼 수 있는 대안적 ‘수행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means to emphasize active participation and self-driven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in the course of learning. Besides, it means the evaluation paradigm is changing from the result oriented evaluation which focuses on whether the learners get to the goal to course oriented evaluation which students can participate in and accept the diversity. This proposal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which is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Constructivist paradigm means the change from teacher-centered one to learner-centered one. In other words, it is the learner oriented learning theory which sees the learners as the subject of the learning. This study applied PBL (Problem-based Learning), a kind of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 to actual classes, executed Performance Assessment emphasizing the learning course as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tivity and tried to implement learner 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roughout the course. It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Assessment is ‘result oriented one’ rather than ‘course oriented one’ which is the original goal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 developed a rigorous model to make the ‘course oriented’ and ‘learner orient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pplied 2 PBL classes and executed revised and modified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is, we developed alternative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to show learning courses and participation conspicuously based on the actual feed-back of parents. We hope it will contribute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more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and improve the conditions.

      • 백장미꽃 추출물의 에탄올 및 부탄올 분획의 헬리코박터균 항균 효과

        양윤희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증식 및 위내 감염에 대한 백장미 추출물 에탄올 및 부탄올 분획의 효능을 proton pump inhibitor인 pantoprazole과 비교평가하였다. 균의 배양을 통한 항균효능 평가에서 H. pylori (1 ☓ 108 CFU/mL) 균을 연속 희석한 에탄올 및 부탄올 분획과 3일간 배양하였다. 백장미 에탄올과 부탄올 분획은 각각 100 μg/mL와 10 μg/mL의 농도 이상에서 세균증식을 억제하여, 이 농도가 최소살균농도(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으로 확인되었다. 위내 균제거 실험을 위해 수컷 C57BL/6 마우스에 1 ☓ 108 CFU/mouse의 H. pylori를 2일 간격으로 3회 위내에 접종하여 감염시키고, 2주 후부터 백장미 에탄올 분획은 20, 50, 100, 200 또는 500 mg/kg으로, 부탄올 분획은 10, 20 또는 50 mg/kg의 용량으로 18일간 매일 2회 경구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위점막 생검조직을 배양하여 urease, oxidase, catalase, nitrate 환원 및 H2S 생성 지표를 이용하여 균을 동정하고, 현미경 검사를 통해 점막염증 반응을 평가하였다. CLO 키트 및 동정시험으로부터 200 mg/kg의 에탄올 분획 투여군에서 위점막 세균이 완전히 퇴치되었으며, 100 mg/kg에서는 75%의 균 제거율을 보여 30 mg/kg의 pantoprazole과 유사한 효능을 보여 주었다. 흥미롭게도, 백장미 부탄올 분획이 에탄올 분획에 비해 더 우수하였는데, 50 mg/kg에서 86%의 균 퇴치율을 보였으며, 20 mg/kg에서 30 mg/kg의 pantoprazole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CLO 검출결과는 세균동정으로 재확인되었는 바, CLO 음성 및 부분양성 반응을 보인 위점막으로부터는 H. pylori 균이 동정되지 않았다. 조직검사 결과 H. pylori 감염은 심한 위점막 염증을 유발하였는데, 이러한 염증소견은 백장미 분획이나 pantoprazole 투여에 따라 CLO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동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장미 에탄올 및 부탄올 분획은 H. pylori 증식을 억제하고, 감염된 위점막으로부터 균을 제거함으로써 위염과 융모손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백장미 에탄올 및 부탄올 분획은 H. pylori를 퇴치함으로써 그에 따른 위염 개선에 효과적인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핸드페인팅 기법을 활용한 도자공예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민화소재를 중심으로

        양윤희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도자공예문화상품은 발전하는 기술과 더불어 전통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적으로 디자인하거나 다양한 공예품에 접목시켜 상품화 하는 추세이다. 나아가 컨셉 이미지를 접목하여 차별성 있는 자기만의 개성을 담아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도자공예문화 상품은 예술성과 기술성 이외에도 경쟁력 있는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인이 선호하는 문양이나 표현 방법 등을 파악하고 다양한 컬러와 디자인을 개발하여 일상생활 속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자공예문화상품의 개발과 제작방법을 널리 알림으로써 도자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화를 소재로 하였으며, 길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민화에 심미성, 조형성, 상품성을 접목하여 현대에 맞는 도자공예문화상품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독특한 한국적인 이미지로 제작,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민화가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현대사회에 재조명하기 위해 충분한 가치가 있는 소재이다. 따라서 민화의 소재를 부분적인 이미지와 전체적인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여러 형태를 하나로 조합하여 조화되도록 하였고 다양한 형태로 새롭게 구성하여 작품화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도자 핸드페인팅의 기초연구와 작품의 소재가 된 민화장식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전통성을 현대적으로 도자공예문화상품에 적용하여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석고틀 성형기법, 배출 주입성형기법, 초벌기물등을 활용하였고 한국의 전통미가 엿보이는 옛 등잔의 형태로 캔들과 캔들 받침 등을 제작하였다. 또한 캔들 받침은 일상생활 속에서 접목할 수 있는 액자, 접시로 동시에 사용가능한 실용성과 장식적인 이미지를 동시에 만족 시키고자 하였다. 태토는 안료의 발색도를 높이기 위해 슈퍼화이트를 사용하였고, 채색기법은 핸드페인팅 안료인 고화도 하회안료와 청화안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슬립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기법으로 표현하여 장식적인 이미지를 더욱 더 강조하였다. 유약은 핸드페인팅 안료의 발색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유를 사용하였으며 소성방법은 0.3㎥ 전기가마에 8시간동안 780℃로 1차 소성을 하였고, 2차 소성은 13시간동안 1,240℃로 시작품 8종류를 산화소성 하였다. 3차 소성으로 8시간동안 780℃ 수금을 칠하여 산화소성 하였다. 이와 같이 민화의 소재인 모란도, 호작도, 연화도, 화조도, 일월오봉도를 도자 표면에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표현한 문화 상품 시작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구성 하고, 나아가 전통예술의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함이다.

      • 의미 점화 및 간섭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학습 예측요인

        양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속의 모든 자극들은 어휘습득을 위한 좋은 재료가 된다. 아동은 소리나 글자, 그림과 같은 다양한 자극들을 접하면서 어휘습득에 도움이 되는 자극은 받아들이고, 도움이 되지 않는 자극은 배제해나가면서 어휘집(mental lexicon)을 보다 풍부하고 정교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아동이 어떤 목표단어를 습득하기 위해 필요한 단서이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극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목표단어와 관련이 없는 자극을 목표단어로부터 분리해내지 못할 때 어휘학습은 효율적이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이 효율적이지 못한 자극 식별 체계를 가진 아동 가운데에는 인지를 비롯한 아동의 능력이 또래에 비해 부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언어와 관련된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이 있다. 이 아동들은 언어에 국한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단순언어장애(SLI; Specific Language Impariment) 아동이라 하는데, 이 아동들이 또래 일반 아동의 어휘 보유량 및 어휘 학습능력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인다면, 과연 동일한 조건 속에서 같은 자극을 접하더라도 (a) 목표 단어와 관련된 자극의 도움을 받는 능력, (b) 목표 단어와 관련 없는, 또는 반대되는 자극을 억제하는 능력이 또래 일반 아동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근본적인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비효율적인 어휘습득 양상의 기저에 어떤 능력에서 또래 일반아동과 차이점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a) 목표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점화자극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의미 점화 과제 수행 능력, (b) 목표 단어를 간섭하는 자극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간섭 과제에서의 수행 능력을 알아보고, 이 수행능력이 아동이 습득한 어휘 보유량 및 어휘학습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만 6-9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8명, 생활연령이 일치하는 또래 일반아동 18명, 총 36명이었다. 연구과제로는 어휘 보유량을 측정해줄 수 있는 표준화 검사인 수용 · 표현 어휘력 검사(REVT)의 수용 어휘력 검사, 어휘 학습능력을 측정해줄 수 있는 빠른 우연학습 과제(QUIL), 아동의 어휘학습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되는 의미 점화과제 및 간섭 과제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어휘력(수용 어휘력), 어휘학습(빠른 우연학습) 과제, 어휘학습 가교(의미점화 및 간섭)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 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에서의 과제 간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product moment )를 측정한 후, 각 집단에서의 어휘보유량 및 어휘학습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의미점화 과제, 간섭 과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 째,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 어휘력(수용 어휘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어휘학습 가교 과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아동 집단에서 어휘력(수용 어휘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은 의미점화 과제의 정확도 및 간섭 과제의 반응속도로 나타났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 학습능력은 의미점화 과제의 반응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반면, 일반 아동의 어휘 학습능력은 간섭 과제의 반응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셋 째,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어휘력(수용 어휘력)을 예측해주는 어휘학습 가교 과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아동 집단의 어휘력(수용 어휘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요인은 의미점화 과제의 정확도로 약 23% 예측력을 나타냈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어휘 학습능력(QUIL)은 의미점화 과제의 반응속도가 약 24%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집단의 어휘 학습능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요인은 간섭 과제의 반응속도로 약 41%의 예측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수용 어휘력은 목표 어휘가 아동의 어휘집(mental lexicon)에 이미 저장이 완료된 어휘보유량을 측정하는 특성상 그 어휘를 정확히 인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정확도’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빠른 우연학습 과제(QUIL)와 같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어휘를 저장해나가야 하는 과제에서는 ‘반응속도’ 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휘학습 능력의 예측요인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의미점화 과제의 반응속도’,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간섭 과제의 반응속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간섭자극을 능동적으로 억제하는 능력은 목표 자극에 접근하기 위해 정보들을 선택하고 조절하는 적극성이 더 요구되며 간섭은 촉진(점화)보다 더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Lindsay & Jacoby, 1994), 이러한 능력이 어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일반아동 집단에서 더 높은 설명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에게서도 이와 같이 간섭 자극에 대한 능동적인 억제 능력이 향상될 때 어휘학습에 보다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의미 점화 및 간섭 과제 반응속도가 상관 없이 진행된 반면,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두 과제의 반응속도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이루며 진행된 것은 어휘 학습 시 의미점화 및 간섭 과제 수행 능력이 상호 관련성을 가질 때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l stimuli within a child’s environment are good sources for word learning. They could accept numerous stimuli such as sounds, alphabets, and pictures to help word learning and exclude helpless stimuli to organize elaborate mental lexicon. However, when learning a target word, if a child cannot recognize the necessary cues or eliminate unrelated cues to learn the target word,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word learning process becomes inefficient for the child. These problems are common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word learning becomes difficult for them. Although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word learning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points of view, possibilities to predict the acquired vocabulary capacity and word learning capability for children with SLI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and peer Normal Language (NL) group in terms of the following: (a) children’s semantic access on semantic priming task, (b) children’s executive control on interference task, (c)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semantic priming and interference task, accuracy of Receptive Vocabulary Test (REVT_R) and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and finally (d) best predictor of REVT_R and QUIL. The total 36 children in two different groups participated for this research: 18 SLI children aged from 6 to 9 years old and 18 NL children in the same age range. The research tasks were carried out using standardized tests such as Receptive Vocabulary Test (REVT_R) that can assess already acquired vocabulary capacity,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that can assess word learning skills, and semantic priming and interference tasks that may can bridge acquired vocabulary capacity or on-going word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SLI group showed low performance on the semantic priming and interference tasks when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same age NL group. Secondly, the SLI group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between the REVT_R and word learning bridge tasks; on the other hand, the NL group showed that the REVT_R was correlated with the accuracy of the semantic priming task and the speed of the interference task. QUI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eed of the semantic priming task for the SLI group, but the NL group showed that the QUIL ski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speed of the interference task. Thirdly, the results with the SLI group did not show any word learning bridge task to predict REVT_R on the other hand, the NL group showed the accuracy of the semantic priming task to predict REVT_R. The SLI group showed the speed of semantic priming task to predict QUIL, but the NL group showed that the speed of the interference task to predict QUIL significantly.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capacity score, it seems that accuracy would be the best predictor since it linked to previously-stored vocabulary capacity in the child’s mental lexicon. Thus accur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capacity. Also related to child’s word learning skill, it seems that speed is the best predictor for the word learning capability. Moreover, as predictor of word learning skill, speed of the semantic priming task and of the interference task can be used for the SLI and NL group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SLI group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peed of semantic priming and interference tasks: on the other hand, the NL peer group showed the correlation.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mutual correlation of semantic priming and inhibition skills on the interference task affects the word learning process significantly.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both accuracy and respond time for finding predictors of word learning all together. In addition, both semantic priming effect on related target word and inhibiting ability for unrelated target word ar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word learning together.

      • 프랙탈(Fractals)적 해석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응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양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과학과 테크놀러지의 시대이며 이러한 시대를 읽어 가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온 컴퓨터는 더 이상 과학자나 기술자들의 영역에 머물러 있지 않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예술과 과학은 더 이상 상이한 분야가 아닌 동일한 자연을 경험하는 상호보완적인 분야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과 예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사고와 접근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디자인 방법과 사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의 발달로 인한 현미경, 영사기, 망원경 등의 물리적 측정기는 지금까지 인간의 가시범위에 속하지 않았던 자연 현상이나 물질을 가시범위 속으로 끌어들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인간의 육안으로 감지 할 수 없었던 극미한 세계인 프랙탈 형태를 디자인에 접목시켜 예술과 과학의 통합체로서의 염색디자인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사실 예술가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프랙탈적 사고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작가들은 이미 자신들이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프랙탈적 사고와 개념으로 예술활동을 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핵심은 프랙탈 개념을 중심으로 여러 작품에 응용한 사례를 근거로 다양한 디자인 표현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 건니(乾泥 -진흙의 마른 형상-), 암석의 균열 형태를 붓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호염 기법중 호료의 중첩으로 인한 선과 면에 나타나는 시각적 질감 표현 효과를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에 응용함에 있다. 연구자는 프랙탈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와 미래 사회에 맞는 다양한 접근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과학과 예술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잡한 자연의 형상을 다루는 프랙탈 기하학의 발생 배경과 개념을 살펴보고 과학의 변화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에 프랙탈 기하학 조형 원리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기본 배경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디자인원리와 조형적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이론을 서술하였다. ·디자인 원리로 자기유사성, 무작위성, 비예측성, 프랙탈차원, 불규칙성 등의 원리와 이들이 작품에 적용된 예들을 살펴보았다. ·조형적 특성으로 방향성, 비선형, 무질서 등을 표현하는 중첩과 반복, 형태왜곡, 스케일링 (Scaling)의 변환을 고찰하였다. 작품의 모티브로 건니(乾泥), 암석의 균열 형태를 프랙탈 기하학의 디자인 원리와 조형적 특성을 적용하여 디자인을 도출시키고 색채 표현은 건니(乾泥), 암석에서 느껴지는 색채이미지 등을 감성적, 개성적인 요인에 적용하여 저채도의 색상으로 차별성 있는 디자인에 주력하였다. 디자인을 도출시키고 작품에 반영하기 위한 기법적 측면으로, 섬유위에 염료가 번지지 않고 프랙탈적 형태를 형상화하여 재구성함에 있어, 자유로운 표현과 중첩효과의 우연성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인 호료를 사용하였다. 위의 원리를 바탕으로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과학을 접목시킨 텍스타일 디자인으로의 응용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며,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수(手)작업을 통하여 제작 한 후 컴퓨터를 이용하해 다양한 패턴으로의 변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염색디자인에 있어 과학과 예술을 경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시대의 흐름, 사상을 담아야 함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과학과 자연의 관계성을 발견하고 적용하면서 시대에 부합하는 과학적인 디자인으로 접근해야 됨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 표현기법은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호염은 프랙탈 기하학의 디자인원리를 적용하여 건니(乾泥), 암석의 균열 형태를 표현함에 있어 반복되는 호의 중첩을 통하여 우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다른 종류의 호료보다 밀가루호는 탈호성이 좋아 작품제작에 유리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호료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수(手)작업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을 프랙탈 기하학의 디자인 원리를 고려하여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효과를 주어 칼라의 변형과 패턴의 새로운 구성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영역확대를 위한 컴퓨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프랙탈적 해석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염색디자인에 있어 보다 창의적인 조형추구와 아울러 이를 뒷받침 해 주는 소재, 디자인개발, 기술의 발달이 조화를 이루어, 보다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텍스타일 디자인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과 가치를 지니는 분야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Nowadays is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mputer that has been playing a pivotal role is not anymore in the sphere of scientists or engineers. In this contemporary circumstance, art and science are not anymore totally different fields but they are rather in relation of interde pendence. In this point. the need of new thoughts and new approaching methods grafting between art and science is gradually necessary.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new design, which is different from as it has been, and design idea in accordance with the new circumstance. Thanks to the unceasing development of science and by using scientifical instruments such as microscope, projector or binoculars, human beings are able to expand their visual range to the natural phenomena or materials, which have not been seen with bare ey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a method of dyeing design as an unity by grafting infinitesimal fractal form, which has not been observed by bare eyes, on design. In fact, in the artists position, fractal thought is not absolutely new. Artists already have done their art activities under the fractal conception and thought without intention. The kernel of this study lies in researching various possibilities of design expressions and on applying the visual textual expression effects shown on line and surface entailed by overlapping of glue on pattern design through cases that applying fractal conception to various works and lies in applying the visual texture expression effect, shown on the line and surface of glue's overlapping in glue dyeing method, to textile pattern design. We can get the effects from the shapes of dried clay or crack of rocks using brush or other tools. We intend to suggest creative textile design methods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and future society in the base of fractal theory and proceed this study as follows: To figure 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science and art, we research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modeling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to textile design catching up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ground of fractal theory along with its conception. As a basic ground of this study, we introduce design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along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descript its related principle. · As design principles, we examine self-similarity, randomness, unpredictability, fractal dimension, irregularity and cases that applied those principles to works. · As a formative characteristic, we examine the changes of overlapping, repetition, distortion of form, scaling expressing direction, nonlinearity, chaos. we bring up the design using design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and formative characteristic from dried clay and cracks of rock as motif of works. Also, we focus on the distinguishing design which has colors of low gradation applying color image being felt from cracked clay and rocks to the emo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In the technical aspect to bring up the design applying fractal theory and reflect it to works, we use glue to express freely and to express the contingency of overlapping.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principles. we study applicable possibility of textile design grafting between nature and science and try to transform the hand made textile design into various pattern by computer. The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have a new understanding that we have to pour new paradigm, the flowing of times and idea, which experience science and art simultaneously, into dying design. Also, we recognize that we have to approach scientific design, which is following the changing times while finding their relations between science and nature. 2. The expression method in making a work of art is very important factor. Through glue dyeing, we can get the effect of contingency by overlapping of glue from expressing dried clay and cracks of rock by applying the design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Specially, glue of wheat flour has advantage to make a work of art because we can easily peel off the glue of wheat flour. This glue of wheat also help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glue. 3. We make various colors and patterns by giving various effects to hand made works. It comes true by using computer and fractal design principle. By doing this kind of work,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puter in doing textil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