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양용수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 상담원에 대한 인식, 상담원 양성교육, 상담원제도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직업생활상담원의 직무만족 제고를 통해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해석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요인,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 상담원에 대한 인식, 상담원 양성교육, 상담원제도 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체계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2009년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실태분석’ 원 자료이다. 분석대상은 전국의 만 25세 이상 67세 이하의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 상담원에 대한 인식, 상담원 양성교육, 상담원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따른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등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이 인식하고 있는 직무만족은 5점 만점의 척도에서 3.36점(표준편차 0.75)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5점 척도의 중간값(3.00점)보다 약간 높은 상태이다. 특히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장애인 직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독립변수별 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1(직업생활상담활동 수행정도→직무만족)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라 채택되었다. 둘째,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상담원에 대한 인식(상담원의 상담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상담원의 상담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2(상담원에 대한 인식→직무만족)는 채택되었다. 셋째,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상담원 양성교육(직업생활상담원 양성교육 과정에 대한 만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업생활상담원 양성교육 과정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3(상담원 양성교육→직무만족)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상담원 제도(상담원 제도에 대한 인식)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담원 제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4(상담원 제도→직무만족)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업생활상담원 활동 수행정도, 상담원에 대한 인식, 상담원 양성교육, 상담원 제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유의한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직업생활상담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생활상담원이 상담활동에 있어 역할 모호성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담원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담원 제도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상담원 자신의 업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담원 양성교육은 상담원 자신의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를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상담원 제도 인식은 자신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이바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와 직무만족, 상담원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 상담원 양성교육과 직무만족, 상담원 제도와 직무만족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이론적 해석을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직업생활상담원의 직업환경을 개선하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직무만족, 직업생활상담원활동 수행정도, 상담원에 주요어: 대한 인식, 상담원 양성교육, 상담원 제도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a causal model of job satisfaction of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in the causal model, employing a statistical metho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analyzed a nation-wide data collected in 2009 by KEAD EDI.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job counseling for the disabled,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It is hypothesized that job performance of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perception about the job counselors, education course for the counselors, and practical systems for the counselo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performance of the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erception about job counselors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education course for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practical systems for job counselors for the disabled c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ypothesis-testing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In addition,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provided.

      • 수중 저주파음에 의한 능성어의 행동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

        양용수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에서는 능성어의 음향 순치어장 적용은 물론 일반 어선어업에 능성어의 청각능력을 적용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극한법에 의한 자극 투여방법 중 상승계열법에 의해 측정주파수 100Hz에서 1000Hz 사이의 합습음과 6V 직류전압의 전기자극을 주고, 능성의 학습음에 대한 반응은 쌍극 유도법에 의해 도출된 ECG(심전도) 간격에 의해 실험어의 반응을 관찰하면서 청각문턱치, 청각임계비 및 층각능력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어류의 조건반사를 어업에 응용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음향과 사료에 의한 음향 학습실험과 함께 능성어를 실내수조에서 사육할 때 음향을 이용할 경우 어류의 체장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과 능성어를 음향 합습어장에 적용시킬 때 학습음 투여시간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여부 및 적정 음 방성시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정 주파수 12종의 순음 사용시 능성어의 청각문턱치는 측정 주파수 100Hz, 200Hz, 250Hz, 300Hz, 400Hz, 500Hz, 600Hz, 700Hz, 800Hz, 900Hz, 1000Hz에서 음압은 각각 102.1dB, 97.5dB, 96.6dB, 95.5dB, 94.8dB, 97.2dB, 100.2dB, 102.1dB 107.8dB, 112.2dB, 114.4dB, 116.8dB(re 1μ Pa)로 각각 나타나 대부분의 어류와 유사한 변동추이를 나타내었으며, 측정주파수 350Hz에서 음압 94.8dB로 가장 낮은 청각 문턱치 값을 나타내는 V자형의 청각문턱치 곡선을 보였다. 2) 백색소음과 청각문턱치로써 산출하는 청각임계비는 100Hz, 200Hz, 250Hz, 300Hz, 350Hz, 400Hz, 500Hz, 600Hz, 700Hz, 800Hz에서 각각 음압 15.6dB, 25.8dB, 33.5dB, 34.2dB, 39.1dB, 47.2dB, 53.9dB, 60.7dB, 68.4dB로 나타나 측정주파수가 증가하면서 음압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류의 청각능력을 나타내는 청각능력지수는 자연상태에서 52.7, 백색소음 방성시 15.6으로 각각 나타나, 능성어는 무지개 송어의 32와 대서양 연어의 26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평상시 능성어의 가두리내 위치별 출현율은 실험 가두리의 중간지점으로 갈수록 낮게 나났으며, 양쪽 가장자리 부근에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유영행동은 거의 보이지 않고 군집성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5) 평상시 능성어의 출현율은 A 구역(급이가 설치된 스피커쪽)과 C 구역(반대편 가두리 끝단)에서 높았으며, B 구역(중간부분)에는 20% 내외 였다. 6) 음향 방성 직후 능성어는 음향학습 실험을 시작한 후 4일 까지는 학습음 방성 후 B, C 구역(스피커에서 멀어지는 지점)으로 자극을 피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7) 음향학습 실험을 시작하여 5일 경과 후부터 학습음 방성시 A 구역에 군집율은 80%대를, 방성 전과 방성 후에는 50%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어 학습음 방성에 의한 능성어의 학습은 충분히 달성되었다고 판단된다. 8) 능성어는 음향학습 종료후 20일이 경과한 후에도 학습음 방성과 동시에 A구역 에 60∼70% 내외의 월등히 많은 실험어가 출현하여 음향학습 효과가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9) 학습음 방성시 150Hz∼380Hz의 주파수대에서는 주위잡음보다 음압이 10∼40dB 정도 높게 나타나 모차르트 학습음의 중심주파수는 150∼380Hz 임을 알 수 있었으며, 능성어의 청각감도가 좋은 주파수 대역인 100∼500Hz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자극원으로서의 역할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10) 능성어의 체장은 학습음을 방성하지 않은 비교 사육군과 음향 사육군이 실험 시작 시점에서 비교 사육군이 약 10mm 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 개시 후 57일째 되는 시점부터 음향 사육군과 비교 사육군의 체장은 서로 역전되어 음향 사육군의 개체 크기가 비교 사육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11) 능성어의 체중 변화는 음향사육군과 비교사육군이 실험 시작 시점에서 비교 사육군이 약 20g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 개시 후, 57일째부터 음향 사육군의 개체 크기가 비교 사육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12)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학습음 방성전 측정된 비교군의 혈당량은 20.33±0.557mg/㎗로 나타났다. 13) 학습음 방성에 따른 혈당량의 변화는 45분이 경과할 때까지 20∼24mg/㎗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14) 학습음 방성후 60분부터 120분까지 혈당량은 26.33±1.528mg/㎗에서 48.67±3.055mg/㎗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240분 경과후에는 59.67±5.033mg/㎗을 나타내었다. 15) 측정주파수 350Hz의 학습음을 음향학습 어장에 학습음으로 적용시키고자 할 때 자극역시(presentation time)는 60분∼120분 사이로 나타나 연속해서 1시간 이상 학습음을 방성하면 어류에게는 스트레스 자극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auditory threshold, critical ratio, hearing index, effect of symphony projection and stress levels of sevenband grouper(Epinephelus septemfasciatus) to the 350Hz pure tone were investigated to know the response of sevenband grouper to low frequency sound. The auditory threshold level, critical ratio and hearing index of svenband grouper were determinded by conditioning method using a sound coupled with electric shock on the condition of ambient noise or white noise in an experimental water tank. The audio-signals of pure tone and electric shock in the experiment were from 100 to l000Hz and DC 6V, respectively. The response of fish to low frequency sound was observed by electrocardiogram(ECG) intervals extracted from precordial leads method(V₁·V₂metho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auditory thresholds of sevenband grouper for 100Hz, 200Hz, 250Hz, 300Hz, 350Hz, 400Hz, 500Hz, 600Hz, 700Hz, 800Hz, 900Hz and 1000Hz under ambient noise were 102.1dB, 97.5dB, 96.6dB, 95.5dB, 94.8dB, 97.2dB, 100.2dB, 102.1dB, 107.8 dB, 112.2dB, 114.4dB and 116.8dB(re 1μPa). The lowest point in auditory threshold was obtained at 350 Hz, 94.8dB on the range of 100~1000Hz, showing V -shaped curve. 2) The critical ratios of sevenband grouper for 100Hz, 200Hz, 250Hz, 300Hz, 350Hz, 400Hz, 500Hz, 600Hz, 700Hz and 800Hz under white noise were 15.6dB, 25.8dB, 28.0dB, 33.5dB, 34.2dB, 39.1dB, 47.2dB, 53.9dB, 60.7dB and 68.4dB, respectively. 3) The hearing indexes of savenband grouper for ambient noise and white noise were 52.7 and 15.6, respectively, which are similar to 26 of masu salmon and 32 of brown trout. 4) While the sevenband grouper were intensively aggregated at both edges of the experimental cage, they were hardly stayed toward the center of the experimental cage. The sevenband grouper tended to stay motionless at the edge parts on the bottom of the experimental cage, and showed weak aggregation behaviour. 5) The sevenband grouper were usually located on the A, C area(opposite side of experimental cage which has a feeder and an underwater speaker). Appearance rate for the fish on the B area(middle part of experimental cage) was less than 20%. 6) The sevenband grouper showed the dodge behaviour to B, C area(far-off place from the underwater speaker), till 4 days after the conditioning sound emitted. 7) The conditioning was very effective from 5 days after with the beginning of conditioning experiment because 80% of the total fish were aggregated at A area while conditioning sound was emitting. Before and after conditioning sound emission, the appearance rate was stable around 50%. 8) The appearance rate of sevenband grouper in 20 days after finishing the conditioning experiment maintained at 60~70% in A area as soon as the conditioning sound emitted. It is believed that the sevenband grouper could remember the conditioning sound and the conditioning effect at least for 20 days, continually. 9) The centre frequency of Mozart symphony was estimated as 150~380Hz because it was 10~40dB higher than ambient noise at the range of 150~380 Hz. The Mozart symphony may be used as a strong stimulus to sevenband grouper whose auditory sensitivity lies in the range of 100~500Hz. 10) The comparison group of sevenband grouper was around 10mm longer for total length than the conditioning sound projection group at the beginning of conditioning sound emission experiment but it was reversed after 57 days. 11) The comparison group of sevenband grouper was around 20g heavier for weight than the conditioning sound projection group at the beginning of conditioning sound emission experiment but it was also reversed after 57 days. 12) The blood glucose level of sevenband grouper was 20.33±0.557mg/㎗ before the experiment started. 13)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in 45 minutes of conditioning sound emission. 14) Blood glucose level increased rapidly from 26.33±1.528mg/㎗ in 60 minutes to 48.67±3.055mg/㎗ in 120 minutes after the conditioning sound emission, and increased to 59.67±5.033mg/㎗ after 240 minutes. 15) It is believed that the conditioning sound emitted over an hour may be stressed to sevenband grouper, because presentation time was between 60 and 120 minutes.

      • 국내분리 Equine Herpesvirus Type 1구조단백질을 구성하는 gD 유전자의 cloning과 발현

        양용수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Equine Herpesvirus Type 1은 말에서 호흡기성 질병, 유산 및 신경증상을 유발하는 전염성질병이다. EHV-1의 gD는 잘 보존되는 구조단백질이며 이 바이러스의 야외감염에서 숙주동물을 방어할 수 있다. 제주에서 분리된 EHV-1 LC1주는 수입말의 유산 태아에서 분리되었으며, 이 바이러스를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양상을 관찰한 결과 영국에서 분리된 표준주인 AB4주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국내분리 바이러스는 영국에서 유입된 바이러스임이 의심되었다. 더 정확한 확인을위해 표준주와 국내분리주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gD 유전자를 cloning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gD유전자는 1,380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염기들은 453개의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C1 gD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표준주와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9.8%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gD 유전자를 발현하기 위해 baculovirus의 polyyhedrin 유전자의 자리에 gD 유전자를 homologous recombination을 통해 삽입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재조합 바이러스를 곤충세포 Sf-9에 감염시켜 재조합 gD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발현된 gD 단백질은 anti-EHV-1 다클론성 항체와 반응을 잘 나타내었으며, 발현된 gD 단백질의 분자량은 43kDa과 58kDa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목적은 국내분리된 EHV-1의 gD단백질을 발현하여 이를 이용한 진단법의 개발 및 subunit 백신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diagnostic reagents and subbing vaccine for strains of equine herpesvirus D (EHV-1), EHV-1 causes respiratory disease, abortion, and neurological disorders in horses. EHV-1 gD is a conserved major glycoprongein that protects horses from clinical EHV-1 infections. One Korean isolate, strain LC1, was isolated from the aborted fetus of an imported horse in Cheek. The similarity of the restriction enzyme patterns with those of EHV-1 strain ABA suggest that EHV-1 in Korea may have come from England. To compar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train LC1 and reference strains, the gD gene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LC1 gD gene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of D380 nucleotides and encodes a protein with 453 predicted amino acid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LC1 gD gene was 99.8% identical to that of strain AB4. The gD gene was inserted into the genre of Autographs California baculovirus to replace the baculovirus polyhedron gene. Protein gD was produced on Spodoptera frugiperda (Sf9) cells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baculovorus. The gD protein reacted with anto-EHV polyclonal antibody, and had apparent molecular weights of 43 and 58 kA.

      • 불성실공시가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용수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영문초록: Corporation's public announcements, according to the statues and regulations on the main elements of management which can affect the stock price, are accurately and promptly provided to investors. For the corporations without the execution of accurate and prompt public accountment information, their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status must be utilized by investors as investment information, then it can function as a measurement of fair stock value.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the pre and post reactions of the capital market of the corporation's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which is publicized by the stock exchange, considering the system in which the KOSDAQ listed corporation must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ir investors in order to eliminate the unbalanced information availability. Then it also aimed to verify the contents of the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system, then aim to find out whether it is due to corporate's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on stock reaction, or it is the reevaluation of the intrinsic value by the investors after hearing the public announcement, or it is damaging the overall unclean-handedness of the corporation. The term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means the non-fulfillment of the report obligation according to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and the regulation of listed corporations' public announcement, or the non-fulfillment of obligation, reannouncement, announcement alteration by the alteration or repetition of public announcement which has been already announced. In the regulation of the public announcement, there is a list of descriptive examples about public announcement. More precisely, there are 8 clauses about non-fulfillment of obligation, 3 clauses about reannouncement, and 16 clauses about announcement alteration. The existing researches on corporation's cleanness are limited to the case-researches by each category. Those researches generally failed to cover the cleanness of faith and qualities by measuring the corporation management structure, and the public announcement and its variabilities. However this research is different since it utilized the actual documents about the corporations' public announcements and analyzed the overall effects and market reactions. The result of this thesis showed that the market system of the insincere public announcement has no effect on the corporations' accomplishments. However the capital market was mainly analyzed during the corporations' prosperous period, and the result was obtained only from the accumulative earning rate and market values. Therefore one needs to consider overall result utilizing the market variability

      • 도로교통소음 저감계획의 경제적가치 분석에 관한 연구

        양용수 서울市立大學校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도로교통소음의 저감계획 수립과 이에 따른 경제적가치 환산을 위한 연구로써, 도로인접지역의 개발예정지를 대상으로 각 단계별 소음영향평가를 통한 소음관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소프트웨어인 soundplan을 이용하여 예측모델 RLS-90을 중심으로 토지이용, 건물유형/배치, 저감시설 등의 여러 대안을 설정하여 도로교통소음을 예측하였으며, 단계별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여 소음관리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한 사전연구로 지형조건과 건뮬유형/배치가 각각 다른 대상지 선정하고 소음지도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측소음도와 예측소음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 지점의 오차평균은 ­2.8~2.9dB(A)로 사람의 청력을 통해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소음의 최소범위 3dB(A)이내로 소음지도를 통한 소음영향평가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개발예정지의 2차원․3차원 소음분포특성을 분석하여 수평뿐만 아니라 수직소음전파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건물층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2차원, 3차원 분석결과 효율적인 차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로에서 50m 이상 공간을 확보한 동배치가 필요하며, 4층 높이인 12m이상의 건축물 계획시 저감대책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물유형 및 배치 선정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규정」에 따른 공동주택 제한소음도 65dB(A)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소음만족도 분석결과 탑상형 78.1%, 평행배치의 판상형 69.2%, 직각배치의 판상형 89.4%로 건물유형/배치는 직각배치의 판상형이 소음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연구한 결과를 종합하여 토지이용계획 및 건축계획을 수립하여 소음영향최소화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소음저감시설(방음벽, 저소음포장, 속도조절 등)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체 480세대가 소음기준 65dB(A)을 만족하기 위한 저감시설을 선정하고, 시공비용에 대한 비교․검토 결과, 방음벽은 저층부에서 비교적 큰 소음저감효과를 보였으며, 고층부에서는 소음저감효과가 적어 방음벽이 높아질수록 시공비용은 높아지나 비용대비 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원 소음저감대책인 저소음 포장면 또는 속도제한 시설의 경우 모든 높이의 수음점에서 1.6~2.0 dB(A)의 소음저감효과를 보였으며,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방음벽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음저감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방음벽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저소음 포장면 또는 속도제한 시설 등 발생원 저감시설을 혼합하는 것이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방음벽의 높이를 낮추고 도로와 인접한 기준초과층의 층고를 도로와 떨어진 동의 층에 추가하는 층고조절 방안은 저감시설비용 절감, 운전자 조망확보, 스카이라인을 고려한 계획으로 경제성과 경관요소를 동시에 만족할수 있는 효율적인 소음저감계획이다. 각 단계별 소음영향평가를 통한 소음관리 계획 수립시 선정안과 비교안의 경제적 가치 환산 결과, 약 844,409,160원의 경제적가치가 창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각 단계별 소음저감계획 수립시 소음지도를 이용한 계획초기단계 부터의 영향을 검토할 경우 경제적가치의 창출이 예상되며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즉, 소음도의 영향을 고려한 도로인접 지역의 토지이용방안이나 전달경로를 고려한 건물배치방안, 저감시설의 최적화 방안 등은 설계초기단계 부터의 계획이 매우 효과적이며 경제적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for building the effective reduction plan for transportation noise on roads and the evaluation of economic value derived from the plan presents a plan for noise control throughout each step of the noise impact assessment targeting for the lands, where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near at roads. To achieve the goal, the road traffic noise is predicted with various alternatives including land use, building type/arrangement and reduction equipment by using the prediction model RLS-90 of the commercial software sound plan. As a preliminary study for performing the study, it selected the subject locations with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 and building type/arrangement, and then examined the possibility of noise map application on those places. As the result of comparing between the actual noise level and the predicted noise level, the mean error for the whole area was -2.8~2.9dB(A) so that it seems good to have a noise impact evaluation via a noise map with the least noise range within 3dB(A) which human can percept by hearing. It also identifies a guideline of land use and building height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noise propagation after analyzing 2 and 3 dimensional noi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the future developed lands. The analysis outcome suggests that building needs to be located at least 50m far from roads in order to have the effective noise re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2 and 3 dimensional analysis and the reduction plan is required for the noise pollution prevent for buildings higher than 12 m which is same as 4 story height. Building type/arrangement was determined in the base of the noise restriction for apartment houses, satisfaction(%) of 65dB(A),in "standards for housing construction". In the consequence of the noise satisfaction analysis, tower type has 78.1%, plate type of parallel arrangement has 69.2%, plate type of right angle arrangement has 89.4% of satisfaction, and the last category show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for noise reduction. With the synthesis of the results shown previously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noise impact is made, and, additionally, the study for optimization of the noise reduction equipments such as barrier, lower-noise pavement, speed control, and so on, is performed. As the result of comparing/examining the building cost for the reduction equipment after selecting it for the noise standard 65dB(A) for whole 480 houses, the barrier has not good effectiveness for the high stories due to less noise reduction so that it will be paid higher cost but less effective result. In the case of lower-noise pavement or speed limit equipments, all heights of noise pollution point showed 1.6~2.0 dB(A) of noise reduction, and it is more economic in the aspect of cost. Therefore, to increase the noise reduction outcome, it is good economically when the equipment of reducing noise sources such as the pavement or the speed limit are set with the barrier rather than only the barrier is used while building it higher its height. In other words, management of building height or number of building stories, while lessening the barrier height and adding over-stories of the guideline near at roads into other building far from roads, are a plan with consideration of reducing the equipment set cost, securing driver sight, and skyline so that it will satisfy with both economical efficiency and scenery factors. As the result of economical value evaluation of the selected plan and the compared plan when building the noise control scheme via the noise impact evaluation for each step, about 844, 409, 160 KRW will be came out as economical value. According to the study, if the noise impact is examined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lan by using the noise map when making the noise reduction plan for each step, large economical value will be created and it can bring the best result with the least cost. That is, effectiveness or economical value creation seems to be dependent on the early planning process of the plan for building arrangement after examining land use near roads under the consideration of noise impact or the noise propagation path and the plan for the best noise reduction equi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