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즈베리파이 기반 SSD를 이용한 화재 검출 시스템 구현

        양승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라즈베리파이 기반 SSD를 이용한 화재 검출 시스템 구현 양승호 한국 해양 대학교 대학원 전자 통신 공학과 초록 최근 국내와 국외에 화재가 연달아 일어나 이슈가 되었다. 사람이 자주 찾지 않는 지역은 화재가 일어날 경우 초기 대응까지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형 화재로 커지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화재가 대형으로 커지기 전에 감지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넓은 지역의 화재감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라즈베리파이와 딥러닝 기술인 객체감지와 전력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였다. 검출속도가 느린 F-RCNN과 빠른 SSD을 사용하여 학습 모델을 형성하여 라즈베리파이에서 더 적합한 모델인지를 검출속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시스템 구성에 사용된 전력선 통신은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도 통신이 잘 이루어지는 가를 확인하기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라즈베리파이에서 파이카메라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면 유도형 전력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PC로 화재가 일어났음을 알리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였다.

      • 시각장애인의 실내 독립보행을 위한 보조기기 인터페이스 연구 : 촉각상징문자를 활용한 촉각지도 연구를 중심으로

        양승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Human, in any case, cannot solve all problems by oneself, and receive help from instruments or from each other to overcome the various difficulties facing everyday. In a broad sense, we all have experienced any kind of disabilities, and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possibility of them. The disabled are excluded from benefits in the almost all areas in the sense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Recently, initiatives to establish quality environments for the disabled who are isolated socially in the past have been positive more than ever, but the results have been scarce. Especially the visually impaired who have lost visions, which dominates human behavior the most, experiences the most limits on their daily lives above all kinds of disabilities. They can hardly live through a normal life without someone else’s help. Many technologies and researches have been developed and carried out to support their daily lives, but it is not easy to find the field where the practical outcomes are applied. To the blinds, walking itself is restricted more than anything, and it, again, is followed by limited experiences and learning that expose them to a number of issues in their everyday lives. Natur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on various measures to help the blinds to have a normal life, and when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a study on the assistive devices to support the blinds’ independent walking is highly deman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ve troubles facing the blinds due to the visual limitation, and to consider the interface of practical assistive devices to support their independent walking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environment where the blinds walk through and analyzing their walking behaviors. To put it concretely, it analyzes the indoor walking features of the blinds with the purpose of the basic research of interface development reflecting the features. Then it develops the interface of tactile graphics to support independent walking of the blinds. In terms of developing the interface, it uses the Tactilegram, the tactile-centered symbol which is represented for unspecified blinds to understand fast and easy like the concept of pictogram for normal people. It also verifies if the tactile graphics interface is practically efficient for smooth indoor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case studies of the Tactilegram interface, and evaluates if the Tactilegram reflects the demands of acquiring enough information. While the visually impaired have difficulties in generally walking at indoor and outdoor, it is considered that indoor and outdoor walking are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type of surrounding information, the methods and techniques provided. This study regards on the indoor walking only, and the moving outdoor is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esearch. Prior to the basic study, it is to consolidate the foundation for setting up the concrete direction for the study by examining prerequisite technologies and case studies of assisting the walking of blind people. Walking of the blind people is an action structure combining two concepts; orientation and movement. Most of examined technologies of assistive devices for walking and ca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movement” that they have their limits to provide the fundamental clues of orientation prior to the physical movement. These two concepts are not to be separated but are required concurrently for the independent walking. Even if it the required information is provided during the movement, when the clues for orientation is not supplied, it does not support smooth independent walking of the blind people. On this, to support a smooth indoor walk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face which addresses both of the aspects-orientation and the movement. When analyzing the indoor walking behaviors of the blind people, it is able to confirm that they repeat identifying current position and setting the direction toward the next position rather than formulating and following spatial image of the path, and the required inform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situations rather than following identical pattern. Most of the blind people show a walking feature as relying on their sticks and progressing with walls as the standard which imply that their concept of space and the action of movement are based o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ssessing linear information. It signifies the interface of the assistive devices for walking shall be provided as the linear information reflecting their walking features and the sense of space. After that, while providing the clues of orientation for supporting the indoor walking of the blind people, it considers the interface meeting the different requirement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 movement. As the result, it establishes the concept of “Haptic Sight,” the tactile graphics for providing clues of the orientation prior to the movement and “Mobile Haptic Sight” to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movement. These two concept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physical property, but they maintain the same interface in the aspect of providing tactile-centered information and representing walking factors occurring during the walking as Tactilegram. They can provide coherent information to the blind people. Tactilegram enables the blind people to decipher the frequent and important information they face in the walking environment. This study develops nine Tactilegrams representing escalator, elevator, and other obstacles, and it becomes the core concept of the development of tactile-centered interface. In addition, the study carries out case studies of Tactile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d the tactile graphics interface to which Tactilegram is applied, and they include the assessment of efficiency of how the interface function 인간은 어떤 경우에서든 혼자서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없으며, 개인이 당면하는 생활의 각종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의 도움이나 도구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간다. 넓은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장애의 경험이 있으며 장애의 가능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장애인은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회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편익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거나 소외되어 있다. 최근 들어 과거 사회적 소외계층이었던 장애인들을 위한 양질의 환경 구축 노력이 과거 어느 때 보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변화를 찾아 보기는 쉽지 않다. 특히 인간의 행동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시각을 상실한 시각장애인들은 여러 유형의 장애 중에서도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제약을 경험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인 생활이 쉽지 않다. 최근 들어 이들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과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그 결과가 이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현장을 실제로 보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다른 어떤 것 보다 보행의 어려움은 그것 자체도 많은 제약이 따르며, 이것은 다시 경험의 제한이나 학습의 제약 등으로 이어져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문제들로 다시 노출된다.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의 연구가 당연히 요구되지만, 무엇 보다도 이들의 독립 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기기의 연구는 그 연구 결과의 파급효과를 고려해 볼 때 무척 높은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제약으로 인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처하고 있는 대표적인 어려움인 보행의 불편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시각장애인들의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정보의 수집과 보행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이들의 독립보행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보조기기의 인터페이스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시각장애인의 실내 보행 특성을 분석하는데, 이것은 이들의 보행 특성을 반영한 인터페이스 개발의 기초연구 목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시각장애인들의 독립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촉각지도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한다. 인터페이스 개발에 있어서는 정안인을 위한 픽토그램의 개념과 같이 불특정 다수의 시각장애인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된 촉각 중심의 상징기호인 택타일그램을 활용한다. 또한 택타일그램을 활용한 촉각지도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의 원활한 실내 보행을 위해서 촉각지도 인터페이스가 실질적으로 효용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촉각 중심의 상징 기호인 택타일그램이 보행 중 이들의 정보 습득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는지를 평가한다. 시각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실내와 실외의 보행 전반에 관한 것이나, 실내와 실외에서의 보행은 필요로 하는 주변 정보의 유형과 제공 방법 등에서 매우 다를 것으로 추측되고 구현 기술 등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의 보행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며 실외에서의 이동 행위는 연구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는다. 먼저 기초 연구에 앞서 시각장애인의 보행 보조와 관련한 선행 기술 및 연구 사례들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시각장애인의 보행은 방향정위와 이동이라는 두 가지 개념이 합쳐진 행동조직이다. 조사된 보행 보조 기기의 기술과 연구 사례들은 거의 대부분이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있어서 ‘이동’의 측면에 집중되어 있어 신체적 이동 이전에 방향정위에 관한 근본적인 단서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 두 가지 개념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 보행을 위해 동시에 요구되는 것으로 방향정위에 관한 단서를 제공받지 못한 상황에서 이동 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이들의 원활한 독립보행을 지원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들의 원활한 실내에서의 독립보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방향정위와 이동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의 실내 보행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에서 이들의 보행은 진행 경로에 대한 공간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따라 진행되기 보다는 현재위치의 파악과 다음 진행 변경 지점까지의 방향 설정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요구되는 정보는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보행 중 접하게 되는 주변 환경과 상황에 따라 변함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시각장애인은 지팡이에 의존한 보행 특성을 보였으며 실내 이동 과정이 철저하게 벽을 기준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의 공간에 대한 개념과 이동의 행위는 선형적인 정보의 수집과 판단의 과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보행 보조기기의 인터페이스가 이들의 보행 특성과 공간 개념을 반영하여 선형적 정보로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어서 시각장애인의 실내 보행을 지원하기 위해서 방향정위에 대한 단서를 원활하게 제공하는 동시에 이동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 요구에

      • 상대운동 접촉계면에서 물질전이층의 형성 및 그 영향

        양승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금속 박막은 경한 모재 위에 박막의 형태로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낮은 마찰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윤활이 어려운 우주환경과 같은 특수 조건에서 기계 접촉부의 윤활을 담당시키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어왔다. 최근 들어 특정한 작동 조건에서 연금속 박막이 파손된 이후에도 마찰과 마멸이 낮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거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마멸입자가 다시 접촉에 참여하여 접촉 상대 운동하는 표면에 부착되어 일종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나타나는 현상임이 밝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물질전이층의 효과는 최근 트라이볼로지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연구 분야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나, 물질전이층의 형성과 역할에 관하여는 아직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금속 박막 자체의 윤활특성 뿐만 아니라, 연금속 박막이 파손된 뒤에 나타나는 물질전이층의 생성 원인과 그 마멸 및 윤화특성에 대하여 코팅 변수, 코팅 물질, 작동 조건, 실험 환경과 같은 다양한 조건들을 변화시키면서 구름마찰 실험과 미끄럼마찰 실험을 통하여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이때 나타난 다양한 결과들을 맵이라는 하나의 통일된 틀 안에서 정리하였다. 구름마찰 실험 및 미끄럼마찰 실험에서 물질전이 현상은 실험 하중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며 속도의 증가 시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 환경을 변화시킨 결과 구름마찰 실험에서 물질전이 현상은 진공, 건조공기, 대기의 순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모세관력으로 인한 입자간의 응착력의 증가가 그 원인이었으며, 미끄럼마찰의 경우 대기, 건조 공기, 진공의 순으로 물질전이부가 발달하였는데 진공중에서는 물질전이를 방해하는 산화층이 마찰에 의해 파손된 후 다시 복원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금속 입자 투여 실험을 통해서 코팅층은 파손 이후 물질전이층을 형성하는 미세 입자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끄럼마찰의 경우 대기, 건조 공기, 진공의 순으로 물질전이부가 발달하였는데 진공중에서는 물질전이를 방해하는 산화층이 마찰에 의해 파손된 후 다시 복원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금속 입자 투여 실험을 통해서 코팅층은 파손 이후 물질전이층을 형성하는 미세 입자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계적 변형 이력이 다른 은 입자를 투여하여 실험한 결과 마멸입자의 사전 변형에 의하여 축적된 에너지보다는 그 입자의 표면적을 줄이려는 경향이 물질전이를 일으키게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실험 변수에 의하여 축적된 연금속 박막의 마찰·마멸 특성들을 접촉 압력-속도의 평면에 마찰과 마멸 및 물질전이층 발생 여부를 정리하여 맵을 구성한 결과 코팅층이 파손되지 않는 영역, 코팅층이 파손된 후 물질전이층이 발생하는 영역 및 코팅층 파손 이후 물질전이층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이와 아울러 코팅 방법, 실험 환경 및 상대 운동형태의 변화 시 이들이 물질전이층의 생성에 영향을 각각 미쳐서 마멸 발생 기구 맵의 물질전이층이 발생하는 영역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팅층의 파손이 일어나는 접촉 압력 조건에서는 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물질전이층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더 이상 물질전이가 발생되지 않는 임계속도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in soft metallic film has been known as a good solid lubricant especially in vacuum. The idea of soft metal coatings mainly relates to the low shear strength in order to achieve low friction in contact surfaces. This effect was found remarkable when thin soft metallic layers were coated on a hard base material. But this lubricating effect was highly limited by the inheren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ubstrate and soft metallic films. That is why the failure of coated soft metallic film is regarded as a definite end of service life. However, it was recently found that friction could be low and stable even after initial failure of the coated film. It was argued that mass transfer layer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ecrease in friction. In this work, the tribological role of transfer layer was studied intensively with various types of soft metallic coatings under various ranges of load, sliding speed and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ft metallic coatings were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ion beam assisted deposition and functionally gradient atomic mixing methods. Sliding and rolling friction test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with ball-on-disk and thrust-bearing type tribotesters. Results showed that tribological behavior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transfer layer formed at the contact surfaces. SEM and EPMA analyses showed that the contact surfaces were covered with the mass transfer layers of agglomerated wear particles and they acted as a protective lay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decrease in friction and wear was mainly attributed to shakedown phenomena which occurred at these layers. However, the formation of mass transfer layer was suppressed by several destructive forces as the sliding speed increased. Hence, above a critical sliding speed, no mass transfer layer was able to form. For building up a general framework of the tribological behavior of silver coated films, all test data were summarized on a map whose axes are contact pressure and sliding speed. As a result, three main regimes were clearly identified: (i) elastic/plastic deformation of silver coating without failure, (ii) mild wear regime after the failure of silver coating and (iii) severe wear regime after the coating failure. Various case studies, where different conditions of coating methods, environments and moving contact surfaces were used, also showed that these wear behavior were characterized by three wear regimes.

      • 고대산성에서 출토된 철제초두

        양승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두는 솥의 일종으로 기본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취사용기이다. 삼국시대에는 주로 최상위계층의 고분에서 출토되며,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는 산성을 중심으로 생활유적에서 주로 출토된다. 최상위계층의 고분에서 지방통치의 중심인 산성으로의 출토양상 변화는 초두가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고대산성에서 출토된 철제초두를 다리형태와 전 상부 형태를 기준으로 형식분류(Ⅰa·Ⅰb·Ⅱ·Ⅲ)하였다. Ⅰ형식은 다리의 형태가 ‘S’자형이며, 전 상부 구연부의 형태에 따라 Ⅰa형식과 Ⅰb형식으로 세분된다. Ⅰa형식의 경우 전 상부 구연부에 단이 있으나, Ⅰb형식에서는 전 상부 구연부에 단이 확인되지 않고 내경하는 형태만이 나타난다. Ⅱ형식은 다리의 형태가 일자형이며 전 상부 구연부에 단이 있다. Ⅲ형식은 다리의 형태가 ‘ㄱ’자형이며 전 상부 구연부에 단이 없다. Ⅰa·Ⅱ형식에 나타나는 구연부의 단은 황남대총과 천마총에서 출토된 청동제초두의 예를 볼 때, 삼국시대 청동제초두의 형태적요소가 잔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Ⅰb형식은 구연부에 단이 사라지고 ‘S’자형 다리를 갖춘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양식이며, Ⅲ형식은 ‘S’자형 다리의 표현적 특징이 단순화 혹은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각 형식에 따른 편년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철제초두의 절대연대를 상정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철제초두와 비슷한 출토양상과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는 열쇠·자물쇠에 주목하였다. 자물쇠가 공반출토된 마로산성과 화왕산성의 예로 봤을 때, Ⅰb형식 철제초두는 9세기 전엽∼중엽에 해당될 것으로 판단된다. Ⅲ형식의 경우 고려시대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비슷한 다리형태로 봤을 때, ‘S’자형 다리의 형태가 점차 단순화되어가는 과정으로 보아 Ⅰb형식 이후인 9세기 중엽 이후에 해당될 것으로 보인다. Ⅰa형식과 Ⅱ형식은 고대산성에 출토된 철제초두 중 비교적 고식에 해당된다. 이에 Ⅰa형식과 Ⅱ형식이 확인된 산성의 활용시점으로 봤을 때, 8세기 중엽 이후에 위치할 것으로 판단된다.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is a kind of cauldron which is basically a cooking device. In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it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uppermost tier. And in the age of the United Shilla, it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living around the mountain fortress. The change in the excavation pattern from the uppermost tomb to the mountain fortress, which was the center of local government, means that the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reflects the changing social situation. In this study,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excavated in ancient mountain fortress was classified by type (Ia·Ⅰb·Ⅱ·Ⅲ) based on leg type and top type. Type Ⅰ is an 'S' shape of the leg, and it is subdivided into Ⅰa and Ⅰb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upper part of rim. In the case of type Ⅰa, there is an edge in the upper part of rim. In the case of type Ⅰb, only the shape in which the end is not recognized in the upper part of rim of the upper part of rim but only the inner part appears. Type Ⅱ has a straight shape of the leg and an edge at the upper part of rim. Ⅲ type is 'A' shaped in the form of leg and there is no end in the upper part of rim. As for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excavated in the Hwangnamdaechong and Cheonmachong,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the Tri-pod bronze Cauldron with handle remain at the age of the Tree Kingdoms. Type Ⅰb is a typical form of the age of the United Shilla with the 'S' shaped legs disappearing in the end, and the type Ⅲ shows that the expressive features of the 'S' shaped legs are simplified or weakened. As for the chronological age of each type, there is no data to suggest the absolute age of the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Thus, this study focused on keys and lock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similar meaning to the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As an example of Maro mountain fortress and Hwawang mountain fortress where locks are excavated together, the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seems to be from the first to mid 9th century. As for the Ⅲ type, the shape of the 'S' shaped bridge seems to be gradually simplified from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after the Ⅰb type when viewed in the form of a leg similar to that typical of the Koryo Dynasty. Forms Ia and II are comparable to the Tri-pod Iron Cauldron with handle in ancient mountain fortresse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considering the point of use of mountain fortress where Ia and type II were confirmed.

      • 동기발전기용 디지털 AVR 개발에 관한 연구

        양승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동기식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자동 전압 조정기(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에 대한 것이다. 기존 AVR의 경우에는 제어 응답이 늦은 위상 제어 정류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출력 전압 제어 성능이 그다지 우수하지 못하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 AVR의 경우에는 고속 스위칭 소자인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를 사용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직류 쵸퍼로써 계자 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부하 급변시의 속응성 및 정상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강자계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주변장치에도 고 신뢰성으로 동작할 수 있는 고성능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발전기 주제어 장치와 디지털 AVR과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발전기 주제어 장치와 각종 정보 교환 및 발전기의 병렬 운전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무선 리모컨이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도 출력 전압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전기의 운전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 현장 등 발전기와 부하의 이격이 큰 경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효율적 역세척에 관한 연구

        양승호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여과형 시설에 사용되고 있는 입상 여재를 대상으로 연구실 규모의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강우유출수를 이용한 여과 및 역세척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역세척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역세척 효율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파일럿 플랜트 현장실험을 통해 비점오염물질 처리특성과 역세척 특성을 분석하여 도출된 역세척 효율 추정식을 비교/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실규모의 실험장치를 통해 총 30 회의 여과 및 역세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여과선속도 20.0 m/hr 조건에서 평균 고형물 처리효율 80.0 % 이상을 나타내었고, 손실수두는 여과지 고형물부하 8.4 kg/m2에서 최대 20.4 mm이 발생하였으나 낮은 고형물부하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역세척 후에는 손실수두와 고형물 처리효율을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세척 공기량이 높을수록 역세척 효율이 증가하고 잔류고형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0 m3/m2·hr 이상에서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자그림(box plot)을 이용하여 역세척 효율을 해석한 결과 10.0 m3/m2·hr 이상에서 안정적인 효율이 나타남에 따라 동력대비 효율면에서 10.0 m3/m2·hr가 효율적인 역세척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총 30회의 역세척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입상 여재의 역세척 효율을 추정할 수 있는 다중회귀식 ‘Backwashing efficiency (%) = 0.508 ·Backwashing air rate(m3/m2·hr) - 0.764·SS cumulative loading rate(kg/m2) + 67.259’를 도출하였다. 본 회귀식은 조정된 결정계수 0.801, p-value 값 0.000(p<0.05)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VIF값이 1.001로 나타나 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역세척 효율 추정식에 의한 역세척 효율과 현장실험의 역세척 효율 차이는 2.8 % ~ 3.9 %(평균 3.4 %)로 나타나 ± 5.0 % 이내의 비교적 정확한 예측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검증한 추정식은 입상 여재의 역세척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식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제약 회사 영업 사원 핵심 역량 분석에 관한 연구

        양승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 제약 산업은 막대한 자본과 R&D 능력이 우수한 외국계 제약기업 들에게 시장점유율을 공격적으로 잠식 당하고 있으며, 그 한편에는 역량이 우수하고 잘 훈련된 영업 전문가(Medical Representative)들의 역할이 그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음을 부인 할 수 없는 현실이다. 기업의 매출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영업 사원들이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비단 회사 내 교육 담당자만의 고민은 아닐 것이다.본 연구는 제약기업에서 근무하는 영업 사원들이 현재 영업현장에서 업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역량에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 역량이 성별, 연령별,경력별, 직급별, 학력별,전공 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그리고 그 차이점에 대해 대안을 찾아 조직의 효율 및 인적 자원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제약사 영업사원의 핵심역량 중에 대인관계 능력과 목표의식 및 책임감 부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여성보다 남성이 높은 우위를 보이는 점은 그 동안 제약사 영업사원 영역이 남성위주의 채용 형태로 이루어져 오다가 2000년 의약분업 이후로 다국적 외국계 제약사를 중심으로 여성 인력에게 개방 되기 시작하면서 아직까지 여성들의 제약 기업 영업에 대하여 확고한 직업 관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보여진다.또한 외부적인 환경 측면에서 아직까지 우리들의 고객들이 지금까지의 관행의 틀 속에서 여성 영업사원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는 것도 성별 역량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해석 할 수 있다.-vi-그러나 앞으로 다국적 제약사는 물론 국내 제약사에서도 여성 MR의 채용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바 제약사 영업부문에 여성 인력의 증가는 뚜렷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른 차별화 된 교육과 인사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려 된다.둘째,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목표의식 및 책임감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조사분석 된 점은 업무에 대한 숙련도, 집중도, 그리고 본인의 직업에 대한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졌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다국적 제약 사들은 조직의 계층을 슬림화 하여 의사결정의 속도가 보다 빠르도록 조직 형태를 바꾸고 있으며 7~10년 경력의 관리자들에게 많은 권한과 함께 책임을 부여함은 경력이 높아짐에 따른 목표의식과 책임감 이 높아지는 경향은 요즘 추세에 비추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그 밖에 조사연구에서 연령, 직급, 학력, 전공에 따라 역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역량이라는 것이 외부적인 요건보다는 인간의 의지와 관련된 개발이 어려운 내부적인 요건, 즉 신념, 가치관, 특성, 사명, 성격, 동기 등의 차이에 의해 차별화 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본 연구의 결과를 보다 일반화 하기 위해서는,첫째, 이 연구에서 기초가 된 4가지 종속변수 요인 이외에 보다 세분화 된 역량의 변인을 통해 새로운 역량이 일반화 되어 가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둘째, 대인 관계 능력과 목표의식 및 책임감 역량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난 점에 대하여 문화나 환경,사회적 인식의 차이점 까지 고려해야 된다는 점이다.셋째, 경력차이에 있어 목표의식 및 책임감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목표의식 및 책임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연구 되었으나 경력을 보다 세분화하여 어떤 그룹에서 어떤 요인에 의해 가장 높은 목표의식과 책임감의 역량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는 자세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at have enormous fund and outstanding R&D capability have made inroads into domestic pharmaceutical market, which is undeniable that well-trained and talented Medical Representa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ent pharmaceutical industry. It is not only in-house trainer’s trouble to draw up the plan for medical Reps who directly contribute to year-end sales to obtain excellent results.This is comparative and analytical study about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important competencies for salesman to do an effective business in pharmaceutical industry? And what are differences of those by sex, age, career, position, scholarship and major. Moreov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a method to make for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fter searching for the alternative plan about those differences.There are conclusion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First, Men has more superior score to Female that it is the Capability of Human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among the core competency of MR in Pharmaceutical Company. Pattern for recruitment of Pharmaceutical company has been tended to Men so far. After 2000 years which was started SP&D system ,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y was to start opening to get the job for female MR. but still not fixed job responsibility. Also, I think that this is an one of the culture different which is felt to dislike female MR than men in terms of social environment. But,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y inquire into recruitment for female medical representative not to mention multinational company these days, it is certain that the number of female salesman in pharmaceutical sales part will be increased. Because of this reason, it’s also necessary that the strategy of training and HR will be changed. Second, after this study we can see the reason why men with long past career have tenacious goal and strong responsibility for the job is that they are more trained, concentrating on the job than others. Recently, multinational companies try to make their organization lightly to enhanc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those companies give managers who have 7 years or more in that industry broad powers and responsibility, its the course of natural tendency of this time. In additional study, the result that it is no difference the competency and the age, position, scholarship, major was caused internal factors like belief, values, character, and motivation rather than external factors.The conclus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e study to generalize another competency through the more detailed factors except 4 factors used this study. Second, it must be considered the differences of culture, circumstances, social recognition about the result that the men was indicated the higher score than women in the field of human relationship, objective awareness and responsibility. Third, the difference of objective awareness and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 carrier was indicated directly proportional to a carrier. In the basic of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tail to examine the interrelation the subject group and the factor in this field.

      • 접착 패치 보강된 원공판 해석을 위한 고차 층별 모델

        양승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의 양면대칭 패치보강은 항상 면내거동만을 유발하나 시공 상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일면패치보강의 경우 인장력의 증가에 따라 중립축의 위치가 대칭이 아니므로 휨에 대한 강성도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적층 판의 휨을 심화시키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일면 패치 보강된 적층 판의 두께방향은 물론이고 원공주위의 응력집중계수를 산정하기 위해 p-수렴 고차 층별 모델을 제안하였다. 가정된 변위장의 정의를 위해, 임의의 층에서 변위-변형률 관계와 3차원 구성방정식은 2차원 및 3차원 계층적 형상함수의 조합이 사용된다. 원형경계의 기하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초유한사상기법이 사용되며, 다른 외삽법을 사용되지 않고 각 층마다 절점에서의 응력 값을 직접적으로 얻기 위해 가우스-로바트 수치적분이 수행되었다. 제안된 모델의 정확도와 단순성은 기존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에 의해서 구해진 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또한 정사각형, 원형, 고리형 형상의 다양한 패치보강에 따른 휨 효과를 조사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the high order layerwise model based on the p-convergent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 in the vicinity of a circular hole in the case of the one-sided repaired skin as well as unpatch skin. Since the variation of stresses across the thickness signify that single patch repair causes bending in the plate in addition to membrane effect for patched specimen with a circular hole, the transverse shear and normal stresses in the adhesive and in-plane stresses in the repair patch and in the repaired skin have been investigated. The patch is free of external tractions while the skin is subjected to uniform tensile loading along its external edge. The transfinite mapping technique has been used to represent a circular boundary. The software tools for this study are developed using the M-file code of MATLAB 7. The present result have been validated against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predictions by ANSYS program in literatures. Also, the bending effect has been investigated with various patch types like square, circular and annular shape.

      • 강섬유로 보강된 RC단주의 전단특성

        양승호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저층부 기둥에 배근되는 과대한 전단보강근은 시공시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철근과 콘크리트의 특성이 고려된 전단저항 기구의 불확실성 때문에 구조물의 내력평가를 위한 해석시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게 사실이다. 따라서 과대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저층부 기둥의 강도, 연성, 에너지 능력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합성재료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콘크리트에 적용할 수 있는 합성재료중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는 보강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강도증진, 취성적인 콘크리트 성질개선 및 균열제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섬유로 보강된 보의 휨 및 전단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다수 있으나, 전단이 지배하는 기둥에 대한 강섬유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강섬유의 보강효과 및 최대전단내력 산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연구에 대한 평가는 Masuta(1997), Nagasaka(1990), Yashiro(1989), Makitani(1985), 및 Sakai(1979)의 실험결과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의하면 강섬유 보강량이 증가할수록 전단능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존연구결과를 근간으로, 강섬유 보강량 및 전단보강근비를 변수로 한 총 10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일정축력상태에서의 반복수평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의 전단스팬비는 전단에 대한 강섬유 보강효과 평가가 용이 하도록 1.5로 계획하였으며, 형상비 63.6의 양단에 고리가 있는 강섬유를 사용 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 보강은 최대전단능력 및 연성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강성 및 에너지 능력에 있어서는 그 보강효과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보강 실험체에 대한 보강실험체의 전단능력을 기존결과 및 본 실험결과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적정 강섬유 보강량은 1.5% 정도로 추정되었다. 축력이 고려된 전단에 대한 규준식 및 제안식에 본 실험결과를 적용한 결과, AIJ 개량 B법이 강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대전단내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제한된 실험결과에 근거한 것이므로 강섬유 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에 대한 종합평가 및 강섬유가 전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대전단내력 산정방법에 대한 보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s composite materials, the addition of steel fiber significantly improves many of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mortar and concrete, notably shear strength. Flexural strength, fatigue strength, and the ability to resist cracking are also enhanced. Especially the strengthening effect of steel fiber in shear is to prevent the brittle shear failure. A number of laboratory tests were made to define the strengthening effect of steel fiber in Korea, but it was only focused flexural and shear capacity of beams. Moreover, the researches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trengthened by steel fiber were very few in Korea, and only studied in Japan in spite of the merits of steel fi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hear-strengthening effect of steel fiber in reinforced concrete short columns, that is behaved shear deformation, from review of literature surveys and perform structural member tes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ollowing procedures are considered. 1) Reviewing other researches 2) Performing structural member test 3) Reviewing shear strength prediction equation The research results from other studies are as follows: Masuta (1997), Nagasaka (1990), Yashiro (1989), Makitani (1985), Sakai (1979). In addition, testing parameters were shear span to depth ratio, shear reinforcement ratio, steel fiber contents, axial force ratio et al. These results are evaluated shear capacity ratio, which is a maximum testing shear load divided by root of compression strength of concrete and member size, versus steel fiber contents in concrete. Based on other studies, structural member tests are planned with a steel fiber contents and shear reinforcement ratio. Detailed testing concerns are as follows: 1) Designed compression strength: 240 kgf/㎠ 2) Shear reinforcement ratio: 0.36, 0.32, 0.26, 0.21 3) Steel fiber contents (%): 0.0, 1.0, 1.5, 2.0 4) Steel fiber shape: hooked end 5) Testing method: cyclic test with constant axial load 6) Amount of testing specimens: 10 ea Furthermore, to predict the maximum shear strength of steel fiber reinforced columns, America (ACI 318-99), Japan (AIJ MB), and New Zealand (NZS 3101) code and proposed equation of Hirosawa and Priestley are reviewed. From the reviewing of other studies and shear strength equation, and evaluating of structural member tests,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1) Shear strength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steel fiber contents increased from the literature surveys. 2) Shear strength and ductility capacity were more improved rather than stiffness and energy capacity in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3) Maximum enhancement of shear-strengthening effect can be achieved at about 1.5 % of steel fiber contents. 4) Reviewing of shear strength equation, modified B method of AIJ can be properly expected the shear strength of steel fiber reinforced columns. 5) These results were only derived from structural member tests; therefore, detailed study of shear strength equation was needed in consideration of un-reinforced versus reinforced effects of steel fiber. 6) In next research step, strengthening effect of steel fiber in high strength concrete will be discussed.

      • Hydrocyclone과 Chitosan 응집제를 이용한 퇴적 준설토 처리

        양승호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염된 퇴적 준설토를 처리하는데 있어서의 큰 문제는 오염된 미세입자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다. 단순매립 외에 오염된 미세입자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되고 있다. Hydrocyclone은 구동부분이 없고, 운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어 입자물질 제거에 효과적인 장치이다. Chitosan 응집제는 천연 유기고분자 물질로 생분해성, 안정성, 탈수성이 우수하며 pH에 영향이 없고, 2차 환경오염문제가 거의 없는 물질이다. Hydrocyclone과 Chitosan을 이용한 하천 퇴적물질 처리 실험에서 유입 유량은 평균 47.4m3/day, 수면적부하율은 평균 2,682m3/m2/day였다. Hydrocyclone에서 200㎛이상 입자를 분리한 후 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은 평균 28.8m3/day로 분석되었으며, Chitosan 주입 농도범위 (평균 17.10mg/L)의 조건에서 탁도 (평균 79.0%), SS (평균 98.1%), COD (평균 83.5%), TN (평균 -0.4%), PO4-P(평균 93.8%), TP (평균 92.0%)의 수질항목 별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