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 스크리닝 기법을 통한 단백질 저해제 개발

        양수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With the ongoing progress in identification of new therapeutic targets and their 3D structures, receptor-based virtual screening is newly adopting rising importance in that it provides a source of chemical starting points in the process of drug design. In the virtual screening, the 3D information from a target protein or ligand-protein complexes is used to screen out hit compounds that are complementary to a binding site in their geometry as well as in the pattern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Upon undertaking preliminary biological tests of the hits, Lipinski’s rule and other factors such as novelty or synthesis of the chemical entity are considered to sort out a lead. Most often, the improved binding affinities of the compounds are observed after the optimization of the lead. This drug design cycle led to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drug candidates as new, potent and selective androgen receptor antagonists and JAK2/STAT3 inhibitor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prostate cancers, androgen-androgen receptor (AR) system plays a pivotal role so that hormonal therapy using anti-androgens has been the mainstay treatment of prostate cancers. As anti-androgens, the first generation AR antagonists such as bicalutamide are the most widely used since they block the growth of tumors effectively. However, emergence of androgen resistance largely due to inefficient anti-hormone action limits their therapeutic usefulness, thus development of a new AR antagonist effectively working in advanced prostate cancer is the utmost necessity. Through receptor-based virtual screening using FlexX and biochemical screening, the nicotinamide DIMN was identified as a new lead and was further optimized according to SAR result and molecular docking study. Cellular and molecular basis of potent AR antagonistic effect of the nicotinamides suggests that the nicotinamides would be one of the potent drug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prostate cancers. Along with AR antagonists, a lead, the quinazoline compound 5k, as JAK2/STAT3 inhibitor was also identified through virtual screening using different docking algorithm, SurflexDock. After chemical modification, the quinazoline 5p was obtained to have a correlation between JAK2 inhibition and cytotoxic effect on cancer cell lines; its strong cytotoxicity is probably due to G2/M arrest derived from the inhibition of JAK2/STAT3 induced anti-apoptotic proteins. Both case studies provide a guidance of application of receptor-based virtual screening for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신약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약물보다 더 좋은 효과를 가지는 약물의 lead를 찾는 것은 쉽지 않으나 새로운 therapeutic target과 이의 3D 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타겟 단백질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스크리닝 기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단백질 구조 기반 가상 스크리닝은 타겟 단백질 구조 또는 리간드-단백질 복합체에서 얻어지는 3D 구조를 바탕으로 단백질 구조의 binding site 에 잘 결합하고 그 외 물리•화학적 성질이 맞는 hit 물질들을 선별해낸다. 그러면 이들이 원하는 biological effect 를 가지는지를 biochemical screening 을 통해 좋은 효과를 보이는 여러 물질들 중 약물 개발을 위한 Lipinski’s rule 또는 물질의 합성 방법 등 여러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lead 물질을 결정하게 된다. 이 lead 물질의 최적화를 통해 얻어지는 유도체들은 대부분의 경우 lead 물질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이므로 lead optimization 을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drug design 기법을 통해 androgen receptor antagonist 와 JAK2/STAT3 저해제 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전립선에서 안드로겐 수용체 (androgen receptor, AR)는 정상적인 전립선의 발달 뿐 아니라 전립선암의 발생 및 전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호르몬 치료법으로서 항안드로겐이 전립선암 치료에 주로 이용된다. 항안드로겐으로서 bicalutamide 와 같은 1세대 AR antagonist 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기존 약물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이용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 약제 내성에 대해서도 항안드로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2세대 AR antagonist 를 개발하고자 구조 기반 스크리닝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lead 물질로서 nicotinamide 계 물질인 DIMN 이 발견되었고 이의 SAR 과 modeling study 를 바탕으로 최적화한 결과, nicotinamide 계 물질의 2세대 AR antagonist 로서의 항안드로겐 효과를 cellular 와 molecular basis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항암치료제로서의 JAK2/STAT3 저해제를 위한 새로운 lead 물질인 quinazoline 물질 5k 또한 구조 기반 스크리닝 기법을 통해 발견되었다. Lead 물질의 최적화를 통해 합성된 quinazoline 물질 5p 는 흥미롭게도 JAK2 저해효과와 항암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JAK2/STAT3 에 의해 발현되는 anti-apoptotic protein 의 저해활성을 통해 결과적으로 G2/M arrest 가 일어나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 두 가지의 case study 는 구조 기반 스크리닝 기법을 통한 성공적인 항암제 개발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약물개발 분야에 있어서 의약화학자들에게 스크리닝 기법의 적절한 적용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여겨진다.

      •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수희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Yang, Soo-Hee Department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Hanbat National University Advisor : Jung, Hwa-Young With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knowledge emerges as the foundation of all kinds of producti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businesses has dramatically changed to a globally competitive one. Technological start-ups are both an important source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However, technological start-ups find it difficult to survive and grow under the ever increasing threat from established companies due to their limited access to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start-ups from resource-based view of firm.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have often been explored as key enterprise resources of technological start-ups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1)entrepreneur's compete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2)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or effects among the latent variables and business performance. Data for the study was compiled through directly surveys to entrepreneurs representing 125 technological start-ups. In data analysis, SPSS 12.0 OK for Windows was used for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AMOS 5.0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Empirical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two variable group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outcome of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strategic competence is highly related to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s a parameter was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Key Words :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 Technology-based Start-ups, firm Performance, Resource-based View. 국 문 요 약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출자 양 수 희 지도교수 정 화 영 오늘날 기술창업기업은 첨단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기술의 융․복합화에 대응하여 기술혁신을 이루고, 수요자 지향적인 기술 사업화를 도모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미래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할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주도 연구개발투자 및 기술창업기업의 창출과 육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혁신주도형 선진경제를 이루기 위한 중요 메커니즘으로 기술사업화가 부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창업기업의 핵심적 자원으로 간주되고 있는 기업가 역량은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기술창업 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는 이론적․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최근 기술사업화 관련 연구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원기반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도 기업가의 역량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각각 독립변수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가설에 제시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대전 지역에 소재한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설정하였고, 연구목적에 적합한 표본 총 1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역량은 기술사업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가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업가 특성은 중간경로에 있는 기술사업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후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사업화 능력은 기업가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변수로 작용하며, 특히 기업가의 역량요소 중 전략적 사고 역량이 기술사업화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Application of low energy modular design : case of housing complex in Conakry, Guinea

        양수희 Hongik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아프리카의 기니 코나크리 주거 단지 건축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저에너지 ‘모듈러 건축’ 해외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기니 정부의 민간주택건설부는 기니의 수도 코나크리에서 우선 16개동, 7층 주거단지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학교 교사, 기술 분야 전문가 및 사업자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개발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해외건설 원조 프로젝트 조건 맞추어 ‘중국건설그룹 E+P+C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인은 중국건설그룹 협력업체 건축설계 담당자로 본 프로젝트 해외 현지미팅에 참여하였다. 코나크리 주거단지 건축 계획안 및 기본설계는 세네갈에 있는 건축설계회사가 추진을 완료하였는데, 설계가 현지 건축환경 및 기후 특성에 맞지 않아 최근 기니 정부는 중국 측에 재설계 및 시공을 요청하였다. 기존 설계에는 아프리카 기후에 적합하지 않게 인동거리가 너무 가깝게 설계되어 통풍 및 차양설계가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전기 공급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다. 현지의 전기 공급기술이 낙후되어있고 전기 공급시간 및 경제적인 문제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생활용수 및 담수에 대한 시설자원이 부족하고 수도배관도 낙후되어있어 수질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라고 한다. 현지 기후특성에 의하면 대부분 저녁 8시부터 새벽까지 주로 비가 많이 내린다. 이로 인해 낙후된 지역에는 흙탕길로 빗물이 가득하여 차량통행도 곤란한 실정이다. 고급 노동력 및 건축기술 인력이 매우 부족하여 건설공사를 진행하게 되면 인력 파견에 따른 대량의 경비가 낭비하게 되고, 현지의 각종 건설장비의 낙후와 기술 인력부족으로 현지인에 의한 건설공사 진행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현지에서 건설자재 조달도 어려워서 거의 대부분의 자재들을 수입해야만 한다. 건설공사 자체도 문제지만 건설자재 운반 및 안전성도 상당히 염려되는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 코나크리의 지리, 기후, 인문, 환경 등에 맞게 건축설계 및 신기술들을 적용하여 해결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현지에 건설환경의 장점은 최대한 살리고 단점은 보완시키고자 했다. 당초 계획안을 보면 현지의 문화와 기후환경 등의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현지의 기온, 강수량, 일조 등을 고려하여 친환경 에너지 절약계획을 반영한 건축신기술들을 적용한 프로젝트 계획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코나크리 기후특성에 의하면 강수량은 충분하다. 그래서 빗물을 저장하여 신기술 정수시스템으로 음용 및 생활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했다. 저에너지 건축설비기술인 ‘우수저장재활용기술’을 적용하여 생활용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방안을 제안했다.아프리카 열대 기후 특성에 의하면, 낮 동안 12시간 이상 일조량이 많고 뜨겁다. 따라서 저에너지 건축설비기술 중 하나인 신기술’태양광발전설비’를 적용하여 생활용수 뿐 아니라 전기공급 문제까지 해결방안을 제안했다. ‘모듈러 건축기술’은 구조물 본체를 100% 공장에 제작하고 70% 이상 재건축 이용이 가능하다. 현지 건축자재자원 및 기술인력 부족으로. 대형컨테이너 사이즈에 맞춰 제작된 모듈러를 해상 운송하여 현지에서 간단히 조립하는 방식으로 실행하고자 한다. 현지 녹색기반과 환경보호를 위한 초고속 도시화 건설공법에 최적화된 건축기술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모듈러 건축공법을 적용하여 환경을 보호하며, 우수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안했다. 즉, 저에너지 모듈러 건축주거단지 프로젝트 계획을 위한 실행이다. 코나크리는 아직 도시 인프라 조성이 거의 안 된 상황이지만, 반면에 많은 녹색기반자원들을 갖고 있다. 현지에는 우수한 천연자연 환경과 수많은 열대식물들로 가득하다. 도시화 과정에서 기존의 녹색기반환경이 파손되지 않게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지금 세계의 많은 선진국에서 “그레이인프라” 도시를 “그린인프라” 도시로 재생하는 과정을 근본적으로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저개발 국가의 도시화 과정 초기부터 “그린인프라”를 고려하면서 “녹색건축”으로 건설을 검토 하여야 하겠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construction project of Conakry residential district. Overseas applications of low energy modular buildings are studied. The Guinea government plans to build 16-story and 7-story residential areas in the capital Conakr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eachers and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technology and enterprises. In compli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Chinese government'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overseas construction assistance project, China Construction Group carried out the project in the form of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The author participated in the overseas meeting of this project as the person in charge of architectural design of China Construction Group Cooperative enterprise. The building plan of the residential area of the canal was completed by the architectural design company of Senegal. But this design is not in line with the specific building environment and climate. There is no ventilation and sun shading design in the drawings.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ite. Firstly, the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Supply technology is basic and power shortages are common. Secondly, there is shortage of potable water and poor water quality, even though it regularly rains in the evening until the morning. Due to heavy rainfall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rainwater accumulates on dirt roads,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vehicular traffic. Thirdly, there is lack of senior labor and construction technicians. The local construction industry is lagging behind in technology and there is lack of skilled labor. It is therefore for locals to operate. Lastly, the market for building materials is underdeveloped, and all construction materials must be imported from abroad. Conside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local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nd climatic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plan of building design which makes full use of the energy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low energy modular design. Firstly, in the African tropical climate, there is more than 12 hours sunshine. Therefore, solar power generation technology can be used to solve the power supply problem. Secondly, rainwater storage, purification and reuse technology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domestic water consumption. Thirdly, as the local construction material resources and technical personnel are inadequate. modular building, which is completely made in the factory, presents an alternative. The modules can be transported by sea for simple assembly on site, circumventing the problem of local labor shor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apply design, technology, and construction methods appropriate for the geography, climate, and environment of Conakry in the form of low energy modular housing complex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