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이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안혜경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s of Role Awareness, Experience and Competency of Forensic Nursing on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 Ahn Hye-Kyoung (Advisor: Prof. Sung Mi-Ha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the role awareness, experiences, competency, and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among concepts and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perf- 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 Based on this finding, i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emergency depa- rtment nurse. Methods :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orking at 9 designated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s in 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recruited 125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20, 2016 to July 20, 2016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SPSS Win 21.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into freque- 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ole awareness, experie- nces, competency, and the degree of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were analyzed int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 es among role awareness, experiences, competency, and the role perfor- mance of forensic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nd was conducted post-hoc using Scheffé tes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 ession was used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the subject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that women accounted for 90.4%, and 26-30 year-old participants accounted for 36.8%. 75.2% of them were single, which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nd three-year-course college accounted for 60.8%, and 60.0% of them worked at local emergency medical agencies. For total clinical career and emergency department career, nurses with 2-5 year-old work career accounted for most. The average service career of total clinical career was 6.72 years, and the average service career in emergency was 3.80 years. For current position, 76.0% of them were general nurses. 50.4% of them responded normal regarding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53.6% of them answered “know" about forensic nursing or forensic nurse. 2. The mean score of total 4 points on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of subjects was 3.15±0.44. The mean score of total 5 points on fore- nsic nursing experience was 1.98±0.68. The mean score of total 5 points on forensic nursing competency was 3.13±0.73 points, which wa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total score of 100 into 5 points. The mean score of total 5 points on forensic nursing role performa- nce was 3.91±0.67. The mean score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n nursing record by core information and events was 4.09±0.69. The mean score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n evidence management was 3.46±0.87. 3. The role aware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 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 kground (F=5.50, p<.001), current position (t=-2.31, p=.023),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F=3.58, p=.031). 4. The forensic nurs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 tics of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3.62, p=.015), educational background (F=3.75, p=.013), total clinical career (F=3.46, p=.019), emergency department career (F=5.54, p<.001), and current position (t=-2.51, p=.013). 5. The forensic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 rence in emergency department career (F=2.79, p=.043) and percept- ion of forensic nursing or forensic nurse (t=-2.35, p=.020). 6. The total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 (F=6.50, p=.002) and perception of the forensic nursing or for- ensic nurse (t=-2.03 p=.044). The degree of performance on nursing record by core information and ev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 (F=15.59, p<.001), total clinical career (F=3.14, p=.028), and perception of the forensic nursing or forensic nurse (t=-2.18, p=.03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evidence man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The correlations among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experiences, competency, and the degree of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subjects,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r=.535, p<.001) and forensic nursing competency (r=.430, p<.001). Forensic nursing competenc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r=.340, p<.001) and forensic nursing experi- ences (r=.310, p<.001). 8.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of subjects included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β=.443, p<.001), type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s - local emergency me- dical agencies (β=.332, p<.001), type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s -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β=.259, p=.004), and fore- nsic nursing competency (β=.251, p=.001). Total explanatory power on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was 40.8% and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was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s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competency, and type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s affected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forensic nursing role awarenes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inforce their competency, and prepare interventions fit to type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center. Furtherm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orensic nursing experiences and the role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which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is study. 국문초록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이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안혜경 간호학전공 (지도교수: 성미혜)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과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 정도 및 각 개념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을 높일 수 있는 중재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U광역시에 소재한 9개 응급의료기관 지정병원의 응급실 간호사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과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과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대상자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90.4%로 대부분이었으며, 연령은 26세 이상∼30세 이하가 36.8%로 가장 많았다. 미혼이 75.2%로 많았으며, 학력은 3년제 졸업자가 60.8%로 가장 많았고, 지역응급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비율이 60.0%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총 임상경력과 응급실 근무경력은 2년 이상∼5년 미만의 근무경력자가 많았고, 총 임상경력의 평균경력은 6.72년, 응급실 평균경력은 3.80년이었다. 현재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76.0%이었으며, 응급실 근무 만족도에 대해서는 50.4%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다.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해‘알고 있다’로 응답한 경우가 53.6%이었다. 2. 대상자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는 총 4점 만점에 평균평점이 3.15±0.44점이었으며, 법의간호학적 경험은 총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이 1.98±0.68점이었다. 법의간호학적 역량은 100점 만점을 총 5점 단위로 환산한 평균평점이 3.13±0.73점이었다.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은 총 5점 만점에 전체 평균평점이 3.91±0.67점이었으며, 영역별로 핵심정보 및 사건별 간호기록 수행정도는 평균평점이 4.09±0.69점이었고, 증거물관리에 대한 수행정도는 평균평점이 3.46±0.87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는 학력(F=5.50, p<.001), 현재직위(t=-2.31, p=.023), 응급실 근무 만족도(F=3.58,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법의간호학적 경험은 연령(F=3.62, p=.015), 학력(F=3.75, p=.013), 총 임상경력(F=3.46, p=.019), 응급실 근무경력(F=5.54, p<.001), 현재 직위(t=-2.51,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법의간호학적 역량은 응급실 근무경력(F=2.79, p=.043),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의 인식여부(t=-2.35, p=.02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은 응급의료기관의 유형(F=6.50, p=.002),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의 인식여부(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핵심정보 및 사건별 간호기록 수행정도는 응급의료기관의 유형(F=15.59, p<.001), 총 임상경력(F=3.14, p=.028),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의 인식여부(t=-2.18,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증거물관리에 대한 수행정도는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대상자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 경험, 역량,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은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r=.535, p<.001), 법의간호학적 역량(r=.430,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법의간호학적 역량은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r=.340, p<.001), 법의간호학적 경험(r=.310,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8. 대상자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β=.443, p<.001), 응급의료기관의 유형-지역응급의료기관(β=.332, p<.001)과 지역응급의료센터(β=.259, p=.004), 법의간호학적 역량(β=.251, p=.001)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0.8%로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가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는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와 역량, 응급의료기관의 유형이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며, 응급의료기관의 유형에 맞는 중재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던 법의간호학적 경험과 법의간호학적 역할수행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성경적 인지상담 모델에 기초한 상담설교 구조에 관한 연구

        안혜경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unseling preaching model that combines two main streams, counseling and preaching, in the pastoral ministry.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various problems in their lives want practical sermons concentrating on their lives dealing with their problems.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unseling preaching at the service.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counseling preaching is related to the pastoral counseling. It can be complementarily combined the pastoral counseling with the preaching because of the similarity in fundamental parts in both even though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counseling and preaching.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counseling preaching to unify the pastoral counseling and the preaching. The purpose of the counseling preaching is to use the word of God not only for healing, but also for preventing people from various mental and spiritual problems. Then, a question would be brought out how to indeed apply the counseling preaching. In order to get the solution, two models proposing a frame suggested by Donald Caps and Pung-Man Kim respectively, were reviewed. During the study of two models, the research has realized that a concrete frame for the counseling preaching is needed. In two models, both frames introduce the subject of the counseling but both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e counseling theory. A theory for the frame of the counseling preaching is based on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y. Any human problems are resulted from the problems in human mind. Therefore, change of mind is the key to solving human problems described in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y. In the biblical counsel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mind is explained as the Heart model. Discovering one’s sin and idolatry with the biblical point of view, taking off a self-centered old man and transforming to a new man through the counseling are all for the glory of God. The biblical counseling model contain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mind is called a tree model. The tree model on the basis of Matthew 7:16-18 and Luke 6:43-49 suggests that every good tree bears good fruit and a bad tree bears bad fruit. In spite of the circumstance under the scorching sun, evil fruit and result are not because of the circumstance but because of the evil root desire. In order to obtain good fruit and result, the root must be transformed from the bad to the good throughout the grace of God, the Trinity. Finally, the tree model, one of the biblical counseling models, is then used to compose the frame of counseling preaching. A benefit of applying the tree model to the counseling preaching is an agreement between a goal of the tree model and the preaching. The goal seeks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that is the likeness to Christ by grace. In addition, another benefit of utilizing the tree model as the frame of counseling preaching is that the tree model by itself can possess a factor of explicated sermon to analyze the Bible and a factor of biblical counseling to find the idolatry through the counseling insight and to transform through the counseling by God. The tree model based on the counseling preaching consists of following steps: i) a step of recognizing the problem ii) a step of understanding the cause iii) a step of applying the method iv) a step of building up the transformation. A detail process to compose the preaching on the basis of the tree model is to select a Scripture, to analyze the Scripture using the tree model, and to apply the current circumstance. It is followed by commentary of the Scripture, determination of the subject of the sermon and at last composition of the body of the sermon using the steps explained above. As stated above, this study introduces a new frame of the counseling preaching using the tree model that is one of the biblical counseling models, describing a detail way of processing. Finally, it is concluded with the proposal of a new model for the counseling preaching.

      • 미국의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 9.11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안혜경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미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9.11사태 이후 아랍권에서의 극단적 반미주의를 희석시키지 못한 공공외교의 실패에 대한 반성으로서, 그리고 한국에서는 여중생 사망사건 이후 만연해진 반미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공공외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당시 주한미국대사였던 크리스토퍼 힐은 인터넷 커뮤니티인 Caf? USA를 개설하여 엘리트가 아닌 일반국민들을 직접 상대하는 외교를 펼침으로써 반미감정으로 흔들리는 한미동맹을 안정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외 콘돌리자 라이스, 콜린 파월, 웬디 커틀러 등 미국정부의 고위관리들도 방한 시마다 젊은 층과의 만남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기존의 정부 대 정부로만 이루어 지던 전통적 외교를 넘어 공공외교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공공외교는 전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그 기원은 20세기 초 제 1차 세계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다만 민주주의의 심화, 정보통신 혁명, 세계화의 확산으로 인해 여론이 외교정책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커졌고 상대국가 국민들의 태도가 자국의 이익에 직결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오늘날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을 뿐이다. 1953년 미국해외공보처(USIA)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해외공보프로그램을 한 기관에서 시행토록 하고 1978년에는 국무부에 존재하던 교육·문화 교류프로그램까지 이전함으로써 USIA는 명실공히 미국 공공외교를 총괄하는 대표기관이 된다. 사상과 이념의 전쟁으로 점철되었던 냉전시기 USIA의 공공외교는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탈냉전이 도래하자 미정부는 공공외교가 이제 그 사명을 다했다고 여겨 1999년 USIA를 폐지하기에 이른다. 외무개혁·구조조정법에 의거 USIA의 공보분야 프로그램 중 방송관련부분은 미국방송위원회(BBG)로, 나머지 공보분야 프로그램과 전체 교육문화분야 교류프로그램은 다시 국무부가 담당하게 된다.하지만 USIA의 국무부 합병 이후 채 2년이 안된 2001년 9월 11일, 극단적 반미주의자들에 의한 테러사태가 미국을 강타하게 되고 이는 미국의 공공외교가 아랍인들의 마음을 얻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등장했다. 나아가 9.11사태를 평가함에 있어 다양한 의견들이 표출했으나 문명충돌적 성격이 다분함을 부인할 수는 없었다. 이후 각계에서는 문화적 다원성, 다문명적 세계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이슬람 문명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전개해 왔고 공공외교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즉, 미국적 가치와 사고의 일방적 전파에서 탈피하여 양방향 소통에 중점을 둘 것을 공공외교 전문가들이 촉구했던 것이다. 특히,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상대의 문화를 알아가는 것은 중요하다. 상대방이 현재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 자신의 이야기를 들을 자세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이 던져진 메시지는 수용자가 받아들임에 있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일방적 독백이 아니라 진정한 대화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통의 이익에 기반을 둔 신뢰구축이 관계발전을 이끌어 내는 포용의 선순환이 지속될 때 공공외교는 성공할 수 있다.하지만 9.11사태 이후 미국의 공공외교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그리 낙관적이지 못하다. 기본적으로 일방성을 전제로 하고 있는 공보분야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양방향성을 보완하기 위해 탄생된 교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상대로 하여금 미국의 문화와 가치를 배우게 하는데 여전히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미국의 일반적 외교정책과 마찬가지로 공공외교에도 미국예외주의적 성향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물론 국무부가 5년 이상 장기간을 염두에 두고 추진하는 핵심적 외교 전략 목표와 담당 차관들의 발언들을 통해 살펴본 수사학적 측면에서의 공공외교는 상당부분 발전이 있었다. 예산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도 9.11사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회계연도(FY)2007의 공공외교예산 요청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국무부의 교류프로그램 전체참석자수는 FY2002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FY2000대비 4배에 육박하기도 했으나 이는 양적 성장에 불과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증가치의 대부분이 타국민으로 하여금 미국을 배우도록 하는데 집중되었음이 구체적 수치로 증명되었고 지역별 수준에서 보았을 때도 중동과 남아시아 지역 즉, 무슬림들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에 대부분이 할당되었기 때문이다. 그 동안 소외되었던 중동과 남아시아 지역에 보다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겠으나 이것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와 사상을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단일중심적 문명관에서 벗어나 상대를 알아가고 배우려는 다문명적 노력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U.S. Public diplomacy has been emerged as a key issu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U.S., public diplomacy's failure to deal with extreme anti-Americanism in the Arab countries was regarded as one of the main causes brought about the 9.11 terror attacks. In Korea, public diplomacy was considered as a key to solve anti-American sentiments running rampant across the country after death of the two South Korean girls by an armored vehicle of the U.S. Forces Korea. Christopher Hill, then-the U.S. Ambassador to Korea, opened a web chat site so-called 'Caf? USA' in order to stabilize allegedly shaky U.S.-Korea alliance by reaching out to ordinary citizens especially young generations. Furthermore, other high level U.S.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Secretary of State Condoleezza Rice, former Secretary of State Colin Powell, and chief negotiator for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FTA) Wendy Cutler met with young students albeit extremely busy schedules during their visits to Korea. Those efforts to engage young Korean people seemed to signal Washington's willingness to put more energy into public diplomacy beyond traditional diplomacy which develops relations between governments only in most cases.However, public diplomacy, which involves interaction not only with governments but primarily with non-governmental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s nothing new. Its origins date back to the World War I and it is only now beginning to be popularized and prevalent. The spread of democrac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volution, and accelerated globalization make public diplomacy today distinct and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Public opinions greatly influence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foreign policy to the extent that one's critical national interests are directly linked to the attitudes of other countries' people.In 1953,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USIA) was created to implement all the foreign information programs while all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s remained at the State Department until 1978. Waging wars of ideas and ideologies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USIA had played a major role in winning hearts and minds of people behind the iron curtain.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however, the U.S. government decided to abolish the USIA with the assumption that its mission had been accomplished. The Foreign Affairs Reform and Restructuring Act of 1998, which governs consolidation of the USIA into the State Department, includes provisions to transfer most of overseas information programs to the U.S. Broadcasting Board of Governors (BBG) and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s to the Department of State.In less than two years after the USIA's merge, the unprecedented terror attacks hit the U.S. on September 11, 2001 by Arab extremists who had strong anti-American sentiments. Many experts attributed the horrible act to the failure of the U.S. public diplomacy's efforts to win hearts and minds of the Arab people. Additionally, there was a hot debate among scholars whether to define the 9.11 as a clash of civilizations or simply an act by terrorists. It seems hard to deny that the incident can be interpreted as a civilizational conflict in some ways and, indeed, discourses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ivilizations ensued. Experts of public diplomacy urged the U.S. government to strengthen two-way dialogue as contrasted to one-way push-down monologue that unilaterally imposing American vales and ideas on others.It is not what one says, but what the other hears, that ultimately matters most. In relaying messages from one culture to another, if the recipient of the message is not tuned in, is listening to someone else at the time or is simply not interested in what the speaker has to say, the message falls on deaf ears regardless of how loud the speaker screams. In sum, the sender should understand the intended receiver well enough to know what tunes the recipient in and should remember that understanding the other comes only with knowledge about the other's culture. The Washington needs to recognize that public diplomacy can succeed only when a virtuous circle of engagement continues to flow. More importantly, it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circle starts from dialogue because the sincere dialogue between two countries could lead to a common ground or consensus, and the latter is very likely to result in confidence building. Once bilateral confidence is assured, it's easy to build and maintain constructive relationships.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of post-9.11 changes in the U.S. public diplomacy shows that the U.S. is still focusing on spreading America's culture and values rather than encouraging Americans to learn about cultures and ideas of others. Of course there are some positive signs given that the total number of exchange programs has been increasing dramatically and the State Department has requested a record-high public diplomacy budget for fiscal year 2007. Also, the State Department added public diplomacy along with homeland security to the major strategic goals which support the policy position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nd present how the Department will implement U.S. foreign policy in the long run.Even though there were substantial progresses in terms of rhetoric and budget, Washington's public diplomacy still lacks multi-civilizational elements because the increased programs and resources have primarily been targeting peoples from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Middle East and South Asia. Programs for Americans remain unchanged and that only reinforces mono-civilizational elements in U.S public diplomacy. In order to make sure that the other understands what one means, one should keep trying to have knowledge about and communicate with the other. That's why the State Department needs to strive hard to make its pubic diplomacy programs more inter-active and reciprocal by boosting chances for Americans to participate in the exchange programs.

      • 음악치료 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주의집중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혜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 결함을 가지고 있고 일상적인 교실에서의 교육(敎育)활동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가진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음악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그들의 주의집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세 가지 음악활동 (노래부르기 활동, 리듬활동, 악기연주 활동) 중에서 어떤 활동이 주의집중능력향상에 가장 효과가 있었는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목적은 주의집중능력의 향상 여부로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남구에 위치한 일반 고등학교 내 특수학급 1학년에 재학 중인 15세에서 17세 사이의5명의 정신지체 청소년으로, 사전검사, 3회의 기초선 검사, 12회의 음악활동 그리고 사후검사를 포함, 총 15회에 걸쳐 대상 학생들의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주의집중 결여 평가 척도표 <Jordan Executive Function Index for children>를 적용하였다. 사전 검사 후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12회에 걸쳐 8주 동안 1주일에 2번 40분씩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음악치료 활동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주의집중행동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세가지 음악활동 (노래부르기 활동, 리듬활동, 악기연주 활동)을 통한 주의집중 능력의 향상은 각 대상학생마다 변화의 양상은 다르나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주의집중 결여 평가 척도표 <Jordan Executive Function Index for children> 점수가 최소 7점에서 최고 17점으로 나타났다. 2) 세 가지의 음악활동 즉, 노래 부르기 활동, 리듬활동, 악기연주 활동 중에서 악기연주 활동시의 주의집중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악치료활동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주의집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 교실에서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응용될 수 있는 다양하고 폭 넓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과 더불어, 그들의 주의력 결함의 향상이 학습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렇게 향상된 그들의 능력은 미래에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자아실현뿐만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on students with mental disorder who have a difficulty focusing on tasks in the classroom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three musical activities: singing songs, rhythmic stimulation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he overall aim is to improve focus ability. The study population was randomly selected from 5 students aged between 15 and 17 who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 attending a special clas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Kangnam-Ku, Seoul.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evaluated total 15 times including a pretest, 3 baselines, a posttest and 12 musical activitie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able for focus ability deficiency, <Jordan Executive Function Index for Children>. After conducting the pretest, 12 musical activities were practiced twice a week during 8 weeks and each activity was done for 40 minutes per one tim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usical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bility to focus for mentally disordered students. 2) Though the pattern of improvement was different among students, ability to focus on task through 3 musical activities (singing songs, rhythmic stimula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was improved. The range of marks in <Jordan Executive Function Index for Children> increased minimum 7 to maximum 17. 3) Among 3 musical activities, the most effective activity for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to focus on their task was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In conclusion, musical activities wer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focusing ability.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that necessity to develop and practice the various and broader music therapies that can be used in a classroom for adolescents with mental disorder and possibility for the mentally disordered to improve their capability to learn by improving their ability to focus. Their improved ability not only will be a fulfillment in a personal level, but also a contribution to our society as integral members.

      • 機能性 化粧品의 使用實態 및 購買行動 에 관한 實證的 硏究

        安惠京 淑明女子大學校 遠隔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다양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화장품 업계는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동시에 화장품업계의 생산, 연구개발 그리고 유통 및 소비자에게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해야 하는 등 새로운 장을 열어가기 위한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효능·효과를 중시하는 기능성 화장품 시장이 비약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이렇게 최근 급변하는 환경과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여성 소비자들에게 기능성 화장품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 등을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기능성 화장품 구매 및 소비의 중심인 20대~50대 여성들의 그 사용 실태와 구매행동 그리고 사용 후 반응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360부를 설문조사하여 그 중 328부를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대-50대 여성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그들은 기능성 화장품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일반화장품과 마찬가지로 20-25세에 사용하기 시작한 여성이 많았으며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에는 연령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스스로 본인의 피부 관리를 위한 여성이 많았고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여성이 대부분(82.5%)이었다. 특히 주름개선 제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용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 일부 응답자들은 가격이 비싼 이유와 일반 화장품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대-50대 여성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구매행동 및 일반적 견해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우선, 여성 소비자들은 기능성 화장품 정의에 대해 절반 이상이 알고 있었으며 일반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의 구입 지출 비용은 월 평균 각 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구입 장소는 백화점이 33.6%로 가장 많았으며 친구나 친지로부터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가 (23.6%) 많았다. 그리고 이들은 3-5만원 상당의 기능성 화장품을 향후 샘플 사용 후 그 품질과 기능을 가장 우선으로 고려하여 본인이 직접 판단하여 구매하기를 원했으며 지속적으로 구입의사를 밝혔다. 특히, 주름개선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할 것으로 나타났고 향후 소득이 100% 증가할 때 기능성 화장품 구매율을 30% 늘리겠다는 여성이 많았다. 셋째, 여성 소비자들의 복합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견해를 알아본 결과 절반 이상의 여성이 구매 경험이 있었고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개당 적정 가격으로는 3~5만원이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그 중 가장 많이 구입한 복합 제품은 미백 및 주름개선 제품이었다. 그렇지만 여성들은 복합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효과 우수성은 단일 기능성 화장품에 비해 그다지 우수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선호도 면에서는 단일 제품보다는 복합 제품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과 피부 타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이용 후 피부반응(피부개선 및 트러블)에 대한 분석 결과는 여성들의 피부 유형은 복합성 피부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건성 피부가 많았고 연령이 적은 미혼일수록 복합성 피부가 많았다. 여성들은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 한 후 피부 개선 효과를 많이 느끼고 있으며 특히, 일주일 후 피부 개선효과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건성 피부보다는 중·지성 피부인 여성이 다른 여성보다 피부 개선 효과를 느꼈다. 다섯째, 기능성 화장품 사용 후 나타나는 트러블에 대해서는 나타나지 않은 여성이 68.8%로 나타난 여성보다 많았으며 그 유형은 사용 후 며칠이내 나타나는 붉은 반점이 가장 많았다. 트러블이 발생한 제품으로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가장 많았으며 이러한 트러블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는 그냥 둔다고 대답한 여성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기능성 화장품 사용 후 느끼는 효능·효과 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신뢰하고 만족하였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기혼여성일수록, 중·지성 피부인 여성이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은 수준이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대한 기초 정보의 제공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 업계가 고객 중심의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s complicated and diverse. In such a modern society, the cosmetics industry is at an important cross road where it must open a new chapter in order to adapt to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while at the same time preparing production and R&D of the cosmetics industry and provide a turning point for new take off for distribution and consumers. Furthermore, the cosmeceuticals market that emphasizes efficacy and effectiveness, has recently been showing rapid growth trends and consumer demands for such products are continuously growing. At this point where the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consumer demand is becoming more diverse, a practical research was made on how female consumers perceive cosmeceuticals by assessing the actual state of usage and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s of cosmeceuticals. In order to research the actual state of usage and purchase behavior of cosmeceuticals of women between 20s-50s who are the main consumers, as well their responses, a survey was made on 360 persons and 328 were studied and analyzed. Main poin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ctual state of cosmeceuticals usage by female consumers aged between 20s and 50s, it was found that most of consumers used cosmeceuticals and many young customers had already started to use them with everyday cosmetics. However, the statistical data shows that the age group of cosmeceuticals users is equally spread among 20s, 30s and 40s. Furthermore, more than half of them took care of their skin by themselves (59.2%) and most of them used cosmeceuticals for skin protection(82.5%). Secondly, among the cosmeceuticals used by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50s, the most popular cosmetics were wrinkle-free products (27.5%). In addition, custom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smeceutical they were using. However, consumers between 20s-50s who did not purchase and use cosmeceuticals, (91.7%) used cosmeceuticals through other methods such as sampl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ost women were consuming cosmeceuticals in some ways such as sample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not purchasing the actual product was the high price of these products. Also these women believed that general cosmetics were sufficient. Thirdly, purchasing habits and general opinions of female consumers between 20s and 50s of cosmeceuticals was observed as more than 50 percent of them understood the exact usage and necessity of cosmeceuticals. Also their expenditure was mainly under 50,000 won per month. Moreover department stores were the most popular place that 33.6% consumers purchased cosmetic products and the route of information about cosmetic products is obtained from friends and close acquaintances (23.6%). With products that cost around 30-50,000 won, most consumers preferred to try samples before purchasing the actual products. On the one hand, when buying cosmeceuticals, female consumers placed top priority on quality and function. In fact, wrinkle free products were the first product they wished to buy. Also the consumers stated that if their salary would be increased by 100% then they would increase their purchase of cosmeceuticals by 30%. Furthermore, the opinions on the price of compound cosmeceuticals were answered 30-50,000 won was appropriate for this product. Furthermore, consumers thought that using compound products is better and in fact more than half of them already purchased compound cosmeceuticals which are mostly whitening and wrinkle-free products. Another point of this survey was the skin response (such as improvement in skin and skin problems) from using cosmeceuticals according to age and skin type. It was said that most young women had mixed skin type but old age group had dry skin type. Also there were more women who did not have skin problem (68.8%) after using comeceuticals than those who did. The kinds of skin problems were appearance of redness and spots on the exposed area within several days of using new products. Finally,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cosmeceuticals was generally high. The customers who had positive responses were mostly the older age group, the married women and consumers who had normal to oily skin type.

      • 金光燮詩硏究

        안혜경 祥明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이산 김광섭의 시세계와 그의 시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의도가 있다. 이산은 일제의 식민통치체제가 강화되던 30년대 후분에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40여 년간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였다. 뿐만아니라 주목할만한 작품들을 내놓아 우리 문 학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겼다. 그의 시를 보면 여러 단계의 변모과정을 드러내고 있는데 오랜 기간 문학활동을 하면서 변화를 거듭해온 이산의 작품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변모양상을 살펴보았다. 즉 각 시기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지배적 심상을 검토하여 분명하게 드러나는 시의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산의 초기시에는 그의 시가 개인의식에 침잠해 있 음을 보이고 중기시에서는 보다 확대된 집단의식으로 관심의 영역을 넓히고 있으 며 후기시에서는 문명비평의 문제가 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초기시에서는 식민지 당대의 암울한 현실을 비극적 세계로 인식하고 세계와 화합 을 이루지 못하는 자아와 세계 사이의 갈등과 모순이 표현되었다. 그는 개인의 세 계에 위기감을 느끼고 이런 위기감에서 벗어나고자 현실을 부정하고 자신의 내면 세계로 몰입한다. 지배적 이미지는 어둠과 좌절과 초월의 이미지로 개인적 자아의 폐쇄된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불모의 땅의 이미지는 비극적 세계관과 인간관을, 밤과 무덤과 산은 자신을 세계에서 단절시키려는 고립의식을, 시들어버리는 꽃의 이미지는 유한자의 한계를 시로써 표현하였다. 결국 현실에서 고립됨으로써 소외감 과 절망감에 시달리게 된다. 하늘과 바다로 초월하고자 하나 진정한 구원을 얻지 못하고 날개나 꿈의 형이상학적 문제에 집착한다. 중기시에서는 감옥체험으로 인하여 내부세계에서 외부세계로 눈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식민지하에서 고독하고 무력했던 자아는 해방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자아의 모습을 보인다. 즉 구속의식과 개방의 이미지로 공동체적 자아의 개방된 세 계로의 이행을 보여주고 있다. 구속의식과 공포를 드러내는 벽 이미지와 동시에 그 구속의식을 극복하고자 하는 무너지는 벽의 두가지 상반된 이미지가 보인다. 또한 6.25의 비극을 노래함으로써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과 조국애를 바탕으로 의욕적인 생명에의 의지를 노래한다. 따라서 중기시는 추상적 관념적 대상을 노래하던 초기 시와는 달리 현실을 집단의식으로 형상화하여 시로써 표현하였다. 후기시는 죽음을 눈 앞에 두고 재생의 의지로 허무의식을 극복하고 공동체의식으 로 인간과 세계와의 화해를 꾀한다. 이웃에 관심을 기울이고 소외된 계층의 문제,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한 환경파괴문제, 배금주의 등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불교의 윤회사상을 통하여 죽음을 화해롭게 수용하게 되며 아기는 삶과 삶을 이어주는 생 명의 이미지로 표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긍정적인 세계관을 획득하게 되고 노년 의 여유와 달관의 경지까지도 보여주게 된다. 이는 육신의 한계를 자각한 자의 존 재 탐구와 근원으로 회귀해가는 존재의 모습이 불교의 인연사상과 윤회사상을 통 하여 구체화되고 있다. 이산의 시는 현실 인식에 있어서 몇 단계의 변모를 거쳤지만, 궁극적으로는 ‘원초 적 공간’으로서의 고향과 ‘원초적 인간’으로서의 죄없이 태어나서 자란 본래적 인간 으로의 회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은 거의 30년이라는 시간적 격차를 두고 씌어진 아래의 시가 말해 주고 있다. 아카시아 어린 잎사귀가 피어나는 산모롱으로 나는 혼자서 혼자서 거닐고 있었다 그러나 나는 決코 혼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나는 亦是 혼자였었다 파랗게 돋아오르는 뜰 우에 松蟲이 떨어져 가고 먼 숲속에서 배암이 잔등을 쪼일 듯한 봄 正午 나는 無心코 한떨기 수집은 오랑캐꽃을 뜯어쥐었다 이 뿌리 없는 生命 앞에 나의 슬픔이 哀然히 깃들이고 있다. (「谷」1ㆍ2연) 장군은 칼이 되고 제왕은 능이 되고 부자는 울타리 되고 가난은 돌이 되고 모래가 되고 나는 구름이 되어 좋은 바람 만나 천리길 가리 무덤에 타는 풀잎에 비나 되리 (「죽어서」全文) 산은 집이다. 만물은 갈 때 산에 숨는다 눈이 하얀 봉우리에 신령님이 내려오셔서 조상을 불러 자손의 집에 인도하신다. (「茶禮」1ㆍ2연) 이산은 초기시「谷」에서 혼자이면서 혼자가 아닌, 송충이와 뱀과 꽃과 함께 사 는 공동체의 공간을 구상했고 30년 뒤에 쓴 시「죽어서」ㆍ「茶禮」에서도 산을 ‘사람과 모든 사물이 귀향하는 집’이라는 공간으로 수용하고 죽어서는 구름이 되어 다시 ‘무덤에 타는 풀잎에 내리는 비’가 되겠다고 했다. 이것은 바로 그가 추구한 이상세계에의 갈망이요, 타인(국가ㆍ민족)을 위한 희생정신의 표현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김윤식은 “그의 시가 새로운 각도의 지적인 시이기는 하나 30년대의 우리 시단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제시의 시”는 되지 못하고 당대의 암울한 상황에서 홀 1.김윤식,「시를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詩人」1970.2 로 고뇌를 극복하거나 자신을 구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시를 썼고 이와 같 은 현상은 그의 후기시「성북동 비둘기」에서도 같다는 말이다. 이 말의 진의를 수긍한다면 이산은 시를 통한 자기 구제와 인간애의 실천에 있었 고 시대에 따른 그의 현실 인식에 대한 몇 번의 굴절은 그의 시적 표현 방법의 변 형으로 봐야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그의 시에 나타난 지배적 심상을 분석해서 초ㆍ중ㆍ후기에 나타나 는 의식의 변모양상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문학작품이 개인의 순수한 창작 능력으로만 이루어질 수 없고 종족과 환경과 그 시대가 작가와 인간생활을 통치하고 모든 예술을 예속시키는 도덕적 이념을 결정 짓는 데 크게 작용한다는 H. 텐느(주:29참조)의 이론이 또한 위에 서술한 이산의 시의식 형성에 작용했으며(주:32. 33. 39. 41참조)이로 인한 이산의 입지 출세와 애국 정신의 시적 형상화는 결코 개인적인 애수나 절망이 아니라 인류나 민족ㆍ국 가ㆍ가족과 같은 공동의식체와 연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영국의 P. B 셸 리가 주장한 윤리적 이상사회에의 갈망이 제도의 혁신 보다는 인간의 양심을 개혁 해야 한다 는 이론에도 접근한다. 왜냐 하면 이산의 ‘시는 본래적인 인간에의 회복 에 있었고 또한 그와 시를 사랑하는 인간을 구제하는 일종의 방법이 있기 때문이 다. 본 고는 이러한 차원에서 이산이 살다 간 그의 생애와 연관된 그의 시 의식의 변모과정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밝힌다. 2. P. B 셸리, 강대건 역,「세계시인선 24」, 민음사, 1986, 11~12면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Yi San, Kim Kwangsup's poems and their characteristics. He steadily wrote poems about forty years from the latter part of 1930s under Japanese rigorous colony. H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ho produced some remarkable poems. As his poems made many changes during his long career, I have looked into the aspects of reality cognition in his poems. To put it differently, I have looked into the changes of po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repeated dominant images in each period. He was immersed in self-consciousness in his early poems, his middle poems described extensive group consciousness, and then he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of civilization criticism in the latter poems. A gloomy colonial reality was regarded as a tragic situation, and the conflict and inconsistence between an ego and the world around it were expressed in his early poems. He was absorbed in his internal world to deny the reality and get out of the crisis of his personal world. The dominant images - darkness, despair and transcendence - embodied the closed world of ego. He expressed barren land as an image for a tragic view of the world and tragic human relationships, night, bomb and mountain as isolation out of the world, and a withered flower as the limit of human beings. But the more he was isolated from reality, the more he abandoned himself to alienation and despair. He took refuge in the sky and the sea and, without true relief. he immersed himself in the metaphysical matters, like wing and dream. In his middle poems, his imprisonment made him turn his eyes from the internal world to th external one. And the lone and helpless ego under the depressing colony took up an animated attitude due to the Korea Independence from Japan in 1945. In other words, his poems in the middle period were toward the open world of community ego with the images of restraint and opening. There were two contradictory images - wall image which stood for restraint and fear, and collapsing wall image which symbolized the desire to conquer the restraint. He also recited the intense will of living in order to overcome the gloomy reality with patriotism, a tragic trace left behind the Korean War. He embodied reality as group-consciousness in most of his middle poems, while he was absorbed in the abstract notions in his early poems. In the latter period, on his death bed, he was eager to pull himself out of nihilism with the strong will of returning to life, and harmonized human beings and the world as a community. And he directed his attention to the neighborhood and the helpless, and sharply criticized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caused by the material civilization and mammonism. He accepted death harmoniously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compared a baby to life connecting living with living and at last got a positive view of the world and, in his old age, even the composure and far-sightedness. Ont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being who recognized the limits of flesh and blood and existential progress back to the origin were embodied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s Karma and transmigration. Even though' Yi San's poetry showed several stages of change in reality cognition, their underlying themes were ultimately the returns to hometown as 'primitive space' and innocent man as 'primitive human being'. Yi San dreamed of a community living together with worms, snakes, and flowers in his early poem「谷」, and 30 years later in「죽어서 」ㆍ「茶禮」he also thought of a mountain as the last destination of every man and every thing, and he said that after death he would become clouds and then rains falling on the grass leaves of grave. That represented his desire for utopia and his sacrifice for others( nation, race). Kim Yunsik pointed out that "his poetry was intellectual in new ways, but did not give new directions to the 30's poetic circles", and he wrote poems as the only way to conquer his agony and save himself. The same is true of his latter poem 「성북동 비둘기 」. If that is right, it can be said that Yi San's poetry lay in self-recovery and philanthropy, and several changes of his different reality cognition in each period were versions of his poetic expression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hanging aspects of his consciousness through dominant images in the early, middle and latter period. H. Taine's theory that literature can never be produced only by one individual creativity, and race, surroundings and time influence human life and absolutely determine the morality subject to all kinds of arts also worked in Yi San's poetic consciousness. His successful career and poetic embodiment of his patriotism are related not to individual pathos and despair but to group consciousness such as mankind, race, nation and family. That applies to the theory of P. B. Shelley that the moral utopia can be achieved by the recovery of human conscience rather than system reforms. Because Yi San's poetry is towards the return to primitive human beings and a kind of way to save himself and people who love hi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his poetic consciousness with relation to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