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지은행제도에 관한 연구

        안태현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지는 국토 환경보전과 국민의 식량공급의 기반이고 국민경제과 농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소중하고 한정된 자원이다. 따라서 귀중하게 보전되고 공공복리에 적합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동시에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소유·이용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농업소득의 감소, 농촌고령화, 도·농간 격차심화. 경작면적의 감소, 식량안보 불안 등 최근 농업환경의 변화들은 농지이념을 존중하는 농지관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부터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을 통하여 농지매매사업, 농지임대차사업, 농가경영회생지원사업, 농지매입비축사업, 농지연금사업 등 농지은행을 통한 농지관리 제도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H사태 등 농지를 이용한 투기가 여전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면 농지은행의 농지관리기구로서 역할에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농지은행의 한계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농지법 제정시점인 1994년을 기준으로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여 농지제도의 변천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내용적 범위’인 농지은행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농지은행 시스템,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를 검토하여 농지은행의 역할과 기능, 사업추진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농지은행의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유럽의 농업선진국으로 평가되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의 농지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3국의 농지제도를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농지은행제도와 비교되는 4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현대적 의미의 경자유전 원칙을 실현하는 것이다. 현대적인 의미의 경자유전 원칙이란 비농업인도 농지를 소유를 인정하되, 임대차를 통제하여 실질적인 농업인이 농지를 경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종합적인 농지관리기구의 존재이다. 3국 모두 농지관리기구 또는 농지제도의 역할과 범위가 독자적이다. 농지관리기구에 농지 선매권 또는 선임차권을 부여함으로써 농지투기를 원초적으로 근절하고 농지거래와 농촌을 안정시킨다. 셋째, 농지임차인의 적극적인 보호이다. 3국 모두 농지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가치를 지키기 위하여 임차농을 적극적으로 보호한다. 넷째, 농지관련 분쟁의 해결이다. 농지와 농업의 경우 타 부동산과 달리 특징이 존재하므로 3국은 농지관련 분쟁 전담기구를 통하여 농지분쟁을 해결한다. 농지법령의 변천, 농지은행의 현황, 선진국의 농지제도 사례를 종합 검토함으로써 농지은행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은 크게 4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 첫째, 농지은행사업을 통한 농지거래의 확대이다. 둘째, 농지은행사업의 선순환적 시스템 구축이다. 셋째, 현실화된 사업별 지원조건 강화이다. 넷째, 종합 농지관리기구로서 농지은행의 선도적 역할 확립이다. Farmland is the basis of the people's food suppl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environment, and is a valuable and limited resource that affects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the national economy. Therefore, it must be carefully preserved and managed appropriately for public welfare, and at the same time, it must be owned and us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roductivity. However, the decline in agricultural income, the aging of rural areas, and the widening gap between provinces and farms. Recent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e in cultivated area and unstable food security, make it more difficult to manage farmland that respects the ideology of farmland. Since 1990, Korea has been actively implementing farmland management systems such as farmland trading business, farmland rental business, farm management rehabilitation support business, farmland purchase stockpile business, and farmland pension business through the “farmland bank”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Nevertheless, considering that farmland speculation such as the L.H. crisis is still taking place, there seems to be a limitation in the role of the Farmland Bank as a farmland management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farmland bank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as of 1994, when the Farmland Act was enacted, the'temporal range' of the study was set and the history of the change in the farmland system was reviewed.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farmland bank, which is the'contents rang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farmland bank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farmland banking system and major statistics for agricultural, forestry, and livestock food.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armland bank, the farmland systems of Germany, France, and Switzerland, which are evaluated as European agricultural advanced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rmland systems of the three countries, we were able to derive four commo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farmland banking system in Korea. First, it i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trans-freedom in the modern sense. In the modern sense, the principle of light free ownership means that non-farmers can recognize farmland ownership, but control leases so that practical farmers can manage farmland. Second, there is a comprehensive farmland management organization. All three countries have independent roles and scope of farmland management organizations or farmland systems. By granting a preemptive right or a senior lease right to the farmland management organization, it fundamentally eradicates farmland speculation and stabilizes farmland trade and rural areas. Third, it is the active protection of farmland tenants. All three countries actively protect tenant farmers in order to preserve the value of efficient use of farmland. Fourth, it is the settlement of disputes related to farmland. Since farmland and agriculture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real estate, the three countries resolve farmland disputes through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disputes related to farmland.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hanges of farmland laws, the current status of farmland banks, and examples of farmland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farmland banks could be considered as four major. First, it is the expansion of farmland transactions through the farmland banking business. Second, it is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system for the farmland banking business. Third, it is the strengthening of support conditions for each project that has been realized. Fourth, it is to establish the leading role of the farmland bank as a comprehensive farmland management organization.

      • 네트워크 외부성 하에서의 기업의 최적제품차별전략에 관한 연구

        안태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Product Discrimination Strategy under Network Externalities A network externality, also known as demand externality, exists when the benefit to a consumer from a product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other users of identical, highly similar, or compatible products. Network externailities have been exploited in high-technology product markets for a long time. the literature on network externalities in these markets includes the use of penetration pricing, tolerance of piracy,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roducts, and product pre-announcements. Haruvy & Prasad(1998)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a monopolist may capitalize on demand network externalities by introducing a limited version of its product. They showed that there are condition under which a separating equilibrium exists, with two versions of a product sold to two different consumer classes. This paper has introduced the model of Haruvy & Prasad and extended to duopoly situation. There are incumbent which produces one good and entrant produces two version of a good. The diffence with the monopoly situation is the presence of switching cost. I have showed that product discrimination strategy of the entrant is optimal when switching cost is small, the number of high valuation consumer is large and low valuation consumer's utility from the consumption of a product is small.

      • 원심펌프 임펠러 깃의 출구각도 변화에 따른 성능특성

        안태현 崇實大學校 産業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펌프의 성능향상을 위한 최적 설계조건을 이해하는 이론적, 실험적 연구가 부족한 국내실정에 따라 펌프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임펠러 깃의 출구각을 20˚에서 30˚까지 2˚씩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임펠러 출구각 변화가 성능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설계의 표준 modeling화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연구는 임펠러의 외경 및 입구각도, 깃수, 흡입경등의 영향인자등은 변형시키지 않고 깃의 출구각 β_(2)만을 변형하였을 때의 규정송출량, 총양정, 축동력, 펌프효율, 흡입압력, 토출압력 및 회전수등의 특성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임펠러 깃의 출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총양정 및 축동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흡입압력은 22˚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토출압력은 22˚와 26˚가 각도변화에 따른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인 규정송출량 범위에서는 20˚와 22˚의 총양정이 설계치에 미달함을 알 수 있고 각도변화에 따른 최고효율 비교에서 20˚가 최고효율(71.8%)를 나타내고 축동력 은 정격출력(5.5kw)의 78.2%에 해당하므로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4˚, 26˚의 경우에는 규정송출량 대 총양정의 기준을 전체적으로 만족함과 동시에 축동력 역시 정격출력의 92.7%의 수준을 유지하고, 시험회전수도 규정회전수에 근접하고 있다. 28˚와 30˚의 임펠러에서 총양정의 특성은 기준에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축동력이 정격출력에 초과하거나, 너무 근접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6˚의 경우는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의 특성이 서로 상이한 결과로 이상상태를 나타내므로 전체적인 특성인자 항목을 모두 만족하는 임펠러 깃 출구각은 24˚부근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and develop a standard model designing impeller vanes of centrifugal pumps. The outlet angle of impellers imflences mostly the performance of centrifugal pumps. Thus it was examined how the change of the outlet angle influences the performance charateristics of centrifugal pump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let angle from 20˚ to 30˚. To find the optimal outlet angle it was analyzed how the characerstic parameters-specified capacity, total head, shaft power, pump efficiency, suction pressure, discharge pressure etc. were changed by varying the outlet angle without changing the other factors such as impeller diameter, entrance angle, the number of vanes, suction diameter etc. The result shows that the total head and shaft power are inclnined to increase as the outlet angle of impeller vanes grows, suction pressure increases except at 22˚ and discharge pressure has less relation with the outlet angle at 22˚ and 26˚. The total head at 20˚ and 22˚ of the outlet angles shows the unsatisfactory of design value in the range of whole specified capacity. The peak pump efficiency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the outlet is able to find out at 20˚ as 71.8%, but the only 78.2% of rate out put(5.5kW) shows to convert to the shaft power. In case of 24˚ and 26˚, both cases show that the shaft power keeps the level of 92.7% of the rated output and the test speed approaches the regular speed as well as satisfying the standard level of the specified capacity and total head. In case 28˚ and 30˚, the total heads satsify the standard level in general but the shaft powers exceed or too much approcah the rated output. The suction pressure and discharge pressure at 26˚ came out different results from standard level. Consequently it shows that the only impeller vane with outlet angle of around 24˚ satisfies the characteristics of all specified parameters.

      •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 차이에 관한 연구 : BBC와 CNN NEWS를 중심으로

        안태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usag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by investigating vocabulary choices between the British and the Americans in BBC and CNN News internet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come aware of the bilateral English differences and help in-depth learning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usages of English. First,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ivision of English into British and American dialects and the development of usag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based on a previous study.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 selected BBC and CNN new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use to find out the British and American usage differences in synonym. I extracted 50 synonyms from the different vocabulary which In Suk, Kim investigated in 2000, and examined the frequency. As the result, I found the British sometimes adopt American vocabulary gradually without a difference in meaning and the American adopt British vocabulary without changing meaning much less often while In Suk, Kim insisted that the British and American choose different usage. That is, the British chose American usage without changing meaning in BBC and the Americans chose British usage without changing meaning in CNN. 지금까지 문헌연구 자료들과 함께 BBC와 CNN NEWS에서 실제 영국인과 미국인의 어휘 선택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영어의 형성과 방언에서 우선 영국영어의 기원과 방언으로 449년 앵글로 색슨족이 영국 섬에 침입한 이 후 영국영어는 좁은 면적에 비해 지역적으로 방언의 차이 많았으며, 신조어나 철자 개혁 등에 다소 뚜렷한 보수적인 면과, 규범적이고 전통적인 성향을 띠고 있었다. 다음은 미국영어의 형성과 방언의 특징으로 1620년 제임스타운에 102명의 영국 청교도들이 착륙한 이후 새로운 미국적인 생활양식의 특수성, 여러 다른 민족과의 접촉, 진취적인 개척정신 등으로 말미암아 특이한 언어적 성격과 성장 발달 과정으로 인해 독자적인 특성을 가지면서도 영국에서 유행하고 사라진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는 보수적인 특성이 있었다. 미국영어의 방언은 그 사용 영역이 광활한데도 지역 간의 방언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동질성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BBC와 CNN NEWS에서 어휘 사용 분석을 한 결과는 양 방송뉴스에서 양국민의 어휘선택에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는 의미의 차이를 두지 않고 같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BC에서 의미의 차이 없이 같이 사용된 미국영어(private school, president 등 16개)들과 CNN에서 나타난 영국영어(estate agent, garden등 5개)들은 주로 해외 특파원들이 쓴 기사이거나 해외뉴스를 다룰 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BBC(영국영어와 미국영어가 같이 사용된 경우: public school/private school외 14개 어휘)는 CNN(미국영어와 영국영어가 같이 사용된 경우: real estate agent외 4개 어휘)보다 상대방의 방언을 의미의 차이 없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 방송에서 빈도수 조사에서 나타난 양 국민의 어휘선택상의 차이를 보면 BBC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어휘를 점차로 미국영어 어휘와 의미 차이를 두지 않고 같이 사용하고 있었다. CNN은 어휘선택에 있어 일부는 영국영어 어휘와 의미 차이 없이 같이 사용하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어휘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BBC뉴스에서 의미에 구분 없이 같이 사용했던 동의어들 중 빈도수가 높았던 어휘(‘경찰관'의 constable과 police officer, ‘사립학교'의 public school과 private school, ‘육상경기'의 athletics와 track and field)들을 더 이상은 영국영어와 미국영어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방언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조사결과로 김인숙(2000)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두 방언간의 어휘사용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고 하고 있으나, 필자가 2008년 7월 두 방송사에 뉴스를 보고 분석한 결과는 두 방언간의 어휘사용에 있어서 큰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를 카바하는 최근의 BBC, CNN 등 방송의 영향과 인터넷의 발달로 TV, 영화, 신문 등을 양 국민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된 점이 양 방언의 어휘선택에 있어서 차이점을 좁혀진 결과로 해석된다.

      • 비가시적 관계의 Network System과 그 상호작용을 위한 작품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안태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누구나 살아가면서 ‘관계’라는 것을 형성한다. 사회가 존재해 오는 내내 사람들은 끊임없이 관계를 맺어왔고, 이는 한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요즘 같은 복잡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관계의 중요성은 한 번 쯤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대인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대인관계라 함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이는 정체성의 확립과 건강한 성격발달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너무 쉽게 지나치거나 단순하게 치부해버린다. 사람 사이의 관계 이외에 사람과 사물, 사람과 공간 사이에도 관계는 존재한다. 이러한 관계라는 것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인식하고는 있지만, 추상적이고 비가시적이기 때문에 쉽게 간과해 버리는 것이다. 관계는 실재와 가상의 경계에 존재한다.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고 있으며, 모두가 인식하고는 있으나 분명하게 정의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관계는 애매모호하다. 그러나 흑과 백 사이에 무수한 회색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관계는 실재와 가상 사이에 무수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관계들을 시각화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작품에 투명 테이프나 아크릴, 빨대를 재료로 사용한다.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작품은 빛의 여과로 작품 너머의 형상까지 보이게 된다. 이는 관계가 비가시적으로 존재함이 재료들의 투명한 속성으로 표현됨으로써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고 있음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투명한 재료들이 하나하나 겹쳐지면서 하나의 면이 되고 입체가 된다. 그것은 관계를 맺고 있는 수많은 것들이 겹쳐지고 겹쳐지면서 양파 껍질과 같은 복잡하고 중층적인 구조를 이루는 사회라는 그물망을 형상화한다. 미국의 생태학자 V.E. 셸퍼드가 1913년에 처음으로 먹이연쇄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종(種)의 먹이사슬을 도식화하였던 것처럼, 사람, 사물, 그리고 공간과의 총체적 관계를 도식화하여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화 하여 시각화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Study of Representation for Invisible Relation Network System and the Interaction -Focused on the author's works- Ahn, Tae-Hyun Sculpture major College of fine arts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Everybody form relations as they live. People have made relations with others from the beginning of society, an essential part of life for every social individual. We live in contemporary society, which should make us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relations once in a while. Most people are interested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raction with other individuals. This is crucial for a person to establish his identity and develop a sound personality. Although many recognize its importance, they easily ignore and regard it trivial. Relations also exist between humans and objects and space. We acknowledge such relation, yet overlook it because it seems abstract and invisible. Relation is at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t is there although intangible, and everybody knows of its existence, though nobody can clearly define what it is. In this sense relation is a vague concept. Nevertheless, as there are various gray colors between black and white, relation exists in diverse form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order to visualize such relations, duck tape, acrylic, and straws were used in this project.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e transparent materials, the opposite side is revealed. This shows the configuration of relation by visualizing its existence using the materials' transparent traits. Adding many layers of these transparent materials form a surface and make it three dimensional. Piling of these layers of objects that are related to one another illustrates the complicated and pivotal structure of society like the peelings of an onion. As ecologist V. E. Shelford first depicted the food chain of the species we know about in 1913, this works aims to illustrate the overall 'relation network' of humans, objects, and space.

      • 驛村 民俗의 傳承基盤과 特徵

        안태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Yeok(驛, relay station or post horse) had been included within an administrative system in Joseon era. The Yeok afforded important roles in three points; e.g. first, a place for transmitting royal commands and official documents between a center and localities; second, for transporting public supplies; and, third, amenities to support envoys’ coming and going. The Joseon government thus constructed a political structure in the Yeok station in order to maintain a highly-centralized system of government. First, it organized residents for the Yeok, called Yeok-min(驛民, residents in relay station villages). Most of people were composed of those who lived nearby in the center of the Yeok. Then it offered a compulsory role of labor to them, called Yeog-yeok(驛役). As a result, the Yeok was completed as a village, named Yeokchon(驛村, relay station village). It is said that the Yeokchon existed over 500 villages in the Joseon tim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 special community founded on an administration system, called Yeokchon. In the meanwhile, most Korean folk researchers have not noted a community town named Yeokchon. They have not noticed all the more so becaus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villages were watered down, as its administrative system on the relay station for post horses has fallen into desuetude since 1896. So, we figure out that we have not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communal features of the Yeokchon which existed as special villages in a traditional society. This study thus is supposed to search for the folk cultures related to Yeokchon with a topic “Yeokchon Folklore, Its Inheritance Foothold and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ther general village communities, grand-scale copious folklores in the Yeokchon have bee passed down. In the result of field surveys, that of Yeokchon, apart from its inherent administrative system, had an independent organization such as Gye(契, mutual-aid societies). The Yeokto(驛土, landed estates owned by relay station villages) which takes on the character of public goods plays a role as an economic base. Its autonomous organization and lands can be seized upon as the systematized and economic root of the Yeokchon folklore. Dongje(洞祭, village-god worshiping rituals) and Byeolsingut(or Byeolsinje, 別神祭, shamanist rituals for a community god) were popular rituals to represent the Yeokchon as its folklore, while Jul-danggigi(a tug-of-war, one of annual formal events to pray for a good harvest and the peace of a village community) and Dongchae-ssaum(a combat carriage game which uses trapezoidal log frames known as Dongchae composed of long logs tied together with straw rope) are among one of representative group plays, and they are also referred to as Daedong-nori(group plays). In the result of the field surveys, the Dongje in the Yeokchon takes a shape of Dadang(多堂, multi-halls) in the middle of Madang(馬堂, a ceremonial hall of horses) in a spatial perspective, and includes several components related to horses. To manage Yeokno(驛路, postal road) effectively, the inhabitants in the Yeokchon wish horses good health, and locate their shrines in the four cardinal points to enhance harmony and balance by adjusting insufficient part or excessively strong part of land, known as Bibo(裨補). The Byeolsingut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Jangsi Yeokchon and Yeokchon held along the eastern coast and interior land, and the Jangsi here means a place for the act of trad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It also subsumes a character of Jijinje(地鎭祭, festive occasions to pray for the security during construction works) in order to press down bad energies which come from the outside due to lots of traffic density. The Daedong-nori in the Yeokchon was a folklore group play in Korea placed under the participation and patronage of a great many people. Jul-danggigi also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plays among the group games. Jul-danggigi, in particular transmitted into the Yeokchon, is one of the most grand-scale plays. Yongho nori in Suan-Yeok and Dalhyo-Yeok was a typical play of the group plays. Dongchae-ssaum has been held only in the relay station villages of Angi-yeok, Geumso-yeok, Angyo-yeok, and Ongcheon-yeok, located in Andong area, Gyeongsangbukdo Province, while Dalbong-ttwigi as a particular group play also has revealed the disposition of the Yeokchon. The folklore transmission in the Yeokchon has been very active although the number of Yeokchon is extremely limited as compared with the total number of villages, and the continual activities have reflected a freewheeling and ingenious lifestyle of station people. Both robustness on a systematized underpinning and stability on an economic groundwork likewise enable the transmission of the Yeokchon folklor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조선시대 행정체계 속에는 역(驛)이 있었다. 역은 중앙과 지방간에 왕명과 공문서를 전달하고, 공공 물자를 운송하며, 사신(使臣) 왕래에 따른 편의를 제공하는 곳이다. 국가에서는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역의 소재지를 중심으로 역민(驛民)을 편성하고 역역(驛役)을 부여하였는데, 이들이 마을을 이루어 거주하는 곳이 역촌(驛村)이다. 조선시대에는 500여개의 역촌이 있었다. 행정체계를 바탕으로 한 특수공동체로서 역촌이 본 연구의 대상이다. 그동안 한국 민속학계에서는 역촌이라는 공동체에 주목하지 않았다. 1896년 역참(驛站) 제도가 폐지되면서 역촌의 역할과 기능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통사회에 있어서 특징적인 마을로 존재했던 역촌의 공동체적 성격이 규명되지 못한 것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에서는 ‘역촌 민속의 전승기반과 특징’이라는 주제로 역촌의 민속문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일반 마을공동체와 비교했을 때 역촌에는 대규모의 풍부한 민속이 전승되고 있다. 현지조사 결과 역촌에는 고유의 행정체계 외에도 계(契)와 같은 자치적인 조직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공공재화의 성격을 띠는 역토(驛土)가 경제적 기반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역촌의 자치조직과 역토는 역촌 민속이 연행될 수 있는 조직적·경제적 기반으로 파악된다. 역촌의 대표성을 띤 민속으로는 동제와 별신굿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신앙, 줄당기기와 동채싸움으로 대표되는 대동놀이가 있다. 조사결과 역촌의 동제는 공간적으로 마당(馬堂)을 중심으로 한 다당(多堂)구조의 형태이며, 말과 관련된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효과적인 역로의 운영을 위하여 말의 건강을 기원하며, 사통팔달의 지리적 환경을 극복하고자 사방에 당집을 두어 비보(裨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별신굿은 장시 역촌과 동해안 및 내륙의 역촌에서 전승되었는데 많은 교통량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진압하기 위한 지진제(地鎭祭)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역촌의 대동놀이는 구성원 대다수의 참여와 후원 아래 연행되는 민속이다. 줄당기기는 한국의 대동놀이 중에서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종목이지만 특히 역촌에서 전승되는 줄당기기는 규모가 크고 다양한 앞놀이가 전승되고 있었다. 수안역과 달효역의 용호놀이가 대표적이다. 동채싸움은 안동지역의 안기역과 금소역, 안교역, 옹천역 등 역촌에서만 전승되는 대동놀이이며, 남정리의 달봉뛰기 역시 남정리만의 독특한 대동놀이로서 역촌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역촌은 전체 마을 수에 비해 지극히 적은 수지만 민속의 전승은 매우 활발하며, 연행의 구현에 있어서도 역민들의 분방함과 독창적인 면이 반영되고 있었다. 역촌 민속은 역촌이 지니고 있는 조직적 기반의 견실성과 경제적 기반의 안정성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전승 가능했다.

      • 행정자료를 활용한 조사방법 개선 방안 연구 : 광업제조업조사 중심으로

        안태현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조사방법 개선방안 연구로 광업제조업조사 중심으로 효율적인 행정자료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기준 광업제조업조사 중 단독법인에 대하여 법인세 자료와 조사자료 간의 일치성 검토를 위해 RMSPE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체의 출하액, 급여액, 주요생산비, 유형자산, 재고액 등 5개 항목에 대하여 일치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 전체로 볼 때 각각 항목에 대하여 법인세 자료가 조사 자료로 대체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업 중분류별로 볼 때 RMSPE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음료, 담배, 인쇄 및 기록매체 등은 자료정제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그 외 산업 중분류는 우선적으로 자료대체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회사법인에 한해서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총계 등을 대체용으로 활용하는데 그쳤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단독법인의 법인세 자료가 조사자료 대체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좀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법인세 자료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면 사업체 응답부담 경감 및 조사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ata compilation methods through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 Specifically analysed in the field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Survey - Taehyun Ahn Master's Program in Quality Policy Studie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dvised by Professor Seohoon Jin Abstract This i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rvey method with administration data, and aims to propose the efficient and practical ways of utilization focused on Mining & Manufacturing Survey. The RMSPE method is used in order to review how it match up between the data sampled from the corporate tax data of the Sole Corporation list and surveyed data, which are from Mining & Manufacturing Survey executed in 2013. And the degree of accuracy of 5 items such as Value of shipments, Wages and salaries of employees, Major production cost, Tangible assets, Inventories is analyzed. Overall, it is considered that corporation tax data is good enough to substitute the survey data in the whole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it needs revision of some data to mid-level classification which results relatively high in the RMSPE. It shows that especially Beverages, Tabacco and Printing & reproduction of recorded media require revision to substitute the survey data. The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except 3 mentioned above, it seems to be possible being replaced with corporation tax data. Until now, only corporate enterprises, Capitals, Capital-surplus, Capital total values have been used as a partially. This paper shows that corporation tax data is suitable for making use of not only company Corporation but also Sole Corporation. If we can take advantage of a wide range of tax data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duce the response burden and survey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