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자주택의 주거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노인복지주택을 중심으로

        안준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국의 고령자주택은 제도상으로 주택법에 근거하기 때문에 주택의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노유자시설에 포함되어 정책적으로 복지적인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는 주로 주택의 공급자적 관점을 통해 이루어져왔지만, 거주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차 주택의 수요자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노인주택정책은 복지적 관점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노인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택수요와 연관되는 유료노인복지주택과 복지적 수요에 대응하는 무료노인양로시설 간의 부대시설, 임대료, 서비스, 주거 공간밀도 등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고령자주택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의 고찰을 통해, 일본의 고령자주택은 이미 탈 시설화, 지역별 특성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내ㆍ외부적 무장애화, 개인의 경제상황과 건강상태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주택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러한 특징이 노인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많아 노인에게 혼란의 여지가 있으며, 신체적 ․ 정신적ㆍ경제적인 상황에 따라 주거지를 이동하는 불편이 야기 될 수 있다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일본의 제도적 고찰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 서울시에 위치한 고령자주택의 관리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해 고령자주택의 주거환경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 앞서 2008년 복지패널에서 집계한 자료 중 서울시에 거주하는 60대 이상, 기초생활수급대상자를 제외한 집단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의 하위요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삶의 질에 관한 모델은 RMSEA 값이 0.076으로 수용 가능한 자료적합도를 보여주었다. 주거환경, 경제적 요인, 건강은 삶의 질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교류요인은 기각되었다. 이 외에도 경제적 요인과 주거환경, 건강 요인은 한쪽이 나빠지면 악화될 수 있으며, 경제적 요인이 좋아지면 사회적 교류와 삶의 질이 증진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실증분석에서는 서울시 내 위치한 고령자주택을 선정해, 고령자주택의 관리 및 운영자의 인식도 차이와 주거환경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관리 및 운영자의 인식과 주거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쾌적성 요인 중 주거지 밀도, 둘째, 안전 및 방범 요인 중 의료시설 인접도, 셋째, 무장애화 요인 중 휠체어가 이용가능한 복도, 넷째, 건강증진 요인 중 체육시설의 유무, 체육 프로그램의 유무, 다섯째, 편의 증진요인 중 인접한 문화시설 유무 항목에서 운영 및 관리자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삶의 질 모델을 통해 고령자주택의 주거환경적 특성은 거주하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운영 및 관리자의 인식에 따라 주거환경은 변화될 수 있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구축한 노인의 삶의 질 모델 분석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적 특성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제적요인ㆍ안전 및 방범ㆍ건강요인ㆍ편의요인에 비해 동 주거지 내ㆍ외 사회적 교류정도는 거주자의 삶의 질에 관한 영향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고령자주택의 거주자가 단독가구 또는 부부가구이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 증진, 안전 및 방범에 대한 요인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회적 교류보다 외부인을 통제하려는 요구가 많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요인ㆍ안전 및 방범ㆍ건강요인ㆍ편의요인 중 주거지밀도, 휠체어 사용가능 유무, 체육시설 유무 및 체육프로그램, 인접한 문화시설 유무 등의 요인을 고령자 본인의 상황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다면,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거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lderly hous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because based on housing law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started from the aspect of welfare in Korea, due to including elderly and children facilities. A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aged has been research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provider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analyze on the consumer side, because there is a rising interest Quality of Life(Q.O.L) of residents. But, housing policies for elderly in Korea still remains on the aspect of welfare , that does not reflect the need for the elderly. Also,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user-charged residence for the aged related to housing demand and free residential facilities associated with demand for welfare such as, additional facilities, rental fee, services, residential density and so on. The elderly housing of Japan has the properties of deinstitutionalization, regional specialization, user-centric service, internal․external barrier-free and capable of variety choices based on economic situation, health status through institutional and political review. However,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to move residence depending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they are confused by much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institutional review and case study in Japan.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affect to Q.O.L of elderly through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to manager and operator of senior housing.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sub-element of Q.O.L of the aged over 60 living in Seoul, which complied from the welfare panel 2008, except for basic living pensioner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Q.O.L model shows acceptable fit to RMSEA value 0.076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and the improving health factors are correlated with Q.O.L. Those could be worse if one was bad. But social interaction factors were rejected. In addition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factor and Q.O.L, if economic factors get better. This study, in the empirical analysis conducts cross-analysis between recognition of manager and operator of elderly housing in seou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empirical research is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t perception among managers and operators. The first, residential density of amenity factors; the second, proximity to medical facilities of safety factors; the third, corridor for wheelchairs; the forth, the availability of sports facilities and athletic programs within improving health factor, and last, proximity to cultural facilities of enhancing convenience.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affected the residents of Q.O.L by using Q.O.L model and chang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recognition of managers and operators. In conclusion, social interaction factors have a little effect on Q.O.L compared with economic, safety and improving health factors. The reason why they want to enhance the safety by controlling the outsiders, is that the residents of senior house are mainly single or married couple households. As a result, if the aged can select their status fitted ; residential density, availability to sports facilities and athletic program, proximity to cultural facilities of economic, safety, enhancing health, and improving convenience. It would be able to build residenti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Q.O.L of the aged.

      • IMU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반려견의 행동 인지 실험

        안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반려동물 산업의 매출 규모도 연 평균 10%이상 급성장 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반려동물 주인들의 바쁜 일상 때문에 동물과의 교감이 힘든 실정이다. 반려동물 양육 시 갖는 고민은 동물을 혼자 두고 외출이 힘들다는 점이다. 외출 시 혼자 남게 될 동물들의 건강 및 식사 문제, 운동량 변화 및 스트레스 증가에 대한 우려가 높다. 실제로 혼자 남겨진 동물들은 사람과의 부족한 교류로 인해 분리불안, 우울증과 같은 증상들이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반려동물 산업은 건강관리, 위치추적, 원격 케어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다. 동물산업과 ICT를 접목시킨 새로운 서비스들이 각광받고 있고, 사람들은 이러한 서비스들을 통해 반려동물들과 소통하고 싶어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와 교감을 위한 첫 단계로, 반려견의 행동 인식에 중점을 두고 연구 방향을 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반려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작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행동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반려견에 착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반려견 행동 인식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앉기, 걷기, 뛰기, 엎드리기, 옆으로 눕기, 위를 보고 눕기 등 총 6개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각 동작에 따른 목 위치 및 각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분류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세를 분류한 후 모바일 시스템으로 보낼 수 있도록 제작된다. 모바일 시스템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분류되어 수신된 값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다시 한 번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로 변환한다. 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주게 된다. 반려견 행동 인식 실험은 총 세 단계로 진행한다. 대조군 실험견에 착용시켜 데이터를 각 동작으로 분류 및 처리하기 위한 1차 실험과,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동작을 확인하는 2차 실험, 그리고 실제로 가정에서 키워지고 있는 실험군 반려견에게 착용하는 3차 실험으로 진행한다. 제작된 반려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진행한 실험을 통해 보여진 행동 인식 방법은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운 행동 변화를 보다 쉽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반려동물 분리불안 증상의 빠른 발견 및 건강 관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recent years, the number of household with pe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s the result, the size of pet industry’s yearly revenue also shows a radical growth. However, due to the busy schedule of the owners, pets have hard time communicating with them. One of the biggest worry of the owner is leaving their pets alone when going out of the hous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concern about the health and feeding problems, a change in exercising pattern, and an increase in stress of those pets that are left alone in the house. Pets that are often left alone in the house lack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therefore show symptoms for separation anxiety and depression. To overcome such problems, the pet industry is now focusing its development in the pets’ healthcare, location-tracking, and remote-caring systems. As services that combine pet industry and ICT are being spotlighted, people are willing to communicate with their pets using such services. In this research, we selec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pet’s behavior recognition as the first step to the healthcare and communication of pets. We specifically focused on researching and building a wearable device for a canine to send and analyze received data to sense actions taken by the canine, and proceeded by putting the built device on a trained canine. This wearable device for the canine’s behavior recognition can sense up to six actions including sitting, walking, running, lying down, lying sideways, and lying back. The device senses the location and the angle of the neck, compares them to the classified data to classify the action, then sends the analyzed data to mobile system. The mobile system then analyzes the received data points and converts the data into an image to be accurately shown to the user. This image is live and is shown to the user. Canine’s behavior recognition experiment is proceeded in three steps: first experiment that classifies and analyzes the data after putting the device on the participating canine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 that enters the analyzed data to assure correct actions, and third experiment that collects data from the real pet canin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The behavior recognition method shown in the experiment using the built canine wearable device is capable of recognizing the complicated change in behavior more effectively than the human is, and therefore is anticipated to apply the same method for fast detection of separation anxiety and health care of canine.

      • 사기죄의 기망행위에 대한 검토

        안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가 발달하고 거래관계가 복잡해지면서 타인을 속여 이득을 취하는 사례도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거래관계에서 손해를 본 사람들은 사기당했다고 생각하고 수사기관에 고소하지만 거래상대방을 속이는 모든 행위들을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판례는 기망행위가 거래상 신의칙에 반하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다고 할 뿐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고, 채권자들은 민사상 소를 제기한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경제적으로 변호사 비용 등을 지급해야 하므로 단순 채무불이행 건도 모두 사기죄로 고소하고 있다. 본 논문은 수사기관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수사와 피고소인들의 시간적·경제적 낭비를 막기 위해 판례가 기망을 판단하는 구조를 분석해 사기죄의 기망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간디학교의 대안교육 가닿기:산청 간디고등학교 문화기술지 연구

        안준영 건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산청 간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문화기술지 연구이다. 간디학교는 90년대 중반 대안교육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그 결과 최초로 문을 연 전일제 대안학교라고 할수 있다.

      • 한국의 노동정치 형성에 관한 연구 :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안준영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에서 1987년 민주화 항쟁이후,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전개된 노동정치의 형성과정을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동계급이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창립과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을 통해 정치세력화하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원내 정치세력으로서 전개한 일련의 정치활동 과정을 분석했다. 본 논문의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을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능한 실체적으로 노동정치의 흐림을 읽으려 노력하였다. 노동자 정치 세력화에 관한 일반 논문, 서적을 참조하였으며 관련 단체를 직접 방문하여 민주노총 정치위원회 및 관련 집행간부를 직접 면담하였고, 민주노총 정책자료집과 각 단체의 사업보고, 유인물 및 정기 간행물을 분석 검토하고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서 민주노동당 의원들의 입법의안을 찾아 정리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87년 6월 시민항쟁과 노동자대투쟁 이후 전국의 노동자들이 전노협을 건설하고 민주노조운동을 대표하는 민주노총을 창립함으로써 정치세력화에 성공했으며 이를 계기로 비로소 노동정치가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1996년까지도 노동자계급의 정치세력화는 소극적이었다. 이후 노동법의 날치기 처리와 총파업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정치세력화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자 1997년부터 민주노총의 적극 지지를 받은 진보정당인 국민승리21이 결성되고 이어 민주노조운동 진영과 민주노총이 주축이 되어 2000년 민주노동당을 창당했다. 다음에 민주노동당의 창당으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10석의 의석을 확보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제도권 정치에 진입한 노동자 계급은 사회적 약자를 비롯한 소외 계층과 관계된 많은 현안을 입법화했다. 또한 대통령 선거와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노동계급정당으로서의 민노당의 존재를 알리고 실제 노동계급을 대표하는 정책 활동으로 기존 정당정치에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의 노동정치는 역사가 일천한 관계로 계급과 이념에 치중한 점도 있지만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 발전되었다. 앞으로 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노동정치가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주노조운동 진영과 진보세력이 단결하여 계급의식과 이념에 치우쳐 파업과 투쟁만으로 점철된 과거를 청산하고 대중과 함께 대동하는 노동정치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 심볼마크의 기호학적 분류에 따른 기능복합이론의 유형별 평가의 관한 연구 : On-line, off-line 각각 상위 20대기업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안준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 있어서 정보의 확산은 대중매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과거에는 언어에 의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하였지만 문자의 생성과 인쇄 의 발달로 인해 문자체제를 통한 대량 유포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실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됨으로써 정보의 형태를 주로 읽는 정보에서 보는 정보로 바뀌게 되었고 다양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과 미디어의 확산으로 국제적인 시각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요구로 인해 시각언어의 일종인 심볼마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초기의 심볼마크는 자연물을 기호화하여 사용하다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다양 한 문화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지금의 상징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국제화에 따른 언어적 기호의 한계성이 나타나면서 인간은 수많은 기호체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편승하여 심볼마크는 이미지 정보로서의 중요한 상징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의 시각커뮤니케이션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시각적 기호를 통한 상호 의사전달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시각적 기호를 만들게 되었고, 이러한 시각기호는 단순히 전달의 개념에서 발전하여 의미와 정 보의 생산과 전달의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것은 기호학의 발달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심볼마크는 기호와 상징의 대표적인 비언 어 커뮤니케이션으로 규정 지울 수 있으며, 정보전달의 핵심적 전달수단으로 볼 수 있다. 심볼마크는 기업 또는 단체가 그들의 이념과 존재를 명확하게 해주는 중요 한 핵심요소의 하나이며, 조직적 일체감을 심화시키고 기업과 고객간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의 시각기호이다. 기업의 주체적 정보전달 수단인 심볼마크는 소비자에게 기업의 이념과 존재를 상징화시켜 커뮤니케이션하고 그로 인해 소비자에게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쉽고 강한 메시지를 표현해야 하며, 기업은 소비자 행동유발을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서 기호화 할 것인가를 계획하여야 한다. 이러한 심볼마크의 의미 전달은 기호학적 접근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요소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퍼어스(Charles Sanders Feirce)의 기호학 3원론에 의해 기업의 심볼마크를 도상, 지표, 상징의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심볼마크의 성격 과 의미를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의 기능복합체이론에 근거한 용도, 필요 성, 방법, 심미성, 연상, 목적지향 등의 6가지 기능으로 심볼마크를 분석하여 기업의 성격과 이념에 의한 효과적 전달매체로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각기호 로서의 정보전달매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심볼마크 제작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wide spread of inform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modem society. Although people conveyed and shared information by the means of verbal communication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characters and printing technology enabled precise and mass communication through printed words. Nowadays, the realiz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communication has replaced text information with visual information allowing faster and more precise sharing of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wide spread of media brought out the need for international visual language, and symbol marks have appeared as a solution. Symbol marks, in their early stage, were made by symbolizing the shapes of natural matters, and various 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hrough time has set up current symbol system. As globalization revealed the limitation of verbal signs, people have created diverse symbo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helped settlement of the system and the acceptance of symbol marks as important image information. The visual communication of today's world may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via the means of visual symbols. Visual symbols are crea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these symbols have developed from the simpl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meaning, which means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in this sense, the symbol marks can be defined as the typical non-verbal communication of symbols of sign., and the core mechanism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A symbol mark is one core elements that clarifies the ideology and existence of a company or an organization. It can also be defined as a visual identity that unifies an organization and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 its customers. Therefore, a symbol mark, which is subjective communication tool of a company, should communicate to the customers the ideology and existence of a company in a symbolic from expressing simple and strong message to call them to action. A company should then plan how to symbolize its ideology and existence in order to induce the actions of customers. This non-verbal communication mechanism of the symbol marks may be analyzed by semiotic approach. The Symbol mark's semiotic meanings and the modeling elements may be analyzed objectively. Corporate symbol marks were classified by patterns and the symbolic meanings implied in them according to Charles Sanders Peirce's three rules of semiotics in this thesis. The corporate symbol marks were classified even further by their six functions of use, need, method, aesthetics, association and telesis on the basis of Victor Papanek's theory of Complex functional forms. These classifications were made in attempt to set a more detailed and professional direction of symbol mark, and to suggest a new production direction of a symbol mark which can funct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dium representing a company's character and ideology.

      • 트위터 아이돌 팬덤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태도, 주관적 규범을 중심으로

        안준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a survey of 170 K-pop fans using Twitter as a primary platform for fan activitie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ocial capital can be associated with engagement in fandom activities. A pilot interview was conducted to see how K-pop fans are using Twitter for their practices as fans, based on which the questionnaire was written.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fans and their activities should be observed in more detail especially regarding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fans, as well as their own attitudes and practices. 본 연구는 트위터라는 특정한 소셜 미디어 환경을 배경으로 태도와 주관적 규범 및 사회적 자본이 팬덤 활동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팬들의 유형 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인터뷰를 통해 트위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팬덤 활동과 팬들 간 관계맺기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트위터와 팬 커뮤니티를 통해 팬덤 활동을 위해 트위터를 활용하는 170명의 팬들을 모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수집,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팬덤과 팬 활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팬 활동에 사회적 자본과 같은 타인과의 관계성 변인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통해 팬 활동을 일종의 ‘사회적’행위로서 접근할 수 있을 가능성 또한 제시하였다.

      • 초기중견기업의 기술혁신활동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경제는 1970년대 이후 유례없는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중소기업간 임금격차 및 생산격차는 OECD 국가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중소·중견기업의 육성 정책이 활발이 도입되고 있다. 그 중 중견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서 핵심 가교 역할을 수행함으로 경제적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고 혁신기업과 신생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한 경제 구조와 임금 및 생산성 격차를 해소하는 기업생태계를 조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 특별법(2014년)에 근거하여 중견기업을 정의하고, 성장단계를 초기중견기업과 일반중견기업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국내 중견기업의 현황 및 초기중견기업이 갖는 특성과 기술혁신활동특성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중견기업 특별법(2014)에 근거한 최근 5년간(2012년~2016년)의 중견기업 패널데이터로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시된 영리법인 기업체 행정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초기중견기업 정의에 따라, 2016년 기준 총 4,014개의 중견기업 중 2014년~2016년 사이 중견기업으로 전환한 기업을 초기중견기업으로 구분하고 분석을 위해 필요한 기본 재무제표 데이터가 관측되지 않은 기업을 제외한 3,937개 기업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한 종속변수로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Return on Sales; ROS)과 성장성을 판단하는 매출액증가율(Growth Rate of Sales; GRS)을 활용하였다. 중견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업 규모, 기업 업력, 상장여부(더미: 상장 1, 비상장 0)와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의 특성을 나타내는 R&D 집약도 변수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전체중견기업의 기술혁신활동특성은 ROS 및 GRS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제곱항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일정수준이 지나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중견기업의 기술혁신활동특성의 경우 ROS 및 GRS에 대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일반중견기업의 기술혁신활동특성은 ROS 및 GRS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제곱항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일정 수준이 지나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중견기업과 일반중견기업의 진입시점에 차이가 있는 바, 성장단계로 구분하는 경우 초기중견기업은 초기, 일반중견기업은 성장 및 성숙기에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초기중견기업이 중소기업 졸업 후 직면하게 되는 규제 등의 부담 완화를 위하여 유예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셋째, 1~3년차 중견기업에 적용되던 세액 공제 및 세액감면의 조세특례제한법 등의 혜택 또한, 중소기업 졸업유예 기간이 끝난 1~5년차 중견기업으로 적용기간을 늘림으로 중견기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unprecedented growth since 1970s, but the wage gap and production gap large enterprises and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the largest among OECD countri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large enterprises.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to foster SMEs and MLEs(medium-large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Act on Promotion of Win-win Cooperation for large enterprises and SMEs. Above all, MLEs play a key role as a bridge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They solve the problems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create an economic structure that enables continued growth of innovative companies and start-ups and a corporate ecosystem that closes the wage and productivity gaps. In this study, a MLE i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Special Act on MLE(2014) and is divided into early and middle growth phases. And the analyzation of the status of M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LEs in early stages and i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is provided as a basic refere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2012 to 2016) panel data for MLEs based on the Special Act on MLE(2014). The administrative statistics data of commercial enterprises disclosed in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 (KOSIS) is collected and utilized. Under the definition of early-stage MLEs, among a total of 4,014 MLEs as of 2016, the company that switched to MLE between 2014 and 2016 is classified as early-stage MLEs. Amount of 3,937 MLEs was ultimately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those that did not have required financial data. As a 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Return on Sales(ROS) is used as a measure of profitability, and Growth Rate of Sales(GRS) to determine growth.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MLEs as a independent variables are size, age, the listing status and R&D intensity,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MLEs’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of the entire MLEs have negative effects on ROS and GRS, but the squared activity has positive effects, indicating an increasing trend after a certain level.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in early-stage MLE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OS and GRS. While that in middle-stage MLEs have negative effect on ROS and GRS, the squared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which tended to increase after a certain level.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ntry point of the early-stage and middle-stage MLEs, MLEs in early stage are classified as initial phase and MLEs in middle stage are classified as growth and maturity phase according to a growth phas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race period from three years to five years in order to ease the burden of regulations faced by early-stage MLEs after graduation from SMEs. Third, it is believed that the benefits of the tax deduction and the tax exemption applied to MLEs in the first to third years should be increased to 1st to fifth years after the grace period for graduation of SMEs.

      • 회전익 항공기 감항인증을 위한 category A 적합성 입증용 M&S에 대한 연구

        안준영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송급 회전익 항공기의 감항인증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카테고리 A의 적합성 입증을 위한 기준으로는 미국 FAA의 감항인증 요구조건인 파트29[19]가 존재한다. 국내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을 위해서는 실제 비행시험을 통해서 주요 요구성능을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Advisory Circular[18]등 인증기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비행시험만으로 보여주는 것은 인증 프로그램의 시간 및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파트29에서는 내삽 및 외삽, 그리고 시뮬레이션 기법등을 통해서 비행시험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단, 이 경우에는 감항당국 등의 승인을 받은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구체적인 승인의 기준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국방용 분야에서 널리 적용중이던 M&S(Modeling & Simulation)의 VV&A(Verification, Validation, and Accreditation)를 물리법칙 기반의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용 M&S에 적용하여 감항당국이 M&S를 실무적인 차원에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을 위한 비행동역학 해석용 M&S를 개발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수행하는 과정동안 기존에 항공우주시스템 개발용 M&S VV&A 패러다임[7]을 적용하여 물리법칙 기반 M&S의 VV&A를 수행하였다. VV&A를 수행하며 필요한 내용은 방위사업청의 M&S 적용 매뉴얼[4]을 참고하여 식별하였다. 그리고 식별된 내용을 작성하기 위하여 Osman Balci의 사용의도 및 적용사례 문서 템플릿[73]을 적용하여 M&S의 요구 스팩을 설정하였다. 식별된 스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카테고리 A 성능해석을 위해서 Padfield[39]의 구분법에 따른 레벨1에서 레벨2 수준의 비행동역학 모델이 필요함을 식별하고, Chen[33]에 의해 제안된 비행동역학 모델에 BO-105항공기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카테고리 A 이착륙 형태를 고려하여 비선형최적제어 기법이 해석에 필요함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서 Pseudo-Spectral기법과 Robust SQP[8]을 결합하여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구현된 M&S에 대한 V&V 방법으로는 비행동역학 모델은 BO-105의 트림해석 결과와 고충실도 비행동역학 모델인 HETLAS[12]을 이용한 트림해석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교차 비교하는 방식으로 확인하였고, 비선형 최적제어 기법은 개별 기법을 예제문제의 이론해와 비교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인 M&S는 비행시험 데이터를 구할수 없는 한계를 고려하여 비행교범에 제시된 비행절차 및 파트29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통해서 정성적인 분석으로 간략히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감항당국이 M&S를 통한 공학적 해석이 필요한 상황에서 M&S를 승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향후 카테고리 A 적합성 입증에 M&S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감항당국 및 개발자가 M&S의 적합성 인정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research, study about the identifying Category A of transport rotorcraft. Regulation about Category A can be found at FAA regulation Part 29[1]. In Korea, similar regulation exists which reguires actual flight test programs to proof Category A takeoff and landing performance. However, only proof Category A performance with flight test accordance with Advisory Circular [2] lead to increase time and cost. Part 29 allow interpolation, extrapolation, and simulation methods to replace some of flight test. These methods require authorities from FAA/Authorithies, however, detail criteria for acceptance cannot be found at any materials. Therefore, in this research, VV&A (Verification, Validation, and Accreditaion) approach, broadly applied in defense M&S (Modeling and Simulation), is modified to computational physics/computational mechanic-based M&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s. To this purpose, M&S for identifying Category A means of compliance is developed with VV&A paradigm [3] which is specialized for developing aerospace system M&S. Required informations for VV&A are from DAPA’s M&S manual [4]. And to define required specifications of M&S, Osman Balci’s Intended Use and Use Cases templates [5] is used. With identified specifications, Level 1 or Level 2 model of flight dynamic model by classification method by Padfied [6] is determined and model suggested by Chen [7] is selected for research with data of Bo-105 rotorcraft. And, with consideration of Category A takeoff and landing procedures, Nonlinear Optimal Control Programming (NOCP) method is determined as simulation method. robust SQP(rSQP) method and Pseudo-Spectral method are selected as a numerical methods for simulation. V&V methods for M&S described above are presented as following: For flight dynamic model, trim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Bo-105 trim analysis results and results from high fidelity model HETLAS [9]. For NOCP, each numerical method is proved with computed results and analytic solution of some example problems. M&S itself is simply validated with qualitative approach with procedures in rotorcraft flight manual and check requirements from part 29 due to possible flight test data is not available. From this research, Category A means of compliance can be identified with analytical method is shown and provide informations for accreditation to airworthiness authorities of M&S purposed to engineering problems. With this information, M&S could be used as subsidiary method to indentifing Category A means of compliance and could be helpful for airworthiness authorities and developer to establishing criteria for M&S V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