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구조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파워먼트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안은규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파워먼트 및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전문직자아개념이 임파워먼트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116명이었고, 2013년 6월 18일부터 6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구조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93(범위:1-4), 임파워먼트는 평균 2.87(범위:1-4), 소진은 평균 2.48(범위:1-5)이었다. 둘째, 응급구조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성별, 종교, 총 근무경력, 근무기관의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파워먼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자아개념과 임파워먼트와의 관계와 전문직자아개념과 소진과의 관계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응급구조사의 전문직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성별과 총 근무경력이었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응급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산림 재해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안은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지진, 산불, 태풍,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와 지진의 경우,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와 2020년 8월 안성시 산사태, 2016년 9월과 2017년 11월 경주와 2017년 포항의 지진을 계기로 자연재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산불의 경우, 2021년 기준으로 10년 평균, 발생빈도, 피해 면적과 피해 금액은 감소하였으나, 2022년 3월 4일부터 13일까지 9일간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산림 2만여 ha를 태우고 213시간 43분 만에야 진화가 완료되면서, 산림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86년 이후 ‘가장 오래 지속된 산불’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산사태의 경우, 최근 6년간 발생빈도, 피해 면적, 인적 및 경제적 피해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LoRa를 적용하여 다중 송신기와 단일 수신기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자이로 센서에서 각운동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산사태 발생의 임계값을 설정하였고, 가스 및 온·습도의 데이터를 감지해서 산불 발생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자연재해의 유효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인적 및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오 펜싱(Goe Fencing)이 적용된 LoRa 센서 네트워크를 개발하여 산림 재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센서 노드는 MPU-9250/6500 고정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이용하여 축당 가속도 변화량을 3차원으로 측정하고, 산사태의 발생을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하였다. DHT-11 센서와 MQ-2 센서는 습도 및 가스 감지하여 화재를 측정하는 센서로, GPS6MV2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도와 경도를 파악하여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로,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은 비면허 대역의 LoRa를 사용하였다. 다중 송신기와 단일 수신기를 사용하여 LoRa 게이트웨이 서버(Gateway Server)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하여 3차원 각운동량, 온도, 습도, 가스, 위도, 경도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송신기는 GPS 모듈(Module), 자이로 센서, 온·습도 센서, 가스 센서가 장착되어 송신기 역할을 하며, 수집된 데이터는 LoRa를 통해 수신기로 전송된다. 센서 노드에서 수집한 정보를 하나의 LoRa 패킷(Packet)으로 전송되며, 페이로드 프레임(Payload Frame) 구조를 정의하고 패킷을 수신한 수신기에서는 전처리기(pre-processor)에 의해 항목화된 변수를 미리 정의하여 LoRa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해하고, 항목화된 센서 데이터를 요약하였다. 이를 웹 서버(Web Server)를 통해 DB 서버(Data Base Server) 및 기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산사태의 실험에서는 임계값이 25.14이었고, 산불의 경우 센서의 유효 임계값은 97.5였으며, 센서 네트워크 구성 시 효율적인 센서의 노드 간격은 30[m]의 결과값을 얻었다. 센서의 노드 1개당 차지하는 유효 면적은 706.85[㎡]로 도출되었으며, 1[ha]당 14.14개 센서 노드로 영역 관리가 가능하다. LoRa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센서 노드의 제작 단가를 10만원 이하로 제작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경제성 평가도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지이며, 이중 97[%]가 입목지이다. 이러한 산림 자원을 아끼고 관리하는 것이야말로 국토를 아끼는 최고의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넓은 산림 면적을 제대로 관리하기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IoT 기술과 지오 펜스(Geo-Fence) 기술 개념을 적용한 센서 네트워크로 관리해야 할 상황이라 판단되며, 매년 봄, 가을 건조기마다 일어나는 산불과 여름부터 가을 동안 발생하는 장마와 폭우로 인한 산사태의 자연재해를 초기에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한다면 인적, 경제적 피해는 최소화할 것이다. 향후 과제는 본 연구에 사용한 센서들이 가혹한 환경의 현장에서 적용할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센서를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모듈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wildfires, typhoons, floods, and landslides have occurred irregularly in South Korea. In the case of wildfires, the 10-year average, frequency of occurrence, damage area and damage amount decreased based on 2021, but they occurred in the Gyeongbuk Urjin and Gangwon Sansho areas for 9 days from March 4 to 13, 2022. The large wildfire burned 20,000 wildfires and completed its evolution for the first time in 213 hours and 43 minutes, leaving a record of "the longest-running wildfire" since 1986, when the Forestry Agency compiled relevant statistics. In the case of landslid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he area of ​​damage, and the scale of human and economic damage have also increased over the last six years. In this research, we can construct a sensor network based on LoRa(Long Range) by developing IoT technology, and can construct an efficient sensor network at low cost. We confirmed through the above and conducted an effectiveness experiment against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mountain fires. Comprehensive forest disaster management using this system is possible, and if discussions on sensor networks using existing ZigBee technology are targeted at forest management, it is inefficient and meaningless can be gras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this research. Was done. Even power supply to three-dimensional land with various altitudes such as mountains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for a long time in a decent area, or an attempt to make energy self-sufficient by sunlight. At times, LoRa has the widest practicality as a sensor network that can be configured most efficiently and the effective range of one sensor nod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Ra sensor network to which Goe Fancing was applied and constructed a forest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minimize human and economic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sensor node was used as a sensor to measure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acceleration per axis using the MPU-9250/6500 high-precision gyro sensor in three dimensions. The DHT-11 sensor and MQ-2 sensor are sensors that detect humidity and gas to measure fire, and the GPS6MV2 GPS sensor receives satellite signals to grasp the latitude and longitude and accurately. It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positi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used LoRa in the unlicensed band. Build a LoRa Gateway Server using multiple transmitters and a single receiver, connect to a database server, and collect and store 3D angular momentum, temperature, humidity, ga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The transmitter is equipped with a GPS module, a gyro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d a gas sensor to function as a transmitter, and the collec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via LoRa.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node is sent to a single LoRa packet, defining a Payload Frame structure, and at the receiver receiving the packet, it is itemized by a preprocessor. The variables were predefined, the payload of the LoRa packet was decomposed, and the itemized sensor data was summarized. We have implemented a method to communicate this with a DB server and other mobile devices via a web serv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 this paper, the threshold value is 25.14 in the experiment for landslides, the effective threshold value of the sensor is 97.5 in the case of wildfire, and the effective sensor node spacing when configuring the sensor network is 30[m]. Obtained. The effective area occupied by one sensor node is derived at 706.85[㎡], and the area can be managed by 14.14 sensor nodes per 1[ha]. Through the LoRa sensor network,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sensor nodes for less than 100,000 won, which also evaluated economic efficiency. Assuming that this is applied to the Hallasan mountain trail to build a sensor network, the longest mountain trail of Hallasan is 18.3[km] and requires 610 sensor nodes. A sensor node configuration is possible at a cost of 61 million won if only the manufacturing cost of a pure sensor node is calculated excluding the network cost and management cost. Of course, since a lot of human resources are actually required for installation, considerable labor costs and indirect costs will be incurred. Nevertheless, it is the most economical system considering only the cost required to build a sensor node. In South Korea, 65[%] of the land is a production area, and 97[%] of the land is a tree planting area. Reserving such forest resources is probably the best way to spare the land. However, it is not easy to manage such a large forest area properl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situation must be managed by a sensor network that applies IoT technology and Geo-Fence technology concept. Human and economic damage is minimal if the natural disasters of landslides caused by the wildfires that occur in each dryer in spring and autumn and the rainy season and heavy rain that occur between early summer and autumn are detected early and dealt with effectively. Will turn into. A future issue is to use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for the sensor in order to ensure opera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the sensor used in this research is applied in a harsh environment. You must ensure stability in one module and need the help of a software expert in your GUI environment to make it more convenient for your users to see the result values ​​displayed on the serial moni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