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분석

        안유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아동학대의 발생과 재학대 사례 건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 사건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부모에 의한 학대는 80% 정도로 많은 아동학대가 부모에 의해 가정 내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양육스트레스가 거론되고 있다.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으로는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요소 이외에 부부불화, 가족간의 갈등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및 가족 관련된 부정적 요인들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아동학대 보호 요인을 탐색한 연구에서는 가족의 기능과 응집력 등이 아동학대의 보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가족의 긍정적인 자원이 부정적인 영향을 막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가족의 긍정적인 자원에 집중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가족의 긍정적 자원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가족건강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의 부모 관련 주요 위험요인인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족건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0세부터 18세 미만 아동이 있는 4,039가구의 아동과 양육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했으며(F=19.849, p<.001), 가족건강성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117, p<.01).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아동학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아동학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건강성은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의 정적관계를 완화시키는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구원 수가 2인 가구일 경우, 한부모 · 조손가정일 경우 아동학대가 높았고, 소득이 가장 낮은 집단과 가장 높은 집단이 아동학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으로 볼 수 있는 2인 가구 집단과 한부모 및 조손가정 집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대처하고 완화해줄 수 있는 가족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부모 가정의 양육환경의 취약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가족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차원의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ncidence and number of cases of child maltreatment are increasing and deaths due to child treatment continue to occur. Child maltreatment by their parents is about 80% of of the total in 2019.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child maltreatment occurs at home by parents. Recently, parenting stress has beend mentioned as a major parent factor causing child maltreatment. The family factors causing child maltreatment are demographic factors of household, marital discord, and family conflict. Most of previous studies emphasize negative factors related to pratnes and families that affect child maltreatement. On the other hand, the reasearch that explores factors the protective factors against child malteatment reveals that family function and family conhesion can be protecive factors against cihld maltreatment. Although parenting stress has a negative effects on child maltreatment, positive family resources can prevent and ease negative effect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positive family resourc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tudy confirming the effects on child maltrea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which is a major risk factor for parental child maltreatment, on child maltreat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of 4,039 household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0 and 18 by using data from 2018 Korean National Child Survey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child maltreatment is significant (F=19.849, p<.001), and it was verified that family strength have a moderating effect (Β=-.117, p<.01). As parenting stress increases, child maltreatment and the higher the family health, the lower the child abuse. In addition, family strength have moderating effect to allevi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maltreatment. 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two, child maltreatment is high in the case of single parent or grandchild families, and the lowest and highest income groups show high child abuse.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were high in the two-person household group, which can be viewed as a single-parent family, and the single-parent and grandchild household group, and the family health that can cope with and alleviate these problems was low. could chec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for social welfare were suggested to improve family health that can prevent and reduce child abuse caused by parenting stress.

      • (The) Population Study of Microbial Community in the Cultivation Facility of Oyster and Button Mushroom

        안유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Presently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s increasing but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is decreasing. To understand what causes this phenomenon it was studied that the microbial density in the air of different growth stage room of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The airs of ten farmers'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were sampled depending on cooling room, growth room and the outside of the facilities of bottle mushroom cultivation, and growth room and the outside of the facilities of bed mushroom cultivation from Kwangju city, Kapyung, and Yangpyung of Kyunggi province. With regarding to button mushroom, the airs were sampled from eleven farmers' button mushroom bed cultivation facility in Buyeo, Chungnam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ultivation years and microbial densities by statistical analysis, implying that higher microbial density might be related to sanitation condition or some other unknown factors rather than continuous cultivation. It was observed that even though the facility is fairly new, if the sanitation is not good, the microbial density was high. Pseudomonas species which cause brown blotch disease on mushrooms were most frequently isolated as bacteria from air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But Arthrobacter species were most isolated from air of button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Penicillium species were most isolated as fungi from oyster and button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s air. Penicillium, Trichoderma and Aspergillus species are all called green mold by farmers. Green mold causes severe disease to mushrooms, especially Trichoderma species. Bacteria BAF-S-18~BAF-S-24 identified as Pseudomonas koreensis isolated from air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inhibited mycelium growth of the six cultivars of oyster mushrooms(Chunjoo, Chungdo 21, Yeoreum, Suhan, Wonhyung 1, Shinnong46) and four Trichoderma spp.(T. koningii, T. longibrachiatum, T. harzianum isolate 1, T. harzianum isolate 2). Bacterial strain I01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air of button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inhibited mycelium growth of the six cultivars of button mushroom(1026, 1128, 1138, 1056, 1050, 1074) and four Trichoderma spp(T. koningii, T. longibrachiatum, T. harzianum isolate 1, T. harzianum isolate 2). Trichoderma species from air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and diseased oyster mushroom, were identified as T. longibrachiatum, T. virens, T. harzianum. As a result of dual culture of six oyster mushroom cultivars with Trichoderma species from air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and diseased oyster mushrooms, most of the Trichoderma spp. ha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oyster mushroom cultivars. But Penicillium spp. and Aspergillus spp. hardly ha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oyster mushroom cultivars. In case of button mushroom, Trichoderma, Penicillium and Aspergillus spp. hardly ha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ix button mushroom cultivars.

      • 대학생들의 메세나 태도에 따른 기업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이미지 적합성과 기업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유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기술평준화로 인하여 제품의 기능만으로 경쟁사와의 차별을 두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메세나를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가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메세나란 기업의 문화·예술 및 공익사업에 대한 지원활동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의 소비자라고 할 수 있는 대학생들의 메세나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따라 기업이미지의 차이가 어떠한지, 메세나에 대한 태도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업-메세나활동 간의 이미지 적합성, 기업유형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한다. 메세나에 대한 태도를 독립변수로, 기업이미지를 제품관련이미지, 사회적이미지, 공익적이미지, 이 3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여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업-메세나활동 간의 이미지 적합성과 기업유형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법을 통해 피험자들을 4가지 유형의 실험자극(기업유형(일반기업 vs, 예술기업) * 이미지 적합성(높음 vs. 낮음))에 노출시켜 이에 따른 기업이미지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후, 각각의 변수들이 종속변수인 기업이미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메세나에 대한 태도가 높은 집단이 태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제품관련이미지와 공익적이미지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둘째, 메세나에 대한 태도와 기업-메세나활동 간의 이미지 적합성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익적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셋째, 메세나에 대한 태도와 기업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업이미지의 어떠한 차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설정에 대한 제언도 함께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Nowadays, the leveling in technique is rendering it difficult to b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a company to relief. In this situation, the climate of enhancing the corporate image through “Mecenat” is becoming common and gaining heightened attention as an efficacious marketing-communications. Mecenat indicates all the activities which support and buttress both the present culture & art and charities. Accordingly, I have set the two objectives of this study regarding Mecenat. One lies in how the corporate image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college students as future and possible consumers, relative to the Mecenat. The other is to fathom out the manipulative effects of the corporate type and the image fi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ctivities of Mecenat, with regard to the effect which the attitude about Mecenat has on the corporate image. I have chosen the attitude about Mecena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orporate image as dependent variables, which is classified into such three aspects as the product-related image, the social image and the public-interest image. Plus, I have assigned the corporate type and the image fi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ctivities of Mecenat. By the way of the questionnaires, With a view to discerning out difference in the appraisal of a corporate, I have exposed the whole subjects to the four types of stimulus which includes : one is general corporate and ‘high’ in the indexes of the image fi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ctivities of Mecenat, another is general corporate and ‘low’ in the indexes(of the image fit), a third is art-corporate and ‘high’ in the indexes of the image fi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ctivities of Mecenat and the other is art-corporate and ‘low’ indexes(of the image fit). In the aftermath of arranging all the data gleaned thourgh the very above experiment, to investigate how each of the variables works on the corporate imag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 made use of the Three-Way ANOVA(analysis of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group of consumers with a conviction higher in the degree of the attitude toward a corporate has more toweringly reputed the product-related image and the public-interest image. Second, it is understoo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titude of Mecenat and the image fi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ctivities of Mecenat exerts an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ublic-interest image. Finally, the effect of the reciprocal reaction among the attitude for the Mecenat and the corporate type never has an influence on the image of a corporate at all. Based on this analysis, with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regarding study’s limitation and direction-establishment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and proposed. Key-words : Mecenat, the attitude for the Mecenat, the image fit, the corporate type, the corporate image.

      • Circulating Lp-PLA2 activity correlates with oxidative stress and cytokines in overweight/obese postmenopausal women not using hormone-replacement therapy

        안유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Controversy remain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circulating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 (Lp-PLA2), cytokines, and oxidative stres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ge on Lp-PLA2 activity in postmenopausal women not using hormone therapy, and the relationship of Lp-PLA2 enzyme activity to serum cytokine levels and oxidative stress indices. Normal weight (n=1284) and overweight/obese (n=707) postmenopausal women not using hormone therapy were categorized into five age groups: 50?54, 55?59, 60?64, 65?69, and 70?89 years. Overweight-obese women showed higher plasma Lp-PLA2 activity, urinary 8-epi-prostaglandin F2α (8-epi-PGF2α), serum interleukin (IL)-6, and smaller LDL particles than normal-weight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years post-menopause, smoking, drinking, blood pressure, glucose, insulin, lipid profiles, BMI, and waist circumference. Overweight/obese women 70?89 years old showed higher Lp-PLA2 activity than those aged 50?54 year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p-PLA2 activity existed across normal-weight female age-groups Overweight/obese women aged ≥65 years showed higher Lp-PLA2, oxidized LDL (ox-LDL), IL-6, and 8-epi-PGF2α than age-matched normal-weight controls. Overweight/obese women aged ≥70 years had higher ox-LDL levels than those aged 50?59, and overweight/obese women aged 65-89 showed higher IL-6 and 8-epi-PGF2α.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p-PLA2 and ox-LDL (r=0.385, P<0.001), Lp-PLA2 and IL-6 (r=0.293, P<0.001), and ox-LDL and IL-6 (r=0.303, P<0.001) in overweight/obese women; however, these relationships were weak in normal-weight women. These results demonstrate enhanced oxidative- and inflammatory mediator-associated Lp-PLA2 activity in overweight/obese postmenopausal women not using hormone therapy.

      • The influence of US domestic politics on the change in the US foreign policy : the US-North Korea negotiations from 1993 to 1994

        안유나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미국 국내 정치가 미국 외교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1993년 3월부터 1994년 10월까지의 북미 핵 회담 사례를 통해 살펴 보았다. 회담 과정에서 클린턴 행정부의 기본적인 대북 정책은 변하지 않았으나 그 접근법은 강경 노선에서 온건 노선으로 수정되었다. 이 분야의 한 저명한 학자는 클린턴 행정부가 카터 행정부의 자유주의적 전통과 레이건, 부시 행정부의 현실주의적 전통을 물려 받았다고 주장한다. 행정부 내 두 이념의 공존은 대북 협상에서 클린턴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비일관된 태도를 설명해 준다. 더군다나 미 행정부는 종종 북한에 대하여 강경 노선에서 온건 노선으로 그 입장을 변경했다. 이러한 전술적 변화의 주요 원인을 같은 학자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동북아 국가들의 국제 정치에서 찾고 있다. 한편 다른 한 북한 전문가는 북한에 의해 사용된 다양한 협상 전술들이 미 행정부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본인은 두 전문가에 의한 설명이 미국의 태도 변화를 이해하는 데 불충분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설득력도 있고 기존의 두 견해에 보완적이기도 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본인은 미국 국내 정치가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회담에서의 전술적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11월에 예정된 중간 선거 때문에 클린턴 행정부는 많은 양보를 하면서까지 대북 회담을 조속히 마무리했다. 본인은 민주당 백악관이 외교 문제보다 국내 문제를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미국 국민들에게 과시하기 위해 오래 끌던 회담을 급히 종결한 것으로 본다. 미국 외교 정책은 국내 정치의 영향력을 도입함으로써 만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최근 미국 선거가 미국 외교 정책에 점점 더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가? 선거에서 미국 정치인들은 특히 탈냉전 시대를 맞아 국제 문제보다는 국내 문제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었다. 또한 누적된 미국 경제 불황도 선거에서 미국 정치가들이 국내 문제에 더 초점을 맞추게 하는 데에 공헌하였다. 결과적으로 탈냉전과 국내 경제 상황의 변화에 따라 미국 국내 정치가 미국 외교 정책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of U.S. domestic polities on the U.S. foreign policy by focusing on the case of Washington’s negotiations with Pyongyang regarding th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 from March 1993 to October 1994. The fundamental policy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toward the North Korea has not changed but has been modified in its approach from hard-line to soft-line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One prominent scholar in this area argues that the legacy of both the liberal tradition of the Carter administration and the realist tradition of the Reagan and Bush administration remains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The coexistence of the two ideologies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explains the Washington’s inconsistent attitudes toward Pyongyang in the path of negotiation process. Further, Washington often changes its stance toward Pyongyang from hard-line to soft-line. The major cause of this tactical change has been ascribed to the international politics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and Japan by the same scholar. Another expert on North Korea claims, on the other hand, that the various negotiation tactics utilized by North Korea brought changes in Washington’s attitudes. I find these two explanations rendered by two experts are incomplete in understanding the change of Washington’s attitude. Hence, I attempt to give a new account that is thought to be not only more persuasive, but complementary to the previous two explanation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U.S. domestic politics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tactics adopted by Clinton Administration in negotiating with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off-year election that was to be held in November caused Washington to hasten the closure for the long negotiation with Pyongyang, making too many concessions. I believe that Democratic White House was motivated to close the dragging negotiation to show off its efforts in dealing with domestic issues rather than foreign affairs to the U.S. public. American foreign policy can only be understood adequately by incorporating the impact of domestic politics. Then, why the U.S. elections recently influence more increasingly the U.S. foreign policy? U.S. politicians react more sensitively to the people’s demands on domestic affairs rather than the international affairs when the election comes up especially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The accumulated U.S. economic recession also contributed to make U.S. politicians increasingly focus on domestic affairs in the elections. Consequently, the U.S. domestic politics influence the U.S. foreign policy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nged environment of the post-Cold War and the domestic economic situation.

      • 대학 무용 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유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둘째, 멘토링과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강원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무용전공 학생 중 설문에 동의한 309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응답자 개인이 자기평가 기입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멘토링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의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에서의 성별 분석 결과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와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 독립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결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출신고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사회적 지원에서 인문계 졸업학생이 예술계 졸업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지도,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용경력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를 보면, 멘토링에서는 모든 항목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가 무용경력이 10년이상 집단이 1-5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연횟수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역할모델에서 30회이상 집단이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에서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20-30회 집단과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과 독립성에서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정성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멘토링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멘토링의 수행지도와 사회적지원에서는 정의성취, 심동성취, 인지성취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은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과 진로태도와의 상관에서는 수행지도, 역할모델, 사회적지원은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적지원은 결정성,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의 4가지 하위요인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 멘토링의 하위요인 중 정신적지원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가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태도에서는 독립성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멘토링의 하위요인들이 무용성취에서 정의적 성취와 인지적 성취에 높은 영향이 있었고 진로태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독립성에 높은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멘토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 생물의학 문헌을 활용한 유전자와 희귀질환 간 가설 생성에 관한 연구 : 루게릭병을 중심으로

        안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전통적인 신약 개발 과정은 높은 난이도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희귀질환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다른 질환에 비해 기술적으로 더욱 어렵고 관련 연구도 적다. 희귀질환의 경우 환자 수가 적기 때문에 표본을 모집하고 데이터를 얻는 데 한계가 있으며, 개발 난이도가 높다는 이유로 대부분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희귀질환 연구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에서 희귀질환 신약 개발을 지원함에 따라 많은 제약사들이 희귀질환에 집중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작은 모집단 데이터에 대해 생체 분자 수준의 분석이 가능해졌다. 희귀질환으로 진단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은 진단 후 평균 수명이 짧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일부 환자들은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완화시키면서 몇 년 심지어 수십 년을 살기도 한다. 루게릭병으로 널리 알려진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희귀질환 범주에 속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몸의 골격근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해 근육이 위축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루게릭병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직 없으며 루게릭병에 대한 연구들은 신약 개발을 위한 유전자 바이오 마커를 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동안의 유전체 관련 연구들은 수많은 질병-유전자 간 연관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전학이 주도하는 신약 개발에 도움을 주었으나, 신약 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이전 연구들은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유전자, 단백질, 화합물 등 신약 개발 후보군을 생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해왔다. 특히 컴퓨터 과학의 발달에 따라 신약 개발 후보 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생물의학 텍스트 마이닝과 인공지능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후보 가설 생성을 위하여 널리 알려진 프레임워크 중 하나가 Swanson의 ABC 모델이다. Swanson은 문헌 기반 발견 접근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기 위해 ABC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dietary fish oil(DFO)과 Raynaud’s syndrome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그는 연구를 통해 DFO가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타겟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Raynaud’s syndrome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해 DFO를 추천했다. Swanson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생물학적 개체인 루게릭병과 루게릭병을 유발하는 45개의 유전자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bMed에서 수집한 288,853개의 문헌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관성을 찾고 가설을 생성하기 전에, 루게릭병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루게릭병의 주제적 특성을 확인하고, term burstiness를 분석하여 특정 기간 동안 사용 정도가 급증한 토픽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도구인 MELKE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개체와 개체 간 관계를 추출하였다. 구축된 지식 그래프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노드와 엣지(4,027,625개의 노드와 5,287,912개의 엣지)가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경로 순위화 알고리즘을 통해 경로에 점수를 부여하고, 상위 경로만 대상으로 루게릭병과 45개의 관련 유전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경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루게릭병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유전자 변이, 신경퇴행성 질환, 삶의 질, 동물 실험 연구, 질병 메커니즘, 검사, 약물, 증상, 세포, 대뇌 피질 등 10가지 주제가 루게릭병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된 660,726개의 경로를 순위화하기 위하여 Complex라는 그래프 임베딩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로 순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경로 순위화 알고리즘으로 확인한 상위 5%의 경로를 생물학 전문가와 함께 분석하여 가장 가능성 있는 가설 경로를 선별한 결과, 본 연구에서 루게릭병 신약 개발을 위한 실험을 위해 제안하는 두 가지 경로는 SCFD1—[is a]—JUP—[part of]—STMN2—[use]—ALS 와 FUS—[location of]—methylation—[is a]—CTN2—[part of]—ALS 이다. 본 연구는 방대한 문헌으로부터 생물학적 개체명과 개체관계를 추출하고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여 유전자와 루게릭병 사이의 생물학적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순위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가설 생성 프레임워크는 희귀질환 뿐만 아니라 모든 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 과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연구 대상이 되는 후보 물질의 범위를 줄여주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전통공예와 현대공예를 접목한 중등 미술과 수업 활용방안

        안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오늘날 우리나라 공예는 전통공예와 현대공예라는 서로 융화되지 않는 이중구조로 분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학교에서 공예는 거의 다루지 않고 있으며 미술공예를 중심으로 부분적인 공예디자인을 교육하는 실정이다. 역사적으로 전통은 예술적 가치가 높은 선조들의 창조적 소산물을 올바르게 받아 내려오는 것이라고 볼 때, 전통공예의 활성화를 위하여 민족문화를 전승·발전시키고 현대화하는 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공예와 현대공예를 중심으로 중학교 미술 교과의 공예교육에 대해 분석해 보았고 그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공예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전인적 인간형성의 공예교육은 제1차 교육과정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미술교육과정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 이르러 산업사회에 맞추다 보니 디자인 영역 속에 흡수되어 애매모호한 위치에 놓여버렸다. 공예의 나아갈 방향이 확실히 정립되지 못하면 그 발전이 정체될 수밖에 없고, 수업을 받는 학생들도 공예의 본래 개념을 알지 못한 채 디자인 중심으로 변질된 것을 이해하는 일이 초래할 것이다. 전통공예와 현대의 공예교육이 서로 발전되는 관계가 되도록 본 논문을 통하여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을 토대로 미술 교과서의 공예 단원구성과 학습내용을 분석했다.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7종 교과서의 공예 관련 학습요소로 제시된 예시작품들을 분야별로 분석했고 실태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예교육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질적으로 향상된 공예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는 공예교육의 올바른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현대공예와 연계성이 부족한 미술교과서의 보완이며 이를 통해 전통미술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올바른 체계의 공예교육으로 인해 공예문화가 지금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발돋움하여 정서를 함양할 수 있도록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공예의 동시대적 과제는 공예교육의 노력과 모든 반응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가운데 모색되어 과거만 아니라 현재에도 살아있고 미래에도 지속되어야 할 문화적 자산인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공예교육의 올바른 이해와 학생들에게 필요한 미적 감수성, 창의력을 이끌어내 비판적인 사고능력으로 미술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인 인간 형성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Korea’s crafts of today is divided into traditional crafts and modern crafts which are inharmonious dual structure. Thesedays, crafts in the majority of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is not conducted. Furthermore, an educational institution gives lessons artistic handicraft for the most part adding on the design of industrial arts in part. In history, tradition is transmission of creative works which have higher artistic value. From this point of view, tradition,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of national cultures need absolutely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This paper analyzed the crafts education of art instruction at a junior high school and search for the point at issue around traditional crafts and modern craf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solution and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of a crafts education at middle school. A crafts education of personality development kept their own sphere through several revisions after the 1st curriculum. But, nowadays, it has been placed an obscure position for being absorbed in design which is came he industrial society. If the future of crafts is uncertain, the development crafts cannot help backing up. In addition, students who do not know about fundamental notions of crafts have a strong probability that they will be trained design mostly. This paper -developing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rafts and modern crafts- analyzed a unit organization of drafts contents of studying in the arts textbook if middle school which has application to the 7th curriculum currently. Moreover, it breaks down illustration works one after the other which are exhibited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drafts of several textbooks using at middle school today and looks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ose closely. In that order, it grasped potential problems of the crafts education which is enacted at school nowadays and presented improvements standing on analysis result. A favorite and fundamental way for development of crafts culture which is advanced in quality is straightforward operation of crafts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crafts culture, first of all, we have to make up arts textbooks which are short of connection with modern crafts and get through traditional arts going by way of that. In like manner, through systematic crafts education, consistent and continuous efforts which make crafts culture upgrade and students inspired emotion. The urgent problem of crafts that is found including efforts of crafts education and every possibility is the cultural assets which must be maintained permanently. This study will make students have right understanding about crafts education and be a foundation of personality development that improves arts culture standing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m.

      • Global strategies of Gazprom as a multinational enterprise within the Russian state control frame

        안유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Russia has continued its efforts to be positioned as a major economic power through energy resources since the start of Putin’s reign, as the largest producer and possessor of the natural gas in the world. While the importance of energy stands out internationally, the Russian government is factually strengthening its control over energy and resources. In relation to this, Gazprom is a representative state-run corporation of natural gas controlled by the Russian government and the current government has equity of 50.001 percent of Gazprom, and thus, is exercising influence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anking of Gazprom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Global 2000 of the Financial Times with market capitalization bases, and this company is raising its position not only in state-run company but also in multinational enterprise by spreading global strategies home and abroad. However, Gazprom’s structure, being Europe-biased in terms of exports and governmental control have largely affected its strategy. Moreover, preceding research in our country regarding the natural gas field of Russia were limited and research in foreign countries were restrictive while many researches were processed in Russia and abroad.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researching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Gazprom within the state control frames, whil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In globalization strategies, this study totally reviewed the strategies of Gazprom itself as a multinational enterprise, not as a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companies. This study is composed of 5 chapters. Section 2 provided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Russian natural gas, and observed how natural gas was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in Russia. The study then reviewed the reason that the Russian government had to control Gazprom by looking into supply and demand status of natural gas in Gazprom. As Russia and Gazprom were processing exports of Europe-biased policy, the study reviewed the export status to Europe countries for grasping globalization strategy in chapter 4. Section 3 focused on the changes of managerial system of Gazprom caused by Russian governmental interventions by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of its directors and the managerial structure along with their capital and financial market. The study also reviewed the internal and external phases of Gazprom by recognizing their position in world market. Section 4 looked at Federal Law Revision on Underground Resources and Restriction Law of Foreign Investment along with globalization strategies of Gazprom by scrutinizing the mergers and acquisition of Gazprom and joint-venture investment status, and then presented Gazprom’s direction in terms of its advancement towards becoming a multinational enterprise. The study then looked into what kind of strategy Gazprom is adopting in the long term by reviewing major pipe-line project operating with joint-venture companies. In chapter 5, this study will suggest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Gazprom based on the above contents, and will discuss the priorities of Gazprom as a multinational enterprise afterwards. Finally, this study expects that research on Gazprom, a Russian state-run company of natural gas, should be furhter develop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천연가스 생산국이자 보유국으로서 푸틴 집권을 시작으로 에너지 자원을 통하여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에너지에 관한 중요성이 야기되면서 러시아 정부는 에너지 및 자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가즈프롬은 러시아 정부가 통제하고 있는 대표적인 러시아 국영 천연가스 기업으로서, 러시아 현 정부가 가즈프롬의 50.001의 지분을 가지고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즈프롬은 파이낸셜타임즈의 ‘글로벌 2000’에서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꾸준히 그 순위가 오르고 있으며, 러시아 국영기업으로서만이 아니라 다국적 기업으로서의 세계 전략을 펼침으로써 대내외적으로 그 위상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유럽에 편중된 천연가스 수출구조와 정부통제하의 구조는 가즈프롬의 전략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내외적으로 러시아 천연가스분야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있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가즈프롬의 선행연구가 국한적이었으며, 이는 해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국가 통제 안에서 가즈프롬의 세계화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세계화 전략 측면에서는 타사와의 비교 연구가 아닌 다국적 기업으로서 가즈프롬 자체의 세계화 전략을 총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있다. 2장에서는 러시아 천연가스 수급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러시아에게 있어 천연가스가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중, 가즈프롬의 천연가스 수급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러시아 정부가 가즈프롬을 통제해야 했던 이유를 고찰하였다. 러시아와 가즈프롬은 유럽에 편중된 수출 노선을 펼치고 있으므로, 4장의 국제화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러시아 및 가즈프롬의 유럽국가로의 수출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가즈프롬의 이사진구조, 운영구조, 자본 및 금융시장을 알아봄으로써 러시아 정부의 개입으로 인하여 가즈프롬의 운영체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세계시장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대내외적인 위상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정부의 지하자원법 개정 및 외국인투자제한법 제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가즈프롬의 인수합병 및 합작투자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가즈프롬의 세계화 전략을 고찰, 현재 가즈프롬이 다국적 기업으로서 나아가고 있는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즈프롬이 조인트 벤처기업들과 진행하고 있는 메이저파이프라인프로젝트를 살펴봄으로써 장기적으로 어떠한 전략을 펼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고찰하였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가즈프롬이 처해있는 상황 및 문제점을 논하고 앞으로 가즈프롬이 다국적 기업으로서 우선 진행하여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인 가즈프롬에 관한 연구가 대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