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페달링에 관한 연구 : 라벨 소나티네를 중심으로

        안예슬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페달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페달은 단순히 소리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음색을 변화시키며 곡의 분위기와 성격에 영향을 준다. 페달은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왔는데 현대의 피아노에는 댐퍼페달, 소프트페달, 소스테누토 페달이 있다. 먼저 댐퍼페달은 댐퍼를 들어 올리는 페달로 댐퍼가 올라가면서 배음을 울려 음향을 풍부하게 하고 음을 연결 시켜주는 레가토 페달과 아티큘레이션을 살려주는 리듬 페달, 다이나믹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페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밟는 깊이에 따라 풀페달, 1/2페달, 1/4페달, 3/4페달로 나뉘고 페달을 가볍고 빠르게 움직여 스타카토와 빠른 패시지에 사용하는 비브라토 페달로 나뉜다. 소프트페달은 건반이 약간 이동하면서 3개의 현 중에서 2개의 현만을 때리고 나머지 1개의 현에서 가벼운 진동이 일어나 배음을 형성하는 페달로 음색을 변화시키고 어떤 물체를 가리고 소리를 내는 것 같은 효과를 준다. 소스테누토 페달은 가운데에 위치한 페달로 건반의 한 음을 누르고 페달을 밟으면 그 음의 댐퍼만이 올라가서 음이 지속된다. 이는 오르간포인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인상주의는 프랑스에서 나타난 인상주의 미술과 상징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전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먼저 선율적으로는 7개의 장단음계를 벗어나 5음음계, 온음음계, 반음계 등과 중세 교회선법을 사용하였다. 화성적으로는 기능적인 화성을 의도적으로 거부하고 해결되지 않는 화음의 나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낭만주의시대 보다 더 파격적으로 벗어났다. 라벨은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사람으로 인상주의적 화성과 음색을 고전주의적 형식에 적용시켜 구조적 윤곽을 주의 깊고 섬세하게 나타낸 작곡가이다. 그의 소나티네는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과 전통적인 음악 형식이 잘 나타나있는 곡으로 3악장으로 이루어져있다. 1악장은 전체적으로 선율과 16분음표의 반주음형이 나타나는 곡이다. 반주의 화성적인 색채감을 살리면서도 선율을 깨끗하게 표현 하기위해서는 풀 페달을 사용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2악장은 미뉴에트 형식의 곡으로 춤곡의 리듬감을 살리면서 아티큘레이션을 잘 살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베이스의 지속음을 깊게 울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악장은 곡 전체적으로 빠른 음형의 패시지가 나오는 곡으로 분명한 리듬과 뚜렷한 주제 선율을 잘 표현해야 한다. 라벨 소나티네 전 악장에 걸쳐서 소프트페달과 댐퍼페달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인상주의의 색채와 라벨의 화성을 잘 표현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실제 연주에 있어서 연주자는 시대적 특징, 작곡가의 특징 등 이론적인 지식을 통해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주자 본인이 원하는 음악을 적절한 페달과 연주법으로 표현해야 한다. Pedalling is critical in playing the piano. Pedals not only smoothly connect notes but also modifies the quality of the piano tone and make a difference to the atmosphere and character of music.After centuries of development, modern piano pedals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edals, the damper pedal, the soft pedal, and thesostenuto pedal. First, the damper pedal, which raises dampers, reinforces overtones, and imparts richness to the sound, can be used to connect notes smoothly and achieve legato, to articulate rhythms, and to produce dynamic changes. Damper pedalling can also be divided, according to how deep it is depressed, into full, ½, ¼, and ¾ pedalling and vibrato pedalling that consists of quick, light movements to play staccato and fast passages. The soft pedal shifts the keyboard slightly to the right, so that only two of the three strings are struck by the hammer, and the other lightly vibrates. This modifies the quality of the piano tone, resulting in a duller sound. The sostenuto pedal, the middle pedal, holds up only the dampers that were already raised at the moment that it was depressed, i.e., sustains only the notes that were already held down at that moment. It can, therefore, help create the effect of an organ point. Impressionism in music was a movement influenced by Impressionist paintings and Symbolist poetry. There were various elements in Impressionist music that made it distinctive from the music of other past periods. For melody, it went beyond the limits of the major and minor scales and employed pentatonic, whole tone, and chromatic scales and church modes. For harmony, it intentionally rejected using functional harmony but used a series of unresolved chords. Structurally, it even more dramatically deviated from traditional musical form than Romantic music. Joseph Maurice Rave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mpressionist composer, who applied impressionistic harmonies and tone colours to Classical forms, carefully and delicately crafting the structural outlines. His “Sonatine” consists of three movements that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Impressionist music and traditional musical forms. The first movement is largely composed of melody and 16th-note accompaniment. To both accentuate the colourful harmonies of the accompaniment and articulate the melody, a performer should avoid full pedalling. The second movement is a minuet, and it requires highlighting the rhythms of the dance music and articulations and make the pedal point in the bass deep and sustained. Throughout the third movement are fast passages. This movement requires accentuating the rhythms and theme melody. A performer should appropriately use the soft and damper pedals throughout the entire piece to effectively interpret the impressionistic colours and Ravel's harmonies. This shows that a performer should understand a composer’s intentions through theoretical knowledge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the composer, and so on before playing the composer's music and also use proper pedalling and techniques to render the music as he/she intends.

      • 학급 내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fairness in the context of classes and fair classes through their voic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fairness? 2.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of fair classes? 2-1.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what they should do to make classes fair? 2-2.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fair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7 young children(35 children in four-year-old classrooms and 42 children in five-year-old classrooms) who attended the kindergarten of the university in Seoul.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small group interviews and personal interviews for children,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several times in stages. During the interview, pre-developed ‘Episodes on fairness in classes’ by the researcher were used.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preliminary research to confirm whether the instrument of study was appropriate for the context of the class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by cod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fairness were equal things, what they want to do, what they can agree with each other, be apologized when the others did something wrong, and more help those in need. First of all, young children thought of fairness in distributing toys equally, getting equal opportunities from teachers, and taking equal responsibility for what they did, so they thought of equal things as fairness. It was not right for young children that someone do what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so they viewed fairness as what they want to do. In addition, they considered fairness a mutual concept, what could be agreed with each other was regarded as fairness. In case of peer conflicts, the person who did something wrong should sincerely apologize, so being apologized to others is considered fairness. Furthermore, young children viewed it as fairness that people in need of help should receive more help, and they should receive different levels of help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each person needs it. Young children understood various aspects of fairness, such as distribution, procedures, and respected treatment, which were related to the three forms of fairness. In addition, young children did not judge fairness unconditionally but judged i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context,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features of fairness. Second, the thoughts of fair classes that young children have are divided into what they think that they should do to make classes fair and what they think about fair teachers. There were things that young children thought they should do with the responsibility to make classes fair as the subject of the classes, as follows. Young children believed that rules which are guidelines that all class members can agree on should be followed to create fair classes. Also, young children recognized teachers’authority and emphasized listening to and following the teachers. Young children emphasized that they should get along with their peers by considering and respecting each other. They also thought that in unfair situations according to what they think about fairness, it can be fair classes when they can express their intentions. The fair teachers that young children thought of were as follows. They viewed teachers as fair to treat children equally by encouraging them equally and giving them equal opportunities. It was also considered fair teachers who helped with difficult things which are hard to solve on their own. In addition, they saw the teachers who respected them as fair, so they wanted the teachers to know about themselves well and respect their feelings and situations. As young children were sufficiently aware of the authority of the teachers, they considered the trusted teachers to be fair through consistent statements and actions. The fair teachers that young children think of was teachers who practiced equality such as equal treatment and practiced caring suitable for each child’s position and sit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was focused on exploring in depth the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fairness in the classes by listening to their voices using episodes and viewing them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cope of early childhood research on fairness has been expanded from distributive justice to the overall concept of fairness, it turned out that daily life in the classes is deeply related to fairnes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create classes fair by understanding that fairness is of everyday value to young children an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listen to young children’s voices regarding them as the subjects of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맥락에서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성은 무엇인지,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학급은 어떠한지를 유아의 목소리를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성은 무엇인가? 2.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학급은 어떠한가? 2-1. 유아는 공정한 학급을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2-2. 유아는 어떤 교사를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 부속유치원인 A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학급 유아 35명, 만 5세 학급 유아 42명으로 총 유아 77명이었다.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유아 대상 소집단면담 및 개별면담이었으며, 면담은 단계적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면담 시 연구도구로는 연구자가 사전에 개발한 ‘학급 내 공정성에 관한 에피소드’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도구가 연구참여 학급의 맥락에 적절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연구 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 면담 전사본을 범주화하고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공정성을 동등한 것,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 서로 동의할 수 있는 것, 상대방이 잘못했을 때 사과받는 것,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더 많은 도움을 받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우선, 유아들은 놀잇감을 동등하게 분배하는 것, 교사로부터 동등한 기회를 얻는 것, 자신이 한 일에 대한 동등한 책임을 지는 것이 공정하다고 보아, 동등한 것을 공정성으로 생각하였다. 유아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마음대로 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을 공정성으로 보았다. 또한 공정성을 상호적인 개념으로 보고, 서로 동의할 수 있는 것을 공정성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래갈등 시에는 잘못을 한 사람이 진심으로 사과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잘못했을 때 사과받는 것을 공정성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더 나아가, 유아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더 많은 도움을 받는 것을 공정성으로 생각하고 각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정도에 따라 다른 수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유아들은 분배 뿐 아니라 절차, 존중받는 대우와 같이 공정성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공정성의 구성요인 세 가지와 관련되었다. 또한 유아들은 공정성을 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였고, 이는 공정성의 특성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둘째,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학급의 경우, 유아가 공정한 학급을 만들기 위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교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유아들은 학급의 주체로서 공정한 학급을 만들기 위해 책임을 갖고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있었는데, 다음과 같았다. 유아들은 학급 구성원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지침인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권위를 인식하여 교사의 말을 듣고 따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유아들은 공정한 학급을 만들기 위해 서로 배려 및 존중을 하며 또래와 잘 지내는 것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에 더해 유아들은 공정성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공정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교사는 다음과 같았다. 유아들은 동등하게 격려, 동등한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동등한 대우를 하는 교사를 공정한 교사로 보았다. 유아들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일을 도와주는 교사를 공정하다고 보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을 존중하는 교사를 공정한 교사로 보아, 교사가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자신과 친구의 감정 및 입장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주기를 바랐다. 유아들은 교사의 권위를 인식하고 교사의 말을 절대적으로 받아들이는 만큼, 일관된 말과 행동을 하여 신뢰할 수 있는 교사를 공정한 교사로 보기도 하였다. 유아가 생각하는 공정한 교사는 동등함과 같은 평등을 실천하면서, 각 유아의 입장과 상황에 맞는 배려를 실천하는 교사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아를 연구의 주체로 보고 에피소드를 활용해 유아의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학급 내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유아 공정성 연구의 범위를 분배공정성에서 공정성 개념 전반으로 확장했으며, 학급 내 일상이 공정성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유아에게 공정성이 일상적인 가치임을 이해하여 공정한 학급을 조성하기 위한 교육현장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유아를 연구의 주체로 하여 유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경험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on about justice in-depth and experiences about justice in class specifically.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justice that kindergarten teachers cognize? 2.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about justice in class? 2-1. What situations do teachers judge justice? 2-2. What are the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2-3. What efforts do teachers do for justice in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5-year-old clas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ith the educational career more than 3 years. Interview was the main method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the secondary method of the research. An interview was executed for each teacher from February 6, 2017 to April 14,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executed in 3 teachers' classrooms for 2 times each. Analysis of interview data followed the process of transfer, observation data followed the short sketch of researcher's. With analyzing research data, preliminary coding categories were made by organizing subcodes. After modifying the coding categories, final coding categories were organ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the basic of the society’, ‘the difficult thing because of its flexibility’, and ‘equal but not equal’. Teachers believed that the justice should be the basic value of the society, and when the justice are ensured the society can be developed, and people can be happy. In addition, teachers consider justice in class important because they believed that justice in class is the starting point of justice in the society. But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a difficult thing because its standard is uncertain and its jud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s. Teachers cognized that judging justice can be more difficult, especially in class of children. Also,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equal but not equal.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equality in an aspect of same opportunity and rights and observing the law and rule, equity in an aspect of consideration for the weak and minority and respecting individual. In the class, teachers cognized equality as the children get same opportunity and be loved equally, and equity as the children in special needs are considered well and respected individually. Second,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consisted of the situations that teachers judge justice, the factors that makes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and the efforts that teachers do for the justice in class. The situations teachers judge justice was peer conflict, giving special opportunity, make a decision in class, and game as large group activity. Teachers judged justice in a peer conflict situation because fair intervention is important, and in situation when giving special opportunity to provide everyone an equal opportunity. Also, to make fair decision and fair game activity, teachers judged justice in class.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Individual factors were dilemma over value judgement and prejudice of teachers. Situational factors were a time table of the class, diversity of situations, and the demand of school parents. Teachers had difficulty in judging justice when various values conflict, and teachers' prejudice comes out. Also, Teachers were difficult to judge justice when they could not spend long time in specific situation because of time table of the class, various aspects conflict, and school parents' demand conflict with teachers' judgement. In spite of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teachers were working hard for the justice in class. Such efforts were finding the way that every child participate equally, considering children in special needs first, respecting a minority opinion, minimizing their own authority, self-reflection. Teachers found the way to make every child participate equally for equality of the class, developed various strategies to consider children in special needs for equity of the class. Also, teachers respected a minority opinion when teachers make a decision with children, and minimized their own authority in class to be in equal position with children. In addition, teachers regarded self-reflection as important thing to make class fair and did self-reflection constantly.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2-1. 유치원 교사가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은 무엇인가? 2-2. 유치원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2-3. 유치원 교사가 학급에서의 공정성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경력 3년 이상의 만 5세 유치원 교사 10명이다. 주된 연구 방법은 심층관찰이며 참여관찰을 부수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2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교사 당 1회의 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이 가능한 교사의 학급을 총 6회 관찰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을 통한 전사로, 관찰 내용은 약기로 이루어졌다. 자료를 분석하며 하위코드를 정리하여 코딩범주를 만들고 예비 범주 구성 후, 예비 범주를 수정하여 최종 범주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공정성을 우리 사회의 기본이어야 하는 것, 그 때 그 때 달라 어려운 것, 모두 동등하지만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공정성이 우리 사회의 기본적 가치이며 공정성이 확보될 때 우리 사회가 발전할 수 있고 구성원들이 행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의 공정성은 유아 학급의 공정성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보아, 학급에서의 공정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공정성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각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유아 학급에서의 공정성은 그 대상이 유아라는 점에서 더 어려운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교사들은 공정성을 똑같은 평등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똑같지 않은 형평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공정성을 동등한 기회와 권리, 법과 규칙의 준수라는 측면에서 평등으로 보았으며, 사회에서의 약자와 소수 배려, 상황에 맞는 존중이라는 측면에서 형평으로 인식하였다. 유아 학급에서도 유아가 동등한 기회를 갖고 교사에게 동등한 사랑을 받는 것이 평등이며,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적으로 배려하고 개인을 존중하는 것을 형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급에서 교사들의 공정성에 대한 경험은 연구 결과, 크게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으로 나누어졌다. 교사가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은 또래갈등 상황, 특별한 기회 부여 상황, 학급 내 의사결정 상황, 대집단 활동으로서의 게임 상황이었다. 교사들은 또래갈등 상황에서 교사가 공정하게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공정성을 판단하였으며, 이야기나누기 시 발표 기회를 주거나 학급에서 특별한 기회를 부여할 때 되도록 모두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판단을 하였다. 또한 학급 내 의사결정 상황에서 공정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집단 활동으로서의 게임 상황에서 공정한 게임이 될 수 있도록 공정성을 판단을 하고 있었다.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 있었는데, 개인적 요인으로는 가치판단의 딜레마와 교사의 선입견이 있었으며 상황적 요인으로는 일과 운영, 상황의 다양성, 학부모의 요구가 있었다. 교사들은 공정성 판단 시 다양한 가치가 충돌하여 어느 것에 중점을 둘지 어려움을 겪거나 교사의 선입견이 작용하여 공정한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일과 운영으로 인해 어떤 사건이나 특정 활동에 오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는 경우, 다양한 입장이 상충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교사의 생각과 부딪히는 학부모의 요구가 있을 경우 공정한 판단이 어렵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학급 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찾기, 학급에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 배려하기, 소수 의견 존중하기, 교사의 권위를 최소화하기, 자기반성하기가 그것이다. 교사들은 학급에서의 평등을 위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으며, 형평을 위해 학급에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 배려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의사결정 시 소수 의견이 존중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교사가 유아와 동등한 위치의 학급 구성원이 되기 위해 교사의 권위를 최소화하였으며, 지속적인 자기반성을 통해 자신을 점검하고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자기반성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 언어자료기반 학습(DDL) 접근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탈어휘 동사 연어 학습 효과

        안예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언어자료기반 학습(DDL) 접근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탈어휘 동사 연어 학습 효과 안 예 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영어 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언어자료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 DDL) 접근법을 적용하여 탈어휘 동사 연어 패턴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DDL을 PPP (Present-Practice-Product) 원리에 따라 연역적인 방법과 네 가지 질문법(4Is)의 원리에 따라 귀납적인 방법으로 실시한 후에, 학습 결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비교해 볼 예정이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H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3차시에 걸친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역적 DDL 집단에서 15명, 귀납적 DDL 집단에서 14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절차로는 일반적인 고등학생들의 어휘 및 연어 학습에 대한 인식과 탈어휘 동사에 관한 지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먼저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업에 들어가기 전, 사전 검사에서 선다형 평가를 사용해서 탈어휘 동사의 형태 지식을 측정하고 수업이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와 지연 사후 검사에서 선다형 평가와 빈칸 채우기, 문장 쓰기 평가를 실시해서 학습한 탈어휘 동사 연어 지식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적 측면에서 두 집단의 반응을 비교하기 위해 사후 설문조사와 학습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탈어휘 동사 연어 패턴 학습을 위해 귀납적인 DDL과 연역적인 DDL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DDL을 연역적이거나 귀납적으로 수행했는지 여부는 처치 직후와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학습자들의 탈어휘 동사 연어에 관한 지식 수준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는 연역 집단에게 탈어휘 동사 연어 패턴에 관해 명시적으로 설명한 참고자료와 귀납 집단에게 코퍼스 예문과 함께 제공한 안내 질문이 모두 효과적으로 학습자들의 주의를 탈어휘 동사 연어 패턴에 집중시켜주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연역적인 DDL과 귀납적인 DDL은 모두 탈어휘 동사의 형태에 관한 지식을 학습하고 장기적으로 기억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탈어휘 동사와 명사가 연어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교사가 미리 설명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안내 질문만 제공하더라도 학생들이 코퍼스 자료를 주도적으로 탐색해서 연어 지식을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교사 중심의 수업에 익숙한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학습자 주도적인 DDL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연습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어휘에 관한 지식을 스스로 예문을 탐색해서 찾는 것보다 교사가 명시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을 더 어렵지 않고 유익하다고 인식한다. 하지만 교사의 설명 없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코퍼스 자료를 통해 어휘 지식을 발견하는 것은 여전히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교실에서 연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코퍼스 자료는 교사가 미리 유용한 예문을 선별하여 KWIC 기법을 적용해서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 학생들이 탈어휘 동사의 연어 패턴을 발견하는 데 4~6개의 예문만 있어도 적절하며, 예문에 사용된 KWIC 기법이 효과적으로 탈어휘 동사 연어 패턴에 의식 상승을 시켜준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덜어주려면 교사가 미리 학습자 수준에 맞게 코퍼스 자료를 편집해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이 논문은 202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포항지진을 홀로 겪은 초등학생 미술치료 사례연구

        안예슬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발생 지진 중 역대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포항지진을 홀로 겪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Herman(1992)의 외상성 치유3단계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한 9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재난으로 인한 외상아동에게 다양한 매체경험과 활동으로 정서·긴장이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주도권을 획득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미술치료는 2018년 3월 27일부터 2018년 5월 8일까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9회기 진행하였으며 연구 측정도구로는 IES-R-K(한국판사건 충격 척도 개정판)와 PITR(빗속의 사람)을 사용하였다. 치료 후에 녹취된 자료와 관찰 내용, 작품, 사전·사후 검사를 바탕으로 회기별 사례 분석과 단계별 아동의 변화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재난을 통한 외상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내적 자원을 활용할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고 한다. 둘째, 부분적인 PTSD이지만 미술치료를 통해 과거 충격사건을 수용하고 전환하는 기회가 되었음을 보고 한다. 셋 째, 충격을 줄 수 있는 외상상황에 경직되지 않고 주도적으로 건강한 방법을 이용해 대처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음을 보고 한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재난으로 인한 외상경험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경험과 활동으로 정서·긴장이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주도권을 획득하여 미술 치료적 접근을 통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아동이 포항지진으로 인하여 외상을 경험한 다수를 대표 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여겨졌던 한반도의 지진 발생으로 인하여 외상을 경험한 많은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미술치료 활동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많은 사례결과를 통해 재난상황에서 미술치료의 효과성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길 바란다.

      • 피난유도등 색채에 따른 가시성과 친숙도 평가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난유도등의 비상구 사인은 피난유도시설로서 피난자의 피난행동을 유도하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한다. 화재, 재난과 같은 위급상황 시 피난자는 이러한 피난유도시설의 안내에 따라 피난한다. 피난은 정확하고 신속한 대피경로를 확보해 대피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러한 위급상황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큰 이유는 피난자가 골든타임 내 피난을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급상황 시 연기, 절전 등에 의해 명확한 시야 확보가 어려워 피난유도시설의 인지가 낮아 정확한 대피경로 파악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건물의 고층화와 복잡한 디자인에 의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위급상황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피난유도시설의 인지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시성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색채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선을 이끌며 가시성 확보에 기여하는 중요 요소이다. 더 나아가 색채는 특정 의미를 가지며 특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색채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유는 색채 연상 그리고 친숙도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색채의 특징은 원초적인 생물학적 기반과 반복적인 경험을 통한 학습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효과적인 색채계획을 위해 이러한 색채 특징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급상황 속 피난행동의 중요 지표 역할을 하는 피난유도등의 가시성과 친숙도를 평가했다. 실험은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을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축한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자극물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상과 휘도 모두 가시성에 관여하며 색채 연상과 이어진다. 둘째 동일한 휘도의 경우 초록이 높은 가시성을 보였다. 셋째 피난유도시설의 주조색 뿐 아니라 도형과 배경의 관계가 가시성에 영향을 주며 색채의 상대성과 관련 있다. 넷째 피난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가시성보다 친숙도가 더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본 연구는 피난행동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가시성 보다 친숙도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피난유도시설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닌 연상과 학습이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피난유도시설의 변동사항은 여러 연구와 논의를 걸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Emergency exit signs are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and serve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vacuation behavior of evacuees.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disaster, the evacuees evacuate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of these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The main purpose of evacuation is to secure accurate and rapid evacuation routes. The main reason for the loss of life in such an emergency means that the evacuees did not succeed in evacuating within Golden Time. The reasons for this situation are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evacuation route due to low awareness of evacuation-guided facilities as it is difficult to secure clear visibility due to something like visual disturbances such as smoke, power saving etc. This situation is becoming more difficult due to the high-rise and complex design of building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evacuation-guided facilities is increasing in order to minimize damag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studies related to visibility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for this.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the eye and contributes to securing visibility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Furthermore, color has a specific meaning and visually conveys specific information. Color can intuitively convey information because it is related to color psychology, association, and familiarit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se colors are manifested by learning through primitive biological bases and repetitive experi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color features for effective color planning. In this study, visibility and familiarity of Emergency exit signs which serve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vacuation behavior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timulus to a simulation image constructed substantially similar to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both color and brightness are involved in visibility and are connected to color psychology and association. Second, for the same brightness, green showed high visi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 and ground as well as the main color of evacuation induction facilities affects visibility and is related to the relativity of colors.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iarity was more involved than visibility as a factor causing evacuation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actor leading to evacuation behavior was more familiar than visibility. This means that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are not just design, but psychology and cognitive learning are involved. These findings remind us that subsequent changes in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through various studies and discussions.

      •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안예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fter a stroke. Methods :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7 stroke pati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K-CPI) to test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to test the Quality of life. Correlations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Result : The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4 factors which are control over participation, social connection and membership, importance of participation and social withdrawa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The community participation correlated with work, social roles, family roles, personality, mood, energy, self car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Control over participation and disability degree were the factors most affected the stroke patient´s QOL, the explanation ability was analysed as to 16%. Conclusion : QOL in stroke patient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participan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s emphasized to improve the QOL of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client centered approach.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후 각 요인의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작업치료를 외래로 받는 뇌졸중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모집 문건을 통하여 지역사회 참여(Korean-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와 뇌졸중 삶의 질 평가(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사회 요인과 삶의 질의 하위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 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에 따라 삶의 질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역사회 참여의 4가지 요인인 참여 주도권, 사회적 유대/관계, 참여의 의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질의 관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역사회 참여와 삶의 질의 하위 영역 중 생산 활동, 사회적 역할, 가족 역할, 성격, 기분 상태, 에너지, 자가 간호 능력, 상지기능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참여 주도권과 질병 정도는 지역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6%의 설명력을 보인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사회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기반의 작업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사회 참여를 위한 작업치료적 접근으로써 포괄적인 중재를 위해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의사결정계층기법(AHP)을 이용한 한국무용 저작권 활용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안예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무용의 저작권 활용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무용저작권의 법적 장치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쟁점에 대한 혜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무용저작권 현안의 법률적 쟁점을 정리함으로써 무용가의 창조성 보호 및 무용의 보급 사이의 균형점을 위하여, 이들 가치 간의 충돌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심도있게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무용 및 타 분야의 저작권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탐색하고, 법률 전문가들의 직관을 도출하기 위하여 델파이(Delphi) 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저작권 관련 법률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요인으로 문항을 제작한 후,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통하여 제작 문항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질문지를 통하여 무용저작권에 대한 측정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박사학위 이상의 경력을 지닌 한국무용가 20인을 대상으로 의사결정계층기법(AHP)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적으로 무용저작권 활용에 관한 제도적 개선의 방안으로 무용저작물 보호범위의 요소(플롯의 구체적인 구성), 고정화 수단의 요소(동영상 촬영본), 창작성의 요소(독자적 작성 및 창조적 개성의 조합), 활성화의 요소(저작권 등록 인식의 보편화)로 도출되었다. 둘째, 무용저작물을 연극저작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법제의 개선이 요구된다. 무용저작물을 연극저작물로부터 분리시켜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등록된 무용저작물의 접근성을 높일 뿐 아니라 무용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법제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무용저작물의 성립요건으로 ‘고정화’ 요건을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고정화 수단이 통일 혹은 체계화되어야 접근성이 높아지며, 접근성이 높아져야 권리로서 보호할만한 실질적 이익이 생긴다. 넷째, 저작권에 대한 무용계에서의 건강한 수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무용가들에게 ‘저작권’에 대한 지식의 정도는 표피적이기 때문에 우선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분위기의 전환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창조적 계승에 있어서는 전통식 도제 교육에서 벗어나 인지적 도제 기반의 보완된 교육적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발전된 기술의 고정화 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라바노테이션과 같은 고전적 무보 체계가 현대 기술과 접목하면서 모션 캡처 등으로 발전하여 동작 패턴을 기억하고 일치성을 분리하는 기술로 진화한 것과 같이, 시대에 맞는 고정화 수단이 상용화된다면 저작자의 저작물 보호가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여섯째, 디지털 전문 사서 혹은 전문 학예 연구사를 배치하는 등 전문적인 인력 또한 시급하게 요청된다. 주로 미술 분야에서 운용되었던 큐레이터 영역이 무용 분야에 도입된다면, 대중들의 무용에 대한 이해와 향유를 도울 뿐 아니라 무용 분야에서의 전문 인력 양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신탁관리단체를 도입하고자 한다면 앞서 신탁관리단체를 설립한 타 분야 사례의 장단점을 검토하여 실책을 범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생각해보아야 할 것은 현재 무용계가 신탁관리단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산업의 규모인지 도입에 따르는 경제적 제반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리자(안무가)의 손실은 줄이되 무용 시장 규모에 적합한 관리단체를 대체할 방안으로 위원회 또는 협회 차원의 기구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델파이 조사에서 법적 장치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법률 전문가 기준으로 제도적 개선을 위한 요인이 추출 되었지만 무용가들은 이들 요인에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음을 연구의 제한점으로 둔다. 향후에는 더 개방적으로 무용가들과 법률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가 연구하고자 한다. 주요어 : 무용저작권, 한국무용, 저작권, 의사결정계층기법, AH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use of copyright in Korean dance. This study deals mainly with the legal mechanism of the dance copyright and tries to draw up the insight on the issue of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dance copyright are summarized in order to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dancer's creativity and the dissemination of the dance,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onflict between these values ​​will be addressed in dept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copyright in dance and other fields was explored, Delphi research was used to derive intuitions of legal experts, and six legal experts related to copyright were conducted. After producing questions with the factors derived through this, the adequacy of the produced question was evaluated by consulting legal experts.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surement items for dance copyright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conducted for 20 Korean dancers with more than a Ph. 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final method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on the use of dance copyright, elements of protection range of dance works (specific composition of the plot), elements of fixed means (video clip), elements of creativity (combination of self-creating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element of activation (universalization of copyright registration recognition) were derived. Seco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legislation that separates dance works from theatrical works. It is necessary to make legal efforts to separate dance works from theatrical works an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ance works registered with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as well as enhance the status of dance. Third, it should be considered to add “fixed” requirements as a requirement for the creation of dance works. The fixed measures must be unified or systematized to increase accessibility, and only when accessibility increases, there will be practical benefits to be protected as a right. Fourth, healthy acceptance of copyright in the dance world should be preceded. For dancers, the degree of knowledge of “copyrights” is superficial, so first of all,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atmosphe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shared. In the future creative succession, a complementary educational system based on cognitive apprenticeship should be established away from traditional apprenticeship education. Fifth, there is a need for a means of fixed technology developed according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classic mubo system such as Labanotation has evolved into motion capture, etc. by combining with modern technology and evolved into a technology that remembers movement patterns and separates the consistency, the copyrights-holder's protection of their copyrighted work will be easier if modern methods of fixed are commercialized. Sixth, professional personnel such as the placement of digital librarians or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ers are also urgently required. If the curator area, which was mainly operated in the fine art field, is introduced into the dance field, it will not only help the public understand and enjoy dance but also expect to cultivate experts in the dance field. Seventh, if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is to be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rits and demerits of other cases in which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s was established before and make no mistakes.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adopting whether the current dance industry is the size of the industry that can accommodate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s. Therefore, a committee or association-level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easure to reduce the loss of the copyrights-holder (choreographer) but to replace the management group appropriate for the size of the dance market. This study has limitations on the fact that the Delphi survey has focused on the legal device and extracted factor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n the basis of legal experts, but the dancers did not agree with these factors or recognize these factor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creating practical alternative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dancers and legal experts. Keywords : Dance Copyright, Korean Dance, Copyright,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여성 청년의 사회적 고립 경험에 관한 젠더 연구 : 비혼 여성 청년의 미취업·고립 경험을 중심으로

        안예슬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s the rate of suicide attempts among young women has increased,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rate of the particular group(i.e., young women). However, the analysis of the lives of these young women has been limited to a pathological approach, and various agendas surrounding their lives have been underexplored. This study analyzes the lives of young women, specifically, focusing on ‘isolation’ as the main topic, and examines their daily lives, social relationships, jobs, and desired future.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s on the isolation experiences of ten women aged 20-34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solat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e. Five of the interviewe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said that they thought of suicide when they were isolated, and the participants did not recognize ment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and isolation as separate concept. Second, young women generally experienced great confusion in process of exploring careers, and repeatedly had short-term jobs because they could not get stable jobs. The ‘state of having no income and nothing to do’ between jobs is combined with existing social relationships, leading to ‘isolation’. Third, the possibility of isolation and vulnerability of young women living with their families was found. Young women living with their families have not been addressed in previous isolation studies. However, amo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young women who experienced isolation whi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were not understood by their families and did not receive daily care such as meals. To be specific, it was found that the existence of family members they are living together did not guarantee the daily activities of a isolated young woman. For young women, their family background encompasses all aspects of their life. Among them, the patriarchal oppression they experienced in their family is pointed out as the root cause of not being able to ask for help from those around them in difficult situations. The difficulty of ‘speaking’ is a common experience of young women. They need to solve their difficulties on their own, and consider asking for help from others i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m. The most meaningful beings to them were their friends and lovers. Friends and lovers are the most intimate beings with whom young women can talk about their difficulties.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ey escapes isolation through their friends and lovers, but for the same reason, severance of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and lovers can also cause isolation to them. Rather than ‘ask’ for help from those around them to escape isolation, they ‘make use’ of policies or hobbies. However, the underlying problem is that isolation is a repeated experience for young women. If unemployment, loss of important relationships, and emotional difficulties occur repeatedly despite their individual efforts, they may become isolated again. On the other hand, they, who were unable to talk about their pain during their isolation, emphasize deeply and are willing to help if someone goes through the same difficulties. To be specific, it was found that the empathy is what they want to give to and receive from others, and is a true preventive measure and solution to isolation. In this study, why young women are in a position where they cannot speak in our society was repeatedly questioned. The experiences of young women revealed in the interviews not only explain why they cannot ask for help from others, but also specifically reveal the discrimination and lack of a social safety net that they experienced. In addition, the strategies they take to escape isolation and the image of the future they hope for capture their subjecthood, suggesting the form of social support they need.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gender oppression experienced by young women acts as a key mechanism for their isolation. 코로나19 발발 후 여성 청년의 자살시도율이 상승하며, 이들의 우울증상 경험률과 자살률에 관한 관심이 본격화되었다. 하지만, 여성 청년의 삶은 다각도로 다뤄지지 않은 채, 질병적 접근에 한정되어 이들의 삶을 감싸고 있는 다양한 의제들이 가려진다. 본 연구는 여성 청년의 삶을 ‘고립’을 주제로 분석하여, 이들의 일상과 사회적 관계, 일자리, 그리고 희망하는 미래의 모습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4세 여성 10명의 고립 경험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고립은 우울 및 자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인터뷰 참여자 중 5명은 고립 당시 자살을 생각했다고 밝혔으며, 참여자들은 우울과 같은 정신적 어려움과 고립을 분리된 개념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 청년은 대체로 진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큰 혼란을 겪으며, 안정적 일자리에 진입하지 못해 단기 일자리를 반복했다. 일자리와 일자리 사이에 겪는 ‘수입과 할 일이 없는 상태’는 기존의 사회적 관계와 결합해 ‘고립’으로 이어진다. 셋째, 가족과 동거하는 여성 청년의 고립 가능성과 취약성을 발견했다. 가족과 동거하는 여성 청년은 기존 고립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구참여자 중 가족과 동거하면서도 고립을 경험한 여성 청년은, 동거 가족으로부터 이해받지 못했으며 식사와 같은 일상적 돌봄도 받지 못했다. 즉, 동거 가족의 유무는 고립 당사자의 일상적 행위를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청년에게 가족 배경은 삶의 전반을 아우른다. 그중에서도 이들이 가족 내에서 경험한 가부장적 억압은 어려운 상황에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된다. ‘말하기’의 어려움은 여성 청년의 공통적인 경험이다. 이들은 자신의 어려움은 스스로 해결해야 하며,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민폐’라고 생각한다. 이들에게 가장 의미 있는 존재는 친구와 애인이었다. 친구와 애인은 여성 청년이 자신의 어려움을 말할 수 있는 가장 친밀한 존재이다. 따라서, 친구와 애인을 통해 고립상태를 벗어난 사례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친구와의 관계단절 그리고 애인과의 이별은 고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여성 청년은 고립을 벗어나기 위해 주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보다, 정책이나 취미활동을 ‘활용’한다. 문제는, 여성 청년에게 고립은 반복되는 경험이라는데 있다. 여성 청년 개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실업, 중요한 관계의 상실, 그리고 정서적 어려움 등이 발생한다면 이들은 다시 고립될 수 있다. 반면, 고립 시기 자신의 고통을 이야기할 수 없었던 여성 청년은 누군가 같은 어려움을 겪는다면 깊이 공감하여 기꺼이 도움을 주고자 한다. 즉, 이들에게 공감은 타인에게 주고 싶은 것이자 받고 싶은 것이며, 고립의 진정한 예방책이자 해결책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왜 여성 청년이 말하지 못하는 위치에 놓여있는지를 반복적으로 질문한다. 인터뷰에서 드러난 여성 청년의 경험은 이들이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여성 청년이 경험하는 차별과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를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여성 청년이 고립을 벗어나기 위해 취한 전략과 희망하는 미래의 모습은 이들의 주체성을 포착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원의 형태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여성 청년이 경험하는 젠더적 억압이 이들의 고립에 핵심적인 기제로 작용함을 밝혀냈다는 것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