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Analysis of focus based on DRT : DRT에 근거한 초점 분석

        안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의 목적은 “초점”(focus) 을 표시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는데 있다. 즉, 담화 표지 이론(이하 DRT)에서 사용하고 있는 담화 표지 구조(이하 DRS)를 사용함으로써 초점이 DRS 안에서 어떤 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 때, 다른 모든 전제나 규칙은 DRT의 그것에 따르되, “이중 조건”(duplex condition)이라는 연산 방식을 사용하여 초점과 초점 작용사(focus-sensitive operator)가 결합하는 양상을 보여 주게 된다. 사실, 이중 조건은 양화사가 들어 있는 문장의 비율 문제(proportion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었지만, 본고에서는 양화사와 초점이 유사함을 전제하고, 따라서 초점도 이중 조건의 틀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Krifka(1992)도 지적했듯이, 초점은 양화사처럼 문장을 양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초점이 있는 문장은 초점을 가진 성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즉, 바탕(background)으로 의미적 측면에서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중 조건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먼저 맨 왼쪽에 있는 부분은 새로운 담화 표시자(discourse referent)를 소개하게 되는데, 이 담화 표시자는 초점을 받은 문장 성분과 동일한 타입을 가진 대용소(alternative)들의 집합이다. 가운데 부분에는 초점 작용사가 존재하며, 그 오른쪽 부분에는 맨 왼쪽에 소개된 대용소들의 집합으로 대체되어진 담화 조건(discourse condition)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형식을 통해, 초점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가 단언(assertion)된다. 이 과정에는 반드시 각 초점 작용사의 의미 조건(meaning postulate)이 DRS 내에 제시되어야만 초점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가 도출될 수 있다. 그 동안 많은 언어학자들이 초점이라는 언어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연구하여 여러 이론들을 제시해 왔다. 그 예로, Rochemont(1986)은 초점에 대한 통사론적 접근을 시도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초점은 일률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두 가지 서로 다른 규칙 즉, “제시적 초점(presentational focus)”과 “대조적 초점(contrastive focus)”의 규칙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에 의해, 새로운 정보를 담은 문장 요소는 언제든지 초점을 받게 되고, 어떤 문장 성분이 자신이 내포된(embedded) 절 바깥에 의미적 선행사를 가지게 될 경우에는 대조적 초점을 받을 수 있다. Rooth(1985, 1992)는 “대용 의미론”(Alternative Semantics)을 제안했는데, 그의 분석에서 초점 성분의 의미는, 그 성분과 타입이 같은 모든 개체들을 초점의 자리에 대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von Stechow (1989, 1990)와 Krifka(1991, 1992)가 제안한 초점 이론은 구조적 의미들(structured meanings)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의 이론은 일반적으로 대용 의미론보다 그 표현 범위가 넓다고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이 이론이 초점의 의미를 조합적으로(compositionally) 나타낼 수 있게 됨으로써, 대용소 집합의 규정에 관한 문제와 조응 결속(anaphoric binding)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다는 데 있다. 구조적 의미 이론은 한 쌍의 의미 표시, <B, F>로써 나타내어지는데, 이 때, B가 F에 적용되어 보편적 형태인 B(F)를 만들어내고 이것에 의해 바탕과 초점 구조가 제시된다. 한편, Steedman(1991)은 “결합적 범주 문법”을 발전시키는데, 그에 따르면, 억양 구조(intonational structure)와 표면 구조 (surface struture)는 동형 이성적(isomorphic)이며, 음운적 양상은 결합 문법의 규칙에 의해 표면 구조에 직접 사상(mapping)된다. 이러한 결합적 범주 문법 안에서, 표면 구조에 나타난 문장 성분들은 그 각각이 지닌 억양에 따라 담화 기능을 가진다고 한다. 화용론에 근거한 초점 이론의 하나는 Lambrecht(1994)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그의 이론은 초점을 정보 구조로써 나타내고, 통사적, 의미적, 음운적, 화용적인 관점을 통합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초점에 접근하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문장의 담화적 의미는 모든 가능한 이형태들(allosentences) 가운데서 화용적으로 단언된다. “대용 의미론,” “구조적 의미 이론,” 그리고 “결합적 범주 문법”의 장단점을 논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초점 이론이 제안되는데, 이는 Pulman(1997)의 “고차적 통합 이론”(Higher Order Unification Theory)이다. 이 접근법은 람다 연산을 사용하고, 통사적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기존의 이론들에서 문제가 되었던 비통사적 성분에 가해진 초점이나 초점과 생략간의 상호 작용을 무리 없이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존 이론들에 덧붙여, 본고에서 제안하고 있는 초점 분석은 초점 표시와 해석을 위한 또 하나의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이론인 DRT에서 여전히 상당한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초점 현상을 해결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찾아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new way of representing and interpreting ˝focus.˝ The framework of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viz., 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 will be used to represent focus. We assume that focus combines with a focus-sensitive operator through a certain algorithm, a ˝duplex condition.˝ The duplex condition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box on the left side introduces a new discourse referent, which represents a set of alternatives to the focused constituent. In the middle, there is a diamond which contains the focus-sensitive operator.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dition is placed a new discourse condition which is the result of replacing the operator and the focused constituent with the new discourse referent. This operation assumes the function of focus as a separator between focus and background in a sentence. In addition to this condition, a meaning postulate for each focus-sensitive operator is provided, in which the operator furnishes the sentence with a presupposition. In this way,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ontaining focus is to be asserted. Man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focus phenomenon and various approaches to this phenomenon have been proposed. Rochemont (1986), in his syntax-based theory, argues that focus should be looked upon as two kinds, one of which is ˝presentational˝ focus and the other is ˝contrastive˝ focus. By this classification, he maintains that any new information in a sentence will be focused and elements are to be focused contrastively if they have their semantic antecedents within a sentence but the information of the sentence is new in a whole discourse. Rooth (1985, 1992) presents another approach called ˝Alternative Semantics.˝ He tries to obtain the semantic value of a sentence by substituting all available entities of the appropriate type for the focused phrase. These free variable-like entities are applied to the remaining part of a sentence except a focused constituent. And then, a focused element is asserted. Von Stechow (1989, 1990) and Krifka (1991, 1992) suggest their focus theories based on ˝structured meanings.˝ They claim that the Structured Meaning Approach has more expressive power than the Alternative Semantics by way of compositional treatment of focus. Their background- focus structure is represented as a pair of semantic representations <B, F>, in which B can be applied to F, generating the standard representation B(F). Meanwhile, Steedman (1991) develops the ˝combinatory categorial grammar.˝ He holds that the intonational structure and the surface structure are isomorphic and a phonological form is directly mapped onto a surface structure by means of the rules of combinatory grammar. This grammar assigns each constituent of the surface structure a discourse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onational tune it bears. Focus structure founded on pragmatics is presented by Lambrecht (1994) in the name of the information-structure construal of focus. In this theory, the discourse value of a sentence is measured against the background of possible allosentences. Pulman (1997)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several major existing approaches and proposes the ˝Higher Order Unification Theory.˝ His theory is defined on pairs of a typed lambda calculus. This analysis is claimed to be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analyses in the sense that it can also provide explanation for non-constituent focus phenomenon, unmarked focus, and interactions between focus and ellipsis. In addition to these focus theories, the proposal of this thesis can be perceived as another possible and, at least, equally efficient way of representing focus. Moreover, we represent focus within the framework of DRS, which Kamp and Reyle themselves think, poses one of the intractable problems for their theory. This proposal is hopefully a stepping-stone to a more sophisticated focus representation framework and its interpretation.

      • 피자전문점의 배달서비스 대기시간이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영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문요약 피자전문점의 배달서비스 대기시간이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배달 외식산업 중 피자전문점의 배달 서비스 대기 시간이 서비스 지연, 보상,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배달 외식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확대로 배달앱, 인터넷 발달과 온라인 오프라인을 연결한 O2O(오투오, Online to Offline)기술 발전에 힘입어 음식 주문과 결재가 빠르게 진행되고 성장하는 가운데 배달 대시시간이 배달 외식산업에서 중요 변수로 작용할 것을 고려하여 연구를 계획하였고, 실제 배달 대기시간과 지각된 대기시간, 안내 배달 대기시간과 실제 배달 대기시간의 차이인 기대불일치 시간등을 경험하면서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피자 배달 전문점의 실제 배달 시간 data를 활용하여 대기시간을 경험한 고객들 위주로 설문을 진행 하였으며, 설문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수행 되었다. 예비 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최종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0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단순회귀분석과 조절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자 전문점의 배달서비스 지연이 고객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의 본 연구 실증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대기시간이 늘어나면 고객의 만족은 감소할 것이다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기 시간 지연에 따른 서비스 지연과 보상유무는 조절변수로 고객 만족과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셋째, 고객만족도는 재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사점은 배달 대기시간이 고객 만족으로 이어지는 첫 번째는 고객에게 약속배달시간의 정확한 안내와 배달 대기 시간이 43분을 초과하게 되면 고객의 만족도는 급격히 하락하며, 배달지연이 주문 후 시점부터 57분을 경과하게 되면 고객에게 어떠한 보상도 고객 만족과 재방문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 of Actual Waiting Time in Pizza Delivery Restauran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customers’ actual waiting time of pizza delivery service to their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thesis attempted to identify whether providing compensation for delayed delivery would attenuate customers’ dissatisfaction and maintain their intention to repurchase and if so when to provide it.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customers experiencing waiting time by utilizing actual delivery time data of pizza specialized restaurant with delivery service. The survey was made by 2 steps, pre-survey and main survey. Through pre survey,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amended and corrected, A total of 300 randomly chosen customers were invited to the survey, and 220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 'Customer satisfaction would decrease as actual waiting time increases.' - has been confirmed. Second, hypothesis - 'The compensation for the extension of waiting time and service delay, as a moderating variabl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waiting time and customer satisfaction.' - has been confirmed. Third, the hypothesis - 'Customer satisfaction would give positive influence to repurchasing behavior.' - has been support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cted delivery time shall correctly be announced to customer at the time of order. In the case that the delivery waiting time is longer than 43 minutes, customer satisfaction would rapidly decrease. If the delay of delivery is over 57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order is made, any kind of compensation will not be effective in recover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Additional implication,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중학교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이 이공계선호 및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안영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이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수업을 거치면서 진로의식 성숙도와 이공계 선호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지도의 효과를 검증하고 교육에 대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진로의식 성숙도의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 2.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이공계 선호도에 대한 의식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기간은 2012년 4월 2일부터 4월 20일까지 3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먼저 실험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 기간 동안에는 실험집단에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을 수업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의식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Crites(1978)의 Counseling Form(B-1)을 사용하여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공계 선호도에 대한 의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설문지와 느낀점 쓰기를 통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을 수업하고 나서 따른 진로의식 성숙도의 차이를 보면 실험집단이나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의식 성숙도의 하위 영역 중 결정성, 관여성, 성향성의 부분에서는 평균값이 상승하기도 했지만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해석하기에는 어려웠다. 이는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 수업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을 높이는 데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또한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을 수업하고 나서 따른 이공계 선호 및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의식 변화의 차이를 보면, 많은 학생들이 이공계에 대한 중요성 및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인식변화에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볼 때 ‘정보통신기술과 생활’단원이 중학생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진로의식을 심어주는 것으로는 매우 적합하며,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의식을 변화 시켜주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an middle school's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has an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s science-engineering sector or related careers for their future. The two null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2)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interests in science-engineering departm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For hypothesis testing, the students of 6th grade in S middle school are chosen for three groups and those of D middle school are chosen for four groups. Those middle schools are located in Gyeongju and Gumi.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from 2, April to 20, April in 2012. The two groups were taken preliminary inspection and th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for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6 times during the period. After the experiment, both of two groups were taken the post inspection. Counseling Form(B-1), a part of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by Crites(1978) adopted by Hyun-Lim Lee(1994) was used to survey the career maturity. Survey and the search of responses were used to research the preference in science-engineering department. The result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by using PASW 18.0 and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an invention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In career maturity, there weren'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as a adopted resul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in class. This result shows tha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is not appropriate to promote the career maturity. In science-engineering depart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found experimental group as a adopted resul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in cla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lesson helps to improv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ience-engineering.

      • 노인요양시설 근무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영란 가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우리나라는 경제수준의 향상 및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은 연장되었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노인인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져 고령 사회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노인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는 것은 제공받는 간호에 대한 만족도나 서비스의 질과 연결되고 노인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영향력을 고려할 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노인을 접하는 근무자들의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함께 긍정적인 태도는 매우 중요하며 노인환자에게 만족할 만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시설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근무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간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노인 간호의 발전 및 요양시설의 질적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및 시설의 거주자인 노인환자와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4월 27일부터 2017년 5월 11일까지 하였고, 자료수집방법은 요양시설을 직접 개별 방문하여 노인환자의 경우 일대일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고 근무자에게는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노인에 대한 지식은 Palmore에 의해 개발되고, 한정란(2003)이 한국노인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25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1984년 Sanders등이 만든 노인의 태도 조사를 위해 개발된 의미분별척도 (Semantic Differential Scaling)를 임영신(2002)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만족도의 도구는 La-Monica등(1986)이 개발한 환자 만족도 측정도구(Patient Satisfaction Scale: LOPSS)로서 김영희(2013)가 총24개의 문항으로 보완하고 수정한 도구이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Scheffe의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무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평균 점수가 11.72(20점 만점)이었다. 2) 노인에 대한 태도는 평균점수는 84.88(140점 만점)로 중립적인 범위 내에 있었다. 3) 입원 노인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만족도는 120점 만점에 평균 89.15이었으며 기관유형, 간호사 유무, 건강상태, 지식, 태도가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유무(p=.004<.01)가 간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가 있는 기관(B=15.085)의 간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3.5%이다.

      • 고등학생의 효도와 부모가 지각한 자녀에 대한 기대 및 역할 인식 : 토착심리 분석

        안영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효도와 부모가 지각한 자녀에 대한 기대 및 역할인식을 토착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대상은 전체 597명이었으며, 고등학생 199명(남, 89명; 여, 110명), 부모 398명(부, 199명; 모, 199명)이었다. 고등학생의 효도와 부모가 지각한 자녀에 대한 기대 및 역할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한 행동으로서, 순종과 부모를 도와줌이 각각 24.9%로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학업충실, 부모를 아껴줌이 지적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해 하는 언어 표현으로는 예의바른 표현(33.5%)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이 외에 다정한 표현, 순종하는 표현 등이 부각되었다. 셋째, 고등학생이 부모님께 효도해야 하는 이유로는, 낳아주심(42.8%)이 반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식된 도리, 부모님이 키워주심, 부모의 희생에 대한 보답 등이 포함되었다. 넷째, 부모로서 자녀가 미래에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으로는, 사회에 공헌하는 사람, 도덕적인 사람, 성실한 사람, 행복한 사람, 원만한 사람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로서 자녀가 미래에 갖기를 기대하는 직업으로는, 전문직(27.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본인의 희망하는 일을 갖기, 교육자, 공무원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보람을 느낄 때는, 잘 성장함(41.8%)이 1/2에 가까운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학업충실, 순종, 성실함이 부각되었다.

      • 鄭秋楓의 戀歌곡「祖國四季」분석연구

        안영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중국에서는 일본과 유럽유학을 다녀온 소우매(肖友梅), 리숙동(李叔同) 등 유학파 음악인들에 의하여 학당악가라는 형태로 중국예술가곡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음악가들이 처음에는 기존에 있는 서양의 예술가곡에 가사만 붙여서 만들었는데, 나중에는 민족전통음악기초 위에 서양음악이론을 결부하여 새로운 중국예술가곡을 창작하였다. 중국예술가곡은 시대배경에 따라 가사와 곡의 성격도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예술가곡의 전성시대인 1980년대에 주로 활동한 작곡가 정추풍은 군부대 작곡가 출신이며 중국의 당대 저명한 작곡가이다. 그는 기악곡, 무용극, 관현악곡, 예술가곡, 영화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400여 편이나 작곡하였으며 그 중 40여곡이 수상에 올랐다. 정추풍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인 「조국사계」역시 1980년대에 작곡된 작품으로, 중국의 자연 그대로의 사계절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 곡들을 통하여 중국의 실제적인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 그동안 겪어 온 역사적인 삶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간주곡을 포함한 다섯 곡을 노래 선율과 반주부분의 가사, 리듬, 박자, 조성, 빠르기, 음악적 성격, 연주해석 면에서 연구하고 분석하여 연주자들의 보다 수준 있는 연주해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20th century, Chinese artistic air made its entrance in China in the form of an alma mater by musicians who studied abroad in Japan and Europe, such as Woomae Soh and Sookdong Lee. Zeng Qiu Feng, a Chines composer who was active mainly in the 1980's, was originally a composer in an army and a renowned composer of the era. He composed about 400 pieces of music across a variety of genres such as instrumental music, dance music, orchestral music, artistic air and movie themes, among which about 40 pieces have been awarded. In his representative work, "The Four Seasons of Homeland", Zeng Qiu Feng not only shows the real nature of China throughout its four seasons,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but also symbolically expresses the historic life that China has been through so far. In <Spring-Spring in homeland>, the composer tries to express the happiness and joy that people felt to live peaceful lives after the emancipation, and in <Summer-Sea gull flies in>, Chinese and Taiwanese people's earnest wish to be unified is described. Also, <Fall-Famiol, my beautiful hometown>, depicts fruitful and relaxed lives of Tajiks. Interludes, <In front of a monument> and <Winter -Oh, my homeland>, are actually one song in which the two are relevant in their contents, and this interlude expresses the scene of standing in front of a monument, cherish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and reflecting upon the history. In the fourth song, Zheng Qiu Feng describes China in its grandeur and magnificence as if it's a piece of painting, and expresses the eternal pride and love of the composer for his homeland. In this paper, I've studied five songs including interlude and analyzed their lyrics, rhythm, tempo, meter, key, musical characteristic and interpretation in their melody and accompaniment, so that more sophisticated interpretation is possible by the performers.

      •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초등 5, 6학년을 중심으로

        안영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미술 교과에서 구현할 수 있는 사회참여미술과 세계시민교육 요소를 분석하고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사회참여미술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에서 세계시민교육 요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에서 활용 가능한 활동 주제를 선정하고 학생들의 수준과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흥미롭게 참여하며 세계시민성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사회참여미술은 학습자들에게 통합적인 활동을 제공하며, 다양한 형식의 표현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목적과 부합한다. 사회참여미술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성이 길러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진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활동은 3-4명의 모둠을 중심으로 하며 이는 학습자 중심의 상호 간 의존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로 미술 활동을 해나가며 사회의 변화를 위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고 능동적으로 배우는 경험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평생 학습자로써의 체험을 하게 될 것이다. 모든 활동은 개인적인 활동이 아닌 공동 학습으로 이루어지며 배우는 과정에서 나온 작품은 공유를 통해 계속 수정, 보완해갈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내용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미술교육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써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참여하며 세계시민성을 기르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술교육 지도 방안을 통하여 교실 안 수업이 사회 밖으로 확장되는 실천적인 사회참여수업의 기회를 갖을 수 있고 세계시민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미술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여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지도 방안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참여미술의 형태를 알아보고 그 한계점을 기반으로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구성 내용으로는 첫째, 사회참여미술의 요소, 세계시민교육의 구성 요소를 최대한 포함한 학습 활동과 사례의 제시, 둘째, 교실 밖, 지역사회로의 학습공간의 확장, 셋째, 사회참여프로젝트 속 외부인과의 협업이다. 이러한 활동은 ‘세상을 바꾸는 미술’이라는 공통 주제 속 2가지의 제제로 구성되고 각 제재마다 6차시의 수업으로 제시하였다. 수업은 실제 구현 사례를 중심으로 6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였으며 사회 문제를 직접 발견하고 소통하고 참여하며 문제를 해결해가는 실천까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미술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은 실제적으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주변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할 것이다. 학습자들은 미술이 사회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수업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수업의 목표에 집중력과 호기심이 높아질 것이며 활동하는 과정속에서 생겨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만나고 자연스럽게 공유해가며 해결하는 동안 타인과의 관계 속 자아정체성을 기르고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유대감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참여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지도방안이 실제 초등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미술을 통해 학습자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세계시민성을 기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韓國人 日本語 學習者의 中間言語 分析 : 「だけ」와「ばかり」를 중심으로

        안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人間は何かを□ぶ過程において誤りを繰り返しながら□んでいくように、第1言語及び第2言語の習得においても似たような特□が現れる。本□究では韓□人日本語□習者を□象に、取り立て助詞「だけ」と「ばかり」の誤用を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習者の中間言語(interlanguage)の特性を把握し、その誤用を減らすとともに、より合理的な日本語□育に貢□できるような基礎的知見を見出すために行なった。 硏究方法としては、□□な品詞(名詞、格助詞、動詞、形容詞、その他等)に接□する「だけ」と「ばかり」の例文を作成し、5段階の尺度(極めて自然、やや自然、良く分からない、やや不自然、全く不自然)によって□習者にアンケ□ト調査を□施した。調査は、2007年5月から6月にかけて全羅南道及び光州地域にある三つの大□で日語日文□科の□攻の授業に□加している□生(1年生41名、2年生41名、3年生45名、4年生42名及び大□院生24名の□計193名)を□象とした。また、「だけ」と「ばかり」の文法項目については以下の□点から第2言語習得の特□を分析した。 ① □年(1年生から大□院生)及び日本語能力レベル(1級から無級)の差による第2言語習得の特性 ② □□な品詞(名詞□格助詞□動詞□形容詞□その他)に接□する「だけ」と「ばかり」の中間言語の特性と習得順序 ③「だけ」と「ばかり」の習得過程に現れる中間言語と第1言語との相互□連 性 以上の□点を中心に「だけ」と「ばかり」の習得過程を調査分析した結果、次のような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1)「だけ」と「ばかり」の文法項目については、□部生(1年生から4年生)と大□院生との差が明らかであり、また日本語能力レベル別の誤用差も明らかであった。□ち、大□院生や日本語能力試□1級の取得者は中間言語の表現においても誤用率が低かった。 2)□□な品詞(名詞□格助詞□動詞□形容詞□その他)に接□する「だけ」と「ばかり」の例文については、名詞>動詞>格助詞>その他>形容詞の順に中間言語の表現において誤用率が高くなり、特に、形容詞に接□する「だけ」と「ばかり」の例文の誤用率が最も高かった。 3)「だけ」と「ばかり」の習得過程における1年生及び日本語能力レベルが低い□生、さらに形容詞に接□する例文及び各□の品詞に接□する正しい例文に□□する妨害例文(間違い例文)の場合において第1言語の干□が生じ易いという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以上の結果から、□習者中心に「だけ」と「ばかり」の文法要素を指導する□習□略が必要であり、そのためには日本語を習得する初期の段階から名詞□動詞□格助詞□形容詞□その他に接□する場合の例文を提示することによって中間言語の使用による誤用を減らすことができると思われる。また「だけ」と「ばかり」の習得過程の特性は、韓□人日本語□習者の□育に□用され、□習者の中間言語段階を少なくする資料としても活用されると思われる。 その一方では、韓□人日本語□習者が「だけ」と「ばかり」の習得過程で現れる中間言語の段階に費やす時間を少なくし、第一言語の干□を減らすための□習者の努力や日本語□育を□□する□師、またはそのための多□な方案を追究していく必要がある。 本□究は、多□の□生から一回のアンケ□ト調査によって多くの資料を□集し分析するという□□的方法(cross-sectional study)で中間言語過程を考察していったが、今後は、作文などの長期的な調査による□□的□究(longitudinal study)を□行することで、より詳細な中間言語の過程を把握する□究に□展させていきたい。 인간은 무엇인가를 배우는 과정에서 오류를 범하면서 배우듯 오류는 제1언어 습득뿐 아니라 제2언어 습득에서도 비슷한 특징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だけ」와「ばかり」를 중심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제2언어 습득과정에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중간언어(interlanguage)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일본어 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だけ」와「ばかり」가 다양한 품사(명사, 격조사, 동사, 형용사, 기타 등)에 접속한 문장을 선정하여 해당 문장에 대한 척도를 5단계로 선택하도록 설문문항을 준비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의 상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2007년 5월 전남지역 3개 대학에 재학하며 일어일문학과 전공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1학년 41명, 2학년 41명, 3학년 45명, 4학년 42명 및 대학원생 24명으로 총 1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だけ」와「ばかり」의 문법항목에 대해 다음의 관점에서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습득과정을 분석하였다. ① 학년(1학년~대학원) 및 일본어 능력 급수 차이에 따른 「だけ」와「ばかり」의 중간언어 특성 ② 품사(명사, 격조사, 동사, 형용사, 기타)별 「だけ」와「ばかり」의 접속에 따른 중간언어 특성과 습득 순서 ③「だけ」와「ばかり」의 습득 과정 중 나타나는 중간언어와 제1언어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だけ」와「ばかり」의 습득과정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だけ」와 「ばかり」의 문법 요소가 학부생(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과 대학원생 간의 차이는 뚜렷하였다. 또한 일본어 능력 급수에 따른 그 차이도 뚜렷하였다. 즉 대학원생과 일본어 능력 1급 보유자는「だけ」와 「ばかり」의 문법 요소의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 형태의 오류가 낮아 일본어 학습시간과 일본어 능력 수준은 일본어 습득에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품사별 영역에서는 명사>동사>격조사>기타>형용사 순으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나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명사에 접속하는「だけ」와 「ばかり」의 문장을 다른 품사에 접속되는 문장보다 쉽게 습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형용사에 접속되는「だけ」와 「ばかり」의 문장 습득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명사에 접속하는「だけ」와 「ばかり」의 문장은 일본어 학습 초기 단계부터 제시되는 문장 형태로 제1언어의 간섭을 받지 않고 쉽게 습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형용사에 접속하는「だけ」와 「ばかり」에 대한 문장은 제1언어의 간섭으로 습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3) 「だけ」와 「ばかり」습득에 대한 한국인 학습자의 제1언어 간섭이 쉽게 일어나는 경우는 1학년과 일본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 그리고 형용사에 접속하는 문장, 방해문장에서 발견되었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학습자 중심으로「だけ」와 「ばかり」의 문법 요소를 지도하는 학습 전략이 필요하며 일본어 습득 초기단계를 지난 뒤부터는 명사, 동사, 격조사, 형용사, 기타 등에 접속하는 유형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중간언어 사용에 따른 오류를 줄여 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だけ」와 「ばかり」에 대한 습득 과정의 특성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교육에 응용되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학습 과정 중 나타나는 일본어 학습자의 오류를 발견하여 지적하는 것보다 학습자의 중간언어 체계를 이해하는 자료로서 교육 현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편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だけ」와 「ばかり」의 습득 과정 중에 보이는 중간언어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정확한 제2언어의 구사를 위해서는 제1언어 간섭의 감소를 위한 학습자의 노력과 일본어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또한 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제1언어의 간섭 정도 차이에 따른 중간언어의 발생 감소에는 명사에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제1언어에서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표현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되지 않는 형용사 등에 접속하는 제1언어 및 제2언어의 상관적인 표현에도 주의를 기울이는 학습 및 지도의 필요성이 요망된다. 본 연구는 한번에 많은 학습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횡단적인 방법(cross-sectional study)으로 중간언어 단계를 고찰하였으나, 작문 등을 통한 장기간의 발달을 조사하는 종단적인 연구(longitudinal study)를 병행하여 좀 더 자세한 중간언어(interlanguage) 단계를 파악하는 연구로 발전시켜 가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