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井間譜를 通한 短簫演奏技能의 指導方法 : 短簫의 段階的인 指導를 中心으로

        안수영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result of trying to practice hypotheses in order to develope the step-by-step teaching method of the skill of playing Tanso through reading Chongkanbo,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at: 1. In an elongating aspect of an ability of reading Chongkanbo's scores a. Found Chongkanbo easier and more scientific than the western music scores. b. Singing the scales through reading Chongkanbo as well as playing Tanso could become possible. 2. In a skillful aspect of playing Tanso a. The step-by-step teaching of the blowing method made it possible to separate the low blowing from the middle blowing and to play Tanso. b. The step-by-step teaching how to breathe and long tone was greatly heopful to express clear and beautiful sounds. c. The students gained confidence in that they could play Korean folk musics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Tanso. 3. In a synthetic aspect The students not only becam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musics but also eiongated the playing capacity by the step-by-step teaching of the skillful playing Tanso through reading Cho˘ngkanbo. I believe for sure that if the music teach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it, it can be possible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musics and to teach effectively how to play Tanso.

      • 어머니의 자아의식 패턴과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

        안수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는 인간 생애 중에서 가장 급격한 변화의 시기이며, 인성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임을 감안할 때 유아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아의식 패턴과 유아의 감성지능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유아기에 있어서 무엇보다 일차적인 양육과 긴밀한 애착관계의 자리에 있는 어머니의 자아의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유아의 긍정적인 감성지능 계발에 바람직한 어머니의 자아의식 패턴을 제시하여, 보다 원만한 어머니-자녀 관계의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의식 검사와 유아의 감성지능 검사를 2004년 1월 12일 부터 2월 10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선정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의 감성지능에 참여하는 유아와 어머니들로 유아편에 전달하여 유아를 통해 회수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절차를 거쳐 첫째, 어머니의 긍정적 자아의식은 유아의 자기 정서의 이용과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조절 및 충동 억제 요인과는 부(-)적 상관, 대인 관계 기술과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정적인 자아의식과 유아의 감정 조절 및 충동 억제와는 정(+)적 상관 관계, 자기 정서의 이용과 대인 관계 기술 요인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정서의 인식과 표현 요인과는 약간의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아의식 패턴과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에 관한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자아의식이 긍정적일 때 유아들도 긍정적인 감성지능을 이루어 나갈 수 있지만, 부정적인 어머니의 자아의식은 자신에 대해 비관적이므로, 자녀에 대해서도 만족을 주지 못하므로 비감성의 소유자로 양육되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일부 지역의 소수의 표본이므로 연구 결과를 지나치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며, 어머니의 자아의식 유형을 보다 세분화하여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자아의식, 긍정적이고 불안정적인 자아의식, 부정적이고 안정적인 자아의식, 부정적이고 불안정적인 자아의식의 4가지 패턴의 연구도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much more emphasized when it is considered that infancy is the period of the most rapid changes throughout the human's life and the important period in which the basic personality is ma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the satisfactory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b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self consciousness patter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bring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elf consciousness patter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by suggesting self consciousness patterns of mothers desirabl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intelligence. Mother's self consciousness test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s part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Jan. 12 to Feb. 10, 2004 and the questionnaires given to mothers were collected through children's of selected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ositive self consciousness and children's self emotion use &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s appeared to be positive(+) one, and when it comes to emotional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finally it showed a little correlation when it comes to personal relation skill. Th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negative self consciousness and children's emotional control & impulse suppression showed positive(+) one and the correlation showed negative(-) one abo ut self emotion use and personal relation skill factor and also the correlation showed a little negative(-) one about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factors of self emotion.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 consciousness patter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uggests that mother's positive self consciousness can affect infant's positive emotional intelligence, but on the contrary, mother's negative self consciousness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hildren to be non-emotional people because those mothers are pessimistic about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several suggestions follow for the next study. The first, this study can not be generalized because small number of samples of partial region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 Therefore, the study based on samples of large size, considering various variants should be conducted next. The second, in this study, only mother's positive self consciousness and negative self consciousness were selected as relevant variants t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ut the research on 4 patterns such as positive and stable self consciousness, positive and unstable self consciousness, negative and stable self consciousness and finally negative and unstable self consciousness are thought to be required for the next study. The third, not only mother's self consciousness but also various variants such as father's self consciousness and teachers, which are constructing the other ax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next study.

      • 한국 가톨릭 사제의 사회참여 활동의 특징과 변화 :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안수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What features are there i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Korean catholic priests through their making a group of religion? And how does church,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Korean society, construct its action? This thesis takes these questions as its starting point. On the basis of such questions, this research, through this subject, "Feature and Change of Ac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by the Korean Catholic Priests", has attempted structural approach for the feature of social participation by a group of religion and for the meaning of its action.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has aimed at researching in the action of catholic priests who have mutual relation with nation, Jedo chruch, and civil society. As theoretical resource for this research, I have used "The chruch-sect typology' and 'Structural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ition and feature of the National Council of Priests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NCPRJ) as a religion organization, I used "The church-sect typology'. I also used 'Structural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various spectrum of the ac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of NCPRJ and to research what choice and decision are made when structural situation understanding of NCPRJ combined with reformative agenda. On the basis of theoretical discussion like this, the body of this thesis has the contexts as follows. In the chapter III, I analyzed the ideology of NCPRJ and its structure. And through the formative period of NCPRJ and the background, action ideology, human construction of NCPRJ, methods of opinion decision, its finance, its participation and action methods, I analyzed the feature of NCPRJ. The chapter IV shows the condition for changes of NCPRJ's action. In 1987 as a turning point, social participation of NCPRJ tried to find a new way with changes of church's intemal environment such as conservation of church, social participation of church, attitude change of catholic believers for their roles, and increasement of the middle class in catholic church, and with changes of church's external environment like differentiation and universalization of Korean social actionl. The chapter V and chapter VI have broad social participations on the basis of church's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the previous chapter iv. Centering on main episodes related with NCPRJ,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actions concerning human rights from NCPRJ'S formation of 1974 to 1980, are in chapter V, and actions related with unification from late 1980 to now, are in chapter VI. Fin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participation of NCPRJ is accomplished by structural situation understanding and religious introspection. NCPRJ which considers the politics of Korean society as the reformative ideology of religion, has participated in social practices. Second, features of NCPRJ's structure subordinated to Jedo church, are characterized as Minjung chruch in social participation of NCPRJ. NCPRJ selects democratization and justice for identification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s because they consider religion to take part in society and political order. Third, since 1987 of the turning point, NCPRJ against conservatism of church and social movement, has tried to find a new way by reform of church and national unification after 1987 in addition to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human right movement before 1987. Forth, NCPRJ structurally understands unification as democratization and practices unification combined with humanization and social liberation. Through the discussion like this, I have researched main features of social participation by Korean catholic priests and their actions. I have intended to take the reformative meaning for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catholic priests into consideration.

      • 서번트 리더십이 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도휴게소를 중심으로

        안수영 중원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서번트 리더십이 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도휴게소를 중심으로- 안 수 영 경영학과 중원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구성원들의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도휴게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국도휴게소 구성원들의 개개인의 발전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서번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관계,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관계, 마지막으로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매개작용을 하는지 밝히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 충청권에 소재한 국도휴게소 구성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수거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할 때 조직구성원이 동기부여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중요하게 된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의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할 때 개인이 조직의 구성원으로 남아서 맡겨진 역할을 수행하고 혁신적이며 자발적인 행동을 하는 조직몰입을 가져온다. 셋째,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의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조직구성원의 동기부여와 충성심은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으로 조직에 유리하게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서번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됨으로써 조직의 성과에 순기능적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서비스 조직의 현장에서 구성원들이 조직시민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며 또는 행동을 통해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에게도 서번트 리더십의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성원의 교육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며 조직이나 리더는 구성원에게 진심으로 대응해야하며 구성원들의 친절한 태도와 구성원들의 우수한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한 자신의 역할외행동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의 충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BSTRACT Effect of Servant-Leadership of Service Employees on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National highway service area employees- An, Su Young Department of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JungW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leadership,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creasing personal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itiveness about national highway service area employees: because study of Servant-Leadership of National highway service area employees was 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leadership and empower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 whet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a role to intermediate servant-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150 national highway service area employees sampled in chungcheongdo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date.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leadership and empowerment, the former was found out to have significantly a positive (+) effect on the latter. When servant-leadership is exercised, motivation of an organization's members and an improvement in self-efficacy can be expected and, as a result, empowerment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Second, servant-leadership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a positive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rvant-leadership trig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lead individuals to fulfill the roles given to themselves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and act voluntarily. Last,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ly a positive (+)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a role to intermediate servant-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tivation and loyalty of employees were verified to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by drawing their voluntary behavior.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ince servant-leadership affect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ly, it was revealed to act as the right function for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In order to motivate service employees to actively perform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site of service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with their action, the employees also need to be trained for servant-leadership. In order to drive customer loyalty, therefore, the education for the service employees keeps necessary, as well as the organization's leaders should treat their employees sincerely and perform their extra-role behaviors for boosting a kind manner and an excellent service of their employees. Key words: Servant-Leadership,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서암봉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안수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암봉요법을 시행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62명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주 3회, 4주간 총 12회의 서암봉요법을 받았으며 대조군의 경우 일상적인 간호를 받았다. 수면은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피로는 PFS (Piper Fatigue Scale), 그리고 우울은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서암봉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17.0를 이용하였다. 결과 : 서암봉요법은 수면(F=6.37, p=.007)과 피로(F=6.37, p=.007)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우울(F=0.58, p=.225)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서암봉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증진과 피로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서암봉요법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고 효과가 있으며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 서암봉요법을 혈액투석 환자 스스로 배워 적용한다면 질병 예방과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Purpose :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and acupressure therapy o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 The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 total of 62 participants were participated. Patients in the acupressure group received hand acupressure therapy three times weekly for four weeks (total 12 sessions).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routine unit care. Sleep was measured b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Piper Fatigue Scale (PF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ere used to measure fatigue and depression,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 ANOVA with SPSS 17.0.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sleep (F=6.37, p=.007). and fatigue (F=6.37, p=.007) of patients received the hand acupressur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F=0.58, p=.225)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nd acupressure therapy is non-invasive and safe as well as effective on sleep and fatigu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In addition, anyone can easily learn it. If hemodialysis patients learn and apply this therapy by themselves, it will give them a great help in good sleep and health condition.

      •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서지능 및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효과

        안수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Waldorf's Handicraft Program is twofold. It aims to report on a study that describes and analyzes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also aims to illustrate the effects on controlling impulsiveness. To do this, it investigates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s on controlling impulsiveness in 61 second grade students (32 boys, 29 girls) at a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hypotheses fo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Waldorf Handicraft Program improv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2. Does the Waldorf Handicraft Program lessen students' impulsiveness? The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is restructured from what Mun yonglin (1997) referred to as kids for elementary school and children for kindergarten (Lee youngja et al, 2000; Im eunhye, 2002). The impulsiveness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is from Beon sangsu (1996). The Handicraft Program was studied and had data recorded for a total of eight months (March 14th to November 14th, 2008). These observations took place once each week for 40 minutes during craft class for a total of 27 classes. Also and the Seasonal Handicraft Program was studied and had data recorded for 80 minutes each month for the eight months. In total, the frequency of observation was 35 times. The T-test and the Pearson Correlation were applied during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Waldorf Handicraft Program improves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Particularly, expression of Emotional and thoughts based on Emotional were observe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showing improvement. Lastly, the Waldorf Handicraft Program was shown to lessen students' impulsiveness. The present research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development on making students less impulsive and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t craft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on similar topics, and will be an at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er who might wa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aldorf Handicraft on better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ssening impulsive act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이 정서지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서 정서지능이 유의하게 발달할 것이다. <가설 2>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서 충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 61명(남 32명, 여 29명)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정서지능 검사지와 충동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 검사지는 초등학교 아동용 정서지능 평가도구(문용린, 1997)와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 (이영자 외, 2000)를 임은혜(2002)가 재구성한 32문항을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충동성 검사지는 변상수(1996)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20문항을 추출한 것을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2008년 3월 14일부터 11월 14일(총 8개월)까지 학년 수공예 프로그램은 주 1회씩 40분간 재량활동 시간에 27회기, 계절수공예 프로그램은 월 1회씩 80분간 즐거운생활과 재량활동시간을 통합하여 8회기, 총 35회기를 실시하였다. 정서지능 검사와 충동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t검증과 Pearson 적률상관계수가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특히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인 정서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은 아동의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발도르프 수공예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충동성 조절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재량활동 수업을 설계하는데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청소년 인터넷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안수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정보화로 인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청소년 인터넷 윤리교육은 적극적으로 요청된다. 정보화 사회의 대부분의 문제는 컴퓨터와 관련된 문제이다. 정보화 사회는 인터넷이라는 정보 통신 수단을 주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컴퓨터 통신과 관련하여 많은 컴퓨터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인권의 침해, 권리 침해 등 인터넷시대의 역기능의 폐해는 실로 심각한 상황에 와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인터넷 윤리는 컴퓨터와 관련된 윤리 문제를 가장 핵심 문제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윤리적 문제 즉, 익명성의 부작용, 프라이버시의 침해문제,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 불건전 정보 유통문제, 해킹 등 컴퓨터 범죄 등, 인터넷 윤리의 제 문제를 고찰하였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인터넷윤리의 제 문제를 청소년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청소년 인터넷 윤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청소년 인터넷문화에서의 윤리 확립과 기본덕목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올바른 네티즌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청소년의 정보윤리교육을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학교 및 가정교육을 통한 사회체험교육, 컴퓨터 사용방법지도, 인터넷윤리의 확산 방안, 인터넷 유해환경의 자율규제의 활성화 등의 방안들을 연구하였다. 정보화 사회는 우리에게 저절로 다가오는 미래가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가는 미래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에 의거하여 지식정보 사회가 야기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고 이는 법적, 기술적 통제보다 개인적인 윤리의식이 앞설 때 더욱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An Emerging Intensifier Officially

        안수영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부사 officially의 강조기능 영어 부사 officially는 ‘공식적으로’라는 뜻을 가진 부사로 문장 내에서 술어의 방법․방식을 나타내거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와 실제 상황이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내왔다. 그러나 현대영어에서 officially가 이러한 기능들이 아닌 강조를 목적으로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의 예들을 살펴보자. (1) 가. I'm officially missing you. 나. This is officially the worst gym class ever. 다. I'm officially bored. 라. My nephew and I were officially smitten. (1)의 예시들의 officially는 공식적인 규정이나 기준이 아닌 화자의 판단과 생각을 토대로 화자 개인의 믿음과 의견을 강조하는 기능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사 officially가 화자의 주관성(subjectivity)을 기반으로 하여 문장 성분 혹은 문장 전체의 의미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며 그 의미와 쓰임이 확장되고 있음을 밝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논의된 officially의 특성과 속성들을 살펴보고, (1)과 같이 제시된 예들과는 그 속성과 기능들이 어떤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명한다. 3장에서는 officially가 등급형용사(gradable adjectives) 와 같은 단계어를 강화하는 기능(degree intensifier)과 문장 전체 혹은 문장의 진리값(truth-value)을 강조하는 기능(emphasizer)을 함을 밝힌다. 또한, 이러한 현상들이 화자의 주관성(subjectivity)의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강화기능 역시 발전하고 있음을 공시적 연구를 통해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