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선수 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검증

        안성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thlete's meta-Cognition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he used the concept of knowledge and control based on the concept of composition of the athlete's meta-Cognition proposed by An and Huh(2018). Sub-factors of knowledge were conceptualized as declarative knowledge, elementary knowledge, and conditional knowledge, and sub-components of control were conceptualized as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addition, each of the six factors produced one more level of technic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bcomponents, and measures were developed focusing 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thletes.F In the first phase, 27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reduced to 180 questions through multi-directional verification with six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Ph.D., and Ph.D. courses. In order to ensure a good facial profile, the questions were revised after a process of reviewing the contents of four field leaders and eight athletes from a field perspective. The final 180 questions, including 30 declarative knowledge, 30 procedural knowledge, 30 conditional knowledge, 30 planned questions, 30 monitoring questions, and 30 assessment questions, were constructed on a six-point recursive scale. A total of 470 questions were collected for the players belonging to the Korea Sports Council using the stratification method among the probability collection methods. I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ques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part 41 of non-realistic data, there were no eliminated questions in the analysis, but knowledge was 5 in the case analysis. The final 114 questions were also obtained by deleting 5 items of knowledge and 3 items of adjustment through a confirmed factor analysis. Concentration validity was met by both the factor load rating and the AVE, C.R. index, but the discriminative validity showed that the AVE index did not exce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squared index.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to provide partial validity by satisfying the criteria that the confidence interval does not include 1.0 in all factors. Quasi-compliance has been foun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learning meta-Cognition for official validity, and predictability also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perceived performance. Profil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discipline, membership, and representative experience based on an athlete's meta-Cognition scale consisting of 20 declarative, procedural, conditional knowledge, and 18 questions of planning, As a result, although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unemployment and professiona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verified in the sport, with group athletes partly high. According to the national team, the level of meta-Cogn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layers without experience. 본 연구는 운동선수 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안성훈과 허정훈(2018)이 제안한 운동선수 메타인지 구성개념을 토대로 지식과 조절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지식의 하위요인으로는 선언적 지식, 절자적 지식, 조건적 지식으로 개념화 하였고, 조절의 하위요인으로는 계획, 모니터링, 평가로 개념화 하였다. 또한6개의 요인마다 각각 기술, 심리, 신체의 하위요인을 1차원 더 생성하여, 운동선수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중점을 두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1차적으로 27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교수 및 박사, 박사과정 등의 전문가 집단 6인과 다각도 검증을 통해 180문항으로 축소되었다. 또한 안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현장 지도자 4인과 운동선수 8인을 대상으로 내용이 현장의 관점에서 적절한지 검토하는 절차를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다. 요인 별로 선언적 지식 30문항, 절차적 지식 30문항, 조건적 지식 30문항, 계획 30문항, 모니터링 30문항, 평가 30문항 등 최종적으로 180문항을 6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구성 된 문항은 확률표집방법 중 층화표집법을 사용하여 대한체육회 소속 된 선수들을 대상으로 총 470부를 수집하였다. 불성실 자료 41부를 제외한 429부를 사용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분석에서는 삭제 된 문항이 없었으나,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지식 5문항 씩, 조절 9문항씩이 삭제되었다. 2차로 축소 된 138문항은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해 지식 5문항 씩, 조절 3문항씩 삭제되어 최종 114문항이 도출되었으며, 신뢰도 역시 확보되었다. 집중 타당도는 요인 부하량과 AVE, C.R. 지수 모두 기준에 충족되었으나, 판별 타당도에서는 AVE 지수가 상관계수 제곱지수를 상회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상관계수의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판별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신뢰구간이 1.0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기준을 충족하여 부분적으로 판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준거 타당도에서는 공인 타당도를 위해 학습 메타인지와의 상관이 확보되었으며, 예측 타당도 역시 인지된 경기력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언적, 절차적, 조건적 지식 20문항, 계획, 모니터링, 평가 18문항으로 구성 된 운동선수 메타인지 척도를 토대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종목, 소속, 대표 경력 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파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종목에서는 단체종목 선수들이 부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속에서는 실업 및 프로와 중학생 간의 차이만 검증되었다. 대표경력에서는 경력이 있는 선수가 없는 선수보다 메타인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공공공간 재구성을 통한 근대 메가스트럭처 건물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신촌 다주 종합상가를 중심으로

        안성훈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곳곳에 본래의 기능을 잃고 재개발을 기다리는 건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항상 개발 하겠다는 계획은 세우지만 여러 이해집단과 경제 여건에 따라 쉽게 재개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대다수의 건물은 급속한 경제 개발과 도시계발 계획이 이루어진 1960, 70년대에 만들어졌음을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60, 70년대, 근대에 만들어진 지금은 메가 스트럭처 건물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특히 신촌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노후화 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수년전부터 여러 계획이 나오고 있는 공간을 찾고, 지금은 왜 정체되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그리고 신촌에서 활성화되기 위한 대책을 공공공간으로 규정하여 공공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20대 학생들이 많고 유동인구가 높은 신촌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의 재구성을 본 사이트를 통해 활성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상권이라고 부르는 상업지역은 길과 같이 가로공간을 중심으로 발전 했다. 점적인 요소를 이어주는 선적인 가로 공간이 면적인 요소인 지역을 만들어낸다. 과거 시장이 상업의 대표적인 공간이었다. 거리에 좌판을 만들거나 혹은 일정 구역 내에 상업시설을 배치하여 시장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 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건설 기술의 향상으로 수평적인 상업 공간이 수직적으로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근대화가 이뤄지면서 일어난 큰 변화다. 그리고 지금은 복합 공간으로 단일 건물 내에 여러 프로그램이 혼재된 건물이 주된 상업공간이다. 도시는 여러 활동이 서로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며 발전한다. 하지만 언제부터인지 하나의 시설이 그 모든 기능을 대변하고자 만들어지고, 이 때문에 주변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잃은 현상이 생기게 된다. 신촌 역시 그렇다. 과거 주변의 대학교들이 위치하면서 학생들을 위한 상권이 넓게 퍼져 있었다. 상가, 대형마트, 백화점들이 줄줄이 생기면서 기존의 상권은 노후화가 되었고, 발전이 더뎠다. 오히려 가로공간과 접해있는 상권은 유지되고 있지만 대형 상업시설은 하나가 생길 때마다 주변의 대형 상업시설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근대 시대에 만들어졌으나 노후화 및 쇠락화된 메가스트럭처 건물을 활성화 시키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 기존의 프로그램과 더불어 이 시대에 이 지역에 필요한 공공공간을 제안한다. 2). 기존의 개발 방식인 녹지화의 가능성을 염두하고, 이를 공공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보완한다. 3). 주변의 필지와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공간과 건물 내 외부에 공공공간을 배치하여 도시에 필요한 오픈스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런 전략이 긍정적으로 적용 될 경우, 하나의 건축물을 통해 주변의 필지까지 활성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존 신촌이 가지고 있는 상권이 확장을 통해 향후 만들어질 폐선부지와의 연계를 기대해 본다. Somewhere in Korea, there are lots of abandoned places where initially have its own functions. The concern is emerged because some projects are not preceded as usually planned. If the project is owned by one person, it has no difficulty to do. However, usually one place is intermingled by many interested group therefore the place has not been able to b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the most projects which have been made from 60s to 70s. In this period, many buildings had been constructed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And now, we are concerning the issue that many redeveloping plans have been standardized as affore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mega-structure building built in the modern era, the 1960s and 1970s, and now wants to study. Sinchon commercial area centered on aging, especially several planned in the coming few years ago, looking for a space in order to use them for other purposes, and why now about what has been stagnant. And for measures to be activated in Sinchon plan is to study the regulations through the reconfiguration of public space public space. Possibilities that can be activated through this site reconfiguration of the programs required in Sinchon, the place that many students and a high floating population. The commercial area where we called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long the street. The line element, street or avenue, connects the point components, shops or restaurants. Those two elements ultimately create the area, surface. The old market place was the most representative commercial area. The function of market place was made by the people who open a stall in certain commercial area. After the time passes, as construction technology improved, the horizontal commercial area has been changed into the vertical place. This phenomenon is a major change, passing modernization. And, the most commercial spaces are currently functioned complicated program. City development activities complement each other's lack of features. But since when one facility is created to represent all of its capabilities, this will cause lost around with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phenomenon. Sinchon so, too. Location for students, while universities around past was widespread commercial area. Malls, hypermarkets, department stores and the animation, while the commercial area of the existing aging, and more progress was slow. Rather commercial area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pace is maintained, but the large commercial facilities whenever one rather large commercial facility around the degeneration is. Strategies to enable the building of the mega-structure created in the modern era are as follows. 1). Proposed in this day and age, with existing programs and public space needed in this area. 2). Consider the possibility of greening of the existing way of development, and complement that through the reconfiguration of public space. 3). Proposed public space placed on the outside of my building and the space of the surrounding space and can easily adapt to the required open space in the city. The space around until activated through one of the buildings could achieve are expected to be positive if such a strategy.

      • 비행청소년의 선교적 상담

        안성훈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 비행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이의 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며 이러한 청소년의 비행을 선교적 차원에서 해결을 모색하는데 있다. 청소년은 우리의 주인공이며 이들을 건전하게 육성하는 일은 기성세대 모두에게 부여된 막중한 사명이다. 오늘날 우리의 청소년 비행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조폭화, 집단화, 지능화 경향을 보이며, 비행년령의 연소화, 누범자의 증가라는 복잡한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청소년 비행을 해결하려는 사회일각에서 여러모로 있어 왔지만 지금까지의 대책으로는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의 환경을 유해환경으로 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정화시키기에 역부족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는 청소년을 위한 건전한 오락시설을 마련해야 하고, 매스컴의 사회 교육적 기능을 재고하여 그 역기능을 최소화해야 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에 치중하였으나 이로서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청소년을 한 인격이요 전인으로 보고 근원적으로 치유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사회 공동체에서도 선교적 상담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 안에서 인간의 진정한 목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교회들도 청소년들을 하나님과 만남에 이르도록 도와서 그들이 하나님의 형상을 이루어 이 사회를 아름다운 사회로 형성하게 하며, 청소년기의 갈등에 따른 선교 적 상담을 통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해 주며,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이제 청소년들을 찾아 포용하고, 따뜻한 만남과 사귐과 대화를 통해 그들이 버림받은 존재가 아니라 그리스도안에서 새로운 피조물로 바꾸어질 수 있다는 희망과 소망을 불어주는 일이 청소년들에 대한 선교의 사명이다. 청소년 선교적 상담이란 오늘날 곤경에 빠져서 어려움을 당하며 상처입고, 고통 가운데 있는 수많은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신앙인, 올바른 사회인으로서의 성장을 촉진하며 인격의 바람직한 함양을 이루어 그들에게 밝은 내일을 가져오게 하는데 있다. 신앙적상담의 중요성으로는 상담을 요하는 청소년들은 다방면으로 개인의 문제, 가정문제, 사회문제, 질병문제, 종교문제 등등의 전반에 걸쳐 도움이 필요하므로 상담자는 영적 구원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신적, 신체적 생활전반의 문제를 전인치료를 할 수 있기에 중요한. 이러한 상담방법에는 많은 방법이 있으나 그 중 성경적인 상담방법을 적용한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방법을 택했다. 성경적 상담은 성령의 역사이기에 그렇고, 성경적 상담은 권면이기에 더욱 그렇다. 권면적 상담에서 상담들이 실패하는 경우가 자주있다. 실패의 이유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것을 분석하고 규명하기란 매우 어렵다. 누가복음 18장 18절에서 30절까지를 보면 상담에 실패한 부자청년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분명한 것은 실패자는 상담자가 아니라 대담자였다. 예수께서 권면적으로 상담시면서 그의 삶의 아픈 부분을 찌를 때, 그는 주님을 떠남으로써 실패자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권면적인 상담자들은 이러한 실패가 상담자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아담스가 주장한 권면적 상담방법은 모든 문제의 기초를 우리의 유일한 행위기초인 성경에서 찾으려 하는 것으로, 성경에 근거하여 모든 것을 성령의 인도하심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내담자는 확실한 믿음위에서 청소년들을 위해 올바른 일을 자신있게 제시해 줄줄 알아야 하는 제시한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 요로결석의 성분 예측에 이중 에너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의 유용성

        안성훈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요로결석을 치료하기 전에 영상 검사를 통해 결석의 성분을 예측하기 위한 노력은 예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영상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저자는 이중 에너지 전산화 단층촬영(Dual-energy CT, DECT)을 이용하여 치료 전에 요로결석의 성분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임상에서 DEC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본원에서 요로결석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결석의 성분분석이 시행된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전 DECT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 중 80 kVp, 140 kVp 두 가지 에너지 값을 사용한 환자만을 선택하였다. 총 270 증례에 대해 하운스필드 단위(Hounsfield unit, HU)를 측정하였고 결석의 성분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요산석과 비요산석에 대한 검사에서 80 kVp, 140 kVp 모두에서 HU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재구성하여 색깔을 입힌 영상에서도 요산석은 모든 예에서 붉은색으로, 비요산석은 96.3%에서 푸른색으로 확인되었다. 칼슘석에 대한 분석은 일수화물과 이수화물의 분포에 따라 두 군(1군. 일수화물 옥살산 칼슘석, 일수화물≥90% vs 2군. 이수화물 혼합 옥살산 칼슘석, 일수화물<90%)으로 나누었으며 80kVp, 140kVp 모두에서 HU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결론: 영상장비의 발전으로 DECT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DECT는 임상의에게 유용한 정보를 더 많이 공급해 줄 것이다. DECT에서 측정 가능한 두 HU 값을 이용해 결석의 성분은 예측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치료를 시작하기 전 환자에게 더 나은 선택을 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수술을 시행한 환자만 대상으로 하여 전반적인 요로결석 환자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한계점과, 후향적 연구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영상 검사를 통해 결석의 성분을 예측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 한계점을 보완한 적절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Efforts has been continued to predict the composition of urinary stones before the treatment through radiologic studys. With the develop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I tried to predict the composition of urinary stones by using dual-energy computed tomography (DECT)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DECT.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I included patients who received removal of urinary stones in our hospital and analyzed of stone composition from November 2009 to August 2013. In addition, patients were selected who received preoperative DECT using only two energy values (80 kVp, 140 kVp). Hounsfield unit (HU) value were measured and matched stone composition. A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for total 270 cas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 values between uric acid versus non-uric acid stones in both 80 kVp and 140 kVp (p<0.001). 100% of uric acid stones has been identified as red color in color coded image of DECT versus 96.3% of non-uric acid stones has been identified as blue color. In calcium stones analysis, patients devide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onohydrate content (group 1. calcium oxalate monohydrate stone, monohydrate ≥ 90% vs group 2. calcium oxalate monohydrate plus calcium oxalate dihydrate stone, monohydrate < 9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 values between two groups in both 80 kVp and 140 kVp (p<0.001). Conclusion: DECT has been used widely with the develop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It will supply more useful information to the clinician. Stone composition is predictable by using two HU values of different two energy image in the DECT. Through this technique, patients will be able to choice a better treatment plan before starting treatment. We selected the patients who underwent only surgical treatment. So enrolled patients does not represent the overall urinary stone patients. And it was a retrospective study. this is a limitation of study.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better treatment plan to patients through radiologic study. So, appropriate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 Serial ATA용 1.5GHz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

        안성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는 칩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장애(EMI)를 줄이기 위해 주파수 변조된 클록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변조를 위해 분수-N 주파수 합성기를 기반으로 피드백 분주기의 분주비를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Serial ATA 규격에 맞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를 구현하였다. 주파수 합성기는 위상 검출기, 전하 펌프, 루프 필터, 전압제어 발진기, 피드백 분주기로 구성되는 위상고정루프와, 분주비를 제어하기 위한 변조 프로파일 생성기, ΣΔ변조기 로 구성되었다.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는 전자파 장애 감소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구현이 용이하도록 선형 신호 조합 변조 방식을 제안하여 적용하였다. 주파수 합성기의 피드백 분주기로는 59.7에서 60 사이의 분주비를 0.05 단위로 제어 할 수 있는 분수 분주기를 제안하여 적용하였다. 설계된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는 0.18㎛ CMOS 공정으로 구현되었고, 출력 클록의 주파수는 1.5GHz 대역이다.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의 출력 클록과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1.5GHz 클록의 주파수 영역 분석을 통해 제안된 주파수 변조를 통해 첨두치가 16.75dB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in digital chips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s degree of integration and clock speed increases to enhance chip performance. External filters can be used to increas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lock, but is not a cost efficient solution. Low voltage differential clocking can be applied but at the expense of level conversion and complex routing.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ion(SSCG) can be a simple and cost efficient EMI reduction solution.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is a PLL-based clock generator with output clock frequency modulation. The amount of EMI reduction depends on the frequency modulation profile. SSC modulation shows high EMI reduction, but its implementation is complicated due to the signal non-linearity [1]. On the other hand, triangular modulation has an advantage of simple implementation but the amount of EMI reduction is less compared to SSC modulation [2]. This is due to peaks that is located at the ends of modulation frequency band. In this paper a piecewise linear modulation is proposed to overcome both EMI reduction and implementation. For frequency modulation in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s, a secondary charge pump is used and directly modulates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ontrol voltage [3]. However this kind of solution experiences PVT variation and optimum EMI reduction can not be guaranteed at all PVT corners. For this reason the PLL feedback divider was modulated in this design for frequency modulation and offers a robustness to PVT variation. A novel fractional divider was proposed for low jitter at the output clock and also high code efficiency in the modulation profile. A fractional-N PLL with a second order sigma delta modulator was used as a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The proposed piecewise linear modulation profile was used as the sigma delta modulator input with pseudo random bit sequence added to reduce spurious tones. The proposed fractional divider was used as the PLL feedback divider and was modulated based on the proposed modulation profile. The proposed fractional divider has a programmable division ratio from 59.7 to 60 with 0.05 resolution. Output clock frequency is modulated from 1.4925GHz to 1.5GHz with a 25MHz reference clock which meets the Serial ATA specification[4]. The proposed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reduces 16.75dB peak power compared to a non-modulated 1.5GHz clock. The proposed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was fabricated in a standard 0.18-㎛ CMOS technology and occupies 0.6mm2. Power consumption of the proposed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is 90mW at 1.5GHz.

      •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여자고등학교 매트운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 : (Centered on Mat Exercise in Girl's High Schools)

        안성훈 충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ymnastics curriculum based on a knowledge structure model so that P.E. teachers could prepare more effective and consistent teaching materials for the mat excercise classes in girls' high schools. The approaches and results are followings: (1) In order to organize the structure of psychomotor domain and mat-centered gymnastics curriculum the reseacher set 7 stages to gymnastics skills, which could be taught in schools and analyzed the skill system of every stage by using the Vicker's frame of knowledge structure. (2) For the structure of cognitive domain, the researcher systematized necessary knowledge the learners can effectively perform the gymnastic ac tivities on the basis of motor learning, teaching method, biomechanics, exercise psychology, P.E. philosophy, and P.E. history. (3) By way of structuring affective domain, the researcher selected andorganized the contents related to mat excercise on the basis of sociopsychological background knowledge. (4) Finally, the researcher integrated psychomotor domai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nto a gymnastics curriculum, which could be used in girls' high schools.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is developed curriculum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what the learners should know and what they should perform when they are in gymanastics classes; that it could suggest the methods of teaching the integrated form of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s, mid that it could be a turming point in physical education by clearing the dispar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skill.

      • REPAIR OF COMPOSITE LAMINATES

        안성훈 STANFORD UNIVERSITY 1997 해외박사

        RANK : 247631

        손상된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보수에 대한 효과가 보수된 복합재료의 인장하중의 평가를 통하여 연구되었다. 첫째, scarf, uniform lap, stepped lap방법들로 보수된 적층의 인장하중이 측정되었다. 손상된 적층의 재료, 보수용 복합재료의 재료, scarf보수에서의 scarf각도와 외부판의 갯수, uniform lap보수와 stepped lap보수에서의 보수용 판의 길이와 갯수, 보수전 적층내의 수분의 양, 보수후 수분의 양, 실험온도, 보수시 복합재료를 가공하는 연마기의 거칠기, 보수시의 온도등의 효과가 측정되었다. 상기의 조건들이 광범위하게 변화되었고 효과적인 보수를 위한 조직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로, scarf와 uniform lap방법으로 보수된 복합재료의 인장하중을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들은 적층내의 각판의 이방성(異方性)과, 적층과 보수용 판사이의 비탄성(non-elastic)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수학적 모델들을 기초로 인장하중을 계산하는 컴퓨터코드가 개발되었다. 첫째코드는 uniform lap 방법으로 보수된 적층의 인장하중을 계산하고, 둘째코드는 scarf방법으로 보수된 적층의 인장하중을 계산한다. 모델들과 코드들로 계산된 인장하중이 실험결과와 비교되었고 두 결과들이 일치함을 알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