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세군의 봉사윤리 연구

        안건식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Servic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An, Keon Sik Departmen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Hanshin University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ethical elements of Christianity and summarise it through the history of the Salvation Army church. And also, presenting the moral principle which should retain the church as others in the modern society that the moderns are getting dehumanized and getting things. In this premis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ethical element of the Christianity which exists in the Salvation Army theology.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servic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the ethics of the love toward God and the love toward our neighbors. The intention of the Salvation Army's service ethics aim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in this earth by extension of the spiritual realm to the realm of love towards our neighbors such as the personal faith,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To Christians who have this kind of vision, we must think over the way of go forward of the churches by trying to find the vision of renewal of the Christian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idea of the Salvation Army and restoration of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which is the essential of the Christianity and practice(service) of love toward the neighbors. To sum up the two commandments of the Christianity, it is to love the Lord and to love our neighbors. However, many denominations prioritize or emphasize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between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and practice of love the neighbor, or consider love for our neighbor as the tool of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this situation, in the life of th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the love our neighbor(service) became weak and the selfishness became strong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besides the fact that they attend the churches on Sunday. By reporting the contents of seminar for church renewal, which was sponsored by the Christian Reporters Association, shows an example of the game of baduk, No Cut News(2016. 6. 27) commented that the Korean churches are lost the ability to revive themselves. From its early years, The Salvation Army mentioned that the love our neighbor(service) is the essence of the Salvation Army ministry. The location of the life of the Salvation Army in 19th century was the East London, where the poor and homeless lived together. Neither the government nor the churches provided any help for them, so the Salvation Army saved them by proclaiming the gospel and practicing to love their neighbor. The servic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is based on the Bible. That is, to love the Lord and to love the neighbor. This thesis deals that the love for the Lord should be linked with the love of our neighbor as a result. So what is 'the service of The Salvation Army?' The service of The Salvation Army is not based on theology or statement. However, it is the exploration and summarization about the service of The Salvation Army, and the foundation is from Servant Together: Salvationist Perspectives on Ministry. The service of The Salvation Army is not deriv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Ethical Theology but from the practical service for the neighbors with the attitude of serving others that the Bible teaches us and the many examples Jesus showed us. Finally, this thesis provides the lineage for 'The Ethics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ervice(caring) of The Salvation Army,' and in this lineage, also dealing with that th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are accountability ethics, situation ethics, servant ethics and ethics for others which emerges 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ministry(love the neighbor) for the poor. Th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is firstly accountability ethics, as it naturally follows to manage the church for the poor and for the neglected people. This is the ethics to have a sense of accountability to accomplish the Kingdom of God for the poor as Jesus acted accountable for the poor and the neglected. Secondly, th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made the church for salvation for the poor that the established churches did not have, and as the majority of the church-goers were alcoholics, the sacrament was changed to the spiritual sacrament which did not use wine. Looking at this, The Salvation Army has situation ethics which values the love of Jesus, rather than an established regulation which does not. Thirdly, th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servant ethics is to not to rule over or wait for coming for server but to serve first with servant attitude. Fourthly, the ethics of The Salvation Army is ethics for others. By actively involving with social justice more than any other denominations for the poor and neglected, The Salvation Army has ethics for others that tries with effort for the salvation of others such as the neglected and the vulnerable all over the world. The place which Jesus chose as his ministry location was northern Galilee. He spent there most of his public life, and his method of mission was to proclaim the gospel and love the neighbor(service). Following Jesus' example, William Booth decided his object of mission was for the poor people, and saved them to love the neighbors(service) with accountability ethics, situation ethics, servant ethics and ethics for others. To restore the loss, the modern churches should refer to the service ethics which was practiced and was shown as an example by Jesus and successfully activated by William Booth. 국 문 초 록 이 논문은 구세군 교회가 걸어왔던 역사를 통해 기독교 윤리적 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시간이 갈수록 비인간화되고, 사물화되어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타자를 위한 교회로써 지녀야 할 윤리적 덕목이 무엇인지를 생각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구세군 신학 안에 있는 기독교 윤리적 요소를 조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구세군의 봉사 윤리, 즉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윤리를 연구한다. 구세군 봉사 윤리가 의도하는 바는 개인의 믿음, 구원, 성화와 같은 영적인 영역이 이웃사랑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가 실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꿈을 가진 신앙인들에게 구세군의 사상을 소개하고, 기독교의 본질인 복음전파와 이웃사랑의 실천(봉사) 회복을 통해 기독교 갱신의 꿈을 함께 모색하면서 교회가 나가야 할 바를 다시 한 번 숙고하는 것이다. 기독교의 계명을 두 가지로 요약하면,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다. 그러나 많은 교단들은 복음전파와 이웃사랑실천 중에서 복음전파에 우선을 두거나 강조한다. 아니면 이웃사랑(봉사)은 복음전파의 도구로 간주할 정도이다. 이런 현상 속에서 한국 교회와 교인들의 삶은 이웃사랑(봉사)이 약화되고 이기적인 면은 강화되어, 교인들이 주일에 교회 가는 것 외에는 그들이 신앙인인지 비신앙인지 구별을 할 수 없을 정도이다. 노컷뉴스(2016. 6. 27)도 크리스천기자협회가 개최한 교회갱신 세미나의 내용을 보도하면서 한국교회는 교회로서의 신뢰를 잃었고 바둑을 예로 들며, 다시 회복할 복기능력까지 잃었다고 하였다. 구세군은 초기부터 이웃사랑(봉사)을 구세군 사역의 본질임을 언급한다. 구세군은 자기 삶의 자리가 19세기 동런던 가난한 자들이 모여 사는 곳이었고, 정부도 교회도 그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지 않을 때, 구세군은 그들 대상으로 복음전파와 이웃사랑을 실천하여 그들을 구원하였다. 구세군의 봉사 윤리는 성서의 토대 위에 있다. 그것은 하나님 사랑, 이웃사랑이며, 또 하나님 사랑이 이웃사랑으로 결과적으로 이어져야함을 본 논문을 논한다. 그러면 ‘구세군의 봉사’는 무엇인가. 구세군의 봉사는 어떤 신학이나 선언에 근거한 것이 아니다. 단지 구세군의 봉사에 대한 것을 탐구하고 정리한 것이며, 그 근거는 구세군의 “함께 하는 종의 사역(SERVANTS TOGETHER, 부제 Salvationist Perspectives on Ministry, 구세군의 사역론)”에서이다. 구세군의 봉사는 어떤 윤리신학적인 근거에서 도출 된 것이 아닌 성서가 교훈하고 예수가 본을 보여준, 종의 자세로 이웃을 섬기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구세군의 봉사(섬김) 윤리의 이론적 토대’를 위한 계보를 마련하고, 그 계보들 속에서 구세군의 윤리는 가난한 자들을 위한 사역(이웃사랑)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써 책임윤리, 상황윤리, 종의 윤리, 타자 윤리인 것을 논한다. 구세군의 윤리는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을 위한 교회를 운영하기 위해 자연히 뒤따르는 것으로써 첫째는 책임윤리이다. 마치 이것은 예수가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에 책임 있게 행동하며 구원하였듯이 구세군은 가난한 자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위해 책임감을 갖는 윤리이다. 둘째 구세군의 윤리는 이제껏 기존 교회들에서 없었던 가나한 자들의 구원을 위한 교회를 만들었고, 교인들 대다수가 알코올 중독자들이었기에 성례전도 알코올이 없는 성령성례전으로 변경하였다. 이런 면을 보면 구세군은 어떤 정해진 규범보다 상황 속에서 예수의 사랑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상황윤리이다. 셋째로 구세군의 윤리는 군림하거나 먼저 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닌 종의 자세로 먼저 찾아가 섬기는 윤리이다. 넷째로 구세군의 윤리는 타자의 윤리이다. 구세군은 소외된 사회의 약자들을 위하여 어느 교단보다 사회정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 세계의 소외된 자 , 약자인, 타자들을 위한 구원을 위해 힘쓰는 윤리이다. 예수는 선교지역 선택을 소외된 지역 북쪽 갈릴리 지역이었고, 공생애를 거의 그곳에서 보냈으며, 선교방법은 복음전파와 이웃사랑(봉사)이었다. 윌리엄 부스도 이 예수의 방법을 그대로 본받아 가난하고 어려운 이웃들을 선교대상으로 정하고, 이웃사랑(봉사)을 위해 윤리는 책임윤리, 상황윤리, 종의 윤리, 타자 윤리로 그들을 구원하였다. 현대교회는 잃은 것을 회복하기 위해 예수가 실천하며 본을 보였고, 윌리엄 부스가 계승한 봉사의 윤리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 졸업 공연 작품 해설

        안건식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삶 속에서 많은 문제들을 직면하고, 고민하게 된다. 그때 마다 혼란스러움과 방황을 겪게 되고, 나름의 해결책들을 제시하게 되는데, 이번 졸업 공연에서 작곡자 본인은 음악 생활이나 사회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들에 직면했을 때 떠오른 멜로디나 느낌들을 곡으로 만들어서 연주하였다. ‘Confront'라는 큰 주제를 정하고, 그 안에서 Confront, Labyrinth, Sleeping Drug, Gaiety 의 순서로 4곡을 연주 하였다. Confront라는 단어는 ‘직면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단어가 주는 의미처럼, Confront는 작곡자 본인이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 했을 때의 느낌을 표현 한 곡이다. 다음 곡인 Labyrinth는 그 문제들에 직면했을 때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미로를 헤매는 느낌을 표현한 곡이며, Sleeping Drug은 미로를 헤매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편안한 휴식을 원하는 기분으로 작곡한 곡이다. Gaiety는 누구나 힘든 상황이 있지만, 즐거운 마음으로 이겨내야 한다는 느낌을 표현한 곡이다. 졸업 공연 ‘Confront'는 어떤 문제의 직면에서부터 해결까지 작곡자 본인의 짧은 삶의 과정을 위의 4곡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본인의 졸업 공연 ‘Confront'에서 연주한 위의 4곡을 해설한 것이 본 논문이다. 해설 방법은 첫 번째로 본인이 곡을 쓰게 된 배경을 소개하였다. 두 번째로 작품의 형식 구조를 설명하였다.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A-B-A의 구조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과 유사한 부분을 비교 해설하였다. 세 번째로 작품 선율 구조를 설명하고, 작품마다 사용된 스케일과 멜로디 전개 방법을 해설하였다. 네 번째로 작품의 화성을 분석하였다. Diatonic 코드 분석과 Constant Structure등의 화성과 연주 방법에 대한 해설을 하였다. 다섯 번째로 작품의 연주 방식을 해설하였다. 각 곡마다 연주한 악기와 각 부분마다의 연주 방식을 해설하였다.

      • SCANNING PROBE MICROSCOPY STUDY ON NANOSTRUCTURED MATERIALS IN ORGANIC AND PEROVSKITE OPTOELECTRONIC DEVICES

        안건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discovery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organic substances, organic optoelectronics have been developed and diversified for several decades. Studies on organic optoelectronics and organic-inorganic hybrid optoelectronics,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organic solar cells (OSCs) and perovskite solar cells (PSCs) have enlarged its application to practical industries. In order to understand charge carrier behaviors in multi-stacked thin film devices of optoelectronics, nano-scale characterization is important to investigate practical excitonic reaction. Moreover, by adapting nanomaterials and nano-scaled layers onto devices, their performance is able to be improved on efficiency and stability. In this thesis, we adapt nanomaterials and nano-scaled layers on organic and perovskite optoelectronic devices. Flexible and efficient OLEDs are fabricated using dual-scale AgNWs electrode. ZnO NRs array as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Liq interlayer for work function matching is applied on excitonic solar cells such as organic solar cells and perovskite solar cells. First, we fabricate flexible electrode using dual-scale AgNWs which is made by mixing short/thin AgNWs and long/thick AgNWs. Dual-scale AgNWs have excellent properties as flexible electrode for organic optoelectronics which includes conductivity, transmittance, roughness and coverage. Rouhness and coverage is analyzed through AFM and EFM. The green emissio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s fabricated onto the electrode and compared to mono-scale AgNWs electrode. The OLEDs based on dual-scale AgNWs are superior to the others and there is no spectral difference in luminescence. Organic solar cells are fabricated on vertically grown ZnO NRs array as electron transporting layer. ZnO NRs are fabricated using facile method of hydrothermal synthesis with a linearly controllable length profile. There is orientation increment of ZnO NRs proportional to length after germination. ZnO NRs with different lengths are utilized as efficient electron transport layers in organic solar cells. The length of ZnO NRs is optimized under trade-off relationship in charge collection and UV absorption. And finally, nano-scaled layer of perovskite and Liq is characterized to improve photovoltaic performance and stability. The physical process of perovskite degradation is investigated through the FFM and conductive AFM. The perovskite fabricated under humid air and argon atmosphere is compared and it is found that degradation of perovskite by moisture is initiated from local islands. Liq has effective work function tunability to electrode for optoelectronic devices. Its coverage onto PCBM electron transporting layer is increased by deposition thickness but the uniformity is deteriorated after full coverage. The current enhancement through the Liq interlayer is measured through conductive AFM and its potential change is measured through SKPM. In conclusion, this thesis proposes the practical utilization of nanomaterials and nano-scaled layers to improve flexibility,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excitonic optoelectronic devices. These approaches and versatile measurement techniques in film-level and device-level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 cell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other researches which need nanoscale investigation and fabr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