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감소형 비만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

        심희원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 배경: 근감소형 비만이란 체지방의 증가와 근육량의 감소가 함께 동반된 체구성의 변화를 말한다. 하지만 아직 권고되는 근감소형 비만의 표준 진단방법이 없고 근감소형 비만의 진단 기준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 대해 각기 다른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근감소형 비만의 임상적인 정의방법 몇 가지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과 사망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관련인자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공복혈당이 99mg/dl 이하인 100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근감소형 비만은 Janssen et al.과 Stephen등이 제시한 방법들 중 4가지를 사용하여 근감소형 비만의 유무를 분석하고 각각 대사적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대사적 위험요소와 연관이 있는 나이와 성별, 생활습관인자를 보정한 후근감소형 비만1,2 와 4에서 성별, 나이, 흡연상태, 음주량, 운동량을 보정하고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근감소형 비만의 odds ratio (95% CI, p-value)가 2배 이상이었다. hs-CRP는 수치를 사분위로 나누어 보았을 때 hs-CRP가 높아짐에 따라 근감소형 비만1과 3의 odds ratio (95% CI, p-value)가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근감소형 비만은 대사적 위험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근감소형 비만의 분류방법에 따라 다양한 연관성을 보였다.

      • 온라인뱅킹의 확장된 상호인증 및 부인방지를 위한 거래서명 인증기술

        심희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online banking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usually used for the purpose of remote user authentication as well as data-origin authentication of online banking transactions to prevent fraudulent transactions. Most of the online banking authentication techniques which had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few years, ensured the security only between the client and server channels. However, evolving technology such as key logger, malware, to break through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end-point of the channel and manipulate transactions to be approved withou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attack has made possible. To counter these attacks, A. Hilgen et al. proposed transaction signing authentication technique in 2006, which use a smart card with a dedicated reader. And, the transaction signing authentication technique using common reader such as mobile phone to solve the user convenience has been also introduced. Since previous studies are not mutually authenticated, they are commonly vulnerable to malicious attacks and enable abnormal transactions, and also did not provide non-repudiation.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e mutually authenticated transaction signing (MATS) scheme to block fraudulent transactions by verifying both-side transaction signing. Unlike various existing approaches that only ensure the security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the proposed MATS authentication scheme provides the extended mutual authentication from the mobile user to the bank so as to block the fraudulent transactions. Thus, MATS is effectively countering against various attacks such as offline-attack, online-attack, contents manipulation attack, and service-trust attack which are commonly shown in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proposed scheme could greatly enhance the confidence of online banking because it provides non-repudiation not be able to repudiate of the valid transactions which has been made by both user and bank. The proposed MATS is more applicable to banks and convenient for users, because it only requires to widely-used smartphone and smart cards which are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bank branch. Furthermore, the scheme is efficient since it only uses cryptographic hash, XOR, and symmetric key operations. Finally, this paper provides the security analysis by verifying logical soundness and validating of the functional requirements. Moreover, this paper also provides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both security functions and efficiency of the scheme comparable to various existing studies and 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MATS authentication technology. 온라인뱅킹 인증기술은 사용자 인증 뿐 아니라 부정거래 차단을 위한 거래 근원에 대한 인증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지난 수년간 개발된 대부분의 인증기술들은 사용자터미널은 안전하다고 가정하고, 채널 사이의 보안성이 입증되는 경우 전체 인증기술이 안전하다고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진화하는 해킹기술은 수학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된 채널 사이에 침입하기 보다는 키 로거, 악성코드 등을 통해 사용자터미널을 장악하고 사용자가 조작된 거래를 승인하도록 유도하는 거래조작 공격을 가능하게 하였다. 2006년 A.Hilgen et al.은 이러한 거래조작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용 단말기에 직접 거래정보를 입력하여 서명하는 거래서명 인증기술을 제안하였다. 이후 전용 단말기의 휴대 불편성을 개선하기 위해 범용 휴대폰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거래서명 인증기술이 개발되었으나, 기존에 제안된 거래서명 인증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상호인증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부정거래에 노출될 수 있는 취약성이 있으며, 부인방지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은행 상호간에 거래서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부정거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상호인증 거래서명 (Mutually Authenticated Transaction Signing, 이후 MATS) 인증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MATS 인증기술은 채널 사이에만 적용되는 기존의 상호인증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은행까지의 확장된 상호인증이 제공되므로 기존 연구들의 취약점인 오프라인공격, 온라인공격, 거래조작공격 등의 부정거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은행이 정당한 거래가 성립한 이후에 거래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부인방지 기능이 제공되므로 온라인뱅킹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안된 MATS 인증기술은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므로 은행창구를 통해 배포가 용이하며, 스마트카드 리더기 대신 범용적인 스마트폰을 단말기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연산량이 적은 해쉬와 XOR 연산만으로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MATS 인증기술의 논리적 검증을 위해 BAN 로직을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알려진 온라인뱅킹의 취약성에 대한 부정거래 차단기능을 입증하기 위해 보안기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온라인뱅킹에 활용되는 다양한 선행 연구들과의 보안성과 성능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개인 및 집단 단기 마음챙김 유도가 아동의 불안과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심희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ffects of a brief mindfulness induction in individual and group on children's anxiety and cognitive features Sim, He Woen Dep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In decades, there have been popular mindfulness applications within adult population. Interest has rapidly spread to applications of mindfulness with children and the majority of researches provide successful evidences of mindfulness applications in youth population. Especially, a brief mindfulness induction has been receiving growing attention in adult population in part due to the beneficial aspects such as 'short term' and 'laboratory manipulations'. However, researches examining mindfulness induction in children are very few.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validate 5 minutes recorded individual mindfulness induction to induce state mindfulness for childre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induction on state anxiety. 2)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daily 5 minutes recorded group mindfulness induction for consecutive 5 days in a school sett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mindfulness induction on children's anxiety and cognitive features such as rumination, sustained attention and negativity bias for the future prediction. In study 1, 90 children in the 6th grade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5 conditions: no treatment, mindfulness induction, anxiety induction, mindfulness induction followed by anxiety induction and anxiety induction followed by mindfulness induction. The ANCOVA showed that participants in mindfulness condition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tate mindfulness compared to those in no treatment condition. In addition to i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participants in both mindfulness induction followed by anxiety induction condition and anxiety induction followed by mindfulness induction condition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compared to those in anxiety induction. The participants in anxiety induction followed by mindfulness induction condition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anxiety among those three conditions. In study 2, two classes(6the graders, N=32, respectively) from an elementary school were assigned to either a mindfulness induction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ANCOVA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mindfulness induction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state and trait mindfulness, sustained attention and optimistic future prediction and lower levels of state and trait anxiety and rumina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rief mindfulness induction could increase the level of mindfulness and ,in turns, decrease anxiety and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eatures. In addition to it, these findings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application of a brief mindfulness induction in educational setting. key word : mindfulness induction, children, anxiety, rumination, sustained attention, negativity bias

      •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기반 데이터 시각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심희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alyze, and utilize the value of data becomes important, interest in data science education has increased. Data visualization is highly utilized in data science educ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derive insights or experience data analysis even without technical expertise in handling data or high design capabilities. However, it is often not covered in detail because it is only introduced into some areas within the big them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hat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data analysis by presenting guidelines on the flow of data analysis, what charts to visualize given data, and what patterns to find, defining problems from real-life data, and analyzing and solving them through data visualiza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existing visualization methodology and data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 char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visualization stage and analysis purpose for data analysis was proposed. This not only helps learners who are new to data analysis understand the flow of data analysis, but can also be used as a guideline for instructors to design classes. Second, data visualiz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Pyth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visualization stage for data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designed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related knowledge through classes and experience the project process in advance at the same time. This helps learners set goals and directions for the projec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project on their own. Thir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review was conducted on educational programs, design processes, and expert validation tools, and various opinions were discussed by data analysis education experts and field teachers through expert surveys reflecting the review results.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educational programs can be usefully used for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educatio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can be used by various learners in various institutions that want to educate data analysis as basic literacy education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on-majo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ability to use data and understanding of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will increase 데이터의 가치를 이해하고 분석 및 활용하는 역량이 중요시됨에 따라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데이터 시각화는 기술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전문 역량이나, 고도의 디자인 역량이 없더라도 인사이트를 도출하거나, 데이터 분석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 교육에서 활용도가 높다. 하지만 인공지능이라는 큰 주제 안에서 일부 영역으로 소개되는 정도에 그쳐 자세히 다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의 흐름이나, 주어진 데이터를 어떤 차트로 시각화해야 하는지, 어떤 패턴을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실생활 속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분석 및 해결함으로써 학습자가 데이터 분석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시각화 방법론과 데이터 과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각화 단계와 분석 목적에 따른 차트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는 데이터 분석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가 데이터 분석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교수자가 수업을 설계하는 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이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각화 단계를 기반으로 파이썬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관련 지식을 이해하고, 동시에 프로젝트 과정을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과 설계 과정 및 전문가 타당화 도구에 대한 FGI(Focus Group Interview) 검토를 실시하였고, 검토 결과를 반영한 전문가 설문을 통해 데이터 분석 교육 전문가와 현장 교사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교육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중·고등학생이나 비전공자 등 기초 소양 교육으로서 데이터 분석을 교육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학습자에게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데이터 활용 능력 및 데이터 시각화와 분석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