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설산업에서 공급사슬의 수행성과에 대한 측정과 활용방법에 관한 연구

        심재성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의 경영환경이 더 이상 기업간의 경쟁이 아닌 Supply Chain 간의 경쟁 상황으로 바뀐 까닭에,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수단으로 활용되는 공급사슬의 수행성과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공급사슬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효과측정(effectiveness evaluation), 대 내·외 지표(bench marking) 설정, 최상의 실행방안(best practice) 탐색 및 우선순위 설정, 개선 전후 수행성과(performance)의 비교를 위해서는 공급사슬 수행성과 측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급사슬의 수행성과에 대한 측정 및 활용 방법을 관련 문헌의 고찰과 실무적 접근 방법을 통해 건설 산업에 적용해보고 여기서 얻어진 결과의 분석을 바탕으로 계량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공급사슬관리를 실무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 Council에서 개발한 SCOR Model 9.0(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Model)을 이용하여 공급사슬망 단위 구성원인 공급자들의 수행성과와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적용한 측정절차를 살펴보면 수행프로세스의 특성별 핵심성과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성과지표들을 대상으로 지급자재 공급업체로부터 얻은 자료를 활용한 측정치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측정된 성과 지표는 만족도 함수를 이용한 교정과정을 거쳐 일반화 하였다. 또한, 각 지표간 기여도에 따라 일반화된 성과지표의 가중평균을 구하여 공급자별로 통합된 평가치(score)를 도출하였으며 공급사슬망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각 단위 구성원의 성과와 구성원과의 관계에 따라 구성원의 기여도를 분배하고 기여도에 따라 가중 평균을 구하는 통합 과정을 거쳐 공급사슬망 전체의 최종 성과에 대한 측정치를 산출하였다. 끝으로 이렇게 산출된 측정치의 분석을 통해 예상효과를 포함한 실무에서의 활용 방안 및 활용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The competition faced with companies are often described as competition between supply chains. The measurement of supply chain performance is needed to gain supply chain competitiveness. It can be used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rocesses, internal / external bench marking, research of best practice, and performanc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ny improvement effor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for performance measurement of supply chain i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related references in performance measurement of supply chain and their practical methodologies. Performance of whole supply chain network and suppliers as its components is measured using SCOR 9.0 which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and control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Procedure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start with selecting the core performance metrics which are suitable for the processes with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metrics are computed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suppliers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performance metrics are normalized through transformation using exponential desirability functions. To find a score for each supplier weighted means of the normalized measured values of performance are used. After analyz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s, conclusion is made. Discussion is made on how to use the measurements in the field and what to be done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 공인전자문서보관소제도를 이용한 전자서명 장기검증 서비스 모델

        심재성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문서의 무결성은 전자서명에 의해 보장된다. 그러나 전자서명된 전자문서가 생성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인증서 유효기간의 만료 및 폐지 등으로 인해 전자서명의 유효성 검증이 불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전자문서의 법적 효력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기간 후의 전자서명문서의 유효성 검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서명의 유효성을 장기간 보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이러한 기술들이 실질적인 전자서명 장기검증 서비스로 적용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적인 전자서명 장기검증 서비스 모델로서, 공인전자문서보관소라는 법·제도에 기반을 둔 전자서명 장기검증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공인전자문서보관소는 전자문서의 보관업무를 수행하는 신뢰기관으로서 전자문서의 보관시점 및 보관기간 동안 전자문서가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한다. 장기검증 대상인 전자서명문서를 검증정보와 함께 공인전자문서보관소에 보관한 후, 장기검증 시점에 공인전자문서보관소로부터 다시 획득하여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손쉽게 전자서명문서에 대한 장기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g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guaranteed by a digital signature. But the verification of digital signature is impossible due to the expiration of certificate's validity term or the revocation of the certificate after a long time. Consequently it will not be able to maintain the legal effect of the electronic document.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e verification of the signature which was created a long time ago,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way in which the validity of digital sinature is guaranteed until future. But there is no practical service model for the digital signature validation over long periods yet. In this paper the service model which is based on law and system is presented for the practical long-term validation of digital signature. CEDA is the trusted third party. It keeps the electronic document for the service users and guarantees the deposit time and the integ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service users deposit the digital-signed electronic document and the verification informations in CEDA. Thereafter they can take out and validate them easily whenever they need to.

      •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삼척시를 中心으로

        심재성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지난 30년간 고도성장으로 1인당 국민소득 증가와 더불어 OECD에 가입 하는 등 비약적인 외형적인 경제적 성과를 이루어 왔으나, 사회복지 뿐만 아니라 정신․문화적 분야는 정치․정책적으로 도외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사회복지 분야의 경우 정부예산 확대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전달체계가 얼마나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느냐가 중요한 것으로 대두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몇 차례의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개편 하였으나, 2006년 7월부터 행정자치부는 새로운 사회복지 전달체계로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체계」를 발표하게 되었고 2007년 1월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 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의 문제점은 삼척시 뿐만 아니라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공통적인 현상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복지서비스의 개인별․가구별 통합관리를 위해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런 시스템이 구축되면 사업별로 관리하고 있는 가구별 지원현황 파악이 가능해 부정․중복 수급 방지 효과 있다. 또한 「사회복지통합관리망」+「교육 관련 전산망」+ 「고용 관련 전산망」의 부처간 연계 추진을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부처간 연계대상 사업, 필요성 등 논의․합의 후 부처별로 연계가 가능한 전산망 시스템 도입․보완 한다면, 궁극적인 조직 네트워크 구축이 실현 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 재정의 취약성 개선을 위하여 정부와 민간부문의 유기적 협 력 관계를 유지하고 효율적인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민간기관의 복지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 조정을 위한 시․도 단위의 협의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며, 복지재정에 대한 중앙정부의 책임을 위한 시민사회와 지방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일선 공무원의 과중한 업무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인력 보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별로 구성․운영하고 있는「대체인력 pool」을 확대하여 사회복지직렬 공무원의 육아․출산휴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최소화 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 조직과 기능의 조정을 통하여 급증하는 복지수요에 대응하고 일선 복지담당인력의 업무부담도 완화하여야 한다. 아울러 복수직렬(사회복지+행정 등)정원 중 행정직렬이 과다한 실정임으로 이에 대한 방안으로 사회복지직과 행정직간 학습조직을 구성하여 상호학습을 통한 신속한 업무능력 수준을 향상 시켜야 한다. 넷째, 전달체계 운영실태 취약성 개선을 위하여 새올행정시스템의 개선 및 他시스템과의 연계강화로 읍면동에서 제3자 계좌 등록 시, 시군구 승인 후 변경 가능하게 권한 분리하고 새올행정시스템과 전자결재 및 지방재정시스템 연계 추진하여야 한다. 예산집행 공무원에 대한「예산집행실명제」도입으로 주요 재정사업에 대한 집행담당자를 실명 공개하고 시스템 구축으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성 및 공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 전문가, 지자체, 시민단체 등 사회복지와 연관된 모든 구성원들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토론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국민의 피해가 매우 크므로, 개선사항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사회복지 전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has obtained excellent external economic results through high growth by increasing its national per capita income and by joining OECD for the last 30 years, but in reality, not only social welfare but also spiritual and cultural areas have been ignored politically and by polici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ocial welfare, building an efficient and effective delivery system has become a significant issue, not just the extension of governmental budget. In Korea,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has been reformed several times, and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nounced the 「citizen life support service system」as a new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in July, 2006, and its enforcement was extended to the whole nation in January, 2007. The problems of the system currently in operation area phenomenon which is common in all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in Samcheok, and the solutions to them are as follows. First, a combined administration network of social welfare should be set up to manage the sanitary and welfare service of each individual and each household synthetically. Once this kind of system is established, the present support status of each household managed in the unit of business can be grasped, which will prevent the illegal and double supply and demand. Moreover, the ministries and offices in charge of 「a combined administration network of social welfare」+「network related to education」+「network related to employment」need to collaborate. For this purpose, if ministries and offices discuss and come to an agreement of the business for collaboration and their necessities, and if a network system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ministries and offices is introduced and complemented, an ultimate organization network will be established. Second, in order to maintain the organic,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to improve the vulnerability of social welfare finance and in order to build up an efficient welfare transmission system, a council has to be formed in the unit of a municipality or a province to develop welfare programs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to mediate services, and civil society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an effort so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welfare finance. Third, above all, the human resources of the public officer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re required to be reinforced to relieve the heavy work burden of public officers. The「alternative human power pool」formed and run by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expanded to minimize the work gap caused from baby break and maternity leaves of the public officers working in the fields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re to be adjusted to deal with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welfare, and the work burden of the employees undertaking welfare in the field should be lessened. Besides, because currently the administration duty is too much among the employees of double duties (social welfare+administration, etc.), as for its solution, a learning organization among the employees of social welfare and administration is to be formed to enhance their level of work ability quickly through interactive learning. Fourth, to enhance the weaknesses of the present operation of transmission system, Saeol administr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its connection to other systems should be strengthened its power should be divided so that when the disinterested party registers an account in a Eup, Myeon, and Dong, it can be changed after the approval of Si, Gun and Gu; the combination between Saeol administration system and local financial systems for the electronic approval should be promoted. By introducing「the real-name system for execution of the budget」to the budgeting public officers, the real names of those with the responsibility to execute the budget of main financial businesses have to be opened to the public via the websites of digital budget accounting system by constructing a system. Finally, to secure the efficiency and fairness of the transmission system of social welfare, the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for all members related to social welfare, such as the government, professionals,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nd civil groups, to be able to discuss in a synthetic and long-term level. Furthermore, the damage of the citizens that may be caused by the problem of the transmission system of social welfare is serious ; therefore, a flexible social welfare transmission system needs to be set up to rapidly handle things desired to be improved.

      • 초등학교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분석

        심재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초록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심재성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체육을 지도하는 일선 교사들에게 체육지도의 방향을 제시하여 문제점을 추출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 목표 분석은 Bloom, Bucher, Barrow,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의 목표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단원 목표 분석은 Bloom, Bucher, Barrow의 목표 분류 기준과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PCF)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제 6차와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 분석 (1) Bloom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지적 영역이 2, 정의적 영역이 2, 심동적 영역이 4로, 심동적 영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Bucher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신체적 발달 영역이 2, 운동의 발달 영역이 2, 지적 발달 영역이 2, 사회적 발달 영역이 2로, 각 4개 영역이 모두 2가지씩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진술 용어로 보아 Bucher의 분류 기준과 Bloom의 분류 기준이 유사성이 많아 그 결과의 분포도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Barrow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기관의 발달 영역이 2, 심리·운동적 발달 영역이 2, 정의적 발달 영역이 2, 지적 발달 영역이 2로, 각 4개 영역이 모두 2가지씩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2)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 등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도 역시 각 영역의 용어 진술이 고루 나타나 있어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체육과의 목표의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기능적, 학문적, 규범적 성격을 공유하는 종합 교과의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단원 목표 분석 (1) Bloom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심동적 영역의 기본운동, 지적 영역의 운동의 방법, 심동적 영역의 운동기능으로 나타났다. 심동적 영역의 ‘기본운동’ 용어의 분포가 많은 것은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기본 운동의 신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보며 학생들의 다양한 신체 활동과 움직임 욕구 실현을 위한 운동의 수행을 위하여 운동의 방법과 운동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2) Bucher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운동의 발달 영역의 운동기능, 운동의 발달 영역의 기본운동, 지적 영역의 운동의 방법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운동의 발달 영역의 ‘운동기능’과 ‘기본운동’ 용어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신체 활동과 움직임 욕구 실현을 위한 운동의 수행을 위하여 운동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3) Barrow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지적 발달 영역의 건강 및 양호한 신체동작 운동의 원리에 대한 이해, 심리 운동적 발달 영역의 스포츠 기능, 사회적 발달 영역의 태도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하위 목표 중 다양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운동 기능과 체력 및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건강 및 양호한 신체동작 운동의 원리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스포츠 기능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운동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4)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PCF)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환경의 극복, 사회적 상호 작용, 개인적 발달 영역에서 각 개념 요소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성격처럼 학생들에게 지식 위주나 정의적 어느 한 영역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체육 활동을 통하여 움직임의 실현 및 건강의 유지·증진, 정서 순화, 사회성 함양이라는 외재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공헌하는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진술된 용어의 분포에서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환경의 극복 중 공간적 정향 개념의 인지, 개인적 발달 중 생리적 효율성 개념의 신경 근육 효율성, 환경의 극복 중 공간적 정향 개념의 관련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별로 ‘이해(앎)’와 ‘적용(실천)’의 두 가지 개념으로 진술되어 있음을 뜻하고 움직임 욕구의 실현을 위한 지식의 습득을 강조한 이해력 증진과 다양한 운동에 참여해 체력 및 건강 유지 및 증진, 운동 기능의 향상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기본운동인 이동, 비이동, 조작운동이 공간과의 관계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을 강조하고 있다. 3) 초등학교 제 6차와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1) 교육과정 문서 형식으로 제 7차에서는 그동안 지적되어온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으로 설정하여 국민 공통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하였으며, 고등학교 2, 3학년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2)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전학년에 걸쳐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한 것이 현행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3, 4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과 ‘발달 교육 모형’을 적용하되 비이동, 이동, 조작 움직임 관련 주제에 기초한 ‘기본 움직임’과 각 영역별 다양한 활동에 기초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5, 6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 ‘발달 교육 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운동 경험을 꾀하는 ‘활동’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절충형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3) 교육과정 체제는 제 6차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체제를 제 7차에서도 같은 체제로 구성하였으나, 단지 ‘방법’을 제 7차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바꾸어 진술함으로써 교수·학습시 필요로 하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4) 교육과정 목표로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체육이 체, 지, 덕의 세 가지 범주와 기능적(심동적), 이론적(인지적), 태도적(정의적) 측면을 포함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종합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여 진술하고 있으며 체육의 목표는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하여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고 기능과 체력을 증진하며, 운동과 건강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태도를 함양하는 데 중점(교육부, 1998)을 두고 있다. (5) 교육과정 내용으로 제 7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제 6차에서 사용되던 ‘운동’이란 용어 대신에 ‘활동’이란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가짐으로써 중학교와의 연계성과 차별성 및 통합성을 동시에 충족시켰다고 본다. 3, 4학년은 4개 영역(체조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보건)으로, 5, 6학년은 6개 영역(체조활동, 육상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체력활동, 보건)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며, ‘지도 내용’선정에 있어서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역별, 학교별, 교사별, 학생별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활동을 선택하여 재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6)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살펴 보면, 먼저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과 ‘교사’ 항을 신설하여 교수·학습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선정된 학습 내용을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하고, 교사는 교수·학습을 효율적으로 진행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7) 평가로 제 7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매우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평가의 다양화, 객관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다소의 문제점도 없지 않다. 내용 영역별 평가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 영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기능에 대한 평가는 학기당 영역별로 최소 1개 종목씩 선정하여 실시하도록 한 것은 6차에 비해 5, 6학년은 평가 영역이 늘어남으로써 교육과정 내용의 최적화에 역행하는 일이다. 4)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최적화’와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차별화’의 관점에서 체육과의 내용 영역 선정은 분화(differentiation)보다 통합(integration)의 관점에 기초하되,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진적으로 분화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과의 내용 체계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은 제 6차와 구성 체계가 비슷하나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선정된 학습 내용을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되면서 과거의 ‘방법’을 ‘교수·학습 방법’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2)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체육이 체, 지, 덕의 세 가지 범주와 기능적(심동적), 이론적(인지적), 태도적(정의적) 측면을 포함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종합적인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여 진술하였다. (3)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설정에 따라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학교 급별 내용 구성 체계에서 벗어나 학습 내용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내에서 계열성있게 선정하여 조직한다. 체육과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체육과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을 최저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함으로써 학습 분량을 최적화하였다. (4) 3, 4학년은 4개 영역(체조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보건)으로, 5, 6학년은 6개 영역(체조활동, 육상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체력활동, 보건)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며, ‘지도 내용’선정에 있어서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역별, 학교별, 교사별, 학생별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활동을 선택하여 재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교과 목표 및 단원 목표에 나타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볼 때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과는 달리 고른 영역에 걸쳐 용어의 분포가 나타나 체육과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일치하고 있다고 본다. 특히 ‘창의력’ 요소와 ‘협동심’ 요소의 강조는 현재의 흐름인 창의성 교육과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주의적인 풍토를 협동적인 놀이와 게임을 통하여 인간 중심의 인성교육을 강조하여 지도해야 할 것이다. 2) 5, 6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 ‘발달 교육 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운동 경험을 꾀하는 ‘활동’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절충형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체육 전공자도 아닌 현장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적용의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 모형 적용을 위한 수업 방법이나 기술에 대한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계절 및 민속 운동의 강조는 이론상으로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시설 및 여건이 갖추어진 학교가 거의 드문 현실에서 체육 지도 교사가 다양한 계절 운동의 지도력을 고루 갖추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들은 선택 위주의 활동으로 배치하고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계절 및 민속 운동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학교 및 지역의 실정이 너무나도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학교 및 지역 실정에 알맞은 내용이 재구성되도록 교육과정에 많은 탄력성과 융통성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im, Jae Seo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Park, Chan 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o help understand the curriculum, to present th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tect problems to be a help to the next curricular revision. After analysis on this research, I got the conclusions as follows ; First, the subject objectiv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by Bloom, Bucher, Barrow,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and Willgoose. Second, the unit objectiv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by Bloom, Bucher, Barrow, and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Thir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about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 First, by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of nine scholars as Bloom, Bucher, Barrow and so on, we can understand same distribution of term statement about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his shows a unity of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as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 etc. shows same term distribution, and this reflects the character of synthetic subject which shares functional, scholastic, prescriptive character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loom, the terms stated best are basic exercise of psychomotor domain, exercise method of cognitive domain and exercise function of psychomotor domain. Many term distributions in the 'basic exercise' of psychomotor domain are because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the basic in the moving education simulation, and emphasize a method and function of exercise to take shape various moving desire of students.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ucher, the terms stated best are a motor function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a basic exercise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a method of exercise of cognitive doma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based on moving education simulation, and show up many term distributions about 'motor function' and 'basic exercise'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The method of exercise is emphasized to take shape various physical activity and moving desire.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arrow, the terms stated best are a understanding about the health of cognitive developmental domain and principal of good physical motion exercise, sports' function of developmental domain of psychological exercise and attitude of social developmental domain. The subordinate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emphasize a motor function that participate actively to various exercise, and improve sports function with a background about understanding of principal of health and good physical moving exercise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emphasize desirable motor attitudes.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the terms stated best are conquest of environment, social interaction and individual developmental domain, and each conceptional element has same distribution so as character prescribed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don't emphasize only one domain, cognition or affective domain but pursuit external value, that is, realization of moving and healthy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affective refinement, social cultiv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o contribute to improve quality for life of the human. Third, the conclusions of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the sixth curriculum and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re nearly same, but the seventh curriculum is presented to nation common basic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ounding elementary, secondary school. And the 'method' section is divided a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a standard of textbook's development and discussion, and the standard of textbook's development and discussion that undertakes a important responsibility to practice of curriculum was presented newly. The contents are organized by objective and affective domain.

      • 한국인의 중의적 영어문장 분석 처리

        심재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s' reading strategies of English sentences that contain locally ambiguous prepositional phrase(PP) in the VP-NP-PP construction, in which the PP can ambiguously be attached to either the VP or the NP (here, the former is called VP attachment, and the latter NP attachment). This is typically analyzed by two separate parsing decisions: one is syntax only approach, and the other lexical process. In the syntax only approach, parsing decisions are guided by only syntactic principles, whereas the lexical process suggests that the parers are influenced by the lexical information as well as syntactic principles, when comprehending sentences. Frazier proposed a syntactic processing principle called Minimal Attachment, which states that initial syntactic decisions will favor the structure with the minimum number of nodes (here VP attachment). Rayner etc. proved it by eye movement tracking, saying that L1 English natives preferred VP attachment. Syntactic priming in sentence production was investigated to detect the preference of PP attachment,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nglish fluency level: one between 9th and 10th grade (group 1), another in 11th within top 23% at the English exam (group 2), and the other in university (group 3). After self-paced reading of pairs of sentences that have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participants were to choose between VP attachment and NP attachment structure. In Experiment 1, prime sentences were presented with structurally ambiguous VP-NP-PP sentences, and in the target sentences, readers could choose either VP attachment or NP attachment structure. In Experiment 2, prime sentences were presented with 5 VP attachment and NP attachment sentences each, and each one was followed by 3 target sentences with same structure: one has no shared lexical information (target 1), another has the same NP (target 2), and the final one has the same VP with the prime sentence (target 3).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ed that participants in all the groups preferred VP attachment structure, but the rate of preference in group 1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Experiment 2, there was no significant prime effect in the group 1. However, strong prime effect was observed in the group 2 and 3. Particularly, repeated verb(VP) in target sentences led to much greater prime effects, even though repeating noun (NP) didn't affect the prime effect; it even lowered the effect. To sum up, these results firstly imply that the group 1 couldn't parse the sentences, but the other groups can. It matches the argument made by Rah and Adone (2008). In their study, advanced and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highly native-like on-line processing of PP attachment ambiguities and no direct evidence for L2 specific-processing strategies. Secondly, these showed that stronger priming occurs if the prime and target contain the same verb.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Koreans perform a complete syntactic parsing of sentences when reading in the second language, and they do so in a manner similar to native speakers. Furthermore, lexic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rb can apparently influence parsing in the second language, and it is consistent with Minimalist Program.

      • 심화 신경망을 이용한 시간-주파수 상관도 기반의 음성 검출기

        심재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간-주파수 간의 상관도를 가지는 음성 신호의 특성을 바탕으로 통계적 모델 기반의 우도비와 음향학적 모델 기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추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분야의 심화 신경망과 결합한 강인한 음성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음성 신호의 상관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단구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시간-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계수를 나타내고, 특정 시간-주파수 영역의 단일 푸리에 변환 계수에 대해 시간-주파수 상으로 이웃한 계수들을 포함한 벡터를 해당 시간-주파수 영역의 값으로 치환한다. 이를 통해 상관도가 고려된 기법은 연판정 기반의 음성 존재 확률과 더불어 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우도비를 단일 푸리에 변환 계수를 사용하여 추정된 기법보다 더욱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은 음성 신호의 상관도가 고려된 우도비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추정하고, 이 둘을 다중 특징 벡터로 결합한다. 결합된 다중 특징 벡터는 최근 기계 학습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의 분류기로서 알려진 심화 신경망의 입력 특징 벡터로 적용되며, 학습 과정을 거쳐 생성된 분류 모델을 통해 음성 활성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실험은 다양한 배경 잡음과 여러 신호 대 잡음비에서 기존의 음성 검출 기법과 제안된 음성 검출 기법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상관도가 고려된 우도비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결합한 다중 특징 벡터를 심화 신경망과 결합한 제안된 음성 검출 기법이 기존의 음성 검출 기법과 비교하였으며 모든 배경 잡음 환경 및 신호 대 잡음비에서 음성 검출 성능을 대폭 개선시켰다. 특히 정상적인 특성을 갖는 잡음 환경에서는 제안된 기법의 시간-주파수 간 상관도가 고려된 정도에 따라 상관도가 많이 고려된 기법이 그에 비해 덜 고려된 기법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의 음성 검출 성능을 이끌어 냈다. In this thesis, we present a robust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algorithm that multiple features composed of the statistical model-based likelihood ratio (LR) and the acoustic feature-based power spectral density (PSD) taking the property of speech signals into consideration which has a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frequency are fed into the input feature vectors of deep neural networks (DNN). In order to apply the correlation of speech signals to the proposed algorithm, we replace the coefficient of a certain time-frequency unit with the vector including the coefficients around neighboring that coefficient in the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FT). This enables us to estimate accurately not only speech presence probability, but LR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probability using soft-decision scheme.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learning process to classify the multiple features obtained by combining the LR vector with the PSD vector using the DNN structure which is known for a classifier due to its remarkable performance. Then, the generated classification model after the learning process makes a decision on whether it is voice activity or not.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VAD using DNN improved the performance of speech detection probability compared with the previous work.

      • 한라산 구상나무에 공생하는 외생균근균의 다양성과 고도별 군집 구조 분석

        심재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상나무는 한국 특산종이자 희귀 고산식물이다. 현재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여 아고산대에만 일부 존재하여 멸종가능성이 높은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구상나무의 복원과 보전을 위해 균근을 통한 양분과 수분 공급량 증가가 해결책으로 제시되었지만, 현재 구상나무의 균근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된 적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에 서식하는 구상나무의 뿌리 공생 외생균근균을 동정하여 군집 구조와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고도 변화에 따라 외생균근균의 군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구상나무 뿌리에 감염된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NGS를 통해 구상나무 뿌리에 감염된 공생균의 대규모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도별로 100m 간격으로 채집을 실시하여 총 36개체의 구상나무에서 9,832개의 뿌리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형태동정과 분자동정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2속 21종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외생균근균은 담자균이 76%였으며, 자낭균은 24%로 밝혀졌으며 가장 높은 상대수도를 나타낸 종은 Laccaria alba였다. 종 수준(species level)에서 구상나무에 감염된 외생균근균의 고도별 상대수도와 상대빈도는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속 수준(genus level)에서는 evenness와 number of OTU에서 고도 변화에 따른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Helotiales와 Sebacina, Russula는 높은 상대 출현 빈도로 대부분의 고도에서 발견되었다. 토양 성분 농도와 외생균근균 군집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밝혀냈다. 한라산 구상나무의 외생균근균의 root tip richness는 고도와 전질소, 유기물, 유효인산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토양 성분 농도의 수치변화가 richness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또한 고도 변화에 의한 Helotiales spp.와 Sebacina spp.의 root tip richness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나 Russula spp.와는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고도별 군집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 고도 내 군집의 유사성을 확인 하였으며, 고도 간에는 독립적인 군집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규모 병렬형 염기서열 분석법(Massive parallel sequencing)을 실시한 결과 평균 길이 327bp의 64,900 sequence reads를 얻었다. 유사도 지수 >90%로 고도별 외생균근균의 비율과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나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NGS를 통해 동정된 분류군을 고도에 따라 OTU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희귀 분류군의 존재에 대해 알아낼 수 있었다. 담자균은 총 17 OTU였으며, 자낭균은 3 OTU였다. OTU richness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 Tomentella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구상나무의 뿌리에 공생하는 외생균근균의 군집에 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멸종 위기에 처한 구상나무의 보존과 복원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연구

        심재성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는 매년 증가하여 이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는 외출하여 활동 시 식당, 커피숍, 운동센터 등의 원격진료와 상담이 어려운 공간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만성질환자의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 PHR, 표준문서구조,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교환되는 메시지의 구조를 정의하였다. 또한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환 프로토콜과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Windows7에서 Eclipse Juno, JDK, Android Platform, Java, JSP를 사용하였다. 또한 PHR 표준문서 기반 교환 메시지 구조를 정의하여 공간정보 교환 프로토콜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모듈,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모듈을 포함하는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한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환 메시지와 교환 프로토콜 및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모듈들의 동작성을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결과 요청된 메시지에 따라 응답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교환됨을 확인하였으며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서비스 공간을 QR 코드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PHR 정보에 따라 서비스 공간 관리와 사용자 정보관리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