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길안내표지에 대한 보행자 길찾기 반응 분석 : 마곡광장을 중심으로

        심미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마곡광장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다양한 문제 원인들 가운데 복잡한 공간에서 길찾기의 어려움이 해당 장소의 이용률을 저하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마곡광장의 복잡한 동선 체계에 주목하였다. 마곡광장의 보행자에게 보다 명료한 길안내표지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보행자의 길찾기 반응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현행 길안내표지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길안내표지를 활용한 특정 시설의 이용 활성화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리빙랩 방식을 활용하여 길안내표지에 대한 보행자 길찾기 반응 실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한 특정 행동을 취하도록 참가자들을 통제하지 않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참가자들의 행태를 분석 기반으로 삼아 주변에 대한 길안내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지점에 실제 길안내표지 설치 후 대상지에 대한 보행량 변화를 관찰하고, 특정 피실험자군에게 가상 길안내표지를 체험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길안내표지에 대한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길안내표지를 활용한 특정 시설의 이용 활성화 가능성을 증명해보고자 하였다.

      • 바느질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심미선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howed the efficiency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sewing on depression and the self-efficacy of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isabilities. This program focused on the positive aspects of sewing which gives a pleasant feeling to the mothers involved. While sewing we are immersed in repetitive behavior, while keeping our hands moving, and we can concentrate on what we are doing. This study gave new meaning to sewing where the needle is the self as the subject and the thread is the environment which is changeable.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3 mothers whose children were cared for in A center located in G city and the period of the study was from June to December of 2012. The program was done once a week for 100 minutes each session and lasted for 18 session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Self-Efficacy Scale(S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and a House-Tree-Person test(HTP)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ogram, it was discovered that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became significantly lower in normal levels and in subscales, negative attitudes and performance difficulties had changed in the subjects to be more positive. Second, after the program using sewing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had improved and of the subscales, confidence and self-control were enhanced.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 of the subjects in each session. In each session, through analysis,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decreased and they were more motivated, and as self-efficacy had recovered,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d. Through the results presented above, it was shown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sewing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isabilities. The art therapy program using sewing proposed in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was conducted without any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and was given to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isabilities for the first tim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anualized based standardiz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to more diverse types of subjects in order to systematically prove the effectiveness.

      • 한국 현대건축에서 건축기행의 체험과 재현 연구 : 1990년 전후 한샘건축기행과 4.3건축기행을 중심으로

        심미선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s into the architectural tour as a practice of modernity conducted around 1990 when the social change in Korea was dramatic. Some groups highly interested in the formation of discourse on modern Korean architecture pursued both personal experience and group objective at the same time by planning a tour with a clear theme and promoting prominent figures in architectur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tour that tour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should have examined in the close association with the Korean path to modernization. Thereby, this study finally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that architectural discourse created by individual architect embodies universality in the article, exhibition, publication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s limitation. Before looking into the major study objective including Hanssem Architecture Tours and 4.3 Architecture Tours the universal topic of the tours ‘self-overcoming of architects’ should be described and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of the reality in Korea should establish. First, analyzing historical cases of the architectural tour identified the effects occurred by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modernization on tour experience. Following that, focusing on the Korean modernization, the phenomenon is also examined that the emergence of individuals and the aspect of exploring personal identity when South Korea turned to the democratic society in the late 1980s. At the same perio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Korean architecture, collective movements were conspicuous. The senior groups in architecture began to self-overcoming from repenting of the past when the phenomenon that architecture had been consumed as a political tool and expression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from the 1960s to 1970s. This awareness served as a driving force of group activity. Meanwhile, as a deduced result of repeated field trips in the academic field, it had a new understanding that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sensuous exterior spaces. A field of discourse was emerging due to rising media outlets such as architecture journalism and printing agency. The time background of the architectural tour formed. By analyzing Hanssem Architecture Tours and 4.3 Architecture Tours programs planned and implemented under this background, every coordinator of both tours set a topic on overcoming the chaotic situation caused by the Korean modernization process and created a common knowledge to participants by holding seminars with appropriate experts of architecture, arts and culture. Participants of Hanssem Architecture Tour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modern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applicability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tour seminar, diverse interpretations were attempted to divert from discussion leaning towards the styl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Universal features inherent in traditional architecture were highlighted such as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external space or encouraging to understand it as a spiritual outcome. 4.3 Architecture Tours explored the fundamental value of modern architecture. Architects in the 4.3 group, while pondering over the possibility of autonomous architecture beyond authority, confirmed that the authenticity in architecture could be practicable when they accomplish creative spirit and expression after experiencing the architectural tour. Each participant of both tours reached the level of experiencing the spiritual value inherent in architectural space and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n architect's reinterpretation in reality. However, reflecting this understanding to their practice was at different levels. Ultimately, the architectural tour could be significant with representing individual experiences of architectural space situated in its specific environment via media by each participant. Thereby, the participant as an architect could establish and theorize his/her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o form a discours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writings after Min Hyun Sik who had established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took journeys through Hanssem Architecture Tours and 4.3 Architecture Tours. Min personally continued to perform architectural reflection by focusing on the exterior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view of nature. Min elaborated his thinking by accumulating his tour experiences. He created new images by citing and editing photos and literary works that demonstrate his experiences and obtained singularity by connecting them with his architectural works. Meanwhile, he extended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by extracting conceptual terms or issues from tour seminars. He attempted to cast doubts the knowledge system from the West and interpret it by himself. Consequentially, he could discuss the paradox of Korean architecture triggered by modernity a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 Hanssem Architecture Tours and 4.3 Architecture Tours were conduc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Korean society and served as plans to explore and discover the discourse of modernity. It thus implied that the viewpoint formed that Korean architects could discuss the universality in architecture with their own. Most tour participants had published their thinking repeatedly and adopted tour experiences as proof to theorize their architectural philosophy. Meanwhile, the similarity of architectural concept or theory among architects who shared experiences was pointed out as a constraint of the group tour program. It could be considered a particular phenomen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and the reality of modern Korean architecture. 본 연구는 여행이 근대성의 실천양식이라는 전제 하에,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화가 급격했던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수행된 건축기행에 주목했다. 이 시기에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화에 관심이 많았던 일부 그룹은 명확한 주제의식을 갖는 건축기행을 체계적으로 기획했고 건축계 인사의 참여를 도모함으로써 개인의 체험과 공동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했다. 이처럼 건축기행에 요구된 복합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기행 체험과 재현을 살펴보아야 했다. 이로부터 한국의 개별 건축가가 기행 체험 이후 생산한 건축 담론이 서구 지향의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논하게 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주요 연구대상인 한샘건축기행과 4.3건축기행을 분석하기에 앞서 건축가의 자기 갱신이라는 건축기행의 보편적 주제를 이해하고, 한국적 현실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을 설정해야 했다. 이에 건축기행의 역사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각 건축가가 경험한 근대화 과정의 차이가 기행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그리고 1980년대 말, 한국이 민주화 사회로 전환되는 시기에 개인 주체의 등장과 정체성 탐색 양상을 살폈다. 그런 한편, 건축 영역에서는 같은 시기에 집단적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현상을 짚었다. 그 중에서도 기성 건축계는 1960-70년대 근대화 과정에서 건축이 정치적 도구이자 표상으로 소비되는 현상을 지켜보았던 과거를 반성하는 것으로부터 자기 극복을 시작했다. 이러한 의식은 집단적 실천의 동력이 되었다. 한편 학계에서 지속적인 실물 답사 경험을 토대로 감각적 체험 공간으로서의 전통건축을 재발견했다. 또한 건축 언론과 출판 등 매체가 증가하며 담론의 장이 마련됨으로써 건축기행의 시대적 배경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획·실천된 한샘건축기행과 4.3건축기행의 프로그램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 기행의 기획자들은 근대화 과정에서 야기된 한국 건축의 역사적 단절과 왜곡, 결핍 등을 극복하겠다는 목적의식 아래 여행 주제를 정했고, 그에 부합하는 세미나를 기획해 참가자들이 건축을 보는 공통된 시각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샘건축기행은 전통건축의 현대적 이해와 활용 가능성을 타진했다. 세미나에서는 전통건축의 양식에 치중된 논의를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외부공간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거나 정신적 산물로서의 이해를 유도하는 등 전통건축에 내재된 보편적 특성을 부각했다. 4.3건축기행은 서구 근대건축의 근원적 가치를 확인했다. 4.3그룹 건축가들은 권위에서 벗어난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을 고민하던 가운데, 건축기행을 체험한 뒤 건축가의 창조적 정신과 표현 의지가 발현될 때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건축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두 기행의 참가자들은 건축 공간에 내재된 정신적 가치를 경험했고, 각자의 입장과 방식에 맞게 체험과 지식을 재해석해내는 것이 중요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앎과 실천은 다른 차원의 문제였다. 궁극적으로 건축가가 자신의 여행 체험을 다양한 매체로 재현함으로써 건축기행이 유의미해질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인은 건축관을 정립하고 이론화했고, 대중과의 소통 속에서 담론을 형성했다. 따라서 한샘건축기행과 4.3건축기행을 두루 경험하며 건축관을 정립해나간 민현식의 기행 이후 저술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민현식은 개인적으로 전통건축의 공간과 자연관에 관심을 두고 건축적 사유를 지속했다. 이는 기행 경험을 축적하며 구체화되었다. 그는 체험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과 글을 인용하고 편집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냈고, 이를 자신의 건축 작업과 결부하는 방식으로 개별성을 획득해갔다. 한편으로 기행 세미나에서 개념어나 담론적 이슈를 추출해 건축관을 확장했다. 또한 서구 지식체계를 끊임없이 의심하면서도 해석해내려는 시도를 이어갔다. 그리하여 그는 결과적으로 근대성이 야기한 한국 건축의 모순과 극복의 가능성을 논할 수 있었다. 한샘건축기행과 4.3건축기행은 한국 사회의 전환기에 단체로 수행되며 근대성 담론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기획으로 역할했다. 이로써 한국 건축가들 스스로 자신의 건축을 건축적 보편성 위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시각을 형성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리고 개별 건축가에 의해서 여행 체험은 반복적으로 재현되었고, 자신의 건축을 이론화하는 근거로 채택되었다. 한편 경험을 공유한 건축가 간의 건축개념이나 이론이 유사한 점은 한계로 지적되었다. 이는 1990년대의 과도기적 양상이자 한국 건축이 딛고 선 현실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 발달장애아 부모의 전기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심미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processes from which parents develop values 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xploring their experiences with biographical learning. These experiences were related to the parents’ ability to withstand the challenges of life encountered from unexpected disabilities in their children.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was employed in this study and data for the narrative inquir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their data.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July 2019, during which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twice with each subject and the data was clarified as needed.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the framework of biographical learning, introduced by Alheit and Dausien (2002),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derived through above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biographical learning, together with transformative changes, such as the ‘acknowledgment of diversity’, ‘doing best in their respective lives’, ‘finding self-confidence’, and ‘becoming brave against the challenges of life’, in their life histories evolving in the continuity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pace of the parental narratives was occupied by subspaces of ‘community’, ‘parties of parents’, ‘aerobics’, and ‘families’ in the respective biographies. The parents were fou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sist’, ‘challenge’, and ‘try to find balance in their own lives’,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biographies. Seco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ir experiences of biographical learning triggered by unexpected biographical events (i.e.,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their children) as a process of ‘fulfillment’, ‘transformation’, ‘understanding’, and ‘being together’. Third, the inherent features of the experiences of biographical learning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described as ‘rhizomic affiliation’, ‘communication of life learned in the face of death’, and ‘life on the Möbius strip’. The experience of biographical learning played the role of ‘transformative growth’ that changed the attitude and value of their respective lives by transforming the perspectives that had been formed in their biographical histories. It also played a role in ‘becoming autopoietic’, the creation of self-identity as the subject of their lives, as well as creating self-identities as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lives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biograph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explorations into the experiences of biographical learning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the biographical learning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nduced by the collapse of intrinsic ‘habitus’, which had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history of their respective lives. Secon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interact in the space between their respective biographical histories and the outer world, wherein they realized self-creation by orienting to social participation and actual practice. Such orienta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ir will to live transformed their biographical structure by changing them into active minorities in the system of society wherein they had been discriminated and excluded. Third,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ble to establish self-identity as the (biographical) subject of their respective lives, as well as identity as par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biographical learning.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ies, they were able to find the biographical attributes of an ‘unlived life’.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 부모가 예기치 않은 자녀의 장애를 통해 삶의 도전에 대처하며 이루어내는 전기학습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이 생애 주체로서 자기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찾아내는 총체적인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내러티브탐구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자료는 네 명의 연구참여자와의 심층 면담과 자료집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의 기간은 2019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이며, 2차에 걸친 심층 면담과 필요한 경우 추가 확인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와 Alheit와 Dausien(2002)의 전기학습 연구방법의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부모는 전기학습을 경험하며 그들의 전기적 역사가 이루어지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연속적 시간에서 ‘다양성의 인정’, ‘현재의 삶에 최선을 다함’, ‘자신감을 찾음’, ‘용기를 가지게 됨’의 전환이 있었다. 그들의 이야기가 이루어지는 공간은 ‘커뮤니티’, ‘부모회’, ‘에어로빅’, ‘가족’의 공간이 각자의 전기에서 중요하게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의 전기가 놓인 시간과 공간 사이에서 각자 ‘소통’하고, ‘저항’하며, 삶의 ‘균형’을 찾고자 노력하고, ‘도전’함으로써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라는 예상치 못한 전기적 사건에서 비롯된 전기학습의 경험을 각자 ‘채움’의 과정, ‘변화’의 과정, ‘이해’의 과정, ‘함께 함’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해석했다. 셋째, 발달장애아 부모가 경험한 전기학습의 본연적 특징은 ‘리좀(rhizome)적 관계 맺음’, ‘죽음 앞에서 배운 삶의 소통’, ‘뫼비우스 띠 위의 삶’이었다. 그들의 경험에서 전기학습은 전기적 역사에서 형성된 관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를 변화시키는 ‘전환적 성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전기학습은 또한 그들의 전기에서 자녀와의 삶을 통해 발달장애아 부모로서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만드는 ‘자기생성을 통한 되어감’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발달장애아 부모의 전기학습 경험 탐색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부모의 전기학습은 자신의 전기적 역사에서 당연하다고 여기며 내재된 ‘아비투스(habitus)’를 붕괴하는 경험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발달장애아 부모는 전기학습의 경험에서 자신의 전기적 역사와 세계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지향하는 자기생성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지향은 그들이 소수자로 차별받고 배제되는 사회 체제에서 적극적인 소수자가 됨으로써 자신의 전기구조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삶의 의지였다. 셋째, 발달장애아 부모는 전기학습의 경험을 통해 부모로서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만들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자기 자신을 위해 ‘살아보지 못한 삶(unlived life)’에 대한 전기성(biographicity)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아로마 마사지가 여성노인의 소양증과 피부상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심미선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지역사회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아로마 마사지가 소양증과 피부상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로, 경남 C시 노인정 시설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선정 기준에 따라 실험군 30명, 대조군 29명으로 하였다. 라벤더(1ml), 로만 캐모마일(0.25ml), 샌달우드(0.25ml)를 4: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캐리어 오일(스윗아몬드) 100ml에 1.5%로, 희석하여 양팔과 양다리에 1회 10분∼15분, 주 3회, 4주간 아로마 마사지를 실험군에게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캐리어 오일(스윗아몬드)만 사용하여 일반 마사지하였다. 자료분석은 Jamovi 0.9.6.4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및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test, 대상자의 중재 후 종속변수에 대한 가설 검정은 Independent t-test, Welch’s–test 및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아로마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일반 마사지를 받은 대조군보다 소양증이 감소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U=302.5, p=.037),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2가설: ‘아로마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일반 마사지를 받은 대조군보다 피부 수분보유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팔 t=1.61 p=.113, 다리 t=0.74, p=.463),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3) 제3가설: ‘아로마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일반 마사지를 받은 대조군보다 피부 pH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팔 t=-1.61, p=.113, 다리 t=-0.12, p=.905),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4가설: ‘아로마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일반 마사지를 받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가 감소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6.36, p<.001),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성노인에게 제공한 아로마 마사지 중재가 소양증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지만, 피부 수분보유도와 피부 pH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로마 마사지 중재는 피부 노화로 인한 여성노인의 소양증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박완서 소설의 서술기법 연구 : 일인칭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심미선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설에서 ‘무엇’과 ‘어떻게’의 문제는 서로 끊임없이 작용하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무엇을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에 적절한 서술방식이 형성되기도 하고,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 무엇의 모습이 현실 세계와는 전혀 다르게 형상화될 수도 있다. 결국 서술방식의 문제는 ‘어떻게 말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소설에서 작품 속의 인물은 행위와 내면 세계, 사건 등을 스스로 드러낼 수 없고 서술자의 중개를 통하여 형상화된다. 따라서 서술 기법은 작가가 소설 창작에 임했을 때 일차적으로 당면하게 되는 문제로서 현실의 재료를 소설화시키는 핵심적 요소이다. 박완서의 단편 소설에서 표면상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일인칭 서술이다. 박완서가 다양한 주제와 창작 기법을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인칭 서술을 견지하는 것은 창작 기법의 핵심이 일인칭 서술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작가는 그가 처해 있는 특정한 상황에 의해 서술자를 내세우고 대상을 바라보며 세계를 인식한다. 소설 속에서 작가의 관점과 세계관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매개체가 바로 서술자이다. 작품 속에서 초점화 대상이나 서술자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작가의 사상과 이데올로기, 관념적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서술 기법을 구체적 작품을 통하여 연구하고, 서술 기법이 지니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일인칭 서술자 ‘나’에 의해 스토리가 전달되는 박완서 소설에서 서술자가 사건을 바라보는 초점화 양상을 리몬 케넌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작가의 체험이 내면화된 일인칭 소설에서는 인물과 서술자가 같기 때문에 내적 초점화를 통해 서술한다. 그러나 서술의 대상인 과거의 체험이 원거리를 유지할 때 서술자는 과거의 체험적 자아이면서 동시에 현재의 서술적 자아이다. 그러므로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체험을 종합한 결과, 과거의 서술에 있어서는 외적 초점화로서 권위를 지니게 된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시간적 거리를 살펴보고, 서술자는 어떤 의식을 갖고 사건을 서술하는지 구체적 작품을 활용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박완서의 대부분의 일인칭 소설이 과거의 체험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쓰여 졌기 때문에 체험자아와 서술자아 사이에는 시간적 거리가 발생한다.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거리는 리몬 케넌의 지각적 국면과 심리적 국면으로 각각 대별하여 고찰해 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박완서의 일인칭 소설 속 초점화자가 초점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리몬 케넌의 관념적 국면을 바탕으로 서술자의 태도를 살펴보았고, 초점화대상과 사건에 대한 서술 태도를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첫째, 전쟁체험의 상처와 후유증을 갖고 있는 서술자가 이를 치유하고 진실을 드러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가족과의 이별과 낙원 상실에 대해 서술자는 슬픔과 그리움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일상 속에서 겪었던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고 인간관계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로 인한 자기의 한계를 직시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제까지 박완서의 일인칭 소설을 리몬 케넌의 초점화 이론을 원용하여 일인칭 단편 소설을 초점화 양상,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거리, 초점화대상과 사건에 대한 서술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제론적 측면에 치우친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서술 기법 측면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일인칭 서술이 작가의 의도된 선택으로 독자에게 읽기 효과를 높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In novel, the theme of ‘what’ and ‘how’ is relative relation working each other constantly. According to narrating what, the proper narration method is formed, or according to narrating how, the feature of something could be formed entirely unlike the real world. After all, the theme of narration method is concluded into ‘how to narrate’. The character of the literary work can not reveal the behavior, inner world, incident, and etc. so it is formed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narrator. Consequently, the narration techniques is the important factor which the matter of realities makes fictionalize as the first confront problem during creating the work. The outward-prominent characteristic in the short stroy of Park Wan-seo is the first person narration. Even though Park Wan-seo’s handled the various subjects and creative techniques, she maintains the first person narration. That shows that the core of the creative techniques is the first person narration. The writer makes the narrator stand in the specific situation where he is placed and recognizes the world while looking at the object. In novel, the vehicle that reveals the writer’s point view and world view directly or indirectly is the narrator. In works, the reason why the focalization object or study on narrator is important is that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 among the writer’s thought ,ideology and ideological attitude. With this point of view, I wanted to study the narration techniques in Park Wan-seo’s novel using the concrete work, and make the effect of narration techniques clear. In chapterⅡ, I searched the focalization modality which the narrator looked the incident based on the S. Rimmon-Kenan’s thesis in Park Wan-seo's novel which the story delivered through the frist person narrator ‘I’. The first person novel which the writer`s experience is internalized narrate through internal focalization due to the same of character and narrator. However, when the past experience, the object of narration maintains a long distance, the narrator is the experience self of past and at the same time narration self as well. Therefore, by the result of generalizing the experience from the past to present, I researched the fact that for the narration of the past it hold the authoritative as the external focalization. In chapter Ⅲ, I wanted to research the distance of tim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in Park Wan-seo's novel, and make it the clear that the narrator with what kind of consciousness narrate the incident using the concrete works. There is a distance of tim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because the most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s were written in the form of recalling the past experie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was considered by dividing perceptual facet and psychological facet each. In chapter Ⅳ, I researched that which attitude focalizer in the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s taked about the focalization object or the incident. I looked at the narrator’s attitude based on the ideological facet of S. Rimmon-Kenan, I could the narration attitude about the focalization object or the incident into three types. First, the narrator who has the hurt and aftermath due to the war experience have the attitude, trying to cure and reveal the truth. Second, the narrator about seperating from the family and losing the Paradise reveals the feeling of sorrow and yearning. Third, it take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realities and reflect on the human relationships through the various-daily experiences. Due to that, it shows the attitude confronting the limitation of one-self and reconsidering. From now on, I researched the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 using the focalization thesis of S. Rimmon-Kenan, dividing the focalization modality, the distance between experience self narration self and the narration attitude about focalization object and incident. This thesis analyzed the works in the side of the narration techniques staying away from the pre existing research which is inclined to the aspect of the themes. From this, I confirmed that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 Park Wan-seo's novels was the choice by writer and it also gived high effect for the readers to read.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국악 가창 내용 중심으로

        심미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글로벌 창의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여 학습과정, 학습방법, 학습평가 및 운영 등의 교육과정이 전면 개편 되었다.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는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중 국악 가창 내용에 관하여 음악과 교육 과정 영역별 내용에 따라 얼마나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17종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국악 가창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제시 할 뿐만 아니라, 국악 가창곡을 배움으로써 국악의 이해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효율적인 음악 수업 지도성과 국악 가창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중학교 17종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 내용을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 분류 및 17종 교과서 영역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내의 국악 가창곡은 가곡, 시조, 판소리, 민요, 창작곡, 전래동요, 무가, 범패, 가야금병창, 단가 등이 수록 되어 있다. 17종 교과서 중 가장 많이 수록 되어 있는 국악 가창곡은 민요<진도아리랑>으로 모든 교과서에 수록 되어 100%를 차지했으며, 국악 가창곡 가사, 무가, 범패, 잡가가 한 교과서에 수록 되어 각 5.9%를 나타낸다. 17종 교과서를 교육과정에 따른 영역별로 비율을 나타낸 결과, 표현 영역에서는 출판사명 「교학사(이흥수 외)」교과서가 86.4%를 나타내 가장 높게 차지하였다. 감상 영역에서는 출판사명「경기도교육청」교과서가 34.9%의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생활화 영역은 출판사명 「금성출판사」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 되어 8.7%를 나타낸다. 전체 교과서에는 표현 영역이 가장 많이 제시 되어 있으며, 생활화 영역은 다소 적게 제시 되어 있다. 향후, 음악 교과서 영역별 개발 시 생활화 영역 비중을 늘렸으면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통합적 교육이 실현 되고 있다. 여러 활동 영역을 통합적으로 만든 음악 교과서의 국악가창곡을 통해, 다양할 뿐 아니라 수준 높고 흥미 있는 국악 교육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편찬 될 음악 교과서에 이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Amended curriculum in 2009 entirely was reformed curriculum such as study course, learning method, studying evaluation and learning operation for 'Global creativity Human Resource'. In musical curriculum, 'Music' is defined as subject that can be enjoyable in our lives. This study analyzed seventeen kinds of textbooks about how much validity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ccording tonamended curriculum in 2009 has, especially about songs of Gukak according to areal contents in curriculum of music. In part of singing Gukak, activity is presented which can help students to sing well and also they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Gukak by learning that songs. Therefore, I studied about effective music instruction leadership and song of Gukak for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education. A method of study is analyzed song of Gukak focusing on literature from seventeen music textbooks from middle school. And did also comparative analysis with areal classification about curriculum of music and about seventeen kinds of text book. The result of study is that songs of Gukak in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is according to amended curriculum in 2009 are included song, sijo, pansori, folk song, creative song, traditional song, warrior song, gayageum in chorus, danga and so one. Among those seventeen kinds of textbooks, the Gukak named <Jindo Arirang> is the most famous song that every textbooks has that song. In those textbooks, the percentage of recording about Gukak song, warrior song, Bumpae, vulgar song represent each 5.9%. The text book released by「Kyohaksa(writte0n by Lee heung soo)」accounts for something like 86.4% among seventeen kinds of textbooks with a course of study in expression realm. The textbook named「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has the most highest share percent as 34.9 in thoughts realm. The textbook named 「Geumsung publisher」has the most highest share percent as 8.7 in life realm. The expression realm is the most represent part in all textbooks, but life realm is somewhat a few represent. From now on, I expect that the life realm part will increase in textbooks when music textbook develop the realm. According to amended curriculum in 2009, an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are being realized. We can expect that the Gukak education will be interesting, high standard and various through song of Gukak in music textbook made by integrated with a number of activities realm. Also,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 on music textbook which will publish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