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t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of PepMoV-Vb1/GFP vector in host plant during serial passages : PepMoV-Vb1/GFP 벡터의 계대접종을 통한 병리학적 및 분자학적 분석

        심다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epper mottle virus (PepMoV)-based vector expressin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pSP6PepMoV-Vb1/GFP) shows infectivity and stable GFP expression systemically in Nicotiana benthamiana and pepper specie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the progeny viruses produced from the PepMoV-Vb1/GFP, transcript generated from pSP6PepMoV-Vb1/GFP was initially inoculated on to N. benthamiana and six serial passage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20 days and maintained to 238 days post inoculation (dpi). The virus symptoms and GFP signals were monitored and sequence vari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P1, coat protein (CP) and GFP region. In these regions, sequence variation was compared with the wild type virus sequence during passages. The symptom and virus concentration were similar to wild type virus-infected plants. The percentage of mutations of progeny viruses fluctuated and the mutation frequencies showed distributions over serial passages in three analyzed regions (P1, CP and GFP). The majority of observed mutations in the viral populations were non-synonymous substitutions 43.6% and 51.0% in the P1 region and GFP region, respectively, and silent 47.3% in the CP region. Mutation frequencies were 0.79, 1.11 and 0.91 × 10-3 per nucleotide in the P1, CP and GFP reg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PepMoV-Vb1/GFP vector was identical with wild type virus (PepMoV-Vb1) in symptoms and sequence variation. Therefore, this vector is regarded as a stable viral vector that can be utilized for stable protein expression. Pepper mottle virus (PepMoV)를 기반으로 구축된 바이러스 벡터pSP6PepMoV-Vb1/GFP는 선행 연구를 통해 N. benthamiana와 고추에서 전신 감염되는 것과 벡터 내에 삽입된 외래 유전자인 turboGFP가 벡터시스템에 의해 기주 내에서 녹색형광단백질을 활발히 발현시킴으로서 벡터의활성이 연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pSP6PepMoV-Vb1/GFP 벡터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N. benthamiana에서 계대접종을 통해 증식하여 자손 바이러스들의 병리학적 및 분자학적 특징을 분석했다. 계대접종을 위해 pSP6PepMoV-Vb1/GFP로부터 in vitro transcript를 생산하고 생성된PepMoV-Vb1/GFP를 초기 접종원으로 사용하여 N. benthamiana에 기계적 접종을 실시하였다. PepMoV-Vb1/GFP의 대조군으로는 pSP6PepMoV-Vb1에서 생산된 PepMoV-Vb1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접종하였다. 초기 접종(passage 0, PS0) 후 20일 간격으로 6회 계대접종을 진행하였고, 식물체는 접종 후 238일까지 유지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병징과 GFP 발현 및 염기서열 변이 등을 확인 및 분석하였다. 바이러스의 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PepMoV-Vb1/GFP와 대조군인 PepMoV-Vb1의 병징 차이와 녹색형광단백질의 발현을 7일마다 관찰하였다. 그 결과 PepMoV-Vb1/GFP와 PepMoV-Vb1에 감염된 식물체에 나타난 병징은 식물체의 생육 차이에 따라 미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인 병징의 모습과 확산은 두 바이러스가 유사했고 GFP의 발현은 모든 계대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식물체의 접종 후 238일까지 안정적이게 발현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분자학적 분석을 위해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변이를 비교하였다. 감염된 잎 조직에서 바이러스 RNA를 분리하여 PepMoV-Vb1/GFP의 P1, CP 그리고 GFP 부위를 클로닝하였다. P1 부위는 Potyvirus에서 가장 염기서열 변이가 심한 부위로 알려져있고 CP 부위는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GFP는 외래유전자이기 때문에 분석 부위로 선정되었다. 계대별 모든 자손 바이러스들의 mutation frequency를 비교한 결과, P1부분은 전체 염기서열 당 0.79 × 10-3, CP부분은 1.11 × 10-3, GFP 부분은 0.91 × 10-3의 mutation frequency를 나타냈다. 자손 바이러스의 아미노산 변이에서는, 가장 많이 일어난 돌연변이 타입은 P1 부위와 GFP부위에서는 비동의치환(non-synonymous substitution)이 각각 43.6%와 51.0%로 가장 많았고, CP 부위에서는 침묵돌연변이(silent)의 형태가 47.3%로 가장 많이 일어났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부분의 염기서열변이와 아미노산 변화를 비교해보면 각 부위별 hot spot에서 일어난 변이를 제외하면 산발적인 변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PepMoV-Vb1/GFP 벡터는 병징에 있어서 대조군인 PepMoV-Vb1과 유사한 병징 특성을 나타냈고, 외래 유전자인 turboGFP는 세대를 거듭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단백질 발현이 관찰되었다. 모든 passage에서 동일하게 염기서열의 변이가 일어난 hot spot 부위의 변이는 다른 PepMoV isolate들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한 결과, 변이가 일어난 염기가 기존의 PepMoV isolate들의 밝혀진 염기와 같은 염기인 것이 대부분이었다. 때문에 hot spot 지점들에서 일어난 염기의 변이는 PepMoV 바이러스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염기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PepMoV-Vb1/GFP 벡터는 안정적인 단백질 발현 벡터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 SNS 플랫폼을 통한 화장품 브랜드 관리 현황 분석

        심다영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 모바일 이용자의 증가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확장은 인간이 SNS라는 플랫폼 안에서 관계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SNS의 이용자 수 증가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접속자들에게까지 전달과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SNS의 중요성은 높아졌으며 마케팅 플랫폼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아지게 되었다. 소셜 미디어는 현재 1세대 블로그, 2세대 관계 기반의 페이스북을 거쳐 3세대 이미지 기반의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로 SNS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이전에는 잡지에만 국한되어 접할 수 있었던 화장품 브랜드의 뷰티 화보를 인터넷 검색이나 SNS 플랫폼 브랜드 페이지를 통해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뷰티 이미지 소비 속도 역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손 안의 핸드폰으로 모든 것이 가능해진 오늘날 SNS를 활용한 뷰티 마케팅 시장의 규모는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SNS 플랫폼을 이용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관리 및 콘텐츠 게시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팔로워가 많은 화장품 브랜드의 SNS 페이지 관리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화장품 브랜드 SNS 페이지에 게시하는 게시물을 분류하여 게시물의 형태를 분석하고 브랜드가 제시한 뷰티 화보와 SNS 브랜드 페이지에서 반응도가 높은 게시물을 수집하여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의 신제품 도입 시 마케팅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브랜드별 SNS 관리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서비스 질(Quality)인식에 미치는 영향

        심다영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population aging of South Korea has progressed rapidly, the increase in the burden of family support due to the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with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has come to the fore as a big social problem. As a result, the need for specialized elderly care services that can reduce the burden of care for the elderly in the family has been maximized. In this respect,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2008 in earnes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nationally qualified nursing care workers have emerged as specialists who can provide care services. As the nursing care workers of the nursing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ich a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are the core personnel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nursing facility services for the elderly, their level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factor greatly affecting the quality of nursing facility services for the elder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nursing care workers of the nursing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n the perceived lev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n elderly nursing hom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high quality care services through the foregoing. A total of 202 care workers working in the elderly nursing home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s a population. The questionnaires of 202 (91%) respondents excluding 28 questionnaires with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in statistical processing were collected and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self-reported average occupation consciousness of long - term nursing home care workers was shown to be 3.59 points on the 5 point Likert scale, which is relatively high.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s a sub-factor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ssessed by the question 'I think that the profession of care worker is recognized as a profession' was shown to be the lowest next to the factor, remuneration. This seems to show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care workers that are socially unrecognized and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feel dissatisfaction with the poor treatment and wag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of care workers, the total average of service quality perceptions of elderly nursing home care workers was shown to be 3.83 points on the 5 point Likert scale, which is relatively high. In the area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recogni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ervice quality, 'internal cooling, heating and humidity' was shown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service followed by 'ventilation inside the institution', 'welfare equipment', and ' disinfection and cleanliness of furnishings necessary for care' in order of precedence. Since the cleanliness and infection prevention were evaluated to have the greatest effects on service quality recognit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eriodic evaluation of room temperature in care institutions, ventilation, and cleanliness such as disinfection of furnishings, and the use of welfare equipment. In the area of ​​job skill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 'perception of care for dying skills' was shown to be the most vulnerable, followed by 'communication care', and 'medi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institution.' In many cases, care for the elderly with severe diseases in the field is poor. Qualification courses for deepened theoretical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and ongoing maintenance education such as nursing care for the elderly and hospice will be needed. In the area of interpersonal service quality perception, the sub-factor 'peer' domain was shown to have a high score while 'vertical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in the institutions' was shown to have the lowest score. Long-term care institutions should constantly strive to improve the welfare environment to maintain a positive organizational relationship for the pleasant work environment of care worker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s of care workers general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dicating that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care worker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ervice quality perceptions (p <.05).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job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 final academic achievement, working experience, and working style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p <.05). This means that those with higher the final education, higher career experience, and full-time jobs have higher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are workers o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ense of belonging and the sense of duty were shown to be sub - factor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nd occupational pride was shown to be a sub – factor that affects the perception of job skill service quality. The sub-factor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service quality were shown to be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pride, willingness to continue working, and remuneration (pay). In conclusion, the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re influenced by the overall factor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sense of belonging and the sense of dut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occupational pri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pride, willingness to continue working, and remuneration are, the higher the perceived quality of interpersonal service quality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opefully basic data for poli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acility operators to raise job consciousness of care workers.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가족의 부양부담 증가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가족의 노인 돌봄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전문적인 노인요양서비스의 필요성이 극대화 되었고, 이에 정부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본격 도입했다. 제도 도입과 함께 요양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으로 국가자격인 요양보호사가 출현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기관인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는 시설 서비스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인력이기 때문에, 그들의 직업의식 수준이 노인요양시설 서비스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시설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 요인들을 파악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질 높은 요양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장기요양기관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통계처리에 결격사유가 있는 28부를 폐기한 나머지 202(91%)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하였으며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평가하는 직업의식은 평균은 5점 Likert척도 중 3.59점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인식 '요양보호사 직업은 전문직으로 인정받는다고 생각 한다'의 문항은 보수(급여)요인 다음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인정받지 못하는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을 보여줄 수 있으며 낮은 처우와 임금조건에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수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인식에 관한 총 평균은 5점 Likert척도 중 3.83점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질의 하위요인인 물리적 환경 서비스 질 인식영역에서는 ‘내부의 냉·난방 및 습도’가 가장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내부의 환기’, ‘복지용구’, ‘케어에 필요한 비품의 소독 및 청결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결, 감염예방 부분이 서비스 질 인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요양기관의 실내온도, 환기와 비품소독 등의 청결상태의 정기적인 평가와 복지용구 사용방안에 대한 중요성 강조가 필요하겠다. 직무기술 서비스 질 인식영역에서는 ‘임종케어기술 인지’가 가장 취약하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케어’, ‘입소노인의 투약’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현장에서의 중증 노인 돌봄 시 미숙한 경우가 많다. 심화된 이론교육과 현장 맞춤형 실습의 자격과정이 필요하며 노인 간호, 호스피스 등의 지속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겠다. 대인관계 서비스 질 인식영역에서는 하위요인인 ‘동료’영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수직, 수평적인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장기요양기관은 요양보호사의 즐거운 근로환경을 위해 긍정적인 조직관계를 유지하도록 복지환경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하겠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직업의식과 서비스 질 인식이 전체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으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서비스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직업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 인식 또한 높게 나타냄을 의미한다. 셋째, 직업의식과 서비스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학력, 실무경력, 근무형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실무경력이 많을수록, 전일제일수록 직업의식과 서비스 질 인식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서비스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환경 서비스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식의 하위요인은 소속·사명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기술 서비스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식의 하위요인은 직업긍지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식의 하위요인은 전문성, 직업긍지, 근속의지, 보수(급여)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체적인 직업의식 요인들이 서비스 질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속·사명감이 높을수록 물리적 환경 서비스 질 인식이 높아지고 직업긍지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서비스 질 인식이 높아지며 전문성, 직업긍지, 근속의지, 보수(급여)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서비스 질 인식이 높아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결과가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을 높일 수 있는 정책개발과 시설 운영자의 관리운영에 기초자료가 되길 바란다. 주요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업의식, 서비스 질(Quality) 인식

      • 고령친화적 어린이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심다영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도시(Age-friendly City)의 개념이 발전해왔다. 고령친화도시는 한 사람이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하며 물리적·사회적 불편함 없이 나이 들어갈 수 있는 도시이다. 평생 살아갈 수 있는 동네(Lifetime Neighborhood), 모든 연령을 위한 사회(Society for all ages)를 추구하는 고령친화도시에서 공원은 중요한 요소이다. 공원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노인들에게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들게 하는 여가 공간이며, 어린이에게는 또래를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와의 관계 형성을 맺고 타인과 상호작용하여 사회성을 길러주고, 놀이를 통한 발달을 이루게 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 연구는 어린이공원이 평생 살아갈 수 있는 동네의 훌륭한 여가 공간으로 역할 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도시공원 중 어린이공원은 가장 주택가 내에 인접해있어 신체적 불편을 겪는 노인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신체적 불편을 겪는 고령자와 놀이를 통해 사회를 배우고 자라나는 어린이가 함께 어우를 수 있는 공공공간으로서의 어린이공원의 적절한 공간구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절차대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서울시의 어린이공원 4개소를 선정하여 관찰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둘째로 유니버설디자인, 무장애 친화공원, 통합놀이터, 고령친화공원과 같은 연구 주제와 관련된 문헌을 통해 어린이공원의 공간을 6개로 구분하고, 고령친화적 어린이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항목의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문가 6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목을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행태와 공간구성 항목 결과를 분석하여 고령친화적 어린이공원의 조성을 위해 공간별 도입되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이동공간(81.2%)이 가장 높은 고령친화성을 보였으며, 녹지(53.1%)는 가장 점수가 낮았다. 각 공간의 중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출입구는 공원의 접근성과 인지성, 개방감을 높이도록 여러 개소를 조성하고, 출입구를 포함한 이동공간은 보행약자의 이동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휴게시설은 공원 곳곳에 배치하고, 다양한 이용객을 배려한 디자인의 시설을 선택한다. 또한 연령대별로 어울릴 수 있는 휴게공간을 조성한다. 놀이공간은 가능한 통합놀이터의 개념을 도입하고, 다양한 유형과 난이도의 시설을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모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열린공간을 두어 아이들이 소통하며 교차할 수 있도록 한다. 운동공간은 다양한 신체적 조건의 이용자가 고루 이용할 수 있도록 종류를 선정하고, 적절한 안내 방법을 도입한다. 녹지는 치유와 생태교육이 가능하도록 수종 선정에 유의한다. 음수대, 안내판, CCTV, 공원등과 같은 부대시설은 안전과 편리에 유의하여 설치한다. 이 연구는 어린이공원이‘어린이의 보건 및 정서 생활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놀이공간’임을 준수하면서, 고령친화적 공원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공간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이 연구는 도시계획시설 공원의 개선방향에 관한 논의에 하나의 사례로써 향후 어린이공원 조성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cept of an Age-friendly City has developed to respond the population aging worldwide. The Age-friendly environments foster healthy and active ageing by building and maintaining intrinsic capacity across the life course and enable greater functional ability in someone with a given level of capacity. Park is an important factor in an age-friendly that pursues a lifetime neighborhood and a society for all ages. Park is an open space for the elderly who is easily socially alienated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lso, It is an important space for childrne to form relationships with various age groups,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o develop through pla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s park can serve as an excellent leisure place in the lifetime neighborhood. In the urban park category, Childrens’s park is the closest to residential areas, which means it is the most accessible open space for the elderly who suffer from physical inconven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apporiate spatial composition of childrens’s parks as a public space where the elderly who have physically challenged and the chlidren who learn the sociality through play. To this end, this study has conducted in this following procedure. First, this study has select the 4 Children’s parks in Seoul where is related to ageing friendly for the field surve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udy is examined by field survey, observation of usage behavior and interview with the user and the park superinterdent. Second, The spatial factors are classified into 6 spaces with the spatial features and the factors are drawn from related research data such as universal design, barrier-free park, integrated playground, and the ageing friendly park. In-depth interviews are carried out with the 6 experts in order to give the validity and supplement of the factors. Based on the formal research analyzing, it is introduced for each part that the considerable elements for the creation of an age-friendly children’s pa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ving space(81.2%) showed the highest aging affinity, and the green space (53.1%) showed the lowest score. Important elements of each space are as follows. The entrance shall be constructed in several place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openness of the park. An the moving space including the entrance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old and the infirm. Rest facilities should be placed throughout the park, hear and there, and the facilities with designs with the careful concern to the various condition of users. The play space shall be plan with the concept of an integrated playground as much as possible, and facilities of various types and difficulty are installed so that child can enjoy adventures. It has an open space so that children can communicate and cross with friends and the strangers. The types of exercise spaces are selected so that users of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an use them evenly, and appropriate guidance methods are introduced. When the design the green space, the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selection of species of trees so that green can play a role for healing and ecological education place. Supplementary facilities, for example, drinking fountain, information board, CCTV, light, shall be installed with attention to safety and convenience. This study has distinguished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presents spatial components so that children's parks can be created as an elderly-friendly park while complying with the 'play space for improving children's health and the min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a children's park in the future as an example, in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ark as an urban planning facilities.

      • STEAM교육을 적용한 음악과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심다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과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2학년 대상의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융합적, 창의적 사고가 가능한 인재로서 이를 충족하는 교육의 필요성으로 STEAM이 등장하였다. 과학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이 상보성을 이룬다는 연구가 밝혀졌음에도 ‘음악’을 중심으로 한 STEAM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고, 학생들이 STEAM에 대한 필요성과 긍정적 사고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하여 STEAM의 음악과를 중심으로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 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지도안에 STEAM 교육을 적용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년 및 과목별 교과내용 수준을 고려하여 PDIE 모형의 연구절차에 따라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업지도안은 총 6차시로 서로 연관성을 지니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수업내용은 작곡, 악기 창작, 기악활동의 3가지 내용을 포함하며 모둠별 활동의 수업형태를 갖는다. 각 활동내용은 ‘창작’영역의 범주로 이야기 할 수 있으며 구체적 내용은 STEAM의 5가지 과목을 융합한 교과내용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는 현직교사 경력 10년 이상 또는 석사학위 이상 취득한 전문가 집단에게 2회의 수업자료 평가용 설문지를 통해 수업자료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STEAM의 중심과목은 과학, 기술, 공학, 음악, 수학으로서, 각 과목별로 해당 과목을 전공한 교사들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의 수업자료로서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수업에서는 경기도 소재의 A 여자 고등학교 1학년 36명의 학생에게 1차 수정 및 보완된 수업자료를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각 차시별 수업이 끝난 후 현장 음악교사의 조언과 학생의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업자료를 2차 수정․보완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 ‘나의 음악 나의 악기’라는 하나의 주제로 연계된 6차시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총체적 학습목표는 3가지이며,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부합되도록 고려하여 계획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자료를 연구하였기 때문에, 고등학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서 STEAM 요소를 발췌하여 본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각 과목별 구체적 내용으로 음악과는 ‘작곡, 악기의 종류, 악기 제작, 악기 연주’, 과학과는 ‘물질에 따른 소리, 주파수, 진동수’, 기술‧공학과는 ‘악기의 설계, 지렛대의 원리,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 활용(‘Piano Perfect’, ‘gStrings’)’, 수학과는 ‘피타고라스의 평균율, 분수, 비례, 유리수, 무리수, 등차수열’의 내용을 담도록 하였다. 6차시의 구체적 활동 내용은 각각 주제곡의 이해와 악기 탐색, 주제곡 작곡, 피타고라스 음계 이해, 선율악기 설계, 선율악기 음계완성 그리고 모둠별 발표회로 구성되었다.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다학문의 융합적 사고가 가능하고 총체적 학습목표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수업지도안의 내용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1차 설문지 조사, 학생 수업만족도 조사, 전문가 2차 설문지 조사로 3단계에 거쳐 이루어졌다. 전문가 집단 1차 설문지 조사 결과 Likert 척도의 5점 만점에서 평점 4.14를 나타내었고, 각 문항별 배점이유를 분석하여 1차 수정 및 보완 작업을 하였다. 1차 보완된 수업자료는 본 수업에 실시되었으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현 음악교사는 연구 참여자로서 설문지 조사를 하고, 인터뷰 진행을 하였다. 1차시 수업만족도(4.21)에 비해 2차시 수업만족도(3.89)는 낮게 측정되었으나, 3차시(4.02)와 4차시(4.32)의 수업만족도는 점차 상승하여, 마지막 5차시(4.45)에는 가장 높은 수업만족도 평점이 측정되었다. 학생들의 배점이유를 분석한 결과,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에 대하여 학생들은 처음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지만 회를 거듭할수록,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며 서로 소통함으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이 프로그램은 실생활 연계성과 흥미를 고려함으로 학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요소가 많이 포함되고, 다양한 과학적 및 수학적 요소를 내포함으로 다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여 높은 수업만족도를 제공하였다. 수업만족도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2차 수정 및 보완된 수업자료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2차 설문지 조사를 통해 최종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4.6 평점이 산출되어 개발된 수업지도안은 교육현장 수업에도 적용 가능하며 질적으로 높은 음악수업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수업자료가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음악과 수업지도안을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음악 교과목 수업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and materials of ‘creative’ activities in music class by applying STEAM education targeted for second year students in highschool. Since current society requires convergent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the STEAM education which fulfills those abilities has emerged on the scene. Although researches have proved the complementarity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musical creativity,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STEAM education centered on ‘music’.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 and demand for STEAM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lesson plans and materials of STEAM education centered on music. Applying STEAM education on lesson plans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 and levels of each subject's content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ollows the research process of Kim, Jin soo's PDIE model. The lesson plan is consisted of 6 separate courses which is correlated to one another making up one project. The contents of the lesson include music composition, instrument cre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y which take the form of group activities. The contents of each activity can be described according to its field of ‘creation’ and the details are to include the STEAM curriculum that converges 5 subjects. The lesson plans and material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verified by in-service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10 years or more and experts who acquired master's degree or more.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has been taken through the two surveys on lesson materials and evaluations. The main subjects of STEAM ar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usic and Math. The suitability is tested by expert group whose major subject falls into one of the categories stated abov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36 high school first graders of A Women's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ungnam-si. The lesson materials which have been supplemented and corrected were applied to actual class. After each course ended, advices of the in-service teacher were acquired and the students' class evaluation survey was held. Regarding the results, lesson materials were once again, supplemented and corr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lesson plan and material which composed of 6 courses under the topic of ‘My music, my instrument’ was developed. There are 3 goals for this project and this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oreover, since the study was held towards high school second graders, the contents applied were STEAM factors that were excerpted from high school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subject were ‘music composition, types of instruments, making instruments, playing instruments’ in Music and ‘sound of different materials, frequency, vibrations’ in Science, ‘instrument design, principle of leverage, using applications of smart phone(‘Piano Perfect’, ‘gStrings’)’in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Pythagorean scale, fractions, proportions, rational and irrational number, arithmetic sequence’ in Math. The specifics of 6 courses are understanding the theme music and search for instrument, composing theme music, understanding Pythagorean scale, designing melody instrument, completing scales of melody instrument and group recital. Through the 6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students were assumed to go through various experiences which mak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obtain convergent thinking abilities and reach the goal of learning. The verifications of content validity was carried on through 3 steps, first survey towards experts, students' class evaluation and second survey towards experts. As a result of the first survey towards experts, the average was 4.14 out of 5 point Likert scale. Specific reasons were analyzed and then first supplement and correction was implemented.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materials were applied in the lesson followed by the survey and interview of students and in-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clas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class evaluation in the second course(3.89)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urse(4.21), but there were incremental increase in the evaluation in the third course(4.02) and the fourth course(4.32), at the fifth course it scored the highest(4.45).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valuation showed that, at first students felt somewhat difficult adapting to the STEAM education but as sequent courses took place, they started to think by themselves and communicated with others which ended up in the rise of satisfaction level. As shown in the result, this program considers the linkage with the real life experiences and the interests of students which makes students to feel familiar. Also, by providing a variety of experiences including scientific and mathematical factors, this program allows to attain higher satisfaction level. Through evaluation survey and interview, the lesson materials were supplemented and corrected and then by the help of experts' survey result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showed average of 4.6, implying that this program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that it is highly qualified for making up necessary materials for music clas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applying STEAM education in the music class lesson plans, it makes possible for students to develop creativity and raise satisfaction level of the class which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n quality of music class.

      •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시판 후 안전관리 제도 비교 :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심다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 “Act on the Safety and Support of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nd Advanced Biopharmaceuticals,” the legal basis for special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biopharmaceuticals has been established.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introduced and implement special laws and regulations tha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biopharmaceuticals several years earlier than Korea.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ystems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advanced biopharmaceuticals in Korea,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and in particular,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post-marketing surveillance system for advanced biopharmaceuticals that are concerned about long-term safety.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 Europe, and Japan defined the scope of advanced biopharmaceuticals and enacted and implemented special laws for total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S., advanced biopharmaceuticals were not separately defined, but it was investigated that a system for drugs and gene therapy products including cells or tissues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All four countries have imposed post-marketing research obligations after marketing for the management of advanced biopharmaceuticals, which are concerned about long-term safety issues such as delayed adverse reactions of advanced biopharmaceuticals. Record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patients administered for traceability are required. Requests for post-marketing research wer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recommendations in regulations and guidelines, and it was found that the final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hrough consultations with regulatory agencies at the time of approval. In Korea, long-term follow-up are conducted under the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post-marketing requirements (PMRs) that require safety studies after marketing of existing pharmaceuticals, and in Europe, long-term safety is assessed as part of Post-authorization safety studies (PASS). Compared with the post-marketing surveillance system for advanced biopharmaceuticals in foreign countrie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has similar contents such as basic safety management, follow-up, and post-marketing safety research. In particular, Korean long-term follow-up investigations are specified in regulations, so the level of legal requirements is high, and the main elements of the long-term follow-up plan in the guidelines ar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elements, so a systematic long-term follow-up investigation can be conducted. In addition, in Korea patient registrations subject to domestic long-term follow-up are managed in a database through the Regulatory Science Center, enabling faster patient tracking led by govern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long-term follow-up will be conducted in Korea under act on the Safety and Support of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nd Advanced Biopharmaceuticals. 최근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법적근거가 마련되었다. 미국, 유럽 등 국외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수년 앞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법이나 규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유럽, 일본에서 첨단바이오의약품 관리 제도를 비교하고 특히, 장기적 안전성이 우려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시판 후 안전관리 제도 현황을 조사하여 나라 별 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모두 유사하게 첨단바이오의약품은 크게는 바이오의약품으로 분류되어 기본적인 인체용 의약품 관리법과 생물의약품 관련 법령을 동시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럽, 일본은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과 유사하게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제를 포함하여 각각 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s(AMTPs), 재생의료 등 제품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전주기 관리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운영 중이었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새로운 범주로써 따로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세포 또는 조직을 포함한 의약품과 유전자치료제에 관한 제도를 도입하고 운영 중으로 조사되었다. 네 나라 모두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지연성 이상반응 등의 장기적 안전성 문제가 우려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시판 후 연구 의무를 부과하고, 투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장기간 보관하도록 하고 있었다. 시판 후 연구에 대한 요구는 규정, 가이드라인 상 권고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졌으며, 허가 당시 규제기관과 협의를 통하여 최종 연구방법을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으로 장기추적조사제도가 새롭게 도입되면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장기적 안전성 관찰을 위해서는 법령 상 명시되어 있는 장기추적조사를 수행하도록 강제되고 있다. 반면에 미국과 유럽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대신에 기존의 의약품 시판 후 안전성 연구의 일환으로써 장기적 안전성을 관찰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었다. 기존의 수행 중인 국외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시판 후 안전관리제도와 비교했을 때 국내 첨단재생바이오법 상 안전관리제도는 기본 안전관리, 추적관리를 위한 제품 및 환자 등록, 시판 후 안전성 연구 등 그 내용이 유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국외 제도와는 다르게 국내 장기추적조사는 규정으로 명시하고 있어 법적 요구수준이 높고, 가이드라인 상 장기추적조사 계획서의 주요사항에 대하여 품목별로 상세히 서술되어 있어 보다 체계적인 장기추적조사가 이루어 질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품 및 환자등록에 관한 사항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품목허가권자 등이 환자정보를 관리하는 것과는 달리 국내 장기추적조사대상 환자등록은 국가주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합 관리하여 보다 신속한 환자추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명확한 장기추적조사 대상 지정과 수행체계에 대한 법적근거 마련으로 보다 체계적인 장기추적조사가 국내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상세하게 서술된 장기추적조사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국내 장기추적조사 수행 주체가 원활하게 조사를 진행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