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씨앗 프로젝트 전개 속에서의 컴퓨터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신희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수업에 있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되었을 때 유아에게 어떠한 개념적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는지 관찰 기록한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현장에 컴퓨터 활동을 도입하고 적용시켜나가는데 있어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 있어 주요한 세가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씨앗 프로젝트 수업에 있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오프라인 활동이 결합되었을 때 유아의 씨앗에 대한 과학적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고 확장되어 나가는가? 둘째, 씨앗 프로젝트에서 유아의 씨앗에 대한 다양한 활동내용을 컴퓨터에 기록하고 함께 공유하는 과정에서의 유아의 구체적인 반응은 어떠하며, 컴퓨터에 대한 흥미의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씨앗 프로젝트에 있어서 컴퓨터 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씨앗프로젝트 수업 속에서의 컴퓨터 활용이 유아의 씨앗에 대한 과학 개념도와 표상 및 기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서울시 목동에 소재한 ㅅ유치원의 유아반 23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서 씨앗 프로젝트의 전개와 회상, 확장에 있어서 컴퓨터 활동에 쓰여진 것은 씨앗 키즈의 인터넷 사이트와 움직이는 그림의 연속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인 GIF ANIMATOR를 활용하여 간단한 연속 그림을 제작하는 컴퓨터 활동이었다. 본 연구를 위한 씨앗 프로젝트의 수행은 2002년 4월 1일부터 2002년 5월 18일까지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참여 관찰, 작품 수집, 아이들과의 1:1 인터뷰, 사진과 녹음 관찰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과정에서 컴퓨터 활동에 대한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컴퓨터를 다루고 이용하는 기술의 발달 또한 교사의 태도 및 인식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씨앗 프로젝트 수업에 있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오프라인 활동이 결합되었을 때 유아의 씨앗에 대한 과학적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고 확장되어 나가는가에 있어서 유아들의 과학적 개념에는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특히, 컴퓨터를 활용한 씨앗프로젝트 속에서 컴퓨터 활동은 씨앗이 성장하는 환경에 있어서 다양한 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스캐폴딩과 씨앗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상상력과 표상을 자극하는 능동적인 활동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씨앗 프로젝트에서 유아의 씨앗에 대한 다양한 활동내용을 컴퓨터에 기록하고 함께 공유하는 과정에서의 유아의 구체적인 반응은 어떠하며, 컴퓨터에 대한 흥미의 양상은 어떠한가에 있어서 연령이 어린 만 4세 유아들의 경우에도 컴퓨터 활동에 대한 나름의 이미지와 판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씨앗 프로젝트에 있어서 컴퓨터 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에 있어 나비 반 담임교사의 경우 컴퓨터게임이나 학습지 식의 일반 사이트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애니메이션 만들기처럼 컴퓨터 소양 교육에 대한 부분에는 찬성의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담임 교사 자체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에는 커다란 변화가 있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컴퓨터교육을 위한 제반 환경이나 프로그램의 보급, 프로그램의 이해 등컴퓨터 활동을 자연스럽게 교실환경과 통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어린 연령에서의 컴퓨터 도입의 효과성과 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상상적이며 직관적인 유아반의 특성만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이며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한 유치반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를 활용한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컴퓨터 프로그램이 모두 평면적이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가상 환경이나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유아의 공간 개념에 대한 수학적 과학적 개념에 대한 변화에 대해 분석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 있어 프로젝트의 내용을 홈페이지로 제작해 부모와의 연결, 게시판을 통한 상호작용을 함께 분석하는 과정이 빠졌으므로 유치원에서의 다양한 활동이 홈페이지로 기록되어 부모와 상호 작용하는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한 반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기간에 한하여 이루어졌으므로 좀더 다양한 주제의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의 구성적이 며 개방적인 컴퓨터 활동의 지속적인 효과와 유아의 사고 변화에 대한 종단적인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pplication method about the constructive computer activity and provide some practical examines of the best way to use computer to the teachers. Three major questions focused in this study as follows: 1) In the process of Seed Project', when off-line project activity was integrated into the multimedia on-line activity, how are children's science concept changed and extended? 2) In the project computer activity performing process, how are children's pratical response and interest constructed according to computer program's character 3) How are the attitudes and cognition of teacher through the way of application computer activity in the project changed? Whole class project activity, titled Seed' was carreid out, applying the curriculum construction prinsiples and integration on-line activity and off-line activity. Children's internet program(www.siatkids.com) titled ThinkingBrain seed project and GIF ANIMATOR are used In this project for find children's different responses to the different computer activities. This project activity had been done through 10meetings over 4 weeks. All the performing process of the project activity had been recorded via recording tapes and photos, all kinds of representational products of children and observation fields notes. Children's science concept and imagination about the seed as well as diverse skill of using computer were reported as they progressed over time. Social aspects of peer interaction, preference between the computer programs, and teacher's attitudes change were recorded and reported. Some of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1) Computer activity should be planed to match classroom's subject, in the way of integration off-line and on-line activity. Computer activity can make learner to design their own experience as well as to interact their interpersonal image and imagination. Through this process children show their growth science concept as well as imagination about the seed. 2) Computer activity should be planed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 to children. Children more like open-ended and constructive program than fixed curriculum, because they make their own product. But they know about fixed curriculum can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questions. 3) Pre-teacher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eacher want to apply computer activity in their class and they recognize the need about comput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But they feel hard to find good program for their children as well as to use complicate directions. Other supported fators to be required for applying on-line, off-line integrated project are as follow: 1) Three dimensions will be useful for project activity. Children will develop science concept as well as space and measure cognition. 2) Project Home page can provide children to rethink about their past experience so that children more develop their own idea.

      • 스쿼트와 런지운동이 거북목 자세를 가진 대학생들의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및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신희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쿼트와 런지운동이 거북목 자세를 가진 대학생들의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 복부근 두께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의 연구진행으로 향후 임상에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거북목 자세를 가진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스쿼트와 런지운동을 실시하였다. 스쿼트와 런지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무작위 배치하였다. 스쿼트와 런지운동은 50분씩 주 2회, 총 4주 간 실시하였으며 각 군은 운동 전 사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4주 후에 사후 측정을 실시하여 시기 별·두군 간의 운동효과를 알아보았다. 거북목 자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진촬영방법을 통해 머리척추각과 머리회전각을 측정하였으며, 복부근 두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음파 영상 장치(mylab ONE, esaote, Italy)를 사용하였다. 실험 전과 4주 후에 거북목 자세 측정요소인 머리척추각과 머리회전각, 복부근 두께의 시기 별, 두군 간 차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머리척추각, 머리회전각은 두군의 시기 별과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부근 두께 변화는 두군의 시기 별과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배바깥빗근만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쿼트와 런지운동은 하지 근육 및 복부근을 강화하여 거북목 자세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쿼트와 런지운동은 거북목 자세에 효과적인 중재라고 생각되며 거북목 자세를 가진 환자들의 임상적 치료와 함께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future clinical use by researching how squat and lunge exercises change the craniovertebral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turtle neck posture. This study conducted squats and lunge exercises on 30 university students with turtle neck posture. Fifteen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who performed squats and lunge exercises were randomly assigned. Squat and lunge exercis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4 weeks, and each group conducted a preliminary measurement before exercise, and a post-measurement was conducted four weeks after exercise to find out the exercise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craniovertebral angle and cranial rotation angle were measured through photography to find out the change in turtle neck posture, and ultrasonic imaging devices (mylab ONE, esaote, Italy) were used to find out the change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Four week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rresponding T-test and the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craniovertebral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aniovertebral angle and cranial rotation angl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period of the two groups. The change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period a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ly with the outside of the abdomen.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squat and lunge exerci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turtle neck posture by strengthening the lower extremity muscles and abdominal muscles. Therefore, squat and lunge exercises are considere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urtle neck posture, and are considered to be interventions that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clin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turtle neck posture.

      •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신희진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종환자 간호를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하며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여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C지역의 4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중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8월 18일부터 동년 9월 8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평균평점 3.38점(5점 만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평점 3.03점(4점 만점), 임종간호수행은 평균평점 2.71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 간의 상관 관계에서는 전문직업성이 높을수록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r=.320, p<.001), 임종간호수행(r=.368, p<.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상관관계(r=.130, p=.089)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영역에서 임상증상(r=.172, p=.025)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임종간호수행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전문직업성과 임종간호경험 부서 중 호스피스 병동이었으며 임종간호수행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6.1%였다(F=3.976, p<.001). 그러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종간호수행과 상관성 및 영향력이 없는 결과를 보였지만 좋은 죽음에 대해 정립된 간호사의 인식은 임종간호수행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필수 조건이라 여겨지며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임종간호수행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 및 지원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중심 단어 : 임상간호사, 전문직업성,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수행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on Professionalism and Good Death Awareness in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good death awaren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who had experienced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Participants consisted of 171 nurses who had experienced caring for terminal patients working at 4 general hospitals, each with a capacity of 400 or more beds, in region C.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18th August to 8th September,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professionalism was 3.38. The mean score for good death awareness was 3.03. The mean score for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2.71.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ism and good death awareness(r=.320, p<.001) and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erformance of terminal care(r=.368, p<.001).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ood death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erminal care(r=.130, p=.089),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clinical symptoms among subcategories of good death awareness(r=.172, p=.025). 3. The construction of a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ed an R2 of .261(F=3.976, p<.001) with professionalism and hospice ward of department that had experienced terminal care serving as the major predictor variables for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good death awareness has little correlation with and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However, clear awareness of nurses about good death is deemed necessary for their performing terminal care. Meanwhile,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correlations with good death awareness and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especially on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att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nurses' professionalism. Key words :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Good Death Awarenes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지역아동센터지원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세종·충청지역 중심

        신희진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아동센터지원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 세종· 충청지역중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신 희 진 지도교수 : 공 계 순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아동복지시설이다. 아동복지교사는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으로 시작되어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교사이다. 정부의 충분하지 않은 지원과 사회적 인식의 부재로 근무조건이 열악하지만 아동복지교사의 노력으로 아동복지서비스의 일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아동의 보호 및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 둘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연구방법은 대전광역시·세종자치시·충청남도 및 충청북도 지역의 아동복지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교사의 성별이 여성이 99%, 연령이 50대가 48.8%, 학력은 대졸 64.1%로 많았다. 아동복지경력은 2년 이상 3년 미만이 20.6%, 아동복지교사의 동기는 여가시간활용이 38.3%, 고용형태는 비정규직이 71.3%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88, 직무만족은 평균 3.75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변수별로 평균은 대인관계스트레스(평균 3.11), 교육활동스트레스(평균 2.90), 역할관련스트레스(평균 2.62)순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에서는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평균 3.64)가 교사대인관계 스트레스(평균 2.61)보다 높았다. 교육활동 스트레스에는 학습활동도구 스트레스가(2.94)가 학습활동준비 스트레스(2.85).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역할갈등(3.09), 역할과다(2.57), 역할 모호(2.2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및 근무유형에 따라 교사대인관계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학력 및 교육활동 분야에 따라 학습활동준비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으며, 아동복지교사가 된 동기에 따라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없었다. 다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위유형과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역할모호(-.420), 학습활동도구스트레스(-.373), 역할갈등(-.328), 학습활동준비(-.302), 역할과다(-.296), 교사대인관계(-.200), 아동대인관계(-.136)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역할모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제안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중 아동대인관계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아동복지교사와 아동과의 관계를 향상하고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근무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아동과 유대관계와 친밀감을 높일 수 있게 지역아동센터 배정과 배정 시간에 대한 조정을 하여야 한다. 둘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교육에 있어서 그 내용에 대한 구성을 지역아동센터의 맥락에서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아동에게 심리정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장 적용가능성이 높은 교육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맡은바 교육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기타 지원인력간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아동복지교사의 교육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체 프로그램의 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간, 교구, 교재를 지원 받아야 한다.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고용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규직으로의 전환과 복리후생적인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연령대가 40대를 넘어 50대가 많아지는 상황이며, 아동복지교사로서의 경력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특성이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역할에 반영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스스로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과 학습 교수법, 아동심리, 인성교육 등 교육 프로그램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아동복지교사들의 학습모임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 미적 경험의 구조 요인이 관람객의 박물관 전시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희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은 보통의 경험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미적인 특질(aesthetic quality)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경험 중에서 가장 완전하고 이상적인 경험으로 관람객이 전시를 관람하면서 작품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고, 즐거움을 주는 요소이다. 미적 경험이 인간의 경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선행연구에서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는 많이 다뤄지지 않았기에 실제적으로 관람객이 전시를 통해 어떻게 미적 경험을 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1990)의 미적 경험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을 제공하고 ‘미적 경험’의 요인(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중에서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visitors’ overall judgment)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결정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객의 지적 문화 욕구를 높임과 동시에 박물관 전시의 질적인 부분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하고 미적 경험의 요인 중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결정 요인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를 관람한 성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Hein(1998)의 교육 이론을 활용한 분류에 따라 상반된 유형의 전시를 택하였고, 설명/해석의 전시로 전쟁기념관과 구성주의 전시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상설전시를 택하였다. 2016년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으로 자료의 수집이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와 AMO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쟁기념관과 국립과천과학관의 각 기관별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미적 경험의 구조 요인인 세부 영역들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이 모두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기관별로 유의확률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전쟁기념관에서 가장 높은 유의수준을 보인 세부 영역은 지각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이며, 국립과천과학관의 경우 관람객의 지각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다. Boerner, Jobst & Wiemann(2013)가 공연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경우 감정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의 차이는 전시에서 사용한 음향, 소장품, 전시 디자인 그리고 다양한 전시 체험물이 관람객의 지각적 영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전시의 경우 관람 목적과 가족 단위 전시 관람 행태가 미적 경험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관람객 연구로써 기존의 관람객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전시의 미적 경험을 주제로 한 첫 연구이며, 박물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실증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서비스 측면의 평가로만 이루어졌던 관람객 만족도 조사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박물관 관계자와 전시 기획자에게 박물관의 정책 수립 과정에서 관람객 확보를 위한 전시 기획 운영과 개발의 자료로써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박물관 전시 특성에 맞게 측정도구를 정교화하고 관람객의 전시 관람 목적 및 행태와 같은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다면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대한 본 연구를 더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희진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충북 소재 J시와 강원도 소재 W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총 260명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부터 8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학적 특성, 디지털 기기 특성과 변수에 대해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분석을 하였고 변수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는 2.83±0.81점,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는 3.28±0.75점, e-헬스 리터러시 정도는 3.19±0.78점,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2.32±0.44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연령(F=13.92, p<.001), 배우자 유무(t=-3.45, p=.001), 지각된 사회경제적 수준(F= 6.33, p=.002), 평소 음주 횟수(F=6.75, p=.001), 흡연경험(F=6.68, p=.001), 운동 횟수(F=14.34, p<.001), 주관적 건강상태(F=20.03, p<.001), 과거 진단받은 질병(t=-2.15,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대상자의 디지털 기기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디지털 리터러시(r=.22, p<.001),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r=.22, p<.001), e-헬스 리터러시(r=.2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연령(β=.28, p<.001)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β=.26, p<.001)가 좋을수록, 주당 운동량이 ‘주 3회 이상’(β=.24, p<.001), 주당 운동량이 ‘주 1∼2회’(β=.21, p=.001)인 경우, 디지털 리터러시(β=.19, p=.022) 점수가 높을수록, 흡연경험(β=.17, p=.011)이 없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37.3%의 설명력을 예측하였다. 그 중 연령이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와 e-헬스 리터러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성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의 대상자와 평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거나 흡연자들을 중심으로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성인의 연령대별로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맞춤형의 다양한 전략을 고려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성인, 디지털 리터러시, 인터넷, 태도, e-헬스 리터러시, 건강증진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ults. Method: A total of 260 adults aged 19 and older who lived in J city in Chungbuk and W city in Gangwon-do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July to August 202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and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health promotion progress. Results: Participants scored 2.83±0.81 points for digital literacy, 3.28±0.75 points for attitudes towar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3.19±0.78 points for e-health literacy, and 2.32±0.44 point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age (F=13.92, p<.001), marital status (t=-3.45, p=.001), self-recognized socio- economic status (F=6.33, p=.002), alcohol drinking frequency (F=6.75, p=.001), smoking history (F=6.68, p=.001), frequency of exercise (F=14.34, p<.001), self-recognized health status (F=20.03, p<.001) and diagnosed diseases (t=-2.15, p=.03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gital devic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digital literacy (r=.22, p<.001),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22, p<.001), and e-health literacy (r=.25,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health promotion progress of the subjects. Older age (β=.28, p<.001), better subjective health (β=.26, p<.001), frequency of exercise (3≥week)(β=.24, p<.001), frequency of exercise (1-2/week)(β=.21, p=.001), higher digital literacy score (β=.19, p=.022) and no smoking history (β=.17, p=.011) led to a higher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37.3% of explanatory power was predicted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adults. Among them, ag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s toward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ult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people of a younger age and those who do not exercise regularly or are smokers. In particular, as digital literacy i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ad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strategies that are tailored towards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for adults from all age groups and also conduct a systematic education of digital devices. Key words: Adult, Digital Literacy, Internet, Attitude, e-Health Literacy, Health Promotion

      • 21C 초혼연령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신희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2295; 2010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결과 심층 분석을 위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20년 사이 남녀 초혼 연령이 4세가량 높아져 2010년 기준 남성은 31.8세, 여성은 28.9세로 집계됨. -남성 초혼 연령은 1990년 27.9세에서 2000년 29.3세, 2010년 31.8세로 나타남. 여성 초혼 연령은 1990년 24.8세에서 2000년 26.5세, 2010년 28.9세로 나타남. -1990년부터 10년 동안 초혼 연령은 남성이 1.4세, 여성이 1.7세 높아짐. 이후 10년 동안은 남성이 2.5세, 여성이 2.4세 높아짐. &#12295; 우리나라의 만혼 문제는, 고등교육기간 이수 기간 연장 등과 같은 교육시장 문제, 취업난과 함께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과 같은 노동시장 문제, 결혼 등에 대한 규범 및 의식 변화 등과 같은 결혼시장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음. &#12295;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결혼한 코호트를 중심으로 결혼연령을 결정짓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할 것임. 그리고 최근 늦어지는 초혼연령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정책적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임.

      • 황인숙 시의 변모 양상 연구 : 자연과학적 수사를 활용하여

        신희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living poet Hwang In-suk's 6 collections of poems: 『A Bird Liberate the Sky』 (Moonji Publishing Co., Ltd. 1988), 『Sadness Awakens Me』 (Moonji Publishing Co., Ltd., 1990), 『We Met a Migratory Bird』 (Moonji Publishing Co., Ltd., 1994), 『My Depressed, Dear One』 (Moonji Publishing Co., Ltd., 1998), 『A Self-Evident Walk』 (Moonji Publishing Co., Ltd., 2003), 『A Night Train to Lisbon』 (Moonji Publishing Co., Ltd., 2007). Focusing on Hwang In-suk's poems' poetic things,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modality of transfiguration of poems from her first collection of poems to the latest one. In this study, the physical equipments and theories of natural science which contain the order and principle of nature were used as rhetoric. The reason why the investigator chooses 'natural scientific rhetoric' as a study method is primarily with the critical mind that a methodological measuring stick provided by the existing study methods of poetry cannot show her poems' poetic things well. In his explanation of Hwang In-suk's collection of poems, Jeong gwa-ri said that he could not find common looks of Korean poetry, namely a kind of obsession of "decorating desires with full-bloomed metaphors and symbols'. Her poems command a unique narration which is equipped with the creative character and form of Korean lyrics, but they are remarkable with not revealing an imitative disposition. In this case, an empirical measuring stick of analysis, which seems to have a credit of easily approaching 'poetic things' via the internal disposition and regularity of poems such as poetic diction, language organization and melody, seems to be unable to acquire satisfactory results in the study of Hwang In-suk's poems. Her two processes of transfiguration of world view, which are presented in her six collections of poems, seem to be in line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world view toward 'relativity' over the period from modern scientific reformation to the present-day science. With the modern scientific reformation in the time of Galileo, 'an absolute and fixed earth' in the past is transformed into a floating object in the middle of 'all the moving things'. This is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toward 'relativity'. Her poetic center of world view clearly converts from the early days' 'self-centered ego' to 'the relativity of relationship'. This seems to be well understood with the standpoint of natural science-oriented conversion of world view toward 'the relativity of relationship'. By the time of modern scientific reformation of which leader is Albert Einstein, the recognition of 'absolute and fixed flow of time' in the past converts into the 'relativity of time', namely such a standpoint as 'time relatively flows everywhere'. This seems to be in line with the change of her viewpoint of time toward 'the relativity of recognition' in relation to 'the time' of poetic aging and dying'. In the second chapter of main subjects,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poetic equilibrium' via Galileo's pendulum, a well known symbolic equipment which explaining the basis of motion in physics. By regarding 'a tight state of tension' shown by Galileo's pendulum as her 'poetic equilibrium', namely 'poetic tension' presented in her poem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poetic equilibrium presented in Hwang In-suk's first collection of poems. In the third chapter,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poems in her second and third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remarkable with the permeation of death, aging, depression and alienation. The investigator regards it as a threatening factor for her unique poetic elasticity and poetic equilibrium of 'positivity and dynamics'. However, like in every 'motion', the border of 'stability and instability' is a sign of new motion. In the fourth chapter, the investigator examined that the poet's changed view of relationship and time, namely the recognition of relativity, brought new motion of poems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focusing on her fourth and fifth collection of poems. The interception of changed world view comes to bring diverse and dynamic movements of poems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e world of Galileo's plane circular movement. The investigator views it as things similar to a variety of chaos phenomena which appear in the classic world of dynamics in an unaccountable manner. Recently, there is a movement to seek the greater order and regularity of cosmos from the chaos phenomena which were recognized as disorder and confusion in the past. With the sixth collection of poems, 『A Night Train to Lisbo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poet's journey to the broader world in order for her to seek a different extreme-and-mean ratio with the change of two world views. After Thomas Samuel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absolutistic viewpoint of scientific truth prepares an alternative. That the scientific truth depends not on the consistency with a real base but on the agreement of important figures is a refined relativity. Scientific technology is understood as a system to persuade the reliability of one's invention to fellow scientists and even to the public through public journals or science conferences If one recalls the original meaning of 'rhetoric', namely 'seeking a means of persuading others', science now is regarded as 'rhetoric'. If this study's methodology of looking into a poetic language via a scientific language has a kind of persuasive power, it seems to imply that a scientific language is not different from a poetic language but the same with it, resulting in the use of the same language. If removing 'objectivity' from natural science, science which achieved independence can comeback its original place. Because the border of learning formed by the modern times is remarkably questioned for the present, this study can be a meager methodological attempt which considers the timely nature of harmonized accommodation of 'a poetic language' and 'a natural scientific language'. 본 논문은 생존 시인 황인숙의 시집 여섯 권,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문학과지성사, 1988), 『슬픔이 나를 깨운다』(문학과지성사, 1990), 『우리는 철새처럼 만났다』(문학과지성사, 1994), 『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문학과지성사, 1998), 『자명한 산책』(문학과지성사, 2003), 『리스본行 야간열차』(문학과지성사, 2007)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황인숙 시의 ‘시적인 것’을 중심으로 첫 시집에서부터 최근시집까지의 시집별 변모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자연의 질서와 원리들을 담은 자연과학의 물리적 장치 및 이론을 수사로써 활용하였다. ‘자연과학적 수사’라는 연구방법의 채택은 우선 기존 시 연구방법들이 제공해준 방법적 잣대가 황인숙 시의 ‘시적인 것’을 잘 보여주지 못하리라는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황인숙의 시집 해설에서 정과리는 한국 시의 일반적인 모습, 즉 “난만한 비유와 상징 등을 통해 욕망을 수식하고자 하는” 일종의 강박이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한 바 있다. 황인숙의 시는 전통 한국 서정시 창작의 측면과 배치된 형태로, 자신의 독특한 화법을 구사하고 있음에도 스스로 모방성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 시어 및 언어조직, 운율 등의 작품 내적인 성질과 규칙성을 통해 ‘시적인 것’에 비교적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고 믿어지는 실증주의 분석의 잣대도 황인숙 시 연구의 실효를 거두기 어려워 보인다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황인숙의 여섯 권의 시집을 통해 드러나는 황인숙 시의 두 가지 세계 인식의 변모 과정은 근대과학혁명 이후 현대 과학에 이르는 ‘상대성’으로의 세계인식 변화의 과정과 유사한 맥락으로 이해된다. 과거 ‘절대적이고 움직이지 않는 지구’는 갈릴레오에 이르는 근대과학혁명에 이르러 ‘모든 움직이는 것들 사이’에 유동적으로 존재하는 지구로, ‘상대성’으로의 인식의 전환을 맞이하였다. 시인의 시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중심이 초기 ‘자기중심적 자아’에서 점차 ‘관계의 상대성’으로의 뚜렷한 전환을 드러내는 것은 자연과학이 불러온 ‘관계의 상대성’으로의 세계인식 전환의 관점에서 더 나은 이해가 가능해진다. 또 과거 ‘절대적, 고정적 흐름’이었던 ‘시간’에 대한 인식이 아인슈타인을 필두로 하는 현대과학혁명에 이르러 ‘어느 곳에서나 상대적으로 흐른다’는 ‘시간의 상대성’으로의 인식 전환을 불러온 바, 이것은 황인숙의 시에서 늙음, 죽음에 대한 시인의 ‘시간’에 대한 ‘상대적 인식’의 변화와도 유사한 맥락으로 이해되었다. 본론 Ⅱ에서는 우선 물리학에서 운동의 기초를 설명해주는 상징적 장치로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갈릴레오의 진자를 통해 ‘시적 균형’에 대해 다루었다. 갈릴레오의 진자가 보여주는 ‘팽팽한 긴장상태’를 시인의 시에서 보이는 시의 긴장상태 즉 ‘시적 균형’으로 보고 황인숙의 첫 시집에 드러난 시적 균형에 대해 다루었다. Ⅲ에서는 2, 3시집에 이르러 죽음, 늙음에의 침윤과 함께 우울과 고립감의 시들이 지배적으로 들어서는 바, 첫 시집에서 시인이 형성해놓은 ‘긍정성과 역동성’이라는 특유의 시적 탄성 및 시적 균형을 위협하는 조짐으로 보았다. 그러나 모든 ‘운동’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정과 불안정’의 경계는 새로운 운동으로 가는 전조가 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Ⅳ에서는 4, 5시집에 이르러 시인의 관계 및 시간에 대한 상대성 인식이라는 세계인식의 변화라는 요소가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시의 움직임을 불러온 것에 대해 다루었다. 세계인식의 변화라는 요소의 개입은 갈릴레오의 평면적 원운동의 세계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하고 역동적인 시의 움직임을 불러오는데, 이는 고전역학적 세계에서는 설명할 수 없이 등장하는 다양한 카오스적 현상과 유사한 것으로 다루었다. 최근에는 무질서 및 혼란으로 인식되었던 카오스적 현상들에서 우주의 더 큰 질서 및 규칙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6시집 『리스본行 야간열차』에서는 두 가지 세계인식의 변화를 맞은 시인이 새로운 황금비를 위한 더 넓은 세계로의 여행길에 올라 있음을 다루었다.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이후 과학적 진리에 대한 절대주의적 관점은 이제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과학적 진리란 실제의 토대에 일치하느냐에 달려 있는 게 아니라, 주요한 인물들이 동의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세련된 상대주의다. 과학기술은 이제 공적 저널이나 학술회의를 통해 동료 과학자들한테,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일반 대중한테 자신의 발견과 발명 연구의 진실성을 설득하는 하나의 체제로서 이해되는 것이다. ‘설득의 수단을 찾아내는 것’이라는 ‘수사’의 본래 뜻을 생각해 본다면, 과학은 이제 수사학으로 받아들여진다. 본 연구에서 과학의 언어를 통해 시적 언어를 들여다보고자 한 것이 일종의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면 시적 언어를 들여다보기 위해 과학의 설명방식을 차용한 것은 결국 ‘과학’과 ‘시의 언어’라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같은 언어’를 사용한 것이 된다. 자연과학에서 ‘객관성’을 제거해버린다면, 과거 예술로부터 독립해나간 과학을 제자리에 되돌려놓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근대가 형성해 놓은 학문 간의 경계에 대한 회의가 두드러지고 있는 지금, ‘시적 언어’와 ‘자연과학의 언어’가 어떻게 조화롭게 수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시의성을 고려한 작은 방법론적 시도이기도 하다.

      •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수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신희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빈곤아동을 위한 대표적인 사회복지 공공기관은 드림스타트이다. 드림스타트는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보건, 복지, 보호, 교육, 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드림스타트는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 www.dreamstart.go.kr 이다. 드림스타트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전달체계로 특히 통합사례관리를 강조해 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 아동복지분야의 대표적인 기관인 드림스타트에서 근무하는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수행 수준을 파악하고,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합적인 요인을 적용하여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드림스타트의 홈페이지에 등재된 지역 드림스타트 229개소의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 DB)의 ONLINE SURVEY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가 접속하여 응답할 수 있게 하였다. 응답자는 259명이었고 업무영역이 다른 설문 대상자 11명을 제외한 248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수행은 평균 4.00으로 나타났으며, 사례관리수행의 단계별 분석 결과, 점검·평가·종결 단계의 평균(4.13)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초기상담·욕구사정·계획수립(4.03), 개입 실천(3.98), 운영체계(3.89) 순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로는 가족중심실천의 평균이 4.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대인관계(3.76), 전문직 정체성(3.62), 직무스트레스(3.44), 조직환경(3.3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연령, 학력, 직책, 사례 수에 따라 주요 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가족중심실천 및 전문직정체성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의 집단이 30대 및 40대와 비교하여 점수가 높았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인관계, 전문직 정체성, 사례관리 수행에서 대학원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자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직책에 따라서는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간호사보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변수 간 상관계수는 -.235에서. 693 사이로 나타났으며, 사례관리수행은 가족중심실천 및 전문직 정체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관계는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친근감이 운영체계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가족중심실천이 사례관리 수행에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중심실천의 하위요인인 가족 전문가와 협의 서비스와 개별적 대응 서비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여섯째, 전문직 정체성이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윤리의식 정도가 높아지면 사례관리 수행 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곱째, 직무스트레스에서 하위요인인 역할 모호가 사례관리의 각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조직 환경요인으로는 네트워크가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독립변수를 모두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사례관리 수행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가족중심실천과 전문직정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에서는 친근감, 가족중심실천에서는 가족전문가와 협의, 전문직 정체성에서는 윤리의식,직무스트레스에서는 역할모호, 조직환경에서는 네트워크가 사례관리수행에영향을 미치는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고,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수행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Dream Start is a representative social welfare public institution for impoverished children in Korea. Dream Start is an institution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health, welfare, protection, education, and treatment for children from vulnerable groups. Dream Start is “a project that supports children to grow up as healthy and happy members of society by providing customized integrated services to promote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guarantee a fair start” (www.dreamstart.go.kr). Dream Start is a public delivery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integrated services to children from vulnerable groups, and has particularly emphasized integrated cas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working at Dream Start,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in the field of public child welfare in Korea, and apply integrated factors that can affec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o improv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 2022 to November 30, 2022, targeting child integration case managers in 229 regional Dream Start sites listed on the Dream Start homepage.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 of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Center (KSDC DB) so that the research subjects could access and respo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as 259, and the response data of 248 people, excluding 11 respondents from different business area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endent variabl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howed an average of 4.00. As a result of th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tep-by-step analysis, the average (4.13) of the inspection, evaluation, and closure stag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itial counseling, needs assessment, and planning. Establishment (4.03), intervention practice (3.98), and operating system (3.89) appeared in ord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average of family-centered practice was 4.10,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76), professional identity (3.62), job stress (3.44),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3.31).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position, and number of ca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family-centered pract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age. The group of older than 30s scored higher than those in their 30s and 40s.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graduates of graduate schools scored higher than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fessional identity,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job stress was higher for child care teachers than for nurses. Thir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was -.235. 693,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family-centered pract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Four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d not affec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but friendliness,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d affect the operating system. Fifth, it was found that family-centered practice has the highest impact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family experts and consultation services and individual response services, which are sub-factors of family-centered practice, have an effect. . Sixth,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had an effect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predicted that the degree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would increase if the degree of ethical awareness, a sub-factor, increased. Seventh, it was found that role ambiguity, a sub-factor in job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each stage of case management. Eighth, as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factor, the network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bov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ll indepen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case management performance were family-centered pract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as independent variables, intima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sultation with family experts in family-centered practice, ethical consciousness in professional identity, role ambiguity in job stress, and network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ffec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ppeared as an influencing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discussed, and ways to improve th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Dream Start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