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역사 교과에서 AI 챗봇 개발 및 활용 수업을 통한 교사의 역할 변화 탐색

        신혜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학교 역사 교과에서 AI 챗봇 개발 및 활용 수업을 통한 교사의 역할 변화 탐색 Exploring the Change of A teacher’s Rol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Middle School History Classes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신혜수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수업 중 AI 기반의 학습용 도구인 챗봇을 활용하는 것이 인공지능 챗봇 개발 및 활용 수업이 역사 수업의 과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교사 의 역할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자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셀프스터디 방법론을 활용하여 8주간 16차시에 걸쳐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가 작성한 수업 성찰일지와 학생들의 챗봇 개발 과정의 결과물 을 바탕으로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을 명시하였으 며,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미래 교사의 역할을 정의하였다. 이후 에듀테크, 그 중 에서도 챗봇이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서 셀프스터디의 과정을 맥락화하여 교사인 연구자의 기존 수업 방식을 비 교 대상으로 하여 챗봇 개발 수업 진행 과정을 설계하였다. 결과적으로 중학교 2학 년 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챗봇 기반 역사 수업을 전개하는 과정을 주차 별로 정리하면서 학생들의 활동 내용을 관찰하고 수업 과정을 성찰한 교사의 수업 일지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교차하여 서술함으로서 에듀테크 활용 수업이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역할이 코치로, 에듀 테크 전문가로, 학습자 심리분석가로 변화하였음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주제어: 역사교육, 인공지능 챗봇, 에듀테크, 교사의 역할, 미래교육

      • 조선소 성형 공정의 작업 변동성을 고려한 모델 안정화 기법 기반 인력 계획 연구

        신혜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aterial of the curved steel plate that is a part of hull is made through the forming process. In order to save the inventory and human resource related cost of forming shop, a pl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ing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However, scientific planning is not possible because decisions made by worker experience are predominant in the forming process. In addition, the prediction of mid to long term demand and the creation of an optimization plan for the production site based on i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variability at the site, resulting in an error between th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plan.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of cutting, cold, and hot molding processes using DES( discrete event simulation ) to simulate production activities performed in actual process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processes such as failure and repair. In addition, a model hardening (ME, model enhancement) process was used to improve the equation by reflecting the result values of simulation repeatedly in planning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plan optimization method, which was used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or for each period calculated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This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an optimal plan with a constant error rate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the molding process.

      • 청소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정서지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혜수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juveniles in school sports club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juveniles attending L Middle School, S Middle School, K Middle School, and C Middle School in Gyunggi-do were selected. Samples were obtain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eventually, 425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PC Window, 18.0 Ver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seen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differences were partially obser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with regar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in gender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ies, applicable abilities, emotional awareness, and capacity of expression and considering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licable abilities of emotional knowledge, emotional awareness and capacity of expressio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considering gend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mmunication, understanding, sensitivity, and opennes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with regard to grades. Secon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juveniles in school sports club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Thus, the average of a group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was higher than that of a non-participation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Third, with regard to sports events in which juveniles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showed differences partially. Therefore, the average of a group that participated in individual ev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a group with team sports and in participation ev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pplicable abilities of emotional knowledge, emotional awareness and capacity of expression and thinking.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 according to participation events of school sports clubs, a group with individual events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than a group with team sports and considering participation ev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of peer relations. Fourth, in the participation levels of juveniles in school sports clubs, participation terms and frequency were observed to effect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partially. Thus, participation terms had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ies of emotional control in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ic abilities, emotional awareness and capacity of express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ontrol abilities, applicable abilities of emo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abilities. In addition, participation terms had positive effects on sensitivity of peer relations, openness, and closeness and participation frequency had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nsitivity, openness and closeness. However, participation terms and frequency fail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nderstanding. Fifth, juvenil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effects on peer relations partially. Thur, the control abilities of emotion among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penness, and closeness) and empathic abil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 (communication, understanding, openness and closeness). Applicable abilities of emotional knowledge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penness, and closeness) and emotional awareness and capacity of expression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 (communication, satisfaction, understanding, sensitivity, openness, and closeness). Thinking abil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 (satisfaction, understanding, sensitivity and openness). 이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정서지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경기지역에 있는 L 중학교, S 중학교, K 중학교, C 중학교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25부를 추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PC Window용 18.0 Version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정서지능, 또래관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 분석결과 성별은 감정이입능력,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은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 분석결과 성별은 의사소통, 이해성, 민감성, 개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은 의사소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유무에 따라 정서지능, 또래관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집단의 평균이 비참여 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정서지능 및 또래관계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종목에 따라 정서지능, 또래관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종목 참여 집단의 평균이 단체종목 참여 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참여 종목은 정서지능의 감정이입능력,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정서인식과 표현능력, 사고촉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종목에 따라 또래관계의 차이 분석결과 개인종목 참여 집단의 평균이 단체종목 참여 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참여 종목은 또래관계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의 요인 중 참여 기간, 빈도는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참여기간은 정서지능의 정서조절능력, 감정이입능력,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에 참여빈도는 정서조절능력,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사고촉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참여기간은 또래관계의 민감성, 개방성, 친근감에 참여빈도는 의사소통, 만족감, 민감성, 개방성, 친근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기간 및 빈도는 이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정서지능은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지능의 요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또래관계(의사소통, 만족감, 개방성, 친근감)에 대한 요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이입능력은 또래관계(의사소통, 이해성, 개방성, 친근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식의 활용능력은 또래관계(의사소통, 이해성, 민감성, 개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은 또래관계(의사소통, 만족감, 이해성, 민감성, 개방성, 친근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촉진능력은 또래관계(만족감, 이해성, 민감성, 개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김명순 문학 연구 : 작가 의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신혜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한국 근대 초기 문학사의 대표적인 여성작가 김명순의 전작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작품에 내재한 작가 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명순에 관한 기존 연구는 김명순 작품의 불확실한 서지를 기반으로 한 까닭에, 작가의 확인되지 않은 전기적 요소로 작품을 환원 분석하거나 남성 작가의 모델 소설과 작가에 대한 인신 공격적 비판을 논의의 시작으로 삼아서 김명순 작품의 본뜻이 왜곡된 경우가 많았다. 하여 본고는 김명순의 전 작품을 발굴하여 수집하는 것에서 출발하였으며, 작가 연구는 철저히 작품 분석으로써 고증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1차 자료인 작품과 2차 자료인 작품에 관련된 작가의 문학적 행보만으로 연구 대상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고는 1917년부터 1922년까지를 작가의 초기로, 1923년부터 1927년까지를 중기로, 1928년부터 1939년까지를 후기로 나누고, 각 시기에 속하는 작품을 분석하여 작가 의식을 추출하였다. 각 장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김명순의 초기작을 분석하여 작가가 근대 편입을 열망하여 문학 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여성작가로서의 주체성을 모색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자신의 태생적 결함을 극복하고 봉건적 축첩제의 굴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어머니가 부재하는 구습 가족으로부터 탈주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탈주의 방식은 근대교육을 습득하기 위한 유학이며 여성인물들은 유학을 통해 근대문학과 자유연애를 체험한다. 김명순이 거의 모든 작품에서 주력했던 주제는 자유연애론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작품들에는 연애 대상인 남성 인물이 희미하게 그려지고 낭만적 연애를 막연히 동경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이 시기 김명순은 유학을 통해 접한 근대문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구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번역가로서의 활동을 전개한다. Ⅲ장에서는 중기작을 분석하여 작가가 식민지 조선 문학 장에서 여러 시련을 겪으면서 식민지 근대성을 자각하고 근대 여성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여성 인물들은 어머니에 대한 거부와 동일시의 양가감정을 드러낸다. 작가는 섹슈얼리티를 배제한 이상적 연애관을 내세우고 그것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 가족을 모색한다. 또한 작가는 작중 인물들 간의 서구문학 토론 장면을 삽입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서구문학 작품의 주제와 인물을 재해석한다. 이 시기 작가와 당대 문학 장과의 길항 관계는 󰡔생명의 과실󰡕에 작가가 직접 상재한 작품과 󰡔조선 시인 시선집󰡕에서 선정한 김명순의 대표시가 다르다는 점 등을 들어 밝혔다. Ⅳ장에서는 후기작을 분석하여 식민지 문학 장의 내부 식민주의에 대한 비판 의식과 식민지 근대 여성작가로서의 재도약 의지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작품에서는 어머니를 깊이 이해하게 된 여성 인물이 모성성을 추구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그러나 김명순은 제도화된 가족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서 당대의 현모양처론과 변별된다. 작가는 기혼 여성의 혼외 연애라는 전복적 연애를 제시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연애관을 드러내었다. 이는 이상적 자유연애의 파국적 실천 모습을 극단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연애 대상인 남성 지식인들은 모두가 허위에 찬 인물로 묘사된다. 이는 당대 남성 지식인들의 내부 식민주의 기제를 통찰한 작가 의식의 발로이다. 김명순 문학 연구는 한국 근대 여성문학사의 복원을 위한 시작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김명순이 식민지 근대성을 정치하고 세밀하게 포착한 많은 작품을 남겼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김명순의 전 작품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김명순이 피식민 여성작가로서 숱한 시련을 겪으며 점차 식민지 조선 문학 장의 본질을 통찰해 갔음을 규명했다. 그리하여 남성 작가 중심의 조선 문학 장의 작동 기제가 식민주의적 무의식 즉, 내부 식민주의라는 사실을 김명순이 자각했음을 작가 의식의 변모과정을 통해 밝혔다. 이러한 시각의 연구는 김명순과 김명순의 작품을 ‘피식민’ ‘여성’ 이라는 이중적 타자성의 자리에 두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는’ 자리에 둠으로써, 그녀를 ‘타자’의 자리가 아닌 ‘주체’의 자리에 올려놓는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eriodic study on the whole works of Kim Myŏng-Sun, the representative woman author in early modern age in Korea, and studies changing aspect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her works. Earlier studies on Kim Myŏng-Sun stood on the basis of uncertain bibliograph, thereby many of them have shown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 in her works, by restoring and analyzing the author's uncertain biographical factor or starting discussion on men author's model novels and criticism involving personal insult. Therefore, the study in this thesis began unearthing and collecting her whole works. Under the principle that studies on authors should be thoroughly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works, the scope of study object is limited only to the author's walk of literature related to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this thesis, early period correspond to 1917-1922, middle period 1923-1927, latter period 1928-1939, and works in each period were analyzed and extracted the author's consciousness. The summarie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early works, Chapter Ⅱ studies aspects of searching her identity as a woman author who desired entry of the modern age and entered field of literature in earnest. Women characters in this period are described as escapers from the feudal family which is absent of mother, in order to overcome inborn defect and free themselves from the bondage of feudal concubine system. The method of the escape is studying abroad for learning modern education, and this education leads women characters to free love and modern literature. Kim Myŏng-Sun's main forced theme through almost works come in contact with free love. Yet in this early period, men character as objects of love is described vague and women characters yearn romantic love. And Kim Myŏng-Sun in this period developed her career as a translator who introduced western literature to Korea, in the process of actively accepting modern literature through studying abroad.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works from middle period, Chapter Ⅲ studies process of her experiencing ups and dow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of the Colony Chosun, and becoming aware of Colonial Modernity and established her identity as a modern woman author. Women characters in this period shows ambivalent feelings to their mothers(denial and identification). The author advocates ideal view of love excluding sexuality and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family based on this view. Also the author inserts discussion scene about western literature among characters and reinterprets themes and characters of western literature through her own point of view. Antagonism between the author and the field of literature in those days is made clear on the fact that personally published works on Fruits of Life ar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poems of Anthology of Chosun Poets.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latter works, Chapter Ⅳ studies both her leap will as a modern woman author in colony and spirit of resistance to internal colonialism in the field of colonial literature. In this latter works, a woman character who begins to deeply understand her own mother persue maternality. Kim Myŏng-Sun, however, discriminate her maternality and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at it doesn't form institutionalized family. The author shows her own unique view of love by presenting upset love, extramarital love, and this embodies catastrophic practice of ideal free love to the extreme. All intellectual men as objects of love, are described as men full of falsehood, this is the manifestation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has insight of mechanism of internal colonialism among intellectual men in those days. Study on Kim Myŏng-Sun literature signifies that it is starting point of restora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women literature. This thesis made clear on that Kim Myŏng-Sun left a lot of works behind which fixed on colonial modernity and apprehended it in details. Through periodic study and by analyzing her whole works, it has found out that Kim Myŏng-Sun, as a woman author in the colony, had experienced ups and downs and realized the essence of the field of literature in colonial Chosun. Then through transforming proces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t is clarified that she realized the fact that operating mechanism of men-centered field of literature in Chosun is the colonialistic unconsciousness, so to speak internal colonialism. The study on this point of view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ut Kim Myŏng-Sun on the seat of "The Subject" not "The Other", by putting Kim Myŏng-Sun and her works on the seat of "To see", not on the seat of "To be double othered" as a 'colonial' 'woman'.

      • Screening of different thermal receipt papers for their potential endocrine activity

        신혜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isphenol A (BPA), a weak estrogenic chemical, is still widely used in industrial and consumer applications. Oral ingestion of BPA via contaminated food results in major BPA exposure for the most part, however contact to thermal receipt papers contributes to major non-dietary exposure to this important chemical. BPA is used as a color developer on a thermal receipt paper in color development process. BPA has endocrine disruptive effects; therefore, structural or functional alternatives to BPA have been replaced and manufactured. However, we have limited information on their potential adverse effects. In this study, we obtained three kinds of thermal receipt papers, i.e., BPA, BPA free, non-bisphenol thermal receipt papers, and screened for their potential endocrine effects. The extracts of three receipt papers were performed on GH3 and H295R cell lines to investigate their possible disruptive effects in thyroid or sex hormone systems. The amount of color developer on thermal receipt paper is equivalent to 1 % of total receipt paper weight. Both cell lines were exposed to the extracts with 0, 0.0015, 0.005, 0.015, 0.05, or 0.15 mg developer/g receipt paper in 0.1 % ethanol of cell medium. In GH3 cells, BPA and BPA free thermal receipt extracts reduce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gene expression level significantly. However, other thyroid hormone related genes such as Trα, Trβ, Dio1, and Dio2 did not showed any down- or up-regulations after the exposure. Those two extracts also reduced transcriptional levels in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estrogen receptor α (Erα), and β (Erβ). Non-bisphenol thermal receipt paper extract did not show any alteration in both thyroid and gonad axis related genes. In H295R cell lines, all three thermal receipt paper extracts increased in production of 17β-estradiol at their highest concentrations (0.05 and 0.15 mg/g receipt paper). However, they did not lead to any changes in testosterone level and related gene transcription levels. In this study, all three investigated thermal receipt papers showed endocrine disruption potential on either thyroid or sex hormon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BPA free and non-bisphenol thermal receipt papers may not be safer alternatives to BPA thermal receipt paper. This study showed possible toxic effects from all three extracts of thermal receipt papers.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o evaluate the toxicities of BPA free receipt paper in vivo to develop better substituting chemicals for color development process in receipt paper. Bisphenol A는 약한 에스트로겐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많은 산업과 소비자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음식물 섭취를 통한 BPA 노출을 제외하면 영수증 접촉은 주요 BPA노출 원인이다. BPA는 감열지에서 색을 내는데 도움을 주는 현색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BPA의 독성으로 인해 화학구조적으로 비슷하거나 기능이 비슷한 대체물질이 감열지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체물질에 대한 독성정보는 BPA 독성정보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현색제가 입혀진 세 종의 감열영수증(BPA, BPA free, 무 비스페놀류 감열지 영수증)에 대한 독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GH3와 H295R 세포주에 감열영수증 추출액을 노출시켜 갑상선과 성선 호르몬에 미치는 독성영향을 비교하였다. 현색제의 양은 총 영수증 무게의 1 %에 해당한다고 기존 논문을 통해 가정하였다. GH3와 H295R 세포 모두 0, 0.0015, 0.005, 0.015, 0.05, 0.15 mg 현색제/g 감열지로 계산하여 0.1 % ethanol의 세포 미디어에 48시간 노출 시켰다. BPA와 BPA free 영수증 추출액은 GH3 세포에서 감상샘자극호르몬 (Tsh)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였다. 하지만, 다른 유전자인 Trα, Trβ, Dio1, Dio2 에서는 발현량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GH3 세포에서 성호르몬과 관련해서는 소낭자극호르몬(Fsh),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와 β (Erα와 Erβ) 유전자 발현 또한 BPA, BPA free 감열지 추출액 노출 후 감소하였다. 무 비스페놀류 감열지 영수증에 노출된 세포는 유전자적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H295R 세포주에서는 BPA, BPA free, 무 비스페놀 영수증 추출액에 노출된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호르몬 양이 고농도군 (BPA 와 BPA free영수증: 0.05 mg/g; 무비스페놀: 0.15 mg/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양은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종의 다른 현색제가 입혀진 감열영수증의 내분비계 교란영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정적인 정보로 비스페놀류가 아닌 현색제가 사용된 영수증이 비스페놀류 현색제 감열영수증보다 안전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비스페놀류 현색제가 입혀진 감열영수증의 독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연구이다. 추후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영수증 독성 확인이 필요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부분 AUC와 VUS를 최대화하는 최적분류점 구간

        신혜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the ROC curve and surface expressed as linear combination score random variables in realistic classification models, there are many research literature estimating linear coefficients to maximize the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VUS (volume under the ROC surface) and pAUC (partial AUC) for a certain interval. In this paper, a standardized pAUC statistic is proposed to compare of other pAUCs which have the same length of intervals, so that an alternative pAUC approach method can be developed to estimate the linear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with high discriminant power. The partial VUS approach method is extended to ROC surfaces for estimating the linear coefficient.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optimal thresholds are included in these intervals obtained by these methods. 현실적인 분류모형에서 스코어 확률변수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되는 ROC 곡선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또는 곡면 (surface)에서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또는 VUS (volume under the ROC surface)를 최대화하는 선형계수를 추정하는 방법과 특정 구간의 부분 AUC를 최대화하는 선형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많은 연구문헌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구간 폭을 갖는 다른 부분 AUC들과 비교할 수 있는 표준화된 부분 AUC 통계량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별력이 높은 구간에서의 선형계수를 추정하는 대안적인 부분 AUC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ROC 곡면의 부분 VUS 접근방법으로 확장하고, 판별력이 가장 높은 구간에 최적의 두 분류점이 존재함을 탐색한다.

      •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강수량 분석

        신혜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여러 이상기후 및 자연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고, 우리나라 또한 예외는 아니기에 많은 피해를 입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한 계절에 강수량이 편향되어 있는 만큼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안정적인 수자원인 지하수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수는 함양량보다 더 많은 양을 사용하거나 오염이 발생하게 되면 지하수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지하수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를 통해 지하수와 강수량 분석을 진행하여 각각의 추세분석과 자기상관을 진행하였다. 각 분석에서 사용된 자료들은 이상값을 포함하여 진행하였기 때문에 정확성이 약간 떨어질 수도 있다. 추세분석은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각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연도별 변화량과 각 지역별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위의 평균값으로 연도별로 분석한 경우 전체적으로 감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나지만 제주도의 경우 증가가 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지역별로 보면 분지나 산간 지역에서 지하수위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 분석법 중 자기상관을 통해서 관측정별 지연시간을 확인해 관측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주로 50-100일 사이의 지연시간이 많이 확인이 되는 것으로 보아 각 관측정들의 연결이나 다른 외부적인 요인에 대해서 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분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후에 강수량과의 교차상관을 통해서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석에서 암반관측정과 충적관측정을 나눠서 진행을 하였는데 지하수위가 연도별이나 지역별로 분석을 했을 때 암반관측정에서 보다 큰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같은 충적층에서도 비슷한 값들이 나오는 것으로 두 관측정이 같은 곳에 위치해 있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간단한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긴 기간 동안의 지하수위와 강수량 분석을 통해 각 연도와 지역에서의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 보육시설의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분포 특성 및 건강위해성 평가

        신혜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오염의 취약 인구층으로 알려져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주요 활동공간인 보육시설의 실내 VOCs 노출에 따른 건강위해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어린이 건강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환경오염물질 노출에 따라 가장 크게 기여하는 노출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 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기초적 자료 확보 뿐만 아니라 추후 관련 정책 및 연구에 기틀을 수립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산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도시 및 공단의 6개 지역 보육시설의 실내․외 VOCs 성분 측정결과 주로 toluene > xylene > ethylbenzene > benzene 농도 순으로 조사되었다. TVOC 측정결과 6개 지역의 평균농도는 985 ㎍/㎥으로 환경부 “다중이용시설등실내공기질관리법”상 보육시설 권고기준(400 ㎍/㎥)을 2.5배 초과하였다. 지역별 보육시설의 VOCs 조사결과 시화공단 > 서울 > 수원 > 부산 > 대전 > 여수산단 순을 보였다. VOCs 계절별 특성은 주요 B,T,E,X 물질 중 benzene과 ethylbenzene은 겨울철에, toluene과 xylene은 여름철에 높았고, 기타 trichloroethylene과 tetrachloroethylene은 봄철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 VOCs I/O ratio는 xylene, styrene 및 TVOC 성분들은 여름철이 다른 계절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보육시설별 I/O ratio는 대부분 실내가 실외 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영향요인별 조사결과, 신축시설(1~2년)의 여름철 실내 온도상승에 의한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량이 증가하였으며, 교통량 증가에 따라 toluene, xylene 성분들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기횟수에 따른 VOCs 농도는 일부 성분들에서 환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둘째, 비발암물질별 노출에 따른 HQ의 산출 결과 1을 초과하는 물질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RME 하에서 benzene과 xylene의 경우 0.1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어린이 보육시설 중 실내공기 중 유해오염물질 관리에 있어 이들 두 물질에 대한 관리대책이 수립되어져야 한다. 개별물질별 초과발암위해도(ECR) 산출 결과 CTE 및 RME 노출 상태에서 허용위해도인 1×10-6을 초과하는 물질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어린이 보육시설 내 실내공기 중 개별 VOCs의 노출에 의한 초과발암위해의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각 오염물질별 건강위해 발현 가능성에 관여하는 영향요인들 간의 관여정도를 확인하고자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 물질별 실내 VOCs 농도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비발암물질의 경우 노출기간 및 노출빈도의 영향이, 발암물질의 경우 호흡률과 노출기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환경오염 취약인구집단 이용시설의 실내공기오염물질 흡입에 의한 건강위해성평가를 통한 위해도 저감을 의한 관리방안 수립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 취약인구집단의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위해성평가 방법론의 정립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건강위해성평가 수행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불확실성의 저감을 위한 노출평가시의 QA/QC, 용량 평가에서 취약인구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독성값의 전환방법, 위해도 결정에서 위해도 해석 등에 대한 방법을 정립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 및 정책 결정에 있어 본 연구의 방법 및 결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children living in child-care facilities as known the vulnerable population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to measure of the characteristics and offer scientific data for decision-making of policy for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of VOCs in the indoor air using the tool of the health risk assess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175 selected child-care facilities in the urban area (Seoul, Suwon, Daejeon, and Busan) and the industrial complex area (Sihwa and Yeocheon) from August, 2007 to April, 2008. All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indoor and outdoor places to the child-card facilities in spring, summer, and winter seasons using the Tenex absorption trap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GC/MSD.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ean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175 child-card facilities in the following order : toluene 〉xylene 〉ethylbenzene 〉benzene. This result showed that it exceeded 2.5 times more as the indoor air quality guidelin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TVOC in Korea. Secondly, the seasonal variation for the VOCs concentrations among the BTEX pollutants was surveyed that the benzene and ethylbenzene were to be higher in the winter, whereas the toluene and xylene were to be higher in the summer in this study. Third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child-card facilities in Korea may influenced from the some factors such as the increment of temperature in indoor, traffic density, and ventilation rate. Fourthly, the result of the risk assessment for the non-carcinogen pollutants showed that the HQ (hazard quotient) were less than 1 which means safe level and the ECR (excess cancer risk) for the CTE (central tendency exposure) and RME (reasonable maximum exposure) also were less than 1×10-6 which means the possibility for the excess cancer risk. Finally, the result of the sensitivity analysi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for influence factors of the health risk by each pollutant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the VOCs concentrations. These findings may expected to imply that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minimize the public health effects for children living in child-care facilities as known the vulnerable population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