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TSD 치료에 있어 정신분석 이론의 적용과 분석가의 역할 : 비온 이론을 중심으로

        신주내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marily interpret and organiz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the utility of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the analyst’s desirable attitude in the PTSD treatment through thi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rranged the occurrence cause for the PTSD, sign and progress process, and theories and perspectives applicable to the treatment through the psychoanalytic theory while examining how to interpret the PTSD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psychoanalytic theory. The positions on PTSD observed from the trauma theory and the object-relations theory by Freud were described, and the theory by Wilfred Bion, a psychanalyst, was linked to Judith Herman’s theorem on PTSD to apply, interpret, and integrate. And then the treatment process through Biton theory and the analyst’s attitude in it were research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TSD through the psycho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analytic theory starting from Freud who introduced a concept called psychological trauma was able to provide significant insight and general theories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rapeutic process on the cause and progress process of PTSD along with the trauma theory and the object-relations theory. In particular, the theory by psychoanalyst Bion mentioned his ideas on the cause for general mental illnesses, psychological actions happening in the therapeutic process for those illnesses, and attitude of analyst who analyzed them,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psychodynamic therapy through the psychoanalytic theory in treating PTSD.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정리하는 것에 1차적인 목표를 두고, 이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서 정신분석이론의 효용성과 분석가의 자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날이 갈수록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정신분석이론으로는 어떻게 해석 가능한지를 살펴보면서, 정신분석이론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원인, 징후와 진행과정, 그리고 치료에 적용될 이론과 관점들을 정리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프로이트의 외상이론과 대상관계이론에서 바라 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입장들을 서술하고, 계속해서 정신분석가 비온의 이론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주디스 허먼의 정리와 연결하여 적용, 해석, 통합함으로써 비온이론을 통한 치료과정과 그 안에서의 분석가의 자세에 대해 연구하여 정신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해와 치료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려고 했다. 연구 결과, 심리적 외상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프로이트로부터 시작된 정신분석이론은 그의 외상 이론을 비롯해서 이후의 대상관계이론에 이르기까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병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해석과 치료 과정에 대해 의미 있는 통찰과 제반 이론들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게 되었다. 특별히 정신분석가 비온의 이론은 정신 병리 전반의 병인에 대한 그의 생각들과 그 병리들의 치료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 작용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때, 분석에 임하는 분석가의 자세에 대해 언급하여 놓음으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있어 정신분석이론을 통한 정신역동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