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球溫暖化가스 관련 IMO 政策動向 및 船舶으로부터의 CO2 低減方法에 關한 硏究

        신동혁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limate change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faced by the human beings today; it can be the global climate and regional. The cause of global warming effect or climate change can be traced from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all corners of the earth, a lot of damages already happened to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aid climatic changes. I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oes not have such aggressive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the global warming will get more accelerated and the irreversible damages also cannot be avoided. Hence, the said drastic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must be im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The global warming issue matters us all and not just someone else's problem. A number of greenhouse gases having the global warming effect are composed CO2, CH4, N2O, PFCS, HFCS and SF6. Among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CO2) has an impact of more than 95% and it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cognizes the need to establish common measures to resolve the climate change issue, identify the global warming phenomenon and long-term prospects for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dopted and come into effect the Kyoto Protocol. The IMO-MEPC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is actively leading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the international shipping as well. Ship's fuel oil is composed of carbon, hydrogen and sulphur etc. The main air pollutants that are being emitted from ships are SOx, NOx, CO2 and PM, but the portion of carbon dioxide has the largest share. Normally, the liquid fuel used in marine diesel engines has a carbon content of around 85%, 3.1 times higher b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tted as compared to other pollutants. The estimated amount of carbon dioxide emitted from ships is around 1.0 Gigaton per year, about 3% of the worldwide carbon dioxide emissions. But the ship is charged about 90% of worldwide transportation as the most efficien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shipping industry has to keep pace with the increase in the world trade demands, so there is also a steady increase of these pollutants as well. Special measures such as optimization of ship design and engine room machinery layout, maximum propulsion and propeller shaft efficiency, speed reduction, best sailing practice, CO2 global levy, emission trading syste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among maritime industry are required to suppress the increasing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ships and keep at its current level. In addition, the special measures must be established fairly and enforceable to all countries engaged in marine transportation businesses all over the world. After adopting the 1997 Kyoto Protocol, IMO started a study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from ships and held three (3) meetings every two (2) years in relation to the marine environment prevention. Recently, the method of greenhouse gases reduction was discussed last March and October 2008 at the 57th and the 58th IMO MEPC, and made its progress by dividing the studies into short-term and long-term measures. In this research, global warming was given emphasis on most of the study, which focuses on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emissions source can be categorized as mobile (cars, ships, aircraft etc.) and non-mobile (industrial plants, residential boiler etc.). Moreover, the information of IMO MEPC agenda, domestic research materials, and other media are explained in dealing with greenhouse gases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The recent tendency of policy on greenhouse gases reduction from ships by IMO-MEPC was also introduced. Specifically, the policy of each short-term and long-term measure were described on how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ships. One among issues recently discussed by IMO-MEPC was the best practices to improve the ship's fuel efficiency. Since the global warming has been recognized as a hot worldwide issue, carbon dioxide mitigation is the primary goal for solving the GHG problem. The GHG problems through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transportation including ships become a big challenge to human society. In the marine field, the most feasible measure recognized is also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 from ships. From the present until 2012, the Annex Ⅰ countr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mitig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and many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will be leading the way in further reductions from 2013 and onwards. As the results, the ship speed reduction can be one of the superior solutions, since the fuel consumpt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cube of ship speed. Likewise, the development of the draft carbon dioxide Index for limiting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s a contributing factor. The approaches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methods are indicated three ways, i.e. the technical method, the market based or economical ones and political method. Among these three, mainly shipyards and engine builders are attempting the technical method.

      • 영상 복잡도 기반 컬러 패치 추출을 통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알고리즘의 연구

        신동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폰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의 영상은 다른 광학 카메라에 비해서 영상의 질이 좋지 않다. CCD셀과 같은 아날로그 센서가 아닌 CMOS 센서를 통해 빛의 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에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기술향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대 사회에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 폰이나 소형 광학기기들은 카메라의 성능에 의해 매출이 좌우되기 때문에, 상용화된 ISP 알고리즘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소기업이나 개인이 개발하기에는 고도의 성능과 집적화가 필요하며, 실질적으로 Image Signal Processor 알고리즘의 전반적인 자료와 연구가 한국에서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 참고한 ISP 관련 Auto White Balance 알고리즘 또한 해외 논문을 참조한다. 본 논문은 ISP의 전반적인 연구와 그 중 Auto White Balance 알고리즘 향상에 제안한다. Auto White Balance의 경우 광원의 색온도에 열화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알고리즘으로써 아직도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ompact Camera module Image is not good Quality in The Smart phone rather than in Another Optical Sensor. Because The Camera module of Smart phone usually not use CCD cell on analog sensor but employ CMOS sensor on digital sensor, we need to improve ISP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Because Smart phone demand and Compact Optical sensors demand are decided by camera performance, we need to upgrade even commercially ISP Algorithm. Greate Efforts that is developing state of the art performance and Making Integration are needed by individuals and in Medium and small firm, practically total research of ISP Algorithm do not proceed in Korea. This paper refer to a lot of foreign AWB Algorithm paper on ISP. This paper propose total ISP research and among AWB Algorithm enhancement. The AWB that is Correcting depleted image for The Color constancy have been studied by mondial research team.

      • 콘크리트 도로시설물용 유지보수재료의 성능평가

        신동혁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road facilities deteriorated due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creasing. In addition, because SOC(Social Overhead Capital),which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70s, maintenance is required, interest in maintenance reinforcement methods and materials is increasing. Many studies on the causes and measures of degradation of concrete pavement among concrete structures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research on the maintenance method and repair materials for concrete road facilities such as drains and central dividers has not been relatively systematic yet.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are mainly applied to road facilities, these are easily broken, because they are brittle and have low resistance to repeated load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an organic resin was added to the cement-based mortar to mix new maintenance mortar. In this study, as a dimension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road facilities, it is not a conventional cement-based repair material but mixes maintenance materials with the organic and inorganic mortar with high durability, low permeability and high elasticity, and compared them through mechanical and dura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using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less than the cement-based mortar. However, the flexural strength and bond strength were much better than the cement-based mortar, because the elastic and restoring force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mortar showed greater elastic restoring force than that of bending stress. As a result of the durability evaluation, the organic and inorganic mortar showed better freeze-thawing resistance than the cement-based mortar, and also excellent results in scaling resistance test and acid erosion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mortar showed that the physical and durability performances were excellent except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organic and inorganic mortar is suitable as a maintenance material for road facilities exposed to deterioration environment.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요인으로 인하여 열화된 도로시설물이 늘어나고 있고, 197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한 국내 사회기반시설물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여 보수·보강 공법 및 재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중 콘크리트포장에 대한 열화원인 및 대책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배수구, 중앙분리대 등 콘크리트 도로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 공법 및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다. 주로 도로시설물에 시멘트계 보수재가 적용되는데 이러한 재료는 파괴의 형태가 취성으로써 약한 충격에도 파손되며 반복하중에 의한 저항성이 낮은 약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무기계 모르타르에 유기계 수지를 추가하여 새로운 유지보수용 모르타르를 배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하는 차원으로써 기존의 시멘트계 보수재료가 아닌 고내구성, 저투수성 및 고탄성의 특성을 가진 유·무기계 유지보수재료를 배합하고,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 평가를 통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유·무기계 보수재료를 활용한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실험결과, 압축강도의 경우 시멘트계 모르타르보다 적게 나타났다. 하지만 휨 및 부착강도에서는 시멘트계 모르타르보다 매우 우수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유·무기계 모르타르는 휨 응력에 대한 변형보다 탄성 복원력이 크게 나타나 휨 강도는 크고, 탄성 복원력보다 압축에 의한 변형이 단시간에 크게 나타나 압축강도가 작게 나타났다. 내구성 평가 실험결과, 유·무기계 모르타르가 무기계 모르타르보다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케일링 저항성 실험 및 산 침식실험에서도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 유·무기계 모르타르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한 결과, 압축강도를 제외한 물리적 성능 및 내구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무기계 모르타르는 열화환경에 노출된 도로시설물의 유지보수 재료로써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安保環境의 變化에 따른 民間軍事企業의 發展 : 民間軍事企業 適用方案을 中心으로

        신동혁 漢城大學校 經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the end of Cold War, mor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have increasingly started reducing military forces and outsourcing to the private sector by utilizing private military companies In the Iraqi war over 20,000 agents from private military companies were in action which indicated that activities of these companies have becom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settlement of conflicts. Therefor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military companies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when sending troops overseas. The diversification of conflict regions, trend of privatization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rapid and efficient crisis management, decrease in political pressure when sending troops overseas and the increase in discharge of officers that have served long time hav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Private military companies after the Cold war. But private military company's future is not only bright. Sovereign functions of the country like military actions cannot be a part of privatization which can lead to private violence in a global scale. Also, negative elements such as difficulty in regulation due to absence of international law and standard, the fact that private military companies are private companies with a basic goal of making a profit, problem of responsibility in case of danger and whether outsourcing for small governments can actually lead to a reduction in budget and bring an economic effect. Also these firms could also be used in the intervention of international conflicts without the regulation of the Congress and avoiding criticism from the public. Nevertheless, the fact that countries like the US and the UK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making efficient use of private military companies widely,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this in a more positive aspect. Especially, with recent increase in participation of Peace Keeping Operations, active use of private military companies can bring much synergy effect in executing operations. Furthermore the availability of discharged officers with abilities of combined and allied operations that served long-time in the military may become the base in developing a private military company. If we promote private military companies under government's legal, institutional support along with clear qualification criteria such as the defense industry companies and establish a management branch i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r the Defense industry agency to manage and control them, problems could be prevented beforehand and systematic development would be possible. Operational fields that private military companies can work in are military power providing, military consulting and military support but military power providing is currently limited and selection of military consulting and support fields are desirable. Especially fields such as KCTC/ BCTP exercise control and evaluation, ROTC training and policy tasks and presenting VISION of military doctrine, writing out echelon / technical manual, foreign material translation and supply/maintenance/transportation of military support part in case of dispatching forces overseas, encampment service support(meals, laundry) and mine clearing for efficient use of frontline area and DMZ can be considered. By cooperating with other foreign military companies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and be able to operate a variety of tasks. As stated above, private military companies, connected with national defense reform, will play a decisive role in building small but strong military and especially, it will be a breakthrough for employment in aspect that we are efficiently using our talented discharging long-term personnels. He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bserve the roles and activities of private military companies in mor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 further. 냉전 종식이후 미국 등 선진국들은 군의 효율화 및 정예화를 위해 병력을 감축하는 대신 민간분야를 적극적으로 군 운영에 활용하는 군의 아웃소싱과 연계하여 민간군사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미국의 이라크전에 민간군사기업 요원이 2만 명이상 활동할 정도로 민간군사기업의 활동은 분쟁해결에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였다. 따라서 해외 파병 시 민간군사기업의 참여는 필수 요소가 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민간군사기업은 냉전 종식 후 분쟁지역 및 전쟁양상의 다양화, 정부 기능의 민영화 추세, 신속하고 효율적인 위기대응, 해외 파병 시 정치적 부담 감소,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증가 등과 맞물려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군사기업이 장미 빛 미래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군사적 행동과 같은 국가의 주권적 기능은 민영화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자칫 사적 폭력의 세계화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국제법 및 규범의 부재로 인한 규제의 어려움과 민간군사기업은 어디까지나 민간 기업으로 근본 목적이 이윤추구라는 점과 위험시 책임의식의 문제, 작은 정부를 위한 아웃소싱이 실질적인 예산절감으로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 등 부정적인 요소도 많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제분쟁 개입에 대한 의회의 통제와 사회여론의 비난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요소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영국과 같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이 지대한 국가들이 민간군사기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가 보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나 최근 세계평화유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써는 민간군사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 시 효율적인 임무수행 측면에서 많은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확신한다. 아울러 우리의 연합 및 합동작전 수행 능력을 겸비한 우수한 장기복무 전역 인력이 풍부하다는 점은 민간군사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민간군사기업은 방위산업체와 같이 정부의 법적 제도적 지원 하에 육성하되 자격기준을 명확히 하고, 국방부나 방위사업청에 관리 전담부서를 만들어 관리 및 통제함으로서 문제를 사전에 예방 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민간군사기업의 적용 가능한 업무 영역은 군사력 제공, 군사자문, 군사지원분야가 가능하나 군사력 제공 분야는 현 시점에서는 제한되며 군사자문 및 군사지원 분야 위주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교육훈련 분야의 KCTC / BCTP훈련 통제 및 평가, ROTC 교육과 정책과제 및 교리분야의 군의 VISION제시, 제대별 / 기술 교범작성, 해외자료 번역과 해외 파병 시 군수지원 분야의 보급 / 정비 / 수송, 주둔지근무지원(급식, 세탁)과 전방지역 및 비무장지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지뢰제거와 교도소관리 등을 고려 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의 민간군사기업과 연계 시에는 다양한 업무의 확대가 가능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민간군사기업은 국방개혁과 연계하여 작지만 강한 군대를 육성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나 우리의 우수한 장기복무 전역 인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도 취업을 위한 하나의 돌파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선진국의 민간군사기업 활동과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딥러닝에서 활성화 함수에 따른 모델 성능 비교

        신동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경망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은닉층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기울기 전파가 깊은 층으로 갈수록 소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 나은 기울기 전파를 위하여 최적화 방법이나 활성함수가 발전되면서 문제는 개선되었고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울기 전파를 위하여 개선하고 있는 알고리즘 중 활성함수에 대하여 소개하고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신경망에서 활성함수는 시그모이드(Sigmoid) 함수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고 시그모이드 함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이퍼볼릭 탄젠트(tanh, hyperbolic tangent)가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ReLU(Rectified Linear Unit) 함수가 제안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한 ELU(Exponential Linear Unit) 함수, SELU(Scaled Exponential Linear Unit) 함수가 제안되어 ReLU(Rectified Linear Unit) 계열 함수들이 시그모이드 계열 함수들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활성함수 중 시그모이드, 하이퍼볼릭 탄젠트, ReLU, ELU, SELU, 소프트사인(Softsign), 소프트플러스(Softplus) 활성함수의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며 은닉층의 개수와 epoch 수에 따라 각 활성함수들의 정확도가 어떤 이유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 활성함수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하여 경우에 따른 활성함수의 정확도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가 활성함수를 사용할 때에 과거 항상 사용하던 시그모이드 함수 또는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만 사용을 하거나 가장 많이 쓰이는 ReLU 함수만을 고집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맞춰서 어떤 활성함수를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유효매질을 이용한 메타물질 설계

        신동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물질은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자연계에 없는 새로운 성질을 가진 인공물질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원자들이 모여 분자를 이루는 것처럼 인공적으로 제작한 메타물질의 원소들을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메타물질을 만들게 된다. 메타물질을 구성하는 메타원자가 입사하는 빛의 파장보다 훨씬 작을 경우 빛은 메타원자들을 개별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균질한 하나의 매질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를 유효매질(Effective medium)이라고 한다. 이러한 유효매질의 격자구조와 메타원자의 설계를 통하여 원하는 유효물성(Effective property)을 가지는 물질이 메타물질이다. 금속을 이용하지 않고 유전체의 유전율만을 조절하여 제작된 메타물질은 split ring resonator(SRR) 같이 공진을 하지 않아 작동하는 주파수대역이 넓고 방향성이 없어 설계와 제작이 수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패턴 공정을 고려하여 주기적인 격자구조를 가지는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패턴의 경우 원형 구멍을 뚫는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를 하였다. 실험은 RF영역(10GHz)에서 실행하였는데 이 파장대역은 파장이 크기 때문에 설계한 메타물질의 샘플제작이 가시광 영역보다 비용과 시간, 기술면에서 쉽다s는 이점이 있다. 메타물질 설계의 경우 메타원자와 격자구조의 비율이 파장에 비례하기 때문에 다른 영역에 맞는 설계는 크기만 변화시키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모사를 통하여 원형 패턴의 격자구조를 가지는 물질의 격자구조를 조절하여 유효매질로써 작동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배열에 따른 결과도 살펴보았다. 또한 유효매질로써 작동하지 않는 격자구조의 물질을 교차적으로 적층된 얇은 판들의 집합체로 만드는 방법으로 유효매질이 됨을 보였다. 이 방법은 같은 패터닝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더 작은 파장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메타물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배열에 따른 적층방법으로 최소 작동파장을 1/9배까지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 금융자동화기기를 위한 플러그인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

        신동혁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얼마나 최대한 많이, 빠르게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제품에 반영하여 출시를 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되었다. 이것을 이루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의가 가능해야 하고 쉽게 확장이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금융자동화 기기 분야에서 발생한 이와 같은 문제 영역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국내와 달리, 해외의 경우 금융 자동화 기기 운영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이 존재하는데, 각 국가 또는 기업 별로 자신들만의 차별화, 경쟁력 등을 갖추기 위해 독특한 요구사항을 추가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이러한 수 많은 요구사항의 반영이 전부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집중되면서, 소프트웨어의 형상관리 및 제품의 관리에 많은 문제가 존재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선택하였다. 특히, 여러 플러그인 모델 중 이클립스에서 사용한 모델을 도입하여 이클립스 플러그인 모델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과 객체 지향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개발된 프레임워크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정의하고 여기에 플러그인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대표적인 변경 사례 요구에 대한 시나리오 바탕으로 구현한 모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플러그인 모델의 적용을 검토하고자 할 경우 참고할 만한 지침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