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황적 추상화 과정의 고찰 : 함수의 변화율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송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학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대상과 개념은 타교과와는 다르게 매우 높게 추상화된 결과이다. 수학에서 추상화는 지식의 구성과 발달 과정에서 핵심적인 사고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인지적 부담이 크고, 가장 어려운 사고 과정 중 하나이다. 따라서 그동안 학생들의 수학학습을 돕고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학에서 추상화 과정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렇게 수학에서 추상화가 중요하고 많이 연구되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추상화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애매하게 설명해왔고, 또한 전문가의 관점에서 주로 이론적인 모델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었다. 최근에는 학교수학에서의 추상화를 발생되는 상황과의 연결성에 따라서 형식적 추상화와 상황적 추상화로 구분하고, 수학학습에서 두 추상화가 모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 수학에서는 아직도 형식적 추상화를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은 맥락에서 수학적 사고를 분리시킬 수 있고, 수학에 대한 학습 동기와 흥미를 저하시킬 수도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의미없는 형식만을 강조하는 결과를 이끌 수도 있다. 수학교육의 목표가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힘의 신장임을 고려할 때, 추상화된 대상이나 개념은 다양한 연결성과 함께 풍부한 의미를 포함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의미가 풍부한 추상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학적인 것으로 인식한 상황을 조직하고, 그 상황을 수학적 추상화를 발달시키는 배경으로 이용하여, 상황 속에서 추상화가 시작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기존의 지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반성하면서 의미의 망을 확대시켜 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학교수학에서 상황적 추상화를 유도하고 강조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게 되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상황 속에서 수학적인 개념이나 의미를 어떻게 추상화해 가는지 그 특성들을 분석해보고, 기존 추상화에 대한 모델과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새롭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상황적 추상화 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상황 속에서 추상화 과정을 어떻게 구성해가고 발전시켜 가는가? 둘째, 학생들의 상황적 추상화의 각 과정에서 어떤 인식론적 행동이 나타나는가? 셋째, 학생들의 상황적 추상화 과정에서 맥락적인 요소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근거로 추상화 과정에 대한 여러 인식론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서 두 학생을 대상으로 상황적 추상화 과정을 조사하고, 조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두 학생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 속에서 두 학생의 추상화의 발달 과정은 기존 구조의 인식(R), 기존 구조의 확립(B), 새로운 구조의 구성(C), 구체로의 포괄적 상승 과정(AC)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에서 ‘AC’의 과정은 기존 추상화 과정에 대한 모델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과정으로, 새로 만들어진 구조가 다양한 구체와 연결되고 내적 관련성을 만들어 가면서 그 내용이 정교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이다. 학생들은 추상화의 과정에서 ‘R’의 과정과 ‘B’의 과정은 잘 수행해갔으나, ‘C’나 ‘AC’의 과정에서는 인지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추상화의 과정이 선형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앞 뒤의 과정을 자유롭게 왕복하면서 이전 과정을 반성하고, 그 결과를 다음 과정에서 적용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거쳤을 때, 성공적인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상화 과정에서 수학 외적인 맥락을 고려하는 경향은 추상화를 방해하는 요소가 아니라, 추상화를 진행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 학생의 상황적 추상화의 각 과정에서 어떤 인식론적 행동들이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R’의 과정은 문제 상황의 인식, 기존 수학적 대상이나 구조의 인식과 적용 행동이 작용하였고, ‘B’의 과정에서는 연결성, 비교, 기존 구조 주목, 이전 과정 반성과 같은 행동이 작용하였다. ‘C’의 과정에서는 새로운 대상에 주목, 새로운 구조의 필요성 인식, 연결성, 비교, 분석, 조건 변형 및 수정, 가설 설정·수정·평가, 불변적인 구조 확인, 평가, 이전 과정 반성 행동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복잡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연결성과 비교는 ‘B’의 과정보다 좀 더 세분화되었고, 분석도 분석차원에 따라서 단일 분석과 종합적 분석으로, 분석 대상에 따라서 맥락 분석과 수학적 대상이나 구조 분석으로 나눌 수 있었다. 평가도 수학적 대상이나 구조를 통한 평가와 맥락을 통한 평가로 나눌 수 있었다. 구체로의 포괄적 상승 과정에서는 맥락 반성 및 분석, 새로운 구성물의 반성, 종합, 새로운 구성물의 정교화와 확장의 측면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두 학생의 상황적 추상화 과정에서 맥락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학 외적인 일상적인 맥락과 이전에 구성했었던 수학적 구성물들, 그리고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결합해가면서 새로운 의미와 관련성들을 만들어내고, 그런 새로운 의미들이 다시 맥락과 구체적인 예와 연결되면서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과정으로 진행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각 맥락의 작용을 보면, 과제 맥락을 분석하고 반성하는 것은 ‘R’, ‘B’, ‘C’, ‘AC’의 전 과정에서 어려움이나 모순점에 접했을 때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추상화된 구조를 정당화하며, 구체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다양한 대상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과제 맥락은 추상화 과정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 맥락이 풍부하고 이것을 잘 연결하여 재맥락화할 때, ‘C’와 ‘AC’의 과정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그 결과도 풍부한 의미를 가진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수학에 대한 신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인 차원과 상호작용은 학습자들이 보고 말하고 행동하는 방법에 영향을 끼쳐 추상화하는 과정을 도왔고, 학습자가 사회의 관점을 공유하고 개인내로 받아들이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시사한다. 첫째, 추상화의 과정에서 구체에서 추상으로 가는 과정 뿐만 아니라, 추상에서 구체로 가는 과정도 또한 심도있게 다루어져야 하고 강조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새로운 구조를 가지고 이전의 학습경험들을 재해석하고 통합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그것을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의미와 관련성들의 망을 풍부하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구체에서 추상으로 가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경험과 맥락, 그리고 이전에 구성했었던 대상과 절차들을 연결시켜서 서로 비교하는 과정,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해보는 과정, 주어진 조건들을 변형시켜서 여러 가지 가설들을 만들고 수정하는 과정, 그것을 평가하는 과정,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불변적인 구조를 발견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적인 개념을 추상화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여러 맥락을 분석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이런 맥락의 고려는 추상화의 초기 단계에서뿐만 아니라 전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Most of mathematical objects and concepts are highly abstracted results,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Abstraction is very essential thinking i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But because it requires excessive cognitive burden to students, it is the most difficult mathematical thinking. Thus many studies on mathematical abstraction have been made so far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s. Although abstraction in mathematics is very important and has been studied frequentl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explained the abstraction ambiguously in different views, and been made based on theoretical model according to professional-oriented view. Recently, abstraction in school mathematics is classified by the formal abstraction and the situated abstra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situations that give rise to it. And it is suggested that both abstraction should be emphasized in school mathematics. But there have been trends that the formal abstraction is more focused in school mathematics. Such trends may result in the division of mathematical thinking from the context, the degradation of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ing, and in extreme cases the emphasis of meaningless formal logic.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mathematical power, abstracted objects or concepts should include abundant meanings with various connections. To help students abstract with abundant meanings, it is required that students be guided to abstract within the situation, constructing the recognized situation mathematically and using it as the basis of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straction. And it is also required that they be induced to expand the web of meanings reflecting what it means in the situation and how it is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knowledge. To induce and focus on the situated abstraction in school mathematics, it needs to be studied how the process of the situated abstraction i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cess that students abstract the mathematical concept or meaning in situation, to find new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previous models of abstraction, to understand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and finally to provide realistic and empirical materials about the process of the situated abstra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how students progress and develop the abstraction in situation? Second, what epistemic actions have occurred in the situated abstraction of the student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contextual factors in the situated abstraction of the students? With the above questions in a min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various epistemic views and theories of the abstrac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actual abstraction processes of two students were monitor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monitored resul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in depth.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tuated abstraction processes of two students consisted of recognizing action(R), building-with action(B), constructing action(C), and ascending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action(AC). 'AC' has not been found in previous RBC model about abstraction process. 'AC' is a process that newly constructed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various concrete, sophisticated and expanded its meaning. Two students did well in 'R' and 'B', but had cognitive problems in 'C' or 'AC'. And it appeared that abstraction didn't proceeded linearly, but dynamically, reflecting the previous processes and applying them to the next process. In addition, the trends that considered the context in the abstraction didn't obstruct the abstraction, but play an important role in abstraction. Second, epistemic actions in each process of the situated abstraction of two students were followed. 'R' consisted of 'Recognizing problems' and 'Recognizing and Applying previous mathematical object or structure' actions. 'B' consisted of 'Connecting', 'Comparing', 'Attending to previous mathematical objects and structures', and 'Reflecting previous processes' actions. 'C' consisted of 'Attending to the new object',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new structure', 'Connecting', 'Comparing', 'Analyzing', 'Transforming and Correcting of conditions', 'Hypothesis posing, correcting', 'Evaluating', 'Confirming invariants,' and 'Reflecting previous processes' actions. In the 'C', 'Connecting' and 'Comparing' were more sophisticated than those of the 'B'. 'Analyzing' were classified by 'Analyzing singular' and 'Analyzing multiple'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analysis, and by 'Analyzing context', and 'Analyzing mathematical object 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object of analysis. 'Evaluating' were classified by 'Evaluating context', and 'Evaluating mathematical object or structure'. 'AC' consisted of 'Reflecting context and new structure', 'Synthesizing', 'Sophisticating new structure', and 'Expanding new structure' actions. Third, it was analyzed that how the contextual factors were affected in the abstraction processes of two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ask contexts, previous mathematical constructions and social interactions were combined to create new meanings and relations, and the new meanings were connected to the context and specific examples to enrich contents.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task context could be a clue to solve the problems occurred in 'R', 'B', 'C' or 'AC', be used to justify the abstracted structure, enrich the meaning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concrete, and relate various objects. But it was also found that, if the task context was not familiar to the students, it could be an obstacle to the abstraction processes. When individual context was abundant and was connected to recontextualization, successful results were accomplished in 'C' and 'AC' and the structure was abundant in the meanings.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sonal belief to mathematics affected to the abstraction processes. Finally, social factor and interaction helped the abstraction process by affecting the students how to see, tell and act. Social factors and interaction also played a decisive role in sharing the social viewpoint and accepting it personally.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First, the process going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in abstraction also needs to be emphasized.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hat the web of meanings and connections be abundant through reinterpreting and integrating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applying them in various contexts. Second, in the process going from the concrete to the abstract, it needs to guide students to connect and compare various experiences, contexts, previous mathematical objects and procedures, to analyze them in the various dimension, to make, correct, and evaluate various hypotheses, and to reflect their action. Finally,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take opportunity to analyze and reflect the context in mathematical abstraction continuously.

      • 사이버 공간 디자인을 위한 형태 변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송정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이나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형태를 만드는 창조적 작업은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직관에 의한 창의성은 발휘되었지만 과학적인 방법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특성을 충분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물리적인 중력을 고려하는 유클리드 기하학적인 형태를 그대로 사이버 공간 속에서 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관적인 사고가 아닌 과학적인 사고에 의해 형태를 변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사이버 공간 디자인의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동기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창조적인 디자인을 위한 형태 변형 방법을 도출하여 형태 변형 프로세스 모델과 사이버 공간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 사례를 통해 창조적 디자인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창조적 디자인과 형태 변형 프로세스에 관한 자료와 함께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형태 변형의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사이버 공간과 디자인의 특성을 종합 분석하여 사이버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형태 변형 프로세스를 기록화한 것에 있다. 프로세스에서 내려진 모든 결정을 기록하였다는 것은 디자이너가 어떤 단계로든지 되돌아가서 디자인 사고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결국 이러한 것은 만들어진 형태 이미지와 디자이너간의 쌍방향 사고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의의는 사이버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는 데 있다. 사이버 디자인의 형태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은 유동성이다. 유동성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항상 변화를 지향하는 특성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초보자나 전문가에 상관없이 유동성의 형태를 생성하여 주고 생성된 여러 가지 형태 중에서 단지 선택만 하면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창조적인 형태를 생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에서 제안한 형태는 어떤 건축적인 의미가 아닌 중성적인 형태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중성적인 형태 만으로도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충분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보다 많은 건축적 의미를 부여하여야 이 방법이 설득력이 있고 그것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이용될 수 있다는 확신을 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건축적인 의미가 부여된 형태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연구 과제는 사이버 공간을 적극 활용하고 활성화하는데 있고 어떻게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하는지를 알아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탐구 과정 속에서 우리는 창조적인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창조적인 형태를 생성함으로써 우리의 환경을 보다 흥미롭고 동적인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개발되어야 할 분야이다. Creative design for generating a form is important i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ield.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for the creative design based on scientific method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mprove under standing on characteristic of cyber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raph - based transformation processes for creative design which may be suited to cyber space desig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asis for decision making on generation of creative form. This study consists of a scientific method of shape generation for creative design and a model of transformational process of forms, and demonstrates potential of graph- based design processes. The advantage of using graph-based design processes is in memorizing every decision making which has occurred in design process. This thesis concludes that the graph-based transformation processes give us strong imagination ability for creative forms.

      • 재활용품을 이용한 친환경 패션소품개발

        송정화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제품의 대량 생산으로 상품의 수명이 점차 짧아지고 있으며 한번 쓰고 버리는 소비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환경문제가 발생되어 방대한 양의 부적당한 쓰레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환경오염 등의 문제는 생활전반에 걸친 중요한 세계적 관심사이다. 따라서 육체적∙정신적 건강과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웰빙(well-being)문화가 확산되면서 패션상품에도 인체에 해가 없고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거나 재활용 디자인에 대해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패션업계에도 반영되어 재활용제품의 개발이 점점 가속화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의류들을 이용하여 쓸모 있는 패션소품인 새 상품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재활용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패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해 본후 폐기하고자 하는 소재를 활용할 목적으로 쓰다 남은 의류를 재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의류제품이 가지는 이미지를 새로운 감각으로 해석하는 재활용 작업을 통해 총 14점의 패션소품 제작을 시도하였다. 작품 제작을 시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폐기하고자 하는 의류를 재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의 감소효과를 가져와 환경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방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둘째, 폐기하고자 하는 의류에 실제적인 쓰임새를 부여하는 친환경 패션소품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과 제작과정을 제시 하였다. 셋째, 제작한 소품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 해당의류가 가진 특징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들을 추가 사용하였다. 우리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부착된 액세서리류도 다시 재사용하므로써 폐기물을 줄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는 폐기하고자 하는 의류를 일회성이나 소모성자원으로 여기는 자세에서 단 하나뿐인 희소가치를 가지며 새로운 용도의 재창작물이 되는 과정 그 자체로써 가치 있는 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재활용 패션소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에서 보다 디자인이 다양하고 기능적인 재활용 패션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앞으로도 패션소품에 대한 각종 연구와 작품 활동이 많이 시도되길 바란다. Mass production in modern times shortens the life span of commodities, and the consumption culture of favoring disposable goods brings about a vast amount of waste. Naturally there have come environmental problem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what the whole world is seriously concerned about. Thus, as the culture of pursuing well-being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happy life spreads, people are more likely to use eco-friendly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human bodies and can be recycled, and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reusable designs. This phenomenon has spread to the fashion world, which will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recycled or reused goods.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do research on reusing clothes commonly worn in daily lives, and converting them into new goods like small fashion items. After surveying theories about reused fashion items, this study has made fourteen small fashion items by reusing clothes that are disused and interpreting their previous images in a new se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using clothes that are to be disused has reduced the amount of waste, and presented a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Next, the procedures of designing and making small eco-friendly fashion items are suggested while giving practical usefulness to disused clothes. Lastly, to enhance the function of newly made items, various ornaments are ad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concerned. Reusing the accessories attached to reused clothes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waste. As the results show, this study has proved that reusing clothes that are disused is a valuable thing in itself in that people no longer see those disused clothes as disposable or consumable resources, but recreate and convert them into unique goods of rare value. Though research on recycling has steadily been don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small reused fashion items. Therefore, small recreated fashion items in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Research on small reused fashion items and making those items are expected to be actively done in the future.

      • 결혼적령기 남녀의 자아이미지와 배우자이미지 선택요소의 상관관계 연구

        송정화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결혼적령기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자아이미지를 분석하고 자아이미지에 따른 배우자의 선호하는 이미지요소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결혼관에 대해 이해하고 이미지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미혼남녀에게 이성을 만남에 있어서 조금 더 호감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동기를 부여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그리고 기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0-30대 미혼남녀 400명에게 ‘기본신상조사, 결혼관, 배우자이미지, 자아이미지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37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분석은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은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서 안해도 됨이 가장 많았으며, 반드시 해야 함도 높게 나타났다. 결혼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랑하기 때문이 가장 많았으며, 결혼 전 교제기간에서는 1-2년이 가장 많았고, 결혼시기에서는 결혼에 대한 준비된 자세 될 때가 가장 많았다. 혼전 성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는 사랑한다면 가능이 가장 많았고, 연령의 차에서는 상관없다가 많았으며, 선호하는 배우자 선택방법에서느 연애결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전 이성교제 필요성에서는 매우 그렇다가 가장 많앗으며, 결혼은 한번만 해야한다에서는 그렇다가 가장 많았고, 결혼 조건은 비슷한 사람과 해야한다에서는 그렇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에서 태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상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 외에는 말시, 얼굴 생김새, 몸매, 옷차림, 키, 피부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배우자의 내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신뢰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 인격, 긍정적 사고, 지신감, 습관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배우자의 사회적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 인간관계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이미지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의바른이 가장 높은 이미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안한, 활동적인, 사교적인, 자부심을 가진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화려한, 스치스런, 섹시한, 이성적인, 개인을 중시하는 이미지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 배우자이미지 선택 고려사항과 자아이미지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이미지 선택 고려사항에서는 외적 이미지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이미지가 배우자 선택 외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표본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현대적이고 편안한 이미지가 아닐수록 배우자의 외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표본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편아한 이미지일수록 배우자의 내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일 경우 자아이미지가 현대적이고 활동적이며, 개성적인 이미지가 아닐수록 배우자의 사회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폐의약품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을 중심으로

        송정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의 특성 및 종류를 파악하고, 이 중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PIMs,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의 발생 규모와 관련 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급격한 노령화와 질병 진단 기술의 혁신 그리고 제약 산업의 발달 등으로 보건의료 서비스 비용지출과 의약품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처방된 약이 사용되지 않아서 버려지는 의약품 또한 증가하고 있다. 버려지는 폐의약품에 대한 적절한 회수체계가 갖춰지지 않을 경우 의약품에 의한 환경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지금까지 폐의약품에 관한 연구는 가정 내 발생하는 폐의약품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정 발생 폐의약품의 특성 또는 회수체계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노인장기요양시설은 특성상 입소자 대부분이 다양한 약제를 복용하며 건강상태 변화, 처방 변경 등의 사유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의약품이 상당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회수한 폐의약품 목록을 2차 자료로 특성 및 종류를 파악하고 의약품 사용량 감소를 위해서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에 주목하여 특성과 관련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가정 회수 폐의약품의 특성 및 종류와 비교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의 폐의약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서울 및 수도권 일대 30-100명 규모의 노인장기요양시설 4곳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과 수도권 소재 약국 2곳에서 수거된 폐의약품 목록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폐의약품 목록은 세계보건기구의 해부학적 의약품 분류 기준인 ATC코드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을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 2019년에 개정된 노인주의 의약품 평가 도구인 Beers Criteria(별첨 1)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선정한 노인주의 의약품 목록(별첨 2)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일반적 기술통계, t 검정을 사용하여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의 규모와 특성을 살펴보고 회귀분석을 통해 폐의약품 중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노인장기요양시설 4개 기관 205명의 입소 정원 중 폐의약품이 발생한 인원은 조사기간 동안 79명이었고 폐의약품의 종류는 325종이었다. 환자 당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1개 이상인 비율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기준으로 요양시설 내 환자에서 13.92%, 가정 내 환자에서 3.64%로 요양시설 내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value=0.0478), Beers criteria 2019기준으로는 요양시설 내 환자에서 36.71%, 가정 내 환자에서 21.82%로 요양시설 내 환자에서 높게 측정되었다(p-value=0.0658).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을 ATC 코드로 분류 후 비교분석한 결과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는 신경계(25.85%), 심혈관계(24.62%), 소화관 및 대사(23.6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폐의약품의 경우에는 소화관 및 대사(31.12%), 근골격계(19.09%), 호흡기계(12.86%), 전신작용 항감염제(10.7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폐의약품 중에서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의 종류에 따른 발생 비율을 살펴보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기준에서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경우 소화관 및 대사계, 비뇨생식기계 및 성호르몬계, 신경계, 호흡기계가 고루 나타났으나 가정에서는 신경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Beers criteria 2019 기준에서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신경계의 비율이 50%를 넘었고(57.5%), 가정에서는 근골격계의 비율이 50%를 넘었다(57.14%). 폐의약품의 개수와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발생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기준에 따른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발생에 폐의약품 개수가 미치는 영향은 보정 변수가 없는 모델에서 유의하게 나와(OR = 1.266) 폐의약품 개수가 증가하면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Beers criteria 2019 기준에 따른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 발생에 폐의약품 개수가 미치는 영향은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성별, 연령, 기관 수준을 보정한 다수준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OR = 1.402). 이상의 분석 결과 폐의약품의 개수와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의 사용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부적절 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버려지는 폐의약품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의 종류는 만성 질환에 속하는 신경계와 심혈관계 의약품이 주된 종류인 반면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의약품의 종류는 급성 질환인 항감염제, 근골격계, 호흡기계에 집중되어 서로 상이하며 이 결과에 의해 만성질환에 의해 폐의약품이 주기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의 폐의약품 수거체계가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령 사회를 앞둔 우리나라에서 수요와 공급 모두에서 급증하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의 안전한 의약품 관리 및 폐의약품 관리체계의 중요성을 인지함과 함께 환경 및 보건 영역에서의 엄중하고 선제적 대응을 기대한다. A B S T R A C 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used Medicin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Focused on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by Song Jung Hw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ystemsGraduate School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 Young-il Ju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us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on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waste medicines generated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it is a study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waste medicines generated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general hom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ost of the residents take various drugs, an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amount of drugs that are not used and discarded due to changes in health status or prescription changes, so a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list of waste medicines recovered from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re identified as secondary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by paying attention to potential inappropriate drugs to reduce the use of drugs and types to find out the necessity for the management of waste medicin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from October 2020 to May 2021, a list of waste medicines from 4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f 30-100 people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waste medicines collected from 2 pharmac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collected. The collected waste medicines list was classified using the ATC code, the anatomical drug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eers Criteria and the list of drugs for geriatrics (Appendix 2) selected by the Korea Drug Safety Administration were used as criteria for identifying potentially inappropriate drugs. The analysis method used general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o examine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drug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drugs among waste medic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waste medicines occurred in 79 of the 205 patients in 4 institut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uring the survey period, and the types of waste medicines were 325. The ratio of at least one potentially inappropriate drug per patient was 13.92% for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and 3.64% for patients at home based on the Korea Drug Safety Administr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p-value=0.0478), and based on the Beers criteria 2019, 36.71% of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and 21.82% of patients at home were measured highly in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p-value=0.0658).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fter classification of waste medicines generat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waste medicines generated at home by ATC code, the nervous system (25.85%), cardiovascular system (24.62%), digestive tract and metabolism (23.69%) in the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home waste medicines, digestive tract and metabolism (31.12%), musculoskeletal system (19.09%), respiratory system (12.86%), and systemic anti-infective agents (10.79%) were investigated in that order. Looking at the incidence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ines among waste medicines,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Korea Pharmaceutical Safety Administration, the digestive tract and metabolic system, the genitourinary system and sex hormone system, the nervous system, and the respiratory system were evenly distribut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Beers criteria 2019 standard, the ratio of the nervous syste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exceeded 50% (57.5%), and the ratio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in the home exceeded 50% (57.14%).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waste drugs and the occurr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the effect of the number of waste drugs on the occurr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ccording to the Korea Drug Safety Administration standard was significantly found in the model without the correction variable (OR =1.266).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creases as the number of waste drug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waste drugs on the occurr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ccording to the Beers criteria 2019 was significant in a multilevel analysis that adjusted for gender, age, and institution level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R = 1.402).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waste drugs and the us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which means that the amount of waste drugs can be reduced by limiting the us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addition, the types of waste medicines generat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mainly neurological and cardiovascular medicines belonging to chronic diseases, whereas the types of waste medicines generated in general homes are anti-infectives belonging to acute diseases. They are concentrated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respiratory system, and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waste medicine collection syste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ere waste medicines are periodically and repeatedly generated due to chronic diseases. We expect a strict and preemptive response in the environment and health areas,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afe drug management and waste drug management system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both supply and demand in Korea, ahead of a super-aged society.

      • 박완서 단편소설의 생사관 연구

        송정화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xamining the tendency appeared in the works of Park Wan Seo various issues like the writer's own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a critical view against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n the 70s, the women's problem that became her interest entering the 80s, and a vitalistic view along with an issue of old age in the 90s were treated. This study of Park Wan Seo's works with such various themes centered on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rough research on how the writer viewed life and death as it was appeared in her works over all. In the chapter 2, respect for life along with understanding of life was examined with emphasis on pregnancy and birth of life by researching the understanding of life that was appeared in Park Wan Seo's works. Experiencing various life and death during the war, Park Wan Seo made out a case that pregnancy and birth of life was meaningful as a sacred ceremony and it should be treated rightfully. And as her life itself was neither simple nor comforting, Park Wan Seo exhibited how miserable the efforts to save and extend life were in order to survive or to earn a living for family left behind the war through her experiences. These efforts appeared mainly with the woman who was left in the absence of man and were understood as an intention to express how tough it was to awake a double-sided maternal instinct of a matriarch and to keep and extend it. Park Wan Seo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such a miserably-kept and precious life's being adapted to the laws of nature and aging naturally, trying to tell how respectable such an old age was. In the chapter 3, the death in the works of Park Wan Seo was looked around and the research about diverse recognition on death in the life of man went on besides the meaning of death and humanity. The story about the old age dealt at the former chapter was continued here. What was observed there was aging which followed the laws of nature. By contrast, this chapter was designated to reveal that the heads of families who came under adult generation were aging and getting sick as they were forced or depressed by young generation and to show the hardship and the reality of being estranged. In the life of man, birth is previously noticed as a schedule so that it can be arranged in advance. But it's not for the death as it is hard for anyone to prepare beforehand. That's why man is confused at any kind of death. Through the works of Park Wan Seo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death was observed via the view toward death with its center on each impression and reaction of when that kind of death was felt as other's and when it was experienced as family's or their own. Lastly, as death coexisted with life, how it related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how death ruled over life were examined. And then, Park Wan Seo's contemplative view on the ordinary people who underwent daily lives(birth and living) and death in the solidarity with family, neighbor and others was compared with realistic aspect of a countermeasure based on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s the research on the process of 'birth, living, aging, getting sick, dying' carried out, the writer's respect for life and humanity could be observed so far. And this should be an outlook directing how Park Wan Seo's works will develop in the future. 박완서 작품의 경향을 살펴보면 작가가 6·25전쟁을 직접 경험하고 그에 대한 전쟁체험과 70년대의 급속한 산업화 및 근대화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비판적 시선, 80년대 들어서면서 관심을 갖기 시작한 여성문제 그리고 90년대에는 생명주의적 관점과 노년의 문제를 다루는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주제를 드러내는 박완서 작품에서 본 논문은 박완서 작품 속에 전반적으로 드러나 있는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생사관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박완서 작품에 드러난 삶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며 생명의 잉태와 탄생을 중심으로 삶에 대한 인식과 함께 생명존중 사상을 다루어 보았다. 박완서는 전쟁에서 다양한 삶과 죽음을 경험하면서 생명의 잉태와 탄생이 경건한 의식으로서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과 그에 해당하는 대우를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작품 속에 담아내고 있다. 또한 자신의 인생이 단순하지도 편안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박완서는 작품에서 생존을 위해 혹은 전쟁으로 남겨진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생명을 지키고 연장하기 위한 노력이 얼마나 처절했는지를 체험적으로 드러낸다. 이는 남성 부재의 상황에서 남겨진 여성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여성 가장들의 양면적 모성본능을 일깨우고 그것을 지키고 연장하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 일인지를 담아내기 위한 의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박완서는 이렇게 소중하게 여기며 지켜온 생명(삶)이 순리에 순응하면서 자연스럽게 늙어가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그러한 노년이 얼마나 존중받는 일인가를 일깨우고자 한다. 3장에서는 박완서 작품에 드러난 죽음을 살펴보며 인간의 삶 속에서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연구하며 죽음의 의미와 인간애를 함께 다루었다. 앞 장에서 잠시 살펴본 노년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서 이어지고 있다. 앞에서 순리를 따르는 늙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면 이 장에서는 박완서 작품에서 기존 세대에 해당하는 가장들이 젊은 세대에 의해 강요 혹은 억압을 당하며 늙거나 병들어가고 있는 현상, 그리고 소외당하는 어려움과 현실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의 삶 속에서 탄생은 예정일이라는 이름으로 예고되어 있으므로 미리 준비할 수 있다. 하지만 죽음은 누구에게나 미리 준비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서히 혹은 갑작스럽게, 어느 방식으로든 죽음을 맞이하게 되면 당황하는 것이다. 박완서 작품을 통해서 그러한 죽음을 타인의 것으로 느낄 때와 가족이나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일 때의 제각각의 느낌과 반응을 중심으로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에 의해 죽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박완서의 작품 속에서 죽음이 삶과 공존하면서 보통 사람들의 일상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 죽음이 삶을 지배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과 이웃, 혹은 타인과의 연대 속에서 일상의 삶(태어남과 살아감)과 죽음을 경험하는 보통 사람들에 대한 박완서의 관조적 시선과 직, 간접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현실적인 대응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이상으로 박완서 작품 속에서 ‘태어나고 살아가며 늙고 병들어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하며 작품 속에 드러난 작가의 생명존중 사상과 인간애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박완서 문학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그 방향성까지 유추할 수 있는 전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中國 神話에 나타난 女神 硏究

        송정화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1980's even though studies on chinese mythology in Korea have teen extensively progressed the theme on goddess has not been considered seriously. However, there have teen growing interests in the woman's past as well as modern life. In this regard it would te useful to study chinese goddess to meet two intellectual desires that are curiosity about chinese myth and woma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four important subjects. Before getting into the serious discussion. I outl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bout the birth of chinese goddess. In the 19th century, European attained anthropologic achievements to justify their colonial policy of imperialism. In particular, an investigation of maternal society has teen accomplished as a part of antruopologic study. Until today various archeological evidences suggesting existence of a maternal society have teen discovered in china. Abundant archeological remains such as ancient chinese literatures and documents, maternal customs In the Yin(殷) dynasty, and godcess' shrines and sculptures make it clear that the maternal society existed in ancient china. In maternal system women played a central role so that the original form of chinese myth retained lively figures of goddesses, But after a patriarchal system, chinese myth should have teen recomposed with male oriented system. Thus, in the present paper I tried to shed light on the chinese goddesses which have been kept in myth. First of all, I classified goddesses into three groups, i,e., the Great Mother, nature goddess and culture hero. Among them most of chinese goddesses belong to the Great Mother and nature goddess, because in ancient times women were worshipped as the Great Mother and seemed to be closer to nature than man. Secondly, by means of analyzing images of goddesses, I tri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woman and ideology, woman and nature, woman and original deliberation in early times, Since images can present social, cultmal and psychological meanings, it is believed that analyzing goddesses' images can be a pathway leading us to the thought of early man Consequently I classified images of chinese goddesses into four groups. The first is the so called non-differentiated image of goddess who doesn't have a specific gender, has hybrid figure of man and animal and lives on the border line between others and myself. The second is those goddesses who are either an assistant or a spouse of god. As the maternal society evolves into the paternal society, the images of chinese goddesses transformed from the Great Mother to a supporter of god. The third and fourth are goddess' images portrayed as human and as natmal objects, respectively. Thirdly, I paid attention to what the chinese goddesses' features and the peculiar function of chinese woman's myth wer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two puposes I adcpted a comparative mythological method between chinese myth and Greek·Rome myth. I found that chinese goddesses are relatively primitive in companson to Greek·Rome's, since the former possessed dignity of the Great. Mother and hybrid images. These two aspects suggest that chinese goddesses preserve primitive characters, Another fascinating feature of chinese goddess is its kaleidoscopic character. Since the period of maternal society prcducing goddesses, their divinity had converted into a variety of forms, from female to male or from the Great Mother to a spouse of god. In some sense, these changes would be negative to goddesses, because it could induce decline of goddess' authority. On the other hand, as time went by, chinese goddesses as immortals of Taoism could thrive again, which was comparable to the glory that they had enjoyed during the ancient time. Taoism could help some chinese goddesses revive and be worshipped again. In the cases of Greek· Rome goddesses, it is easy to define goddesses' divinities. They can be classified systematically into appropriate divinit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s, But in the case of chinese goddess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divinities, due to concise descriptive style of chinese myth without providing any detailed explanation. The fourth that I studied in this thesis is the chinese goddess' various figures represented in chinese literatures, I attempted to examine chinese goddess' archetype as a subject, motif, and its effect on literatures. Through the analysis about chinese novel and poetry, I found that chinese goddess as a archetype provided diverse stories, fantastic atmosphere, and various subjects of literature, and it helped the literature developed into a new dimension. In these days, as a reflection on the reason-oriented thinking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of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t this point of time I believe that studies about chinese goddesses have a great value. It can lead us to evoke mythologic imagination and speculate on woman's identity.

      • 다층 모형을 적용한 학생 행복의 설명요인 탐색

        송정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다층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행복의 설명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에서 심리적 특성, 가정환경, 학업성취는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 행복은 어떠한 학급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셋째, 학생 수준 변인에 따른 행복이 학급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가? 선행 연구 분석과 예비 조사를 통해 학생의 심리적 특성, 가정환경, 학업성취를 학생 수준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교사 배경, 교사의 심리적 특성, 교사 행복, 학급의 심리적 특성, 학급 풍토를 학급 수준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전북 지역의 초등학교 45개 학급, 총 1,408명, 고등학교 43개 학급, 총 1,287명, 총 88개 학급, 총 2,69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변인들은 위계적인 2수준(학생과 학급 수준)으로 구성되어 HLM 6.08 for window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 수준의 심리적 특성, 가정환경, 학업성취는 학생의 행복을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생 행복에 대한 심리적 특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가정환경, 학업성취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학급 수준 변인의 설명력을 확인한 결과, 교사 배경 중 성별은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의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적 특성은 주관적 안녕감에만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교사 행복은 학생 행복의 유의한 설명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의 심리적 특성 중 학급 자아탄력성은 초등학생의 행복을 설명하는 중요 변인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의 행복은 학급 목표지향성과 학급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났다. 학급 풍토는 주관적 안녕감을 더 높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준 변인들이 학생 행복에 미치는 효과는 학급 수준 변인들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학생 행복을 설명함에 있어 상호작용 효과에 따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 분수의 곱셈, 나눗셈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난 장애 요인 분석

        송정화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이 관련된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이 겪는 장애는 무엇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요인에는 지식과 관련된 요인, 신념과 정서적인 요인, 조절 요인, 사회문화적인 요인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 중 지식적인 측면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분수의 연산과 계산을 모두 학습한 전라북도 군산의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39명과 N초등학교 학생 5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적인 분수 계산과 관련된 검사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계산 능력을 파악하였고,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과 관련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장애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과서와 수학 익힘책에 있는 평범한 문제들로 이루어진 검사지를 작성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계산 과정에서 곱셈과 나눗셈 모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 다른 연산과 혼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분수식의 대소 비교를 할 때, 분수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비교하면 쉽게 해결되는 문제도 모두 계산을 통해 해결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는 학생들이 분수 계산을 올바르게 하더라도 분수와 분수 연산에 대한 개념적 지식은 매우 빈약하며, 이것이 분수 계산시 여러 오류나 장애를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일상적인 언어 표현을 분수라는 수학 표현으로 바꾸는데 장애를 겪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장 반’이라는 표현을 ‘1(1/2)’로 생각하는 것과 ‘a의 b 분의 c’라는 표현을 ‘a×c/b’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분수 학습시 일상 언어와 수학 언어 사이의 간극이 존재하며, 이러한 간극을 좁히는 것이 성공적인 분수학습의 필요조건임을 의미한다. 셋째, 그림을 보여주고 적합한 식을 만들어 보는 문제,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을 고르는 문제, 주어진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장제 문제를 만들어 보는 문제 등에서 학생들이 많은 오답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매우 빈약함을 보여주며 분수 개념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과 알고리즘 위주의 교과서 구성과 수업 전개가 그 주된 이유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알고리즘 위주의 분수 지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개념적 지식이 빈약한 상태에서 여러 알고리즘에 대한 지도는 여러 알고리즘의 혼동과 간섭을 일으켜 많은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의미에 대한 철저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자연수에서의 곱셈과 나눗셈을 분수로 자연스럽게 확장시키는 교수학적 처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귀납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이 일상 언어를 수학적인 표현으로 바꾸는데 많은 장애를 겪는데, 이러한 고려가 교과서나 교사에게 부족하므로 세밀한 지도가 필요하다. 아울러 식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그림으로 표현된 바를 식으로 변경하는데도 많은 장애를 겪고 있다. 이는 교과서에서 연산의 의미를 지도하기 위해 도입된 그림 표현에 대한 심층 분석을 요구하며, 이러한 활동이 명시적인 분수 지도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문제 해결시 겪게 되는 장애와 그 요인에 대하여 지식적인 측면만을 살펴보았는데, 영역을 확장하여 살펴보는 것이 분수 수업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what obstacles elementary schoolers go through in solving questions related to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and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In general, there are such factors as knowledge factors, belief and affective factors, contro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students' problem solving. This study deals with only knowledge aspects. The research was done with the subjects of 98 students in the 6th grade in two elementary schools at Gunsan. They have already learned the operation and computation of fractions. The computation abilities of those students were tested through the test papers related to basic fraction computation. Some tes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test papers composed of ordinary questions in math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of the 5th and 6th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solving questions related to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computation, students are confused with other operations. In comparing two fraction expressions, if the process is on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conception of fractions, it can be easily solved. But they tend to use computations to solve those easy questions. The reason is that students lack the conceptional knowledge of fractions and those operations and it can cause them to make mistakes and have difficulties in solving those questions. Second,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changing usually used linguistic expressions into mathematical fraction expressions. For example, they do in changing 'one and a half' into ‘1(1/2)’, and 'a and c of b' into ‘a×c/b’. It mean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usual languages and mathematical languages, and some treatment to bridge the gap is needed. Third, many students make wrong answers in the process of solving such questions as questions with figures, questions to select equations to solve sentence questions, and questions to make sentence questions to solve questions through given equations. It shows that they lack conceptional knowledge about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It is that they lack the understanding of fractions itself and teachers focuse on not the operation concepts but algorithms and computation procedures. There are suggestions for teaching fractions comput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First, the teaching of fractions must not be centered on algorithm. Students are lacking in conceptional knowledge. In this situation, if teachers teach them only various algorithm without focusing on the operation concepts, they can make many mistakes. Second, teachers must teach them about the meaning of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o do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multiplications and divisions of natural numbers into fractions. Inductive approaches are needed to do that. Third, although students have difficulty in changing everyday languages into mathematical expressions,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don't seem to take this situation seriously. Also they have trouble in changing equations into figures and vise versa. To teach the meaning of operations, the further analysis of figurative expressions is needed. This thesis deals with only the knowledgeable aspects of those obstacles and factors that most students go through in solving the questions of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he further studies and the subsequent researches are needed to improve the teaching about fractions and their op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