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B 개념 기반 탐구수업과 IAPC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상호보완 필요성과 가능성
송윤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5 국내석사
IB 개념 기반 탐구수업과 IAPC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상호보완 필요성과 가능성 송윤정 윤리인성교육전공 과학 기술 정보의 발전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너무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고 교육의 개선과 개혁 은 필수적이다라는 판단에 이르렀다. 그에 대두된 것이 미래교육이라는 이 름으로 IB 교육이다. 처음 연구의 시작은 국제 공인 교육과정인 IB 교육이 대한민국 공교육의 미래교육을 대신할 수 있을까 하는 착상이었다. 그래서 초등학교 프로그램인 IB PYP의 수업방법인 개념 기반 탐구학습과 IAPC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을 비교·분석하며 상호보완의 필요성과 가능 성을 찾아보려고 하였다. IB 개념기반탐구학습과 IAPC 철학적 탐구공동체 의 공통점은 탐구와 질문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에 주체성을 갖 고 학습에 임한다는 것이다. IB 개념기반탐구학습과 IAPC 철학적 탐구공동 체은 교과 내용의 습득 이외에 사고 능력의 향상도 교육목표의 하나로 상정 한다. 그래서 미래교육의 핵심역량으로 손꼽히는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의 발전을 공통으로 주목한다. 다른 것은 학습자의 외부에 존재하는 교과의 체제와 개념 이해를 위해 개념 기반 탐구학습은 반성적(메타인지적) 사고를 지적 수준에 의한 초점 질문으로 체계화 했고, 대화를 주탐구 방법으로 사 용하는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학생들의 머릿 속에서 일어나는 정신동작들을 알아채는 것을 메타인지적 사고라고 하였다. 교육활동을 구성하는 학습자와 교육과정이 모두 중요하게 존중받고, 학생의 경험과 교과의 구조가 서로 대립 하지 않아야 한다면 초점 질문과 사고기술들을 분리하지 않고 수업시간에 적 절히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개념 기반 탐구학습에서 대화와 토 론을 할 때는 배려적 사고를, 철학적 탐구공동체에서 사회과학 탐구를 할 때는 반성적 사고를 하여 양자 사이를 유연하게 오갈 필요가 있다. IB의 핵심통찰력을 지지하는 브루너는 어떤 교과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 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IB DP의 지식이론을 초등학교에서도 가르칠 수 있고, 그것을 실현한 것이 립맨의 IAPC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이라고 볼 수 있다. IB 개념 기반 탐구학습이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많은 접점을 갖고 있고 상 호보완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무리하게 도입함으로써 교육정책적인 면에서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기약없는 예산의 지출, IB 연구학교 시스템의 허점, 공교육의 외주화로 인한 교육주권의 문제, 대입에서의 형평성과 공정 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의 핵개인주의적 상황과 미래 교육이라는 의미에 대 하여 성찰하며 학교 교육이 변함없이 지켜나가야 할 교육적 사명과 가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로써 ‘철학함’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전통주의 와 진보주의 양극단을 오가며 교육에서 설 자리를 잃었던 교사의 가르침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교사의 역동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피력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교육계는 유행하는 교육사조에 휩쓸려 하향식 교육 정책을 강행하지 말고 우리 사회의 특성과 요구에 맞은 교육과정을 개발해 야 한다. 핵심어 : IB, IAPC, 개념 기반 탐구학습, 철학적 탐구공동체
송윤정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논문은 노인들의 정보화교육의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노인정보화교육의 만족도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06년 3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정보화교육을 1개월 이상 교육받은 노인 중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166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종속변수로는 컴퓨터 교육의 전반적인 만족도로 하였으며,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요인을 컴퓨터교육의 일반적인 사항, 교재의 내용과 교육방법, 강사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교육환경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하위변수들이 교육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정보화 교육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35명 ‘만족’이 89명, ‘보통’ 42명으로 평균 3.96(5점척도)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첫째, 컴퓨터교육의 일반적인 사항의 하위 변인 중에서 수업의 이해도가 높을수록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교재의 내용과 방법의 하위 변인 중 교재의 내용이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되어 있을수록 교육만족에 영향을 주고, 셋째, 강사에 대한 하위변인 중 강사가 수강생들에게 교육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교수방법이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환경의 하위 변인으로는 컴퓨터가 최신기종일수록, 그리고 교육기관의 직원이 친절할수록 교육만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응답자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한 달 수입(용돈)이 넉넉할수록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강사의 강의 전달방법과 직원들의 친절이 노인의 정보화교육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노인수강자와의 감정적, 정서적 유대가 노인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장에서의 강사, 직원, 교육생간의 친밀한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미분양 주거용부동산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기법에 관한 연구
송윤정 江南大學校 不動産行政大學院 2009 국내석사
In Korea real estates, especially residential estates are very important to the people and to the nation also, and from now on the turbulence of real estate will increase than ever before with that of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marketing techniques are suggested as a strategical alternative to promote unsold residential properties. Three basic strategies and four marketin-mix strategies are identified. Three basic strategies are Reaction to market change, Long and mid-range sales plan, and cultivation of personnel. Four marketing-mix strategies are identified. Product strategy, price strategy, communication strategy and government politics/institution strategies. To these times real estate market was reigned by suppliers, but the hegemony of the market is moving to demanders. This is connected to the change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cess, a change from hardware-oriented to software-oriented. The theme of this study is to remind the developers that more concern is necessary to marketing than ever before and more elaborated marketing techniques are needed.
文化財 保存과 復元에 관한 硏究 : 木造 文化財를 中心으로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notion of cultural assets and the present condition, the need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fire and a white ant on cultural assets and the study case of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xecuted by Korea. Also this paper tried to find various ways for preserving cultural assets through the different methods of scientific preservation of and the case. Our people has been keeping the original and excellent tradition and the spirit during the long history of five thousand years. So we have a mission to turn over it using the ancestors’wisdom about life and the spirit to descendants as a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culture through the brilliant cultural assets that has been succeeded for thousands and hundred years. The cultural assets had been looted and damaged by invasion often, a rebellion and the Korean War in the past. In modern times, our cultural assets has been losing the importance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 recent, the interesting for cultural assets is growing up and the policy for preserving cultural assets is getting pretty organized. However, that’s poor preservations and restorations comparing with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and the importance. This article tried to study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and restoration. In the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method was discussed, in the chapter 2, for the definition of cultural assets, classification of cultural assets and the present condition, the no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nd the need and the cause of cultural assets damaged, in the chapter 3, for the properties of wooden, the meaning of conservation science, the method of conservation science and the case. In the chapter 4 as a conclusion, it tried to suggest the way of improving and developing in the future. The scientific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began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in Europe. Korea introduced conservation science to the excavated relics in Anapji, Gyeongju in 1976. In 2003, resin technique had been used for restoring Gukrak-Pavilion of Bongjung-Temple, Andong, but at this distance of 8years, it is in danger of collapse because the wooden is out of the line and the girders are broken. As seeing the case of Gukrak-Pavilion of Bongjung-Temple, Korea needs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restoration. It has to apply properly to the traditional technology and the scientific technology for restoring to its own figure. And then it may turn over to descendants, so it can transfer the pride of people and the cultural excellent. The week point for preservation of our cultural assets and restoration is people’s lower cognition for cultural assets, poor study of the governm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nd a shortage of professional technicians. The solution for this week point is to train the professional technicians, to have a high level of training for cultural assets, to develop conservation science of cultural assets, and to be supported by the protection policy of cultural assets in the government and a local government. And then it can help to preserve our important cultural assets, additionally, Korean status will be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의 개념과 문화재 현황, 보존·복원의 필요성과 환경오염, 화재, 흰개미 등이 목조문화재에 미치는 피해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훼손 사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목조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의 여러 방법과 사례를 통해 문화재의 보존의 다양한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리 민족은 반만년이라는 오랜 역사를 이어 오면서 독창적이고 우수한 전통과 정신을 지켜오고 있다. 수천 년 수백 년을 고스란히 계승해온 찬란한 문화재를 통하여 선조들의 삶의 지혜와 정신을 새로운 문화 창조의 밑거름으로 하여 후손들에게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사명이 있다. 과거 잦은 침략과 내란, 6·25전쟁으로 문화재들이 약탈, 훼손되어지고 근대에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을 잃어가고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서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문화재 보호에 대한 정책이 어느 정도 체계를 잡아가고 있지만 문화재의 가치와 중요성에 비해서 보존과 복원이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논하였고, 제 2장에서는 문화재의 정의와 문화재 분류·현황과 문화재 보존의 개념과 필요성, 목조문화재의 훼손 원인 등을 논하였으며, 제 3장에서는 목재의 성질과 보존과학의 의미와 보존과학 방법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결론에서는 앞으로의 개선방안과 발전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은 20세기 중반에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보존과학의 도입이 1976년에 경주 안압지 출토 유물에 도입되었다. 2003년 안동 봉정사 극락전 복원공사에서는 수지기법을 사용하였으나 미숙한 과학적 점검으로 8년이 지난 지금 목재 이탈과 대들보의 부러짐 등으로 붕괴위험에 놓여있으며 봉정사 극락전의 예를 보더라도 우리나라는 문화재 복원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복원에는 전통기술과 과학기술을 적절히 응용해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귀중한 문화유산을 후손들에게 물려줘 민족의 자긍심과 문화적 우수성을 전달해 주어야 한다. 현재 문화재 보존·복원에 대한 취약점은 국민의 문화재에 대한 낮은 인식과 정부의 연구 조사 및 보존·관리의 취약점, 전문 인력 부족 등이 우리 문화재 보존·복원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 방안으로 전문 인력 양성과 수준 높은 문화재 교육, 문화재 보존과학 발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보호 정책이 뒷받침 되어질 때 귀중한 우리 문화재의 보존과 더불어 국가의 위상도 높아질 것이다.
송윤정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This is a study for 1) knowing that how much local residents understand their local community and school and that how much they have leisure lives and is for 2) analyzing that how much they have common spirit values for their community and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their education and community problems and is for 3) providing solutions for improving local school and local community. To accomplish the above purpose, document study and research work have been tried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documents, study provides the importance and conception of lifetime education and the local community school's introduction as the good relation way between lifetim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local community school movement's understanding, and the school management at the present time. Also, survey has been performed for knowing that how local community school's management influences local community and school and for solving the problems from local community. Four villages or districts located in YANGJU County were surveyed through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e.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verage, percentage(%), and dispersion (X^(2)) is used and static tolerance is 5%. The study result is following. 1) Survey about leisure time, local residents have mostly 1~3 hours a day for their leisure time. They spend mainly reading newspaper and watching TV. Even on the weekend, reading newspaper and watching TV occupies the 46.6% of their whole leisure time. 2) Survey about reading quantity, no reading is 51.2%. There is no distinction for sex, age, education, and job. 3) About participating into local community school, answer "YES" is 46.8%. And 76.3% answers that students should be owners for school. It is highly estimated school facilities should be open to everyone. 4) Local school institutes are recommended for the community education place of local residents. Education program on weekend is preferred. 5) For the recognition of community school, 50.9% has poor understanding of it and 46% answers that they will positively participate into community school. They hope that proper programs for all family members will be offered and tuition and fee will be partly charged. 6) The biggest one of local community issues is for teen-age (48.2%). The others are garbage issue and traffic issue. It is highly estimated that community school will affect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school and will solve local community problem. There are positive examples for one subject that local community school will influence local community and school development. "To use school utilities as teenagers' play ground and to make good relation between home an school will keep teenager from deviation". "Various local residents' meetings help the growth of love for school and community". "Community school as the public institute of local community will re-educate local residents to improve their spirit valu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and school because of good relationship among local residents." "It will be economically good". Through local school's activities, residents will be interested in their local community and mutual belief between residents will grow up". "residents will hav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negative opinions for saying that "local community school will provide overwork to school teacher" It will be faced with difficulty due to untrained school management".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 분석 : 선율유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송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Sanjo is a form of music which represents unique beauty and its personality is based on rhythm, melody, the beauty of form and spirited sounds. In Sanjo musical expression, musical structure and an understanding of logical melody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express 'working in perfect harmony', and this is really important in terms of artistic completion of Sanjo music and for the inspiration the performer and audience feel. By classifying melody's musical structure, examining how the melody is located in a music, analyzing 'each type of the melody's personality and structure of Jinyangjo's melody, rhythm and Sigimsae(Korean grace note) of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this research paper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is composed of ①25 of Proposing melody(A), ②3 of Proposing and developing melody(A'), ③33 of Developing melody(B), ④25 of Emphasizing melody(C), ⑤3 of Emphasizing cadence melody(C'), ⑥13 of Cadence melody(D), ⑦8 of Half-cadence melody(D'), ⑧7 of Exemplifying melody(E). These aspect were examined by analyzing and examining each type of the Jinyangjo's melody, rhythm and Sigimsae(Korean grace note) of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subdividing to 'Proposing melody(A)', 'Proposing and developing melody(A')', 'Developing melody(B)', 'Emphasizing melody(C)', 'Emphasizing cadence melody(C')', 'Cadence melody(D)', 'Half-cadence melody(D')', 'Exemplifying melody(E)'. Second, by examining this specific type of Jinyangjo's melody, rhythm and Sigimsae(Korean grace note) of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we found out that it is composed of these structure; 'The chapter 1 Ujo : A-B-C-D-A'-E', 'The chapter 2 U cheong gyemyeonjo : A-B-C'-A-B-C'-A'-C-D'-D', 'The chapter 3 Doljang, Pyungujo-Gyemyeonjo : E-A-B-D'-E-A-B-C-D', 'The chapter 4 Pyungjo-Gyemyeonjo : A-B-C-E-A-C-D', 'The chapter 5 Pyunggyemyeonjo : A-B-C-E', 'The chapter 6 Jingyemyeonjo : A-B-C-B-C-D'-D', 'The chapter 7 Gyemyeonjo : A-B-D'-D', 'The chapter 8 Gyemyeonjo A-B-C-D'-E', 'The chapter 9 Jingyemyeonjo : A-D'-A-B-C-D', 'The chapter 10 Byuncheong Jingyemyeonjo : A-B-C-D', 'The chapter 11 Gyemyeonjo : A-B-C-D', 'The chapter 12 Gyemyeonjo-Utcheong, Gyemyeonjo-Gyemyeonjo : A-B-C-D'-D', 'The chapter 13 Gyemyeonjo : A-B-C'', The chapter 14 Gyemyeonjo-Utcheong, Pyungjo-Gyemyeonjo : A'-C-E-A-B-D', 'The chapter 15 Gyemyeonjo-Ujo-Gyemyeonjo : A-C-B-D'-A-B-C-D' and so forth. Third, by analyzing the personality and structure of 11 melody types, the melody and structure basic point of 'Cadence melody(D)', 'Half-cadence melody(D')', 'Exemplifying melody(E)', the paper shows the following observations: ① Type A-D' and ② Type A-E' appeared only once as 'Cadence melody type', and it is seen as a bridge which connects with the other melodies making a perfect harmony, whereas it can not complete this on its own. ③ Type A-B-C' finished as 'Emphasizing cadence melody(C') which is mixed 'Emphasizing melody(C)', 'Cadence melody(D)', and appears to reduce melody structure type 3 times. When several themes are proposed in a row changing in same key, it is used to start another theme finishing the first theme, not missing the atmosphere of the music and connecting with each theme. ④ Type A-B-D appeared only once, ⑤ A-B-D'-D(A-B-D'-E) appeared 2 times and both connect with another rhythms smoothly. ⑥ Type A'-C-E and ⑦ Type A'-C-D'-D only appear once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 reduced structure mixed 'Proposing melody(A)' and 'Developing melody(B)'. ⑧ The parts which start one theme; propose it, develop it, and makes a tension of the music more and finally finish the parts by connecting with Boncheong reducing the tension, appears 9 times in the form of A-B-C-D or A-B-C-E. ⑨ Type A-B-C-D'-D(A-B-C-D'-E) appears 2 times as an expanded type, and this personality finishes it by reducing a tension by a long breathing as added Half-cadence melody(D') on basic type. ⑩ Type A-B-C-B-C-D'-D appears only once and is also considered as a reduced type of 2 type of breathing. ⑪ Type A-C-B-D' appears only once and is the only type which 'Developing melody(B)' and 'Emphasizing melody(C)' are switched relaxing a breath for a long time so that it can make the cadence well. This research is only limited to Jinyangjo of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Therefore, it should be studied and analyzed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played and interpreted focusing on the personality and a breath of this structure of Jeongnamheeje Hwang byung-gi Gayageum Sanjo which is developed logically by a lot of musical expressions and the melodies. 산조는 일정한 장단 속에 나타나는 선율을 연주자들이 그들만의 기교와 즉흥적인 신명을 분출하며 독특한 멋과 개성미를 표현하는 기악곡이다. 이 때 산조의 음악적 구조와 논리적으로 짜인 선율전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그 멋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연주자나 청중이 느끼는 감흥과 산조음악의 예술적인 완성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의 선율 및 리듬, 시김새를 중심으로 선율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구분하여, 선율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첫째,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의 선율, 리듬, 시김새 등을 분석하여 제시선율(A), 제시발전선율(A'), 발전선율(B), 강조선율(C), 강조종지선율(C'), 종지선율(D), 반종지선율(D'), 예시선율(E) 등으로 선율유형을 세분화한 결과, ① 제시선율(A) 25장단, ② 제시발전선율(A') 3장단, ③ 발전선율(B) 33장단, ④ 강조선율(C) 25장단, ⑤ 강조종지선율(C') 3장단, ⑥ 종지선율(D) 13장단, ⑦ 반종지선율(D') 8장단, ⑧ 예시선율(E) 7장단 등으로 나타난다. 둘째,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의 선율유형 분석을 토대로 각 악장의 선율구조를 살펴보면 제1장 우조 A-B-C-D-A'-E구조, 제2장 웃청 계면조 A-B-C'-A-B-C'-A'-C-D'-D구조, 제3장 돌장, 평우조-계면조 E-A-B-D'-E-A-B-C-D구조, 제4장 평조-계면조 A-B-C-E-A-B-C-D구조, 제5장 평계면조 A-B-C-E구조, 제6장 진계면조 A-B-C-B-C-D'-D구조, 제7장 계면조 A-B-D'-D구조, 제8장 계면조 A-B-C-D'-E구조, 제9장 진계면조 A-D'-A-B-C-D구조, 제10장 변청 진계면조 A-B-C-D구조, 제11장 계면조 A-B-C-D구조, 제12장 계면조-엇청 계면조-계면조 A-B-C-D'-D 구조, 제13장 계면조 A-B-C'구조, 제14장 계면조-엇청 평조-계면조 A'-C-E-A-B-D구조, 제15장 계면조-우조-계면조 A-C-B-D'-A-B-C-D구조 등으로 나타난다. 셋째, 종지선율(D) 또는 반종지선율(D')과 예시선율(E)을 기점으로 하여 총 11가지의 선율구조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성과 짜임새를 분석한 결과, ① A-D'유형과 ② A'-E유형은 제시됨과 동시에 종지하는 선율구조유형으로 각각 1회씩 나타나며, 그 자체가 완전한 선율구조를 이루지 않고 다른 선율과 연결하여 하나의 큰 구조를 만든다. ③ A-B-C'유형은 강조선율(C)과 종지선율(D)이 합쳐진 강조종지선율(C')로 종지하며 총 3회 나타난다. 조성은 변화하지 않고 몇 가지 주제가 연달아 제시될 때, 한 주제를 종지하되 긴장의 분위기를 유지시키며 다른 주제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④A-B-D유형은 1회, ⑤ A-B-D'-D(A-B-D'-E)유형은 2회 나타나며, 강조선율(C)이 생략된 유형으로 부드럽게 다른 장단과 연결된다. ⑥ A'-C-E유형과 ⑦ A'-C-D'-D유형은 각각 1회씩 나타나며, 제시선율이 발전선율과 합쳐져(A') 축소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⑧ A-B-C-D 또는 A-B-C-E유형은 총 9회 나타나며, 하나의 주제가 시작되고(A) 그 선율이 발전(B)․강조(C)되어 긴장감이 고조되었다가 분위기를 이완시키며 본청으로 연결하여 종지하는(D, E) 완전한 선율구조를 보인다. ⑨ A-B-C-D'-D(A-B-C-D'-E)유형은 2회 나타나며, 기본유형(A-B-C-D)에 반종지선율(D')이 더해짐으로써 긴장된 선율을 천천히 이완시키며 종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⑩ A-B-C-B-C-D'-D유형은 1회 나타나며, 2개의 호흡이 하나로 축소된 형태이다. ⑪ A-C-B-D'유형은 유일한 변형구조로 1회 나타난다. 발전선율(B)과 강조선율(C)의 자리가 바뀌어 선율이 시작됨과 동시에 급격하게 긴장되었다가 천천히 이완시켜 절제된 느낌의 종지감을 더욱 살려준다. 이 논문은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에 제한된 내용으로 그 범위를 넓혀 많은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선율에 따라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의 특성과 그 짜임을 살펴 해석․연주되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비만도와 영양지식, 신체활동량 및 체력과의 상관연구
송윤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신체조성을 측정하여 정상군(BMI<23), 비만군(23≤BMI)그룹과 성별에 따른 식습관, 영양지식 및 신체활동량과 체력수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생활습관 형성과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체력적인 요인에서 남학생은 심폐지구력과 순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여학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조사대상자의 신체활동량에서는 성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격렬한 활동, 중간정도 활동, 총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 희망주제에서는 체중조절과 올바른 식습관에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체중조절 희망주제와 체중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양관련 정보를 얻는 곳은 첫 번째로 부모님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는 대중매체로 나타났다. 4. 조사대상자의 체력과 영양지식 및 신체활동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1) 체력과 영양지식의 상관관계에 있어 남학생은 영양지식과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여학생의 경우 체력과 영양지식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활동과 영양지식의 상관관계에 있어 남학생의 경우 중간정도의 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총 신체활동량에서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활동과 체력간의 상관관계에 있어 격렬한 활동은 근지구력과 순발력, 중간정도 활동은 순발력, 걷기 활동은 근지구력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총 신체활동량에서는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 발달과 함께 인식이 형성되는 시기로써 영양지식과 신체활동의 중요성은 ‘예방적 차원’과 함께 비만학생들의 ‘치료적 차원’에서 학생의 특성에 맞게 파악하여 맞춤화된 접근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지식이 높다고 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하고 있지는 않았고.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으나 실제로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영양교육이 지식 전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식행동 변화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효과적 영양교육을 위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체활동 또한 줄어들고 있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강화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이러한 과정은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정착화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seeks to provide basic data to avoid obesity and to form good daily habits for youths by looking into the eating habit, nutritional knowledge and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normal (BMI<23) and obese (23≤BMI) groups of High School Seniors whose physical data was collected. 1. Among the physical factor of the subject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quick adaptation of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ne in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2. About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subjec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roups active activity, middle-level activity, total physical activity amount, physical activity group both in male and female students. 3. There was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weight reduction and good eating habit for the subjects' desirable nutrition education topic.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weight reduction as desired topic and weight reduction. For the source of nutrition related information, parent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 choice. The second was mass media. 4.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trength, nutritional knowledge and physical activity was researched. 1) Regarding the physical strength and nutritional knowledg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for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ne in the physical strength and nutritional knowledge. 2)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knowledge,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id-level activity, and also the total physical activity amount. 3) Regard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strength, relationship was shown for active activity in muscular endurance and quick adaptation, mid-level activity in quick adaptation, walking in muscular endurance the total physical activity in muscular endurance and quick adaptation. In summary, youth is the time when awareness is formed along the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so the importance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physical activity needs preven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which i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 of students. Those with high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does not always have good eating habits. High need of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 lack of practice was shown in the students’ action.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not end in transferring knowledge but requires standardized education process as the eating activity can also change. Various physical activity enforcement program at school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for the youth. Institutional support must follow so these processes can be set up in the society as well as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