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환승포트 開發方向에 關한 硏究 : 東大門運動場 주변 都市設計를 中心으로

        송기훈 漢陽大學校 都市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의 공간구조가 다원화되어가고 다원화된 도시공간을 연결하는 통행수단도 유․무형으로 다양해져가고 있다. 따라서 도시내 및 도시간의 연결거점이 어떤 체계를 갖추어야 하는가의 문제가 도시를 계획하고 정비하는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환승포트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환승기능과 지역의 교통 순환 및 분산기능 그리고 인접지 및 역사내 토지이용 등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화된 도시개발을 의미한다. 서울의 경우는 1996년 81개 중심지를 가진 다핵구조로 변하였으나, 서울의 중심지체계는 중심지들과 활동 축간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아 심각한 교통문제와 지역간 불균형을 유발시키는 도심집중형 중심지체계를 가지고 있다. 환승포트는 네크워크 중심지 체계로 변화하는 서울의 공간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기반시설로써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공간변화에 따른 환승체계와 이용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환승시설의 개발방향에 대해 제시하고 대상지를 선정, 적용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서울시의 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통행특성 및 환승패턴을 분석하여 생활권역(서남, 서북, 동남, 동북)을 중심으로 서울시의 환승권역과 환승입지 대상지를 제시하고, 대중교통 이용상의 문제점과 환승시설의 설계규범을 통해 개략적 설계기준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방향을 적용하기 위해 동대문운동장 주변의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해 대상지의 도시설계와 환승포트 건축설계안을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제안을 할 수 있었다. 첫째, 지하철 노선을 간선교통의 중심축으로 설정한 다음, 지선교통수단인 신교통망→버스→마을버스․택시의 위계순서로 환승입지대상지역의 여건에 적절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보완적인 교통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환승체계를 구축한다. 둘째, 도심내 주요 결절점이 되는 지하철 환승역세권 주변은 시내․외버스터미널, 신교통시스템 등 연계교통시설의 발착역이 되도록 계획한다. 셋째, 환승에 이용되는 각 교통수단간의 수직적 분리를 통하여 환승시 유발되는 혼잡을 분산시키고, 환승시 소용되는 동선를 최소화시켜 환승광장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환승보행체계를 구축한다. 넷째, 환승시설을 단일기능으로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환승시설의 본래의 의미와 더불어 지역의 중심기능들과 연계한 복합 개발구상을 추진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개발방향으로 계획한다. 다섯째, 환승포트는 규모와 기능 등을 고려해 볼 도시구조 및 도시기능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소이므로, 도시내 주요 공공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적인 측면에서 장기적인 구상을 가지고 계획한다.

      •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과 이산화탄소 개질 반응의 비교 연구를 통한 Ni-YSZ 촉매의 비활성화에 관한 연구

        송기훈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i-YSZ cermet catalyst with or without K2Ti2O5 additives was studied under various types of methane reforming condition; steam reforming, CO2 reforming, mixed reforming. The appearance of deactivation of Ni-YSZ is quite different. The amount of deposited carbon is much larger after steam reforming than CO2 reforming, but Ni-YSZ catalyst deactivated continuously during CO2 reforming. The addition of K2Ti2O5 additives definitely lower carbon deposition on both types of reforming, but can not improve stability on CO2 reforming, and even reduce Ni-YSZ activity. Mixed reforming on Ni-YSZ and with 10wt% K2Ti2O5 was also performed. The addition of steam decreased deactivation rate of Ni-YSZ, but it can not prevent deactivation totally. Switching test of steam and CO2 reforming over Ni-YSZ tell us its reaction mechanism is different. The deacti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catalyst independently occurs on steam and CO2 reforming condition respectively.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team reforming might follow mono-site mechanism, while CO2 reforming might follow dual-site mechanism. The carbon deposition, mainly considered as reasons for catalyst deactivation on reforming reaction, seems not a critical factor on CO2 reforming of methane over Ni-YSZ. From the result of switching test, poisoning occurs in two ways, one is on Ni active site which could be regenerated on steam reforming, the other occurs on Ni and ZrO2 perimeter, possibly responsible for catalyst deactivation on CO2 reforming. It revealed CO2 treatment can regenerate catalytic activity of Ni-YSZ while steam wasn’t effective at all for removal of poisoning reason. The process of both deactivation of Ni-YSZ on CO2 reforming reaction and its regeneration by CO2 treatment are not clear. Poisoning on Ni and ZrO2 perimeter might be possible cause so far, but it was not clearly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 정면충돌 시 복합 상해지수를 사용한 에어백 전개기준 평가 방법 개발

        송기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어백은 안전벨트와 함께 승객의 안전을 보호 하는 장치이며 지금까지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해왔다. 하지만 에어백 전개의 보호효과가 고속충돌 사고에서는 사망확률을 줄여주나 저-중속 사고에서는 오히려 상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등의 첨단 안전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어 저-중속 충돌 비중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저-중속 충돌 상황에서 에어백 전개 기준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사율과 삶의 질을 고려한 복합 상해지수 예측방법을 개발해 정면충돌사고 시 에어백 전개기준을 평가하고, 실제 충돌사고 데이터로 개발한 복합 상해지수 예측 방법을 검증하였다. 먼저 주요상해를 도출하기 위해 NASS/CDS(National Automotive Sampling System Crashworthiness Data System)에서 2006-2015년도, 정면충돌 사고(|PDOF|<30°), 차량 앞줄에 앉은 탑승자, MAIS2+의 제한조건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442건의 AIS2+의 주요상해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주요상해의 상해 메커니즘을 밝힌 문헌을 조사하여 주요상해에 대응하였다. 그런 다음 상해예측인자를 고려해 신체를 21개의 신체 부위로 분류하고, 유한요소 인체 모델인 GHBMC M50th v4.5 (Global Human Body Model Consortium-owned GHBMC Model, v4.5)에서 21개의 신체 부위의 상해예측인자로 상해확률을 도출 할 수 있도록 아웃풋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실제사고의 상해 패턴을 고려하기 위해 신체영역과 MAIS(Maximum Abbreviated Injury Scale)로 구분된 상해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 다음 정면충돌 해석에서 도출된 상해 확률에 기초하여 인체의 신체부위의 MAIS 수준을 예측하고, AIS정보를 부여하는 두 단계의 몬테카를로 샘플링(Monte Carlo sampling)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AIS정보로부터 NISS(Injury Severity Score), WBFCI(Whole Body Functional Capacity Index), P(death), LYL(Life Year Lost)과 같은 복합 상해지수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복합 상해지수 예측방법을 에어백 전개기준 평가 해석에 적용해 에어백 전개 기준을 수립하였고, 실제 사고 데이터와의 비교 검증을 통해 방법의 유효성을 보였다.

      •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의 매개효과 검증

        송기훈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ecent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outbreak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supply chain, and many organizations have com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etwork stabil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amidst the ongoing pandemic. Furthermore, the need for cold chain vaccine-related medicines is becoming increasingly apparent, and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the process of vaccine distribution as well as vaccine development is also becoming critical. Moreover, with increased consumer demand for food safety, the fresh logistics market is seeing a noticeable growth, and the necessity for a cold chain is becoming ever more crucial. Also,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ld chain 3PL grows with the opening of the logistics marke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maximize company performance by reducing logistics expens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llaboration, which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necte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ith corporate performance and on the assumption that logistics service quality is a key variable i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he shipper company.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collaboration a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Second,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indirec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rough collaboration?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related to cold chain 3PL for food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00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in the cold chain 3PL for food industry, and survey data of 26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1 and AMOS21 statistics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hipper company employees.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 difference test was also run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osition-, company size-, and industry-specific general characteristic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key finding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on. Seco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also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collaboration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the 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in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ignify that not only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directly affect corporate quality, but it also promotes collaboration and thereby enhances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reason, promoting collaboration and exploring ways to cooperat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ways that can benefit both parties seem essential i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or be used as fundamental data in verifyi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nd collaboration as key predicting variables of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d by shipper companies to secure a collaboration-centered expertise and to design a win-win process that benefits both the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the rapidly growing onlin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post-COVID-19 era. Therefore, taking into account that collaboration has a substantial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3PL in occasions such as new employee training, OJT, and in-company education.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펜데믹(pandemic) 상황의 연속으로 많은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중요한 요소로 여기게 되었다. 더불어 COVID-19로 인해 백신 관련 의약품 콜드체인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 되고 있으며 백신의 개발 뿐만 아니라 백신 유통간 발생하는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식품의 안전성 요구 증대에 따라 신선 물류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어 콜드체인의 필요성은 점점 더 부각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물류시장의 개방으로 콜드체인 3PL의 역할이 중요시 되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물류비 절감과 물류 서비스 향상으로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점과 콜드체인 식품 3PL의 기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더 나아가,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를 예견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가정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협업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과 협업은 화주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을 매개로 화주기업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267부의 설문자료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1과 AMOS21 통계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먼저 화주기업 임직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직급별, 기업규모별, 업종별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 간의 협업의 간접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업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이르는 직접경로와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통해 기업성과에 이르는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기업성과의 수준을 높이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주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업을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더 나아가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간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통해서 상호간 협력할 수 있는 상생 방안을 찾아 성과를 향상시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거나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콜드체인 식품 3PL과 연관된 화주기업은 COVID-19 이후 온라인 유통의 급성장에 대비하고 본 연구가 밝힌 협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3PL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화주기업과 WIN-WIN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구조모형에서 협업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입사원 입사시 입문교육, OJT, 회사내 보수교육시 사내 교육을 통해서 3PL과의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철 및 망간코팅사의 제조 조건 및 비소 제거 특성에 관한 연구

        송기훈 광운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an optimum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of manganese-coated sand (MCS) and iron-coated sand (ICS), surface characteristics of ICS and MCS, removal properties of arsenic and removal mechanisms through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in batch and column reactors. ICS and MCS was prepared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coating steps with various preparation parameters. The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influencing the arsenic removal efficiency because the crystallization extents of the metal oxides in MCS and ICS were dependent on the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As the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increased, crystal growth on the surface of MCS and ICS was apparent and finally formed pyrolusite(β-MnO₂) and hematite(α-Fe₂O₃), respectively, at high temperature due to a hydrothermal reaction. As the crystallization extents increased, the oxidation efficiency of As(III) by MCS and adsorption efficiency by ICS was greatly decreased.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moval efficiency of arsenic by MCS and ICS prepared by at different conditions, an optimum temperature and time for the secondary coating step was selected as 150℃ and 1 hr in each medium. Oxidation rate of As(III) by MCS and adsorption efficiency of As(V) by ICS increased as the solution pH decreased, suggesting a promising application of MCS and ICS in the treatment of arsenic contaminated in an acidic water. Adsorption isotherm of As(V) onto ICS was well expressed by Langmuir equation. Oxidation of As(III) was greatly reduced as the ionic strength increased while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As(V) on ICS was little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ionic strength as well as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electrolytes, except Na₃PO₄.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the formation of inner-sphere surface complex between As(V) and surface of ICS, which was supported by the FT-IR analysis of the ICS as well as model prediction by MINEQL software employing a diffuse layer model. To find an optimum column configuration in a column reactor packed with both ICS and MCS, the removal efficiency of As(III)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ratios of ICS/MCS. The best column system was identified as the equal ratio of ICS and MCS considering oxidation efficiency of As(III) by MCS and adsorption capacity of As(V) by MCS and ICS. From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e use of MCS and ICS in the treatment of As(III) and As(V) simultaneously in a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산화 및 흡착기작을 이용하여 As(III) 및 As(V)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망간코팅사 (MCS) 및 철코팅사 (ICS)의 최적 제조조건, 표면특성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회분식 및 연속칼럼 반응시스템에서의 비소제거 특성 및 반응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MCS와 ICS의 제조는 다양한 제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일차 및 이차의 두 가지 코팅단계를 통하여 이루어 졌는데, 비소제거효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는 담체 표면에 코팅되는 산화물의 결정구조를 변화시키는 이차 코팅온도로 나타났다. 이차 코팅온도가 상승할수록 MCS와 ICS가 수열반응에 의해 각각 pyrolusite(β-MnO₂) 및 hematite(α-Fe₂O₃)로 결정성이 발달되었고, 이러한 결정성 발달에 의해 MCS에 의한 As(III) 산화 및 ICS에 의한 As(V) 제거효율이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다양한 제조조건별로 제조한 MCS 및 ICS에 의한 비소제거 효율 비교를 통하여 두 담체 모두에 대한 최적 이차코팅온도와 코팅시간은 각각 150℃와 1 시간으로 선정되었다. MCS에 의한 As(III) 산화속도와 ICS의 As(V) 흡착효율은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여서 ICS와 MCS는 강한 산성을 띄는 오염수내에 함유된 비소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ICS에 대한 As(V)의 등온 흡착실험 결과는 Langmuir 식으로 잘 표현되었다. 그리고 이온세기 및 이온세기 화학종 변화에 따른 As(III) 및 As(V) 제거특성 연구결과, 이온세기가 클수록 MCS에 의한 As(III) 산화율은 감소하였지만, ICS에 의한 As(V) 제거효율은 NaNO₃를 이용한 이온세기 변화와 인산을 제외한 이온세기 화학종의 종류에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As(V)가 ICS 표면과 내부배위표면착화합물(inner-sphere surface complex)을 통한 강한 화학결합을 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비소가 흡착된 ICS 표면에 대한 FT-IR 분석 및 확산층이론이 적용된 MINEQL 프로그램을 통한 흡착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MCS와 ICS의 충전비를 달리한 칼럼반응기내에서 MCS에 의한 As(III) 산화효율과 MCS 및 ICS에 의한 As(V) 흡착능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최적의 조건은 MCS와 ICS의 충전비를 1:1로 하였을 때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MCS와 ICS를 함께 사용할 경우 간단한 처리공정을 통하여 As(III)와 As(V)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점오염원 기원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의 현장규모 생물학적 탈질공정을 이용한 질산성질소 플럭스 저감 평가

        송기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질산성질소를 현장규모의 원위치 생물학적 탈질공정을 이용하여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 플럭스를 저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부지의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의 생물학적 탈질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외부탄소원인 푸마르산염을 대수층에 주입하고. 그 효과를 관측하는 다관정 주입-추출 추적자 실험과 다관정 주입-추출 반응성 실험을 2개 지역(부여 토정리, 서산 대황리)에서 실시하였다. 다관정 주입-추출 추적자 실험 결과 브로마이드와 질산성질소의 표준농도[추출정에서 추출한 추적자 농도(C)와 주입정에서 주입한 추적자 농도비(C0), 즉 C/C0]는 실험기간 동안 유사한 농도를 보였으며, 질산성질소의 생물학적 탈질 부산물인 아질산성질소와 아산화질소가 생성되지 않아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소원으로는 질산성질소의 생물학적 탈질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부탄소원의 주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푸마르산염을 주입하는 다관정 주입-추출 반응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푸마르산염을 주입한 결과 모든 관측정에서 질산성질소 표준농도는 브로마이드 표준농도 보다 낮게 측정되어 질산성질소 저감이 관찰되었다. 질산성질소 생물학적 탈질 부산물인 아질산성질소와 아산화질소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푸마르산염의 생분해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는 배경농도 이상의 농도를 보여 생성되었다. 이 결과들은 푸마르산염의 주입으로 인해 생물학적 질산성질소 탈질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개의 주입정을 이용한 다관정 주입-추출 생물학적 탈질공정을 바탕으로 질산성질소 플럭스 저감량 산출 결과 1년간 생물학적 탈질공정을 운영할 경우 실험부지인 부여 토정리 약 117 kg-N/year, 서산 대황리 약 90 kg-N/year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여 토정리 지역에서 약 3년 질소시비량을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산 대황리의 경우 연간 질소시비량의 5 % 만큼 질산성질소의 플럭스를 저감시킨 것으로 산출되었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다관정 주입-추출 생물학적 탈질공정은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질산성질소의 농도를 배경농도 이하로 저감하였고, 비점오염원인 농경지에 시비되는 질소시비량에 대비하여 질산성질소 저감이 효과적으로 나타나 향후 점오염원이 같이 존재하는 소유역 내 질산성질소 관리 시 효과적인 저감기법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