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청소년의 <만다라 컬러링> 효과에 대한 사례분석

        송경옥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Case Analysis on the Effects of Mandala Coloring by Adolescents in High School Child and Family Welfare Major Song, Kyung-ok Supervised by Prof. Jung, Min-j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ffects of Mandala Coloring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on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a developmental task during adolescence and stress and concentration of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adolescents through a case analysis, and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counseling and guidance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at home, school and society for the future. The subjects of study were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U. City. 10 students who applied for Mandala Coloring Program were selected, and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six sessions, for two hours and 20 minutes from September 21 to October 31, 2016. In order to check changes after Mandala Coloring, pre- and post-checklists were examined at each session, and concrete changes were foun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alue and post-value. Also, the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Mandala Coloring proces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inner change in the participants after Mandala Coloring in every session.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articipant, but there was a change in the increase of the measure at each sess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individual ability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fter Mandala Coloring. Through this result, it can be found that Mandala Coloring has a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Third, Mandala Coloring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tress. This study traced changes at each session, so there was no continuous change, and there were sessions in which stress increased, but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tendency of gradual changes in a positive direction. Fourth, it appeared that Mandala Color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go-identity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This result can be found through the steady improvement of the positive change in the items such as psychological stability, emotional control skill and centeredness to the mind, and it proves that Mandala Coloring is effective for adolescents in high school.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Mandala Coloring has an impa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and has great positive impacts on individuals’ behavioral changes, such as looking for a positive self-image and hopeful goal. Key Words: Mandala, Coloring, Adolescents, Case study 국 문 초 록 고등학교 청소년의 <만다라 컬러링> 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아동가정복지학 전공 송 경 옥 지 도 교 수 정 민 자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만다라 컬러링>이 청소년 시기의 발달 과업인 자아정체감 형성과 청소년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인 스트레스와 집중력 등에서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례분석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고, 향후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고등학교 청소년의 상담과 지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대상은 U시의 고등학생으로 만다라 컬러링 프로그램을 신청한 10명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2016년 9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2시간 20분씩 6회기를 실시하였다. 만다라 컬러링을 실시한 후 변화를 확인하고자 매 회기마다 사전, 사후 체크리스트를 검사하여 사전 값과 사후 값의 차이를 구하여 구체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만다라 컬러링 과정에 대한 대상자의 설명을 기록,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컬러링 실시 후 참여자들의 긍정적인 내면 변화가 매 회기마다 나타났다. 참여자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매 회기마다 척도가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만다라 컬러링 실시 후 참여자가 자각하는 개인능력에 대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다라 컬러링이 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만다라 컬러링 실시 후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매 회기마다 변화를 추적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회기도 보였지만 점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만다라 컬러링이 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심리적 안정감, 감정조절능력, 자신의 마음에 중심을 가짐 등의 문항이 매 회기 긍정적 변화가 꾸준히 향상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만다라 컬러링이 고등학교 청소년에게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만다라 컬러링>이 고등학교 청소년의 긍정적인 심리변화에 영향을 끼치고, 긍정적 자아상과 희망적 목표를 스스로 찾는 등 개개인의 행동변화에 긍정적 영향이 크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주요 용어 : 만다라, 컬러링, 청소년, 사례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

        송경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제결혼을 통해 국내에 들어오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 매년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 사회에 정착(귀화)하여 한국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게 된다. 이들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의사소통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자녀들이 취학을 하고, 여성결혼이민자 본인의 사회 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구어 능력뿐만 아니라 문어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구어 사용에 있어서는 별 어려움을 느끼지 못하나 문어 사용은 여전히 어려워하였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문어 능력을 기르고 글로 효과적인 의사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띄어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띄어쓰기는 내용의 이해를 쉽게 할 뿐만 아니라 뜻의 전달을 정확하게 한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을 경우 글의 의미 파악이 어렵고, 문장이 중의적 의미를 지니게 되어 글을 읽을 때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여 그 오류를 유형별로 정리하였고,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 및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이에 적절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실정에서 그 필요성과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띄어쓰기 교육 내용 선정과 배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데에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에 관한 부분이 교육과정과 교재에 포함되고, 학습자의 수준별로 띄어쓰기 교육 내용이 선정되고 배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교사들의 전문적인 지식이 합쳐져 체계적인 띄어쓰기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어 능력이 훨씬 향상될 것이라고 본다.

      •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송경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order for the Korean language to be taught and learned more systematically and reliably at Qatar University.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Qatar University,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phonological system, the syllable structures and sentence structures of Korean and Arabic; and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Arabic language universities as well as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of Qatar University.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students at Qatar Universit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needs, the study analyzed situations that might affect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tudy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contrast analysis of Korean and Arabic. From the base, the two languages differ in writing direction. Unlike Korean, Arabic is written from right to left. Consonants are well-developed while the only vowels are a, i, and u.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discrimination would be difficult in the case of nonresponsive sounds. Specifically, it was expected that it would not be easy to distinguish between plain consonants, tense consonants, and aspirated consonants; and between vowel[ㅗ] and vowel [ㅜ]. Also, in the syllable structure, only 7 consonants can be pronounced at the end of the Korean syllable, while Arabic can have all 28 consonants at the end.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Korean learners to pronounce all of the Korean consonants collectively instead of pronouncing just the 7 consonants that mark the end of the syllable since Korean letters in a syllable are put together in a block, but Arabic is not. Because of tha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errors of Korean learners. In fact, this was found to be a problem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u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ducate students from the beginning of studying Korean while considering this point, and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Ou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Arabic universities in countries around Qatar and the curriculum of foreign language at Qatar University, only two of the 21 Arabic universities, Ain Shams University in Egypt and Jordan University in Jordan, had opened the Korean language as a major subject. In one, it was a minor, and in the other, it was an electives subject. From this, it could be concluded that Korean education had not yet been established in Arabic countri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of English, French, Spanish and Japanese at Qatar Universi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see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Qatar University.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as a major course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do this, the basic requirements for a major course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from liberal arts elective courses to minor and major courses, and professional educators are also needed. In the needs analysis for 78 Korean language learners of Qatar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textbook and evaluation were presented and analyzed. In the situation analysis, the Qatari society, Qatari religion, Qatari's temperament and lifestyle, principles of Qatari's Higher Education Institute as well as teacher factors and teaching–learning factors wer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Qatar University should be able to help not only th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but also the understanding of Korea. Second, the best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tudent’s language ability must be found. Third, there is a need for integrated lectures that can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the fluency and accuracy of learners. Fourth, students should seek ways to participate actively in lectures. Fifth,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learn Korean for learners who are poor in Korean language and have missed many Korean lessons. Sixth,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xtbooks and materials that are suitable for the target level after the target level has been determined. The seventh is that a concrete action plan should be prepared for evalu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a step-by-step education plan for up to the Korean advanced level. Here, a concept for opening a major course has been presented, and it has been judged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Qatar University will become more stable and systematic through this proces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Chapter V propose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liberal elective course at Qatar University. First, the objectives and goal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it should form a communication-oriented curriculum.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learner-centered education can be achieved. Third, i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and tasks with practical communication situa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learner who has poor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e learner who has many class deficit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urriculum to promote understanding of Korea and Korean culture. Sixth, it suggested that evaluation should be specified clearly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by establishing a grad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has been proposed to set up content categories for goal selection and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for each grade, and to design instructional criteria, a teaching–learning method,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which aim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Qatar University, can be applied directly to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Qatar University. Key words: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mponent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 educational goal, education contents selection, syllabus, Assessment 본 연구는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교육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가르치고 학습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한국어와 아랍어의 음운체계와 음절구조, 문장 구조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고, 카타르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랍어권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카타르대학교의 외국어 교육과정을 살피고,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요구 분석 이외에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아랍어의 대조 분석을 통해서는 두 언어의 상이점을 찾을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두 언어는 글을 쓰는 방향부터 차이를 보였다. 아랍어는 한국어와 달리 우(右)에서 좌(左)로 썼으며, 자음이 발달한 반면 모음은 a, i, u 세 개밖에 없어서 이와 대응되지 않는 음에서는 변별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한국어의 자음인 평음, 경음, 격음의 변별과 모음 [ㅗ]와 [ㅜ]의 변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음절 구조에 있어서도 한국어는 끝소리로 7개 만을 발음하는 반면 아랍어는 끝소리에 28개의 모든 자음이 올 수 있어 한국어의 받침을 대표소리로 발음하지 않고 모두 발음할 가능성이 있고 한국어의 모아쓰기 방식은 아랍어처럼 풀어쓰는 방식과 상이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실제로 이것은 한국어 수업에서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런 점을 고려하여 학습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 시에 이런 점을 고려해야 함을 밝혔다. 카타르 주변국의 아랍어권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카타르대학교의 외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아랍어권 21개 대학 중 이집트의 아인샴스대학과 요르단의 요르단대학교 단 두 곳만이 한국어가 전공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으며 한 곳은 부전공 과목으로, 나머지 대학들은 교양 선택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아랍어권에서 한국어교육이 시작된 역사에 비해 아직까지 아랍어권 국가에서 한국어교육이 자리 잡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카타르대학교의 외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이 카타르대학교에서 발전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그 첫째는 전공과목으로의 개설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공과목으로서의 기본 요건을 갖춰야 할 것이고, 교양 선택과목에서부터 부전공, 전공과목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가르칠 전문적인 교수요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카타르대학교의 78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 분석 외에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을 분석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과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재, 평가 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카타르의 사회·문화적 특징 중 카타르 사회의 구성과 카타르인의 종교, 카타르인의 기질 및 생활양식, 카타르의 고등교육기관의 교육 정책 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 요인과 교수-학습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첫째,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둘째,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 셋째, 학습자들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통합 교수요목이 필요하다는 것, 넷째,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 다섯째, 한국어가 부진한 학습자와 수업 결손이 많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 여섯째, 한국어의 단계별 목표와 교육 내용을 선정 후 이에 맞는 교재나 수업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일곱째, 평가에 대한 구체적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한국어 고급 단계까지의 단계별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공과목 개설을 위한 구상을 제시하였고, 이런 과정을 통해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교육이 좀 더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런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카타르대학교의 교양 선택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구성 원리로 첫째,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둘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셋째, 의사소통 상황의 실제성을 갖춘 내용과 과제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 넷째, 한국어가 부진한 학습자와 수업 결손이 많은 학습자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다섯째,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여섯째,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명시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등급 체계를 설정하여 등급별 목표와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에 있어서 내용 범주를 설정하고 실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카타르의 대학에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본 연구는 실제 카타르대학교의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카타르 내 대학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주요어: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교육 목적, 교육 목표, 교육 내용 선정, 교수요목, 평가

      • Q방법론을 이용한 뮤지컬 소비자의 관람 동기 유형분석

        송경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musical consumers' motives for viewing the musica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rveyed musical consumers for their motives for consuming the musicals and thereupon, categorized the musical markets for effective marketing. Categorization of consumers' motives will result in segmentation of the market, which is essential for musical marketing. Namely, if we could understand 'in what categories' and 'how' the musical consumers exist in the musical market, we would be able to develop our researches into the musical marketing more progressively. Henc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ategorize the musical consumers, assuming that they should constitute a basic structure of the musical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 focused on consumption motives because they were deemed to affect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most. Since the motives are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for researches into the musical consum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musical market if they can be categorized and generalized.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 us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musical consumers' motives qualitatively and thereby, categorize their motives in terms of their subjective psychology.The P-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0 musical consumers who had been sampled from the audience of the musical 'The Last Empress' performed at Seoul Arts Center from February 27 through March 8, 2007. The researcher interviewed with the subjects about their motives for viewing the musicals as well as the variables of their musical consumption decision and then, used an unstructured sample to design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45 items. With this questionnaire scale, 50 subjects were 'Q'-sorted by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chotomizing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For 'Q'-factor analysis, Quan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thereupon, the correlations among categories were analyzed, while independence of each category was examine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factors of each category by dichotomizing the variables into 'most positive' and 'most negative' centering around a standard rating. The objective of categorization involves not 'how many people are there?' but 'how diverse people are there?'As a result of such analyses, a total of 4 categories of motives for viewing the musical could be determined: 'type of exploring the musical genres', 'type of pursuing an emotional value', 'type of pursuing an intellectual value' and 'type of pursuing a fashionable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group of 'type of exploring the musical genres' were well aware of the advantages of musical genres, but the strongest obstacle to them was 'financial problem'. This group tended to choose the cheapest musicals or view the musicals with the invitation cards, ignoring the quality of musical works. Thus, there was found no apparent route of accessing to the information about musicals for this group. Second, the group of 'type of pursuing an emotional value' had an advanced sense of musical genres. They tended to pursue such states of mind as 'satisfied', 'proud', 'happy', 'purified mind' or 'stable state of mind'. Accordingly, this group refused to view a musical for a cultural vanity or for just being idle or for joining a cultural fashion. Third, the group of 'type of pursuing an intellectual value' liked to discuss an issue, purse a new stimulation, feel their life, widen their scope of thoughts or exchange the impression. This group relies on the rumor for their selection of a musical. If they heard a good rumor about a musical or if they were recommended by others, they would view the musical. They tended to be engaged in communication, viewing and talking about a musical with others. Through such a communication, they would obtain an intellectual value, being stimulated. Fourth, the group of 'type of pursuing a fashionable culture' were motivated most to view a musical in order to satisfy their cultural vanity. They tended to regard the musicals as fashionable necklaces or earrings. They refused to view a musical for being idle on holidays or festives, but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after having viewed a musical. Lastly, this study summed up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musical consumers' motives for viewing the musicals.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 관람객의 구매행동 탐색이 목적이다. 뮤지컬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행동을 중심으로 구매 동기를 파악하여 시장의 구조를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접목을 제시한다.1990년대 초 시작된 브로드웨이 뮤지컬 시장의 ‘글로벌화’ 와 ‘복제 화’ 바람에 힘입어 매우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는 한국뮤지컬 시장은,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발전이 떨어져있어 다양한 분야의 체계화가 시급 한 실정이다. 특히 뮤지컬 관객 100만 시대를 맞이하면서도 학계의 관람객 연구대한 밀도가 많이 떨어져 있다. 오늘날, 소비자들이 영화 관람료에 비하여 열배에서 스무 배까지 높은 가격을 지불해가며 뮤지컬 공연장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그 사람들이 과연 무엇을 얻기 위해 공연관람 시간에 맞추어 함께 모이는가? 만일 이 고객들의 관람 동기를 파악 할 수만 있다면 차후 다시 그 극장에 모이도록 조치 할 수 있지는 않을까? 소비자에 대한 동기의 유형화는 결국 시장의 세분화이며 이는 국내 뮤지컬 시장에서 반드시 거쳐야하는 기초정립이다. 즉, 시장의 근본 구조인 뮤지컬 소비자들이 각기 ‘어떤’ 유형으로 ‘어떻게’ 존재하는 지 파악된다면, 이를 바탕으로 더욱 점진 적인 다른 연구가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자는 뮤지컬 시장에 있어서의 소비자를 시장의 기본 구조로 보고 소비자를 유형화 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유형화의 축으로 소비자의 구매결정 과정 중 구매행동의 가장 정점을 이루고 있는 동기를 선택했다. 동기는 뮤지컬 시장의 관람객 연구에 있어서 가장 역점이 되는 관람의 원인이기 때문에 동기의 유형화와 일반화를 통해 시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관람객의 구매동기 유형에 관한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Q방법론을 이용하여 뮤지컬 관람객의 심리적 주관성을 최대한 발현시켜, 동기의 유형화를 정립하였다.본 연구에서 이용한 P-Sample은 모두 50명이며 연구대상자는 2007년 2월27일부터 3월8일까지 예술의전당에서 공연 한 뮤지컬 <명성황후>를 관람했던 관객을 대상을 중심으로 했다. 이들에게 어떻게 뮤지컬을 보러가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느 경우에 뮤지컬을 보겠다고 결정하게 되는 지를 물어서, 구조화 표본(unstructured sample)을 통해 45개 문항으로 정리했다. 정리된 진술문은 위 연구대상자 중 역시 50명에게 긍정과 부정 수준으로 이분화 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Q-sorting 했다.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Quanl 프로그램으로써 Q-Factor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독립정도를 검토 한 후, 유형내의 표준점수로부터 가장 긍정, 혹은 가장 부정적인 점수로 이분화 하여 그에 속한 인자들을 분석했다. 유형화의 취지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존재하는 가가 아니라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는가이다.분석한 결과 총 4개의 뮤지컬 관람동기 유형이 형성되었다. 그것은 ‘뮤지컬 장르 탐색 형’ ‘정서적 가치 추구형’ ‘지적 가치 추구형’‘유행문화 소비형’ 이다. 첫째: ‘뮤지컬 장르 탐색 형’은 뮤지컬 장르에 대해 장점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집단이지만 경제적인 지출문제가 관람동기의 가장 강력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작품의 유형을 선택하고 안하고 할 것 없이 싸게 보거나 초대권을 받아가거나 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뚜렷한 뮤지컬 정보 선택 경로도 드러나지 않았다.둘째, ‘정서적 가치 추구형’은 뮤지컬 장르에 대한 진일보 된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그를 통한 만족감, 뿌듯한, 행복감, 마음의 순화, 안정감 등을 추구한다. 따라서 문화적 허영심에서 본다거나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거나, 유행 추세에 휩쓸려 보는 등의 성향에 거부감을 드러낸다.셋째, ‘지적 가치 추구형’은 관람 후, 토론이나 새로운 자극, 인생을 느끼고, 생각의 폭을 넓히고, 감동을 교류하는 시간을 좋아한다. 이들은 공연선택을 입소문에 의지한다. 주변에서 소문이 나거나, 한번 보러 가보라고 하면 선택하는 스타일이다. 사람들과 함께 공연을 보고 이야기하고 시간을 보내는 커뮤니케이션에 치중하는 편이고, 그를 통해 지적 가치를 얻고 자극을 받는 것을 뮤지컬을 선택하는 가장 강력한 동기로 꼽는다.넷째. ‘유행문화 소비형’이다. 다른 어떤 요소보다도 일종의 문화적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뮤지컬을 관람하는 동기가 가장 강력한 집단이다. 뮤지컬을 유행하는 목걸이 귀고리를 취하는 정도로 치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휴일이나 명절에 할 일이 없어서 보는 것은 거부하지만, 공연 후 얻게 되는 어떤 것에 대해서는 생각지 않는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밖에 네 가지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뮤지컬 관람자들의 관람 동기 특성을 정리하였다.일반적인 R방법론을 넘어서서 Q방법론을 통한 관람자들의 심리적 주관성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동기의 유형들을 일반화 시켰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조사된 뮤지컬 관람객들의 다양한 관람 동기들이 국내 뮤지컬 시장의 단층을 보여주는 귀한 기록이 되길 바란다.

      • 임상간호사의 경력관리와 조직몰입, 직무몰입과의 관계

        송경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b involvement among clinical nurse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197 nurses working 1 general hospital in Cheongju city, chungcheongbukdo provi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 15 and Aug. 25, 2005. For the survey tools are Hall(1990) & Orpen(1994)'s personal career planning, Orpen's(1994) organization career management, Mowday's(1983) organization commitment and Lorence & Motiner's(1985)job involvement. The dat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Scheffe test and t-test by SPSS win 10.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 1) Personal career planning : education level(p=0.001) 2) Organization career management : age (p=0.021) place of work(p=0.036) 3) Organization commitment: age(p=0.000) 4) Job involvement: age(p=0.000), education level(p=0.014) 2. The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career planning, organization caree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b involve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study results were examined that personal career planning and organization career management had an positively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f these are useful practical application of nursing-human resources management, I think that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nursing organizations. When considering these results in clinical practice, I propose that should be conducted studies about career development which can promote change of nursing-human resources management. I also propose that career management requires specific strategies on characterized career management planning and should be accomplished diversified further studies.

      • 제주지역 망아지에서 Rhodococcus equi 감염증에 관한 병리학적 특징

        송경옥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hodococcus (R.) equi는 편성 세포내 기생성 그람양성 구간균으로 전 세계적으로 토양과 초식동물의 분변 등에 널리 분포되어있다. 특히 6개월령 이하의 망아지에서 만성 기관지폐렴과 농양, 궤양성 장염을 유발하는 중요한 병원체이다. 지방병성으로 발생하는 농장에서는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말 산업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질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망아지에서 발생한 R. equi 감염증에 대한 병리학적 특징 및 병변형성에 관여하는 균체의 유전자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1996년부터 2014년까지 제주도내 말 사육목장으로부터 제주특별자치도 동물위생시험소와 제주대학교 수의병리학교실에 의뢰된 망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조직검사, 세균배양 및 중합효소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의해 R. equi 감염으로 진단된 총 15마리의 망아지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이 망아지들은 제주도 소재 9개 목장으로부터 의뢰되었으며, 대부분 고열과 호흡곤란 등의 심한 호흡기증상을 나타내었다. R. equi 감염의 계절적 발생 시기는 6월이 가장 많은 8마리(53.3%), 7월이 4마리(26.7%) 순이었고, 발생 연령은 생후 2개월령이 가장 많은 8마리(53.3%), 3개월령이 3마리(20.0%) 순으로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폐장에서는 기관지폐렴, 폐농양 및 육아종성 폐렴 소견이 혼재되어 관찰되었고, 1마리의 결장에서는 점막의 궤양과 점막하 조직에 농양병변이 관찰되었다. 또한 일부 개체의 장간막림프절 및 림프절에서는 육아종성 림프절염과 농양소견이 관찰되었다. 부검축 11마리의 조직 시료와 병소에서 분리된 9개의 R. equi 균주에 대하여 PCR 기법으로 유전자형을 동정 결과 11마리는 vapA 유전자, 1마리는 vapB 유전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R. equi VapB 균주도 망아지에 자연 감염되어 폐렴 병변과 폐사를 유발할 수 있음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망아지에서 병원성을 유발하는 병독성 균주인 R. equi VapA 항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망아지 내부장기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IHC)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4마리 중 2마리를 제외한 모든 개체의 폐장 및 장간막 림프절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주로 농양 병소와 그 인근에 침윤되어 있는 큰포식세포 및 다핵거대세포의 세포질에서 항원을 발현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따라서 IHC 검사 기법은 세균배양이 용이하지 않은 포르말린 고정 시료에서 병독성 R. equi 감염을 진단하기에 매우 유용한 진단법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폐장에서 분리된 R. equi VapA 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결과 gentamicin, quinolones 계열, rifampin, vancomycin에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sulfamethoxazol/trime thoprim과 tetracycline 계열에는 내성을 나타내었다. Rhodococcus (R.) equi is an aerobic Gram-positive coccobacillus which frequently causes chronic bronchopneumonia with abscesses and ulcerative enteritis in foals less than 6 months old. R. equi is widespread in the environment of horse-breeding farms and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il of paddocks and the feces of many herbivores. Endemic form of R. equi infection is regarded as economically important disease in the global horse industry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otyp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lesions and pathologic characteristics on R. equi infection in foals in Jeju. From 1996 to 2014, a total 15 foals from 9 farms were diagnosed as R. equi infection at the Diagnostic Laboratory of Jeju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thology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Clinically, most foals showed characteristic respiratory signs including hyperthermia and dyspnea. Seasonal occurrence of R. equi infection in foals was higher in June (8 foals; 53.3%) and July (4 foals; 26.7%) than in other month. Major cases of R. equi infection were observed among 2 month-old (8 foals; 53.3%) and 3 month-old (3 foals; 20.0%) foals. Histopathologically, bronchopneumonia, abscess and granulomatous pneumonia were most prevalent lesions in the lungs of foal. Colonic ulcer and submucosal abscess were found in a foal. Some foals showed granulomatous lymphadenitis and abscess in mesenteric and other lymph nodes. According to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11 tissue samples of foal and 9 R. equi, isolates, vapA and vapB gene were detected in 11 (91.7%) foals and 1 (8.3%) foal, respectively. Therefore, this is the first report documenting that R. equi bacteria having vapB can induce pulmonary lesions and death in foals under natural condi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 method using anti-VapA monoclonal antibody was applied to detect R. equi VapA antigen in organs of foal. R. equi VapA antigens were demonstrated in most lung and some mesenteric and other lymph node of 14 foals. The positive signals of IHC were presented at the cytoplasms of infiltrated macrophage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in or around abscess les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IHC method is useful diagnostic tools for virulent R. equi infections in the formalin-fixed tissue samples which isn't capable of bacterial cultivation. Virulent R. equi VapA bacteria isolated from lungs showed high sensitivity to gentamicin, quinolones, rifampin, vancomycin. However, sulfamethoxazol/ trimethoprim, tetracyclines showed low susceptibility.

      •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 및 기호도 조사

        송경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 지역 초등학교 학생 4, 5학년 32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간식 섭취실태와 간식의 기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올바른 습관 형성을 위한 간식 섭취 지도 및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지는 일반 환경요인, 간식 섭취 실태, 영양지식 조사, 간식 기호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 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321명의 학생 중 193명(60.1%), 어머니의 직업이 없다는 학생은 128명(39.9%)로 전체 학생의 과반수이상의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어머니의 학력은 전체 321명 중 216명(67.3%)이 대졸이상의 학력으로 조사되었고,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40±3.0세, 가족 형태는 288명(89.7%)으로 핵가족 형태가 가장 많았다. 간식 섭취 실태 분석에서 간식 섭취 횟수는 ‘하루에 1번’, 간식 섭취 시간은 ‘점심과 저녁식사 중간’, 간식 섭취 방법은 ‘부모님이 만들어 주신다’, 간식 섭취 이유는‘배가 고파서’, 간식 섭취 장소는 ‘집에서’, 간식의 양은 ‘적당량’먹는 것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아고, 간식을 함께 먹는 사람은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학생의 경우 혼자 먹는 경우가 많아 직업이 없는 경우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간식을 직접 만들어 먹는 횟수에 대한 조사 결과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학생의 경우가 현저하게 낮게 조사되어 어머니 직업 유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1). 영양지식 조사 결과 ‘맛있는 음식이 우리 몸에도 좋다’는 문항에는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여 가장 낮은 점수로 조사되었다. 모든 문항에서 어머니의 직업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비슷한 크기의 소시지와 오이는 열량(함량)이 같다’의 문항에서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영양 지식 점수는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란 열량이 많은 음식을 뜻한다’의 문항과‘콜라, 사이다는 열량이 없다’는 문항에서 중졸이하 학력의 어머니 자녀 지식 점수가 고졸 이상의 학력의 어머니 자녀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학력별로 알아본 학생들의 영양지식 점수는 고졸 학력의 어머니의 자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간식 기호도 조사에서 과자류, 떡·빵류, 분식 및 기타, 면류 및 패스트푸드, 우유·유제품 및 음료, 과일류·곡류·후레이크류 등 모든 식품 기호도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상관없이 설문지에 제시된 식품 중 면류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맞벌이 가정의 학생과 전업주부 가정의 학생과의 간식 섭취 면에서 많은 차이는 없었으나, 취업주부의 자녀들은 간식을 혼자 먹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간식섭취 시 영양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보이므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이를 참고 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