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

        손춘화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환경, 도덕적 고뇌를 확인하고, 도덕적 고뇌와의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유도하고 이직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직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울산, 부산, 경상지역에 소재한 200병상에서 500병상 사이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중 임의 표집한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는 평균, 표준편차로 파악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관련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성별은 여성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31.19세, 미혼이 72.9%, 종교가 없는 경우도 69.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교육수준은 3년제 졸업군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특성에서 총 임상 실무경력은 최소 1년에서 최대 31.4이었으며, 1년 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가 33.5%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근무경력은 최소 1개월에서 최대 18년이었고, 1년 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가 49.7%이었다. 대상자의 현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2.9%로 많았으며, 윤리교육 이수 경험이 없는 경우가 63.9%로 나타났다. 교육이수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평균 교육 시간은 5.2시간 이었으며 그중 최소 1시간에서 최대 18시간이었고, 1시간에서 3시간은 47.2%, 8시간 이상이 38.3%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환경 점수는 평균 3.54점, 연구대상자의 도덕적 고뇌 평균 점수는 평균 2.7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영역별 도덕적 고뇌정도에서는 상황적 영역에서 ‘노인이라는 이유로 보호자가 적극적인 치료를 포기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평균 3.13±1.0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인지적 영역에서는 ‘보호자의 비협조’가 평균 3.57±1.08점으로 높았다. 행동적 영역에서는‘상황을 묵인한다’가 평균 3.35±0.97점으로 높았다. 정서적 영역에서는 ‘간호사로써 힘의 한계를 절감한다’가 평균3.68±1.00점으로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환경은 교육 수준(t=5.347, p=.00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수준에서 하부 영역인 환자영역 (t=4.212, p=.017), 관리자 영역(t=5.346,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윤리교육 시간에서는 의사영역(t=3.209, p=.04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도덕적 고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결혼상태(t=2.487, p=.015), 교육수준 (F=5.347, p=.006)이었다. 기혼이 191.50±33.31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은 사후검정 결과 4년제 졸업이 94.22±9.17점으로 대학원 졸업이상 84.50±10.86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고뇌의 하위영역에서는 상황적 영역에서 결혼상태(t=3.284, p=.001), 총 임상실무경력(F=6.479, p=<.001), 현 직위(F=3.216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인지적 영역에서 총 임상실무경력 (F=3.042, p=.031), 현 직위 (F=3.301, p=.0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영역에서는 응급실 근무경력기간(F=3.129, p=.02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윤리적 환경 5개의 영역 중에서 환자 영역(r=-.159, p=.048), 관리자 영역(r=-.164, p=.041), 병원영역(r=-.25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영역에서(r=-.359, p=<.001)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대상자의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 결과 윤리적 환경의 하위 영역 중 의사영역(β=-0.334, p<.001)이 설명력 12.3%로 가장 높았으며, 총 임상실무경력에서 5~10년 이상(β=-0.242, p=.002)이 추가되어 16.0%, 교육수준에서 4년제 졸업생(β=-0.158, p=.038)이 추가되어 총 설명력은 17.8%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의사영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병원 차원에서 응급실 간호사들과 의사와의 다양한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그 중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유도하고 이직에 대한 감소율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