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변지역 산업유산지 도시재생 공원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중국의 광동성 중산시 기강공원, 상하이시 호우탄공원, 상하이시 엑스포공원을 중심으로

        손지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Rapid developing of western countries speeds ​​up the development process of urbanization. In the meantime, city is getting old, moreover,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city cannot offer a safe living environment for citizens. After three hundred years’ urbanization process, western countries entered the post-industrial era, in which novel information industries replaced traditional industrial industries and old industrial cities began to transform and innovate. In the 1960s, western developed countries had started the protection and reuse for industrial heritage. As the major mode for protection and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industrial heritage parks attracted the attention, exploration and research of scholars from western countries and they are successfully applied in many renovation cases. Since 1990s, China has experienced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adjustment of urban industrial structure. With the decline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industrial manufacturing, a large number of valuable industrial heritage sites have emerged, especially in the economically developed coastal areas, where there are plenty of typical waterfront urban industrial heritage sites. In this dissertation, we focus on how to lear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and reuse of urban waterfront industrial heritage parks from western countries, how to make full use of the resources of urban industrial heritage sites in China's waterfront area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and how to make urban industrial heritage site reborn as an urban park landscape. In this dissertation, we first defined the concepts of urban regeneration and industrial heritage. By looking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on urban development in China and Western countries, we di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and the West. Then we classified industrial heritage protection and utilization types based on basic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analyzed the value and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and investigated the types and facilities of waterfront industrial heritage. By analyzing the definition an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parks and their roles in cities, w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studying industrial heritage parks. Then we di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and Western industrial heritage park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value of post-industrial landscape and post-industrial landscape park in urban industrial heritage and urban regeneration in the post-industrial era. This thesis investigated and analyzed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China's waterfront areas in terms of the types, facilities, construction process, and design of waterfront parks. Three cases in China were chosen as focus of research. After investigating the cases of waterfront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China, we summarized guideline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China’s waterfront areas. Very importantly, we accomplished detailed arrangement and analysis of the design features and related concepts of the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the waterfront area of ​​China. In addition, we summariz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actice of urban regeneration parks in industrial heritage sites in China's waterfront areas and found out the shortcomings and problems emerged from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China's waterfront areas. Finally, we came up with solutions and proposals for the problems listed above. The research outcomes on waterfront industrial heritage parks summarized in this thesis provid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China's industrial heritage parks in the future. 서방의 나라들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통해 도시의 확장이 결코 시민들에게 안전한 삶의 터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을 깨닫고 도시가 노후화되어가는 과정을 겪고 있다. 즉 300년에 걸친 도시화 발전의 여정에서 서방 각 나라는 후기산업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새로운 유형의 정보 산업이 전통적인 산업을 대체하면서, 오래된 산업 도시는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1960년대 서방 선진국들은 산업유산의 보호와 재활용을 시작했다. 하지만 산업유산지공원은 산업유산 보호와 재활용의 주요 모델로서 서양 각국 학자들의 관심과 탐구, 그리고 많은 성공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중국은 1990년대 들어 급속한 경제 발전과 도시 산업 구조 조정으로 전통적인 산업 제조업이 쇠퇴하고 변형된 상황에서 가치 있는 많은 산업 유산지를 발생시켰다. 특히 중국의 산업유산지 경제가 발달한 연해 지역에는 수변 특성이 풍부하고 독특한 도시 산업유산지가 여럿 있다. 따라서 중국 수변지역 산업유산지의 특징, 가치, 자원을 발굴하고 접목하여 도시공원 경관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과제다. 본 논문은 우선 산업유산과 도시재생에 관련된 개념 및 용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중국과 서방 도시발전의 역사문헌자료를 열람하여, 중국과 서방 도시재생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산업유산의 기본개념을 결합하여 산업유산의 보전과 활용 유형에 대해 분류하였으며, 산업유산이 본 논문에서 나타난 가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업유산의 재활용을 해석하고 산업유산 수변 유형 및 시설을 고찰하여 개략적으로 서술하였다. 산업유산지공원의 정의와 가치 및 산업유산지공원의 도시에서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산업유산지공원에 대한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중국과 서방 산업유산지공원의 발전과정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한 개념정리와 연구·분석을 하였으며, 후기산업시대에 나타난 후기산업경관과 후기산업경관공원의 도시산업유산에서의 가치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수변공원의 유형, 시설, 건축과정, 설계 등에서 수변지역 산업유산지공원 사례를 고찰·분석하고 중국 3건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중국의 수변지역 산업유산지공원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수변지역 산업유산지공원 이론과 실천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특히 중국 수변지역 산업유산지공원의 설계특성과 관련 정의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정리를 통해 중국 수변지역 산업유산지 도시재생공원 개발실천에 나타난 설계특성을 총화하고 중국 수변지역 산업유산지공원 설계특성에서 드러난 단점과 문제점을 찾아내어 개선 방법과 제안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필자가 발견한 각종 수변 산업유산지공원 조성 실천과제 및 연구성과를 향후 산업유산지공원 건축의 실천지침으로 적극 활용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사례에 관한 질적 연구

        손지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교조직의 인력구조는 교원이 본연의 업무인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과학실험보조, 교무보조, 전산보조 등 다양한 지원인력이 보강되었다. 하지만 교무행정 지원인력의 확충에 따라 교사와의 갈등 현상이 존재하며 이를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실무원이 직접 경험한 갈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 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관계를 개선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대구광역시교육청 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와 실무원을 면담대상으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정리하여 본 연구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을 발췌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갈등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직접적 갈등의 업무 수행 측면과 업무 외적 측면, 간접적 갈등은 인사관리, 학교 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갈등의 원인은 각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근무 태도, 전문성 부족, 업무 과다, 부적절한 언행, 부정적인 태도 등이 있었다. 셋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와 시‧도교육청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의 유형과 원인은 다양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차원의 노력과 교육청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을 순기능으로 승화시켜 제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따라서 교사와 실무원의 부단한 노력과 단위학교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지원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과정 연구 : 다중흐름모형(MSF)에 의한 접근

        손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1월 8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개인정보보호법)」(이하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의 입법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Framework, MSF)을 중심으로 해석하여 정책적 함의(含意)를 발견하고자 함에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2011년 처음 제정된 이후 9년 만인 2020년 개정됨으로써 산재된 개인정보와 관련된 법률을 일원화(一元化)되었다. 특히 국회에서 개정이 지지부진했던 지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발의안과 달리, 문재인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이끌어 개인정보보호법은 국회에 발의한지 1년 2개월 만에 본회의를 통과하여 개정이 되었다. 과거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시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통과한 이유로는 문재인 정부 시기 여대야소라는 정치적 환경과 대통령(청와대) 및 행정부의 주도적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은 입법과정에 있어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등장하는 세 가지 흐름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이를 토대로 정책 선도가의 주도적 발의를 통해 법안 통과라는 정책의 창이 열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문제의 흐름으로는 21세기 4차 산업 발전과 2016년부터 유럽 IT 시장 진출을 위한 EU GDPR(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법) 규정을 준주하기 위해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의 필요성 인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행정부와 입법부는 2018년 각각 문재인 정부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정책과 20대 국회 데이터 3법 발의를 하며 정책대안의 흐름이 나타나게 된다. 이후 정치의 흐름으로서 2019년 4월 25일부터 5일간 발생한 패스트트랙 4법 국회 대치 사건으로 인해 2019년 12월 ‘여야 4+1 협의체’라는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정책선도가인 문재인 대통령 및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 속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본회의 통과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정책이 산출되게 된다. 특히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과정에서 정책 선도가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다중흐름모형과는 차별화된 부분을 지니고 있다. 복수의 정책 선도가들이 나타나지만 그 중에서도 권위, 지속성, 협상기술(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차등적인 주도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정책 선도가는 세 행위자로 나뉘며 그 속에서 Kingdon(2011)의 다중흐름모형에 언급한 정책선도가의 기준, (1) 지위, (2) 지속성(토론 등 시간과 노력을 꾸준히 들일 수 있는 역량), (3) (정책을 실현시킬 수 있는)네트워크와 전문성을 기준으로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선정하였다. 동시에 이 순위가 결정되면서 그 역할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1순위부터 차례로 지휘자, 수행자, 수혜자로서 정책선도가 안에서도 그 역할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의 창으로는 국회 정국(政局) 구조로서 2019년 12월에 결성된 여야 4+1 협의체를 설정하였다. 이 협의체 결성으로 인해 입법과정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과정에 적용시킨 결과 미시적으로 보면 산재된 정치적, 사회적 사건들(해커톤 회의, 패스트트랙 사건, 4+1 협의체, 행정안전부의 본 법안 개정과정 참여 등)이 일련의 정치적 목적과 방향성을 가지고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단순히 본 법안 통과만을 목적으로 사건들이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 산업 활성화라는 정부 정책 목표 속에서 본 법안이 통과될 수 있는 흐름과 창이 자연스럽게 연결이 가능하게 만들었던 정책 선도가의 노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결정자 및 수행자는 각자의 업무에서 Kingdon이 말하는 정책 선도가의 역할인 (1) 지위, (2) 지속성, (3)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갖추었을 때 효과적인 정책 입안이 가능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국내 연구들과의 비교를 해보았을 때 정책선도가의 설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장현주(2017)에 의하면 75개 논문에서 다룬 100개의 정책 사례 분석 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의 정책변동 중 비교적 정책변동의 폭이 크고 난이도가 높은 정책혁신과 정책승계 유형에서는 입법부가 정책선도가로 가장 많이 등장한 반면, 정책종결과 정책유지 유형에서는 정부와 대통령, 또는 지방자치 단체장이 정책선도가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고 보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장현주(2017)의 결론과 달리, 본 연구의 개인정보보호법 개정과정은 새로운 4차 산업을 도입시킬 데이터 3법이라는 정책 변동성이 큰 법안이라고 볼 수 있으나 정책 선도가는 정부와 대통령이 정책선도가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본 법안이 정부에서 만들어졌으나 빠른 법안 통과를 위해 정부제출 입법이 아닌 의원발의 입법(청부입법)으로 상정되었다는 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정부와 입법부 서로간 정책 영역에 대한 암묵적 합의가 존재하는 경우, 대통령과 의회 간의 정치적 갈등이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정하용, 2017), 정책 선도가에 대한 결론이 장현주(2017)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olicy implications by interpreting the legislative process utiliz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MSF)' to the amendment of the Privacy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vacy Act"), which passed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January 8, 2020. The Privacy Act was first enacted in 2011 and amended in 2020, nine years after it was first enacted, unifying laws related to scattered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unlike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y's slow progress in revising the Privacy Act, Moon Jae-in government took initiative to the amendment of the Privacy Act and it was revised 12 months after it wa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reasons why the Privacy Act pass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past attempts is due to Moon-Jae-in government’s political environment(ruling party was ralatively huge and the opposition party was small) and the President (Blue House)/ Administration’s leading role in revising the Private Act. This phenomenon is applied to 'Kin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As a result, The amendment to the Privacy Act had all three trends in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in the legislative process, and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window for the passage of the bill was opening through the initiative of the policy leader. As Policy Window, so called ‘4+1 consultative body’ is chosen formed in December 2019 as a political structure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formation of this consultative body was a decisive motive for the quick legislative processThe application of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odel to the Privacy Act allows scattered political and social events (hackathon meetings, fast-track events, 4+1 consultative body, and the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fety's participation in the revision process) to pass the plenary session of National Assembly. Of course, the events did not just happen for the purpose of passing the bill, but the government's policy objective of boosting the data industry was largely due to the policy-driven efforts that allowed the bill to naturally link the Policy Stream and Policy Window. Therefore, this study is an example of how effective Policy makers could do its roles when they are equipped with the role of Kingdon's Policy Entrepreneur in their respective tasks: (1) status, (2) persistence, (3) network and expertise. In addition, comparisons with domestic studies using the Multiple Stream Framwork mod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icy Entrepreneur’s settings. According to Jang Hyun-joo (2017) of 100 policy cases of policy change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policy innovation and policy succession types,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range of policy changes and high difficulty, the legislature has emerged the most as Policy Entrepreneur. However, in terms of policy completion and policy maintenance, the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or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ppeared the most as Policy Entrepreneur. In this study, the Privacy Act was a law with a large change in policy called the 3 Data Privacy laws that will introduce the new fourth industry, but the governemnt and the preisident was found to be the Policy Entrepreneur, contrary to the conclusion of Jang Hyun-joo (2017).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bill was made by the government, but it was proposed as legislation by lawmakers, not as legislation submitted by the government, to pass the bill quickly. Therefore, this study can be seen as an example that the conclusion of policy leadership could be the opposite of that of Jang Hyun-joo (2017) because much of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president and Congress can be alleviated (Jeong Ha-yong, 2017) if there is implicit agreement between the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keywords : Revised the Privacy Act,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fet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Policy Entrepreneur, Policy Window, 3 Data Pricacy Laws, Multiple Stream Framework, Kingdon Student Number : 2019-21474

      • 관객개발을 위한 ‘스쿨콘서트’ 방안 연구 : 소도시 시립예술단을 중심으로

        손지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is a motive of the culture as a backbone of diverse cultural phenomena which continue to come into the world and become extinct and endows the mental value with the capacity to judgement. This art determines the cultural height of civil society and works as the virtual development power of democracy by developing the aesthetic potential of human beings for the motive power of mature civil society establishment and power for democratic growth. In addition, art is a source which offers the new value and ideals to the society facing with the difficulties and allows the artists to bring up the social issues and doubt about common sense and opinions through art and to reflect the figure of ruined human beings. Despite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national income, individual quality of life did not keep up with the pa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declined. It was true that a generation of standing did not possess the sufficient taste and enjoyment capacity to make use of the given leisure so that systematic education on cultural arts for the establishment of enjoyment capacity and taste from an adolescent period according to the cultural arts characteristics. While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has been changed from industry focused society into information/culture focused society, the demand for resources equipped with creative trouble shooting capability, not simple technique,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eak cultural arts education in existing public education and to foster the independent communication skills of juveniles and self-leading learning capability. As public education is focused on the entrance exams to university, positive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fostering artistic sensibilities are insufficient. Since 1990's, the cultural infrastructure has continued to be expanded but, in the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estranged from cultural facilities, it is still hard to enjoy cultural activities within the village and the support for the facilities operation and program planning is incomplete. As even existing cultural infrastructure does not prepare for the sub-divided program per region, ages and a social class, social cultural arts education is not implemented based on the cultural infrastructure of the region. Arts education at school can not afford to conduct the proper education due to the limitation coming from the focused system on entrance exam, lack of social recognition, backward parts of infrastructure as well as a shortage of cultural arts teachers. In addition, it is a reality that the villages face with the reduction of cultural arts class from regular education classes along with lack of audio-visual aids such as music room and a close connection with local facilities and institutions is not made appropriately. In addition, as for the connection with local facility, it is a reality that the art education programs targeted for the juveniles are not sufficiently prepared. We should prepare for the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which juveniles can feel the friendliness toward cultural arts by expanding 'visiting music concert' into 'school concert which visits the juveniles in local and by offering more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art easily to students in conjunction with schools located in the region. Furthermore, we need to have the public institutions be responsible for some parts of art education of school and implement the workshops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planning of school curriculum, we need to have an education program planning expert involve in the planning process to help the students enjoy arts efficiently. These art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composed of long-term and rigorous curriculum with an aim of audience creation. By measuring the education effect of the adequate art education programs periodically, we need to continue the systematic and detailed processes which associate the results with regular performance programs. In 'School Concert' if we provide the detailed tips on the music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for the students, it could be the introductive stage of education on music which allows people to appreciate the music easily and comfortably. Furthermore, 'Kim Dae-Jin's music class', concert for juveniles as demonstrated from the case of Seoul Arts Center is the more efficient music education program for juveniles as it is planned to be conducted continually per stage and understanding level to help the wide understanding of classic music with simple interpretation rather than based on performance character by analyzing the audience's needs after an escape from the provider focused planning. 'Young Arts' as demonstrated from the case of Sejong Center is a performance that 9 artistic institutions visit schools directly to offer the opportunity of meeting the performance arts to students who find it difficult to visit the art centers for their friendliness toward cultural arts. Moreover, various programs of Carnegie Hall are the systematic ones considerably for juveniles and local society, which shows that schools, teachers and institutions were all closely connected with centered on institutions. These days, lecture concerts of various meanings are played and among these, the ones targeted for juveniles are 'Juvenile Music Concert', 'School Concert' and 'Textbook Concert'. Lecture concerts are partially included in 'Young Arts' programs which include a variety of genres in art. However, the above concerts have the limitation in the accommodation of the positive juvenile audiences only who have the intention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 as they conduct the concerts by collecting juveniles and students into the art centers. In consequence, the necessity for a new concept performance form targeted for juveniles is brought up for the positive creation of audience in the future and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form will be named 'school concert'. 'School Concert' encourages students who will be the audience of future to involve in art behavior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customized music programs suitable for school and actual field of education with the aim of a good all-round education through art. As such,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music and knowledge level and what music they like to listen to in advance for school conce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chool concert prepares for the repertory and program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pre-existing concert with interpretation or lecture concert in terms of concept and form. These programs are positive ones which can draw the participation of audiences and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In addition, audiences participate the art performances as the loyal audience in close connection with artist groups and institutions as a positive factor supporting a part of art creation behaviors through these programs, which will contribute to securing the loyal audiences of regular performances as well. 예술은 부단히 탄생하고 소멸하는 다양한 문화현상의 근간으로서 문화의 동기이며, 정신적 가치에 대한 판단 능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예술은 성숙한 시민사회 형성과 민주주의 발전 동력으로 인간의 심미적 잠재력을 개발함으로써 시민사회의 문화적 높이를 결정하여 민주주의 실질적 발전 동력으로 작용한다. 예술은 ‘창의력’, ‘상상력’의 원천으로서 지식 정보 시대 국가 경쟁력의 바탕을 제공한다. “균형 잡힌 교육, 미술, 음악, 창의성의 요소를 강하게 포함하는 교육은 창의적 능력을 살아있게 만들고 미래 경제에 중요한 기술들을 만들어내도록 하고 사회적 시민을 만들어내고 나머지 교육도 활기를 띠게 한다.” 또한 예술은 위기에 처한 사회에 새로운 가치와 이상을 제공하는 원천이었으며, 많은 예술가들이 예술을 통해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고 상식과 의견에 의문을 던지며 황폐해진 인간의 모습을 반영하게 해주었다. 이들의 문제제기는 우리가 각박한 생활고 속에서 잊고 있던 인간의 선하고 아름다운 본성이 온전히 구현되는 이상적인 사회를 꿈꿀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런 점에서 예술은 단지 미학적 상상력만 촉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과학적, 경제적 상상력을 만들어 내는 산실이라 할 수 있다. 국민소득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개 삶의 질은 이에 걸맞게 발전하지 못함으로써 삶에 대한 만족도 하락하였다. 기성세대는 주어진 여가를 제대로 활용할 만한 취향과 향유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문화예술속성상 청소년시기부터 향유능력과 취향 개발을 위한 체계적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 사회·경제 구조가 산업 중심사회에서 지식·문화 중심사회로 전환되면서 단순 기술이 아닌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력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 같은 새로운 인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육 전반에서 주입식교육을 넘어선 창의적 관점의 인성교육과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교육의 역할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기존 공교육의 취약한 문화예술교육을 개선하여 청소년의 주체적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배양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교육은 입시중심으로 진행되면서 문화감수성 배양을 위한 적극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였다. 1990년대 이후 문화기반시설은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으나 농어촌 등 문화소외지역은 여전히 생활권 네에서의 문화향수가 힘들고, 시설운영 및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지원이 현저히 미비하였다. 기존 문화기반시설도 지역별· 연령별·계층별 등으로 세분화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지역의 문화기반시설을 거점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교예술교육은 입시중심으로 고착화된 제반 여건 및 사회적 인식 미흡과 수업시간의 부족, 그리고 시설·기자재 낙후 및 미비, 문화예술교육 교사의 육성 미흡 등으로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 정규교과 교육 축소와 더불어 음악실 등의 연습 공간 및 기자재도 크게 부족하며, 지역 시설 및 단체와 연계가 부족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적 연계에 있어서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음악회를 지역 청소년들을 찾아가는 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 지역 내에 있는 학교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쉽게 예술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문화예술에 대해 친근함을 느낄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학교 예술교육의 일부를 기관이 담당하여 학생들을 위한 워크숍과 교사를 위한 워크숍 등을 실시하고, 학교 커리큘럼 구성에도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전문가가 투입되어 학교와 기관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예술 향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미래 문화향수 층인 청소년들의 삶에 있어 문화예술의 생활화로 그들이 함께 모여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하고 문화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으로 청소년들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예술교육을 통해 개발된 관객은 기계적인 마케팅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인되는 관객보다 기관의 비전과 정체성을 신뢰하고 지지하는 보다 질 높은 관객으로 육성됨으로서 기관의 항구적이고 충성스런 관객기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관객개발은 사람들로 하여금 예술작품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감상하도록 도와주어 이후의 예술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지속적인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잠재관객의 규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민 친화적 프로그램을 기획해야한다. 또한 관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예술 형식과 작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결과 관객들의 참여도를 심회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관객의 충성도를 높여야 한다. 위와 같이 되기 위해서는 단계별·수준별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공연프로그램, 미래 관객인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 고객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동적 프로그램과 같은 유형의 예술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관객개발을 목적으로 장기적이고 주도면밀한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적합한 예술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효과를 적절한 시기마다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규 공연프로그램에 연결시키는 체계적이고 정밀한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는 전문인력 구성이 선행되어 관객개발 측면에서의 일관성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관객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스쿨콘서트’에서 학생들에게 해설과 음악적 접근 방식을 자세히 알려 준다면 예술을 접하는 사람들이 보다 쉽고 편안하게 감상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입문단계 성격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술의 전당 사례에서 살펴본 청소년 음악회인 <김대진의 음악교실>등은 제공자 중심의 기획에서 벗어나 고객이 원하는 의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목표관객에 맞는 프로그램 구성으로 단순히 해설이 가미된 공연의 성격보다 클래식 음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단계별 · 수준별로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기획 진행되어 청소년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되고 있듯이 예술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단계적으로 밟아 나가도록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세종문화회관의 사례에서 살펴본 ‘Young Arts’는 산하 9개 예술단체가 학교를 직접 찾아가는 공연으로 공연장을 찾기 힘든 학생들이 수업의 현장에서 공연예술을 접함으로써 문화예술에 대한 친근감을 느낄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되고 있다. 또한 카네기 홀의 각종 프로그램은 청소년과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이 상당히 체계적이며, 학교와 기관, 그리고 교사까지 기관을 중심으로 모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학교커리큘럼 구성에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전문가가 투입되고 예술교육을 실시할 학교교사는 기관에서 이론 및 실기교육 등을 워크숍이나 토론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의 지식이나 경험을 얻고 있다. 그 결과 다시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잘 적용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춘 교육프로그램이다. 카네기 홀의 프로그램은 청소년이 예술교육을 위해 기관과 학교, 교사 모두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역적 연계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다양한 의미의 렉처콘서트가 행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는 ‘청소년음악회’, ‘스쿨콘서트’, ‘교과서음악회’와 같은 명칭으로 진행되는 것이 있다. 다양한 예술장르를 포괄하는 ‘영아트(Young Arts)' 프로그램에도 렉처콘서트가 일부 삽입돼 있다. 그러나 위의 콘서트들은 공연장으로 청소년·학생을 불러 모아 진행한다는 점에서 공연 감상의 의사가 있는 적극적 청소년 관객만 수용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미래의 관객 개발이라는 적극적 차원에서 하는 새로운 개념의 청소년 대상 공연형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스쿨콘서트’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부르고자 한다. ‘스쿨콘서트’는 예술을 통한 전인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히 나열식의 음악회가 아닌 학교나 현장의 현실에 맞는 음악프로그램을 통해서 미래의 관객인 학생들이 예술행위에 직·간접으로 참여하게 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스쿨콘서트를 위해서는 사전에 교사와 학생을 상대로 음악에 대한 태도, 상식의 정도, 듣고 싶은 음악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수이다. 이 같은 사전 조사를 토대로 레퍼토리를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스쿨콘서트’는 기존의 해설이 있는 음악회나 렉처콘서트와는 개념과 형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렇게 어린 시절에 접한 클래식 음악교육이 나중에 성인이 되었을 때 일상생활에서 예술을 향유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하고 예술의 이해와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예술을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관람행위와 창조행위가 일상의 습관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이 자라서 성인이 되었을 때 공연장을 찾을 수 있는 잠정적인 고정관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스쿨콘서트’는 향후 공연장을 찾을 관객을 개발하기 위한 표석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동적 프로그램으로 공연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관객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창작행위의 일부를 지탱하는 주체적인 요소로서 예술가 및 단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예술단체의 고정관객으로 참석하게 됨으로써 정규 공연의 충성도 높은 관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이다.

      •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의 종단적 관계 : 부모, 또래 및 교사요인의 영향

        손지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depression and delinquency and the effect of parents, peer and teacher Data were drawn from five wave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f 2,280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 2 surveyed annually since 2010. This study used Latent Growth Model(LGM) to analyze intraindividual changes in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delinquency an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The result of this sr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y of adolescent's depression showed a slightly decreasing and delinquency showed increasing across time. The variance of intercept and slope of trajectories showed significance statistically, meanings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stability and change over time existed Second,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delinquency were as follow. The adolescent who had the higher initial level of depression showed the higher initial level of delinquency, and who had the higher initial level of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slop of delinquency. Finally, it indicated that the factors to affect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adolescents were related to parental abuse and permission, deviant peers an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By considering trajectories in depression and delinquency and factors that affect, distinctive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s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of depression and delinquency with the dynamic view.

      • 레이저유도플라즈마의 충격파 검출을 통한 나노입자의 크기측정

        손지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Laser-induced breakdown acoustic effect is investigated for the size determination of nano-sized colloids i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ppb ~ ppt. A plasma is generated by focusing a pulsed Nd:YAG laser beam into the sample. The sound intensity from the plasma is detected by introducing a conventional microphone, for the first time, to the LIBD method. The size distribution of nanoparticles is analyzed by measuring the total acoustic power of the shockwave from the plasma. The center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of the acoustic shockwave intensity is demonstrated to linearly depend on the size of particles in ranges of 21 nm ~ 70 nm. The intensity of the collected acoustic shockwave show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mission intensity detected by a CCD camera. The novel acoustic detection method using a microphone in this study can be found to possess several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detection with a PZT. For the first time, we proposed that LIBD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separation of three sizes mixed particles with about 10 nm resolution. Futhermore, its applicability of LIBD can be extended to the study of smaller size nanoparticles below 20 nm, semiconductor, and metal particles. 레이저에 의한 유도플라즈마 검출법(Laser Induced Breakdown Detection : LIBD)은 극미량 농도의 나노입자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방출된 빛과 충격파를 검출함으로써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감도 높은 실험방법이다. 수백 ppb에서 수 ppt에 해당하는 농도범위의 나노입자가 수용액 속에 존재할 때, 펄스레이저를 이용하여 고에너지를 집광시켜 주면, 다광자 흡수에 의해 breakdown이 일어난다. Breakdown에 의해 발생한 플라즈마는 수천 K의 빛을 방출하고 냉각되며 방출된 빛에 의한 온도차이의 결과로 인하여 충격파가 발생한다.본 실험에서는 충격파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압전소자(PZT)에 비하여 좀 더 높은 감도를 보였고, 입자크기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충격파 세기를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실험 조건 변화를 통해 최적의 검출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용매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충격파의 세기, 셀 벽면의 두께에 따라 변화하는 충격파의 세기, 농도에 의존하지 않는 충격파의 세기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polystyrene 21 nm ~ 240 nm 입자의 크기에 따른 충격파 신호세기를 알아보았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충격파의 세기가 일관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00 nm 이상의 입자크기에서는 그 세기가 선형성을 벗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이를 토대로 LIBD 방법으로서는 최초로 서로 다른 크기의 나노입자 혼합물을 분석하는데 성공하였다. 3가지의 크기가 혼합되어 있는 입자의 농도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었으며, 14 nm의 근소한 크기 차이에서도 성공적으로 입자크기를 구분할 수 있었다.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LIBD가 20 nm 이하의 나노입자는 물론 반도체, 금속나노입자 등의 연구에 활용된다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 교육인적자원부의 제 7차 교육과정에 포함된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의 연계성 비교·연구

        손지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국문요약 본 연구는 6차와 7차의 교육과정 과학과의 변화된 내용을 비교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라 새롭게 편찬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생물 분야의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그 연계성을 분석하여 학교 교육에서 어느 정도의 교육내용이 필요하며 보충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좀 더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생물 단원의 학습 지도와 운영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다음 교과서 개편 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기초 과학 지식 확립을 위해서는 학습 내용에 대한 학교 급간의 연계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 과정 개정방향에 있어서의 학교 급간의 교육목표별, 단원별, 학습내용별로 그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얻은 결론을 간략하게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의 내용은 과학적 탐구 방법 습득, 과학 지식과 기본 개념 이해, 과학적 태도 함양, 과학의 호기심 및 과학 학습 동기 유발, 표현력 신장, 탐구 능력 신장,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 학생의 진로 등 전인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며 중학교 , 고등학교 전반적인 목적이 서로 연계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단원별로는 생물교과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생명이라는 큰 개념을 주제로 하여 생물의 특성과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명의 연속성, 생명의 다양성과 환경, 생물학과 인간이라는 영역을 두어 각 단원들간의 연계성을 가지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셋째, 학습 내용별로 살펴본 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 내용이 심화·발전되어 연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중복되는 내용이 많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결론으로부터 제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교과 내 생물 단원에 대하여 개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학습 목표별, 단원별, 내용별 분석에서 각각의 연계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학습 내용 면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이 많아 교과 내용 구성면에서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즉, 학년이 올라갈수록 좀 도 심화된 내용의 학습을 위해서는 중복의 정도를 줄이고 발전과 격차를 갖도록 해야 하겠다. 둘째, 중학교 ,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가 거의 비슷한 구성을 보이는데 이는 데 검인정 교과서의 보다 다양한 구성이 요구된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한꺼번에 모두 해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다음번 교육 과정 개편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번 연구에서는 내용분석에 있어서 문헌 연구만 하였으므로 실제로 수업이 전개되는 상황은 고려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 내용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연구, 다른 과목과의 수평적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A Comparative Study on the Articulra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Courses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on, ji-ahMajor in Biology Education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Supervised by Professor, Lee, Hyung Hoan)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Science content changes in the 6th and 7th curricula, and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guidance and operation of Biology study by identifying the level of teaching further required in schools and the cont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based on an analysis of pertinence focused on Biological stud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newly complied in the revised direction of the 7th curriculum.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next re-editing of textbooks. In order for students to establish a fundamental scientific knowledge bas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 connection among school levels in terms of study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school levels in education goals, units, and study contents for the direction of the 7th curriculum revision. Conclusions made from the study may b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details of education goals were presented to enable a well-rounded learning, such as acquiring scientific research methods,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and basic concepts, developing scientific behavior, motivating scientific curiosity and scientific studies, fostering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and the ability to research, the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relationship, and student career path, and it was evident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the overall purpo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having examined the correlation of units in Biology courses, the focus was placed on connection among individual units with the big concept of life as the theme, subdivided into the areas of features and metabolism of living organisms, stimulus and response, continuity of life, diversity of life and the environment, and Biology and human beings.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by study contents, the study contents maintained correlation while intensifying and advancing as grades go up, but a lot of repetition was also found.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nd conclusions, the following proposals for improvement are made concerning the Biology unit within Science cour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7th curriculum. First, having examined the correlations of the 7th curriculum, analysis of study goals, units, and cont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each maintained correlation, but a lot of redundancy was found in study contents, which requires improvement in terms of curriculum structure. Second, more diversity in structure is needed for approved textbooks. It would not be an easy task to resolve all the issues of the 7th curriculum at once, and therefore, constant research and effort will have to be invested so that the next curriculum reform would be made in a better direction

      • 한국의 '신빈곤'에 대한 연구 : 노동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손지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new poverty' in Korea since 1997. Previous studies on new poverty so far tended to focus on examining specific groups such as the working poor, poverty among women, credit delinquents and so on who were just part of the new poverty. However,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conceptualize and empirically study the whole population of the new poverty.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s to attempt to conceptualize new povert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overty in Korea. Second was to grasp the present situation and transition of new poverty in Korea by examining the first, fourth, and seventh wave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rd was to examine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poverty including household income and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poor group, new poverty group, and non-poor group. Fourth was to explore solutions and policy alternatives for new poverty problem.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cluding backgrounds, patterns, types, and aspects of new poverty was made to attempt a theoretical structuralization towards new poverty. In addition, the Korean labor panel data was empirically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poverty. In terms of literature review, the new poverty was examined b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which indicated that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poverty was ever changing and the concept and standard of new poverty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poverty. The origin of new poverty class was discussed by reviewing Korean socioeconomic, political, historical backgrounds and history on Korean social welfare. Through a complete and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identified 5 characteristics of the new poverty group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overty class and these included relative poverty, working poor, composite poverty, dynamics of poverty, and exclusion from social welfare. For empirical test, new poverty group'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those of comparative groups by analyzing specific variables emerg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mentioned above. The data cam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analyzed the 1st, 4th, and 7th waves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subjects presumed to be in the new poverty group were first identified and they were compared to old poverty group and non-poor middle class group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poverty group. The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new poverty group has been increased persistently on a large scale increasing. Second, The households of the new poverty group tended to be in the middle of fifties and high school graduate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female households were very high. Third, the rate of working poor was high and the ratio of paid-work was high. Fourth, the new poverty group was shown a tendency to be excluded from various social welfare such as social security and public assistance and they tended to depend on transfer income. Fifth, there were high rate of fluctuation in terms of becoming poor and middle group.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are proposed.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expanding public assistance by changing minimum poverty lin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social security insurance by assisting insurance fee. Third, it is important to restructure a minimum wage policy. Fourth,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for man-power development and new job market creation. Fifth, public guarantee system needed to be developed for education and medical treatment. Sixth,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new system for basic income maintenance program. Given many useful and important findings this study has, this study also has a few limitations. This study was limited in terms of clearly differentiating the new poverty group from the absolute poverty group because whether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new poverty group was correlated with the absolute poverty group were not examin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limitation and other issues, th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the following issues more carefully. First,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develop new poverty policy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overty policy. Second,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more specific standards and indicators of new poverty. Thir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ogram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o assist the new pov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