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P 구조에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콘의 다파장 레이저 용융 공정에 대한 연구

        손영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71

        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scale of semiconductor devices has become smaller, and the bit integration of memory semiconductors has also increased. Recently, a COP structure V-NAND that can store more data than the existing V-NAND has emerged. Laser annealing of amorphous silicon inside the device is emerging as a key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V-NAND device based on the COP structure. In this study, a thick (400 nm ) amorphous silicon, imitating the amorphous layer separating the cell area from the peri area in the COP structure, was annealed by using a multi wavelength laser source. The surface morphology, roughness, and degree of recrystallization of the annealed sampl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tomic force microscope (AF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X-ray diffraction (XRD). And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laser anneal process of the a-Si used in V-NAND COP structures is conducted to predict the evolu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duced by multi-wavelength laser scanning. In particular, the issues of surface temperature and melt duration, which are critical in actual applications of laser melt annealing in relation to semiconductor fabric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btained from th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temperature in a-Si was well over the melting point (1440 K) of the a-Si, which numerically demonstrated full melting of the a-Si layer. Using multi-wavelength beam instead of single wavelength increased the melt duration of the annealed a-Si, which was beneficial for the formation of large grains.

      • 플라톤 중기 대화편의 영혼 개념

        손영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 ??파이돈??과 ??국가??를 중심으로 영혼 개념의 문제를 논의한다. 두 중기 대화편에서 영혼 개념은 일관적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를 둘러싸고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필자는 영혼 개념과 관련된 해석적 문제들을 소개하고 기존의 연구들이 어떤 점에서 한계를 갖는지 밝힐 것이다. 이후 그런 한계들이 궁극적으로 어떤 이유에서 발생하는지 보이고, 마지막으로 이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 필자 나름의 제안을 할 것이다. 예비적 논의에 해당하는 Ⅱ장에서는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에 나타나는 영혼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로서 세 가지 영혼 개념을 탐구한다. 호메로스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게 나타나는 1)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 개념, 오르페우스교-피타고라스학파 교리의 2) 인격체로서의 영혼 개념, 그리고 플라톤에게 나타나는 3) 지성으로서의 영혼 개념이 그것이다. Ⅲ장에서는 ??파이돈??과 ??국가??에 나타난 영혼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와 관련된 해석적 문제들을 제기한다. 플라톤은 ??파이돈??에서 영혼이 불멸함을 증명하기 위해 네 가지 논증을 제시한다. 먼저 상기 논증과 유사 논증에서 단일한 지성으로서의 영혼 개념이 나타난다. 이 영혼은 단일한 본성을 가지며 분해될 수 없고 불멸하는 것이다. 한편 나머지 두 논증에서 나타나는 영혼의 개념은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이며, 또한 신화의 내러티브 속에서 영혼은 인격체로서의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 ??국가??에서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이 세 개의 부분을 가진 복합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에르 신화에서는 인격체로서의 영혼 개념이 다시 제시된다. 영혼의 본성에 관한 그런 관점의 변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첫째로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논제를 약화시킨다. 영혼이 복합적인 본성을 가진다면 과연 불멸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이에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한다. 둘째로 심리적 갈등과 관련된 문제가 있다. ??파이돈??에서 나타난 영혼-육체의 이분법적 구도는 인간이 겪는 내면적 갈등을 설명할 때 어려움을 겪는데, 한 인간 안에서 두 개의 주체를 상정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플라톤이 ??국가??에서 영혼의 삼분설을 주장하면서 해결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영혼이 복합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처음에 제시했듯이 영혼의 불멸성 논제를 크게 위협하게 된다. 셋째로 기억과 상기의 문제가 제기된다. 플라톤은 ‘이데아에 대한 기억’, 그리고 ‘육체와 결합되었던 이전 삶의 기억’이라는 두 종류의 기억을 제시한다. 전자는 비인격적인 종류의 기억으로서 단일한 지성적 본성을 가진 영혼을, 후자는 인격체로서의 영혼 개념을 함축하며, 그런 영혼의 두 개념이 서로 동일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Ⅳ장 전반부에서는 Ⅲ장에서 논의된 영혼의 본성 문제에 관한 학자들의 해석을 소개하고, 기존의 해석들이 어떤 점에서 영혼 개념에 대한 적절한 해석일 수 없는지 보인다. 영혼의 복합성을 강조하는 해석은 영혼의 불멸성을 어떻게 확보될 수 있을지를 설명하는 데서 어려움을 겪는다. 한편 영혼의 본성이 단일한 것이라고 보는 해석은 영혼이 부분을 가지고 있다는 플라톤의 논거들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필자는 Ⅳ장 후반부에서 기존의 해석들이 적절하지 않은 또 다른 차원의 이유를 제시하는 동시에, 플라톤의 영혼론을 탐구하기 위해 무엇이 고찰되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밝힌다. 플라톤의 영혼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배후에 놓인 두 상반된 사유들에 주목하는 것이 요구된다. 먼저 플라톤은 철학적 사유를 통해 영혼의 단일한 본성을 옹호하면서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한다. 그런 영혼은 육체적 요소들이 제거된 순수한 지성적인 본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교적 사유의 맥락에서 보면 죽음 이후에도 보상과 처벌의 주체로서 인격성을 유지해야 하는 인간의 영혼은 살아있을 때의 감정과 욕구, 그리고 기억들을 계속 보존하고 있어야 하며, 이런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영혼은 복합적인 본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런 맥락에서 ??파이돈??과 ??국가??는 플라톤이 양립하기 어려운 두 가지 사유를 통해 자신의 영혼 개념을 정립시키는 과정에서 그것들 사이의 갈등이 나타나는 대화편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플라톤의 영혼론 이면에 존재하는 두 사유의 축은 영혼의 본성 문제에 관한 기존의 접근방식들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통찰을 던져준다. 플라톤의 영혼 개념에 대한 적절한 해석은 중기뿐 아니라 후기 대화편의 영혼 개념까지 고려한 좀 더 총체적인 탐구가 선행된 뒤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 비주얼스캔들표현요소를 활용한 앰비언트 광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해외광고 수상작을 중심으로

        손영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David Ogilvy who is a famous advertiser in the U.S., and is so called the father of modern advertising, stresses that advertisements are penetrating deep into and are naturally sinking into our daily life, saying that "This world consists of air, water and advertisements." In reality, modern people of the 21st century encounter advertisements easily anytime and anywhere always, ar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fluenced by them and are living in the 'flood of advertisements'. Also, consumers are living in complicated and suggestive environments formed with various forms of entertainment and media in addition to these advertisements. The indiscriminate suggestive exposure to 'so many noises, excessive information and pouring media' has given psychological burden to consumers and made it difficult to choose and accept information. For these reasons, advertisements have been ignored and rejected by consumers and now, it is hard for them to play their roles and functions any more. In this regard, consumers don't want repeated and urban advertising communication of the top four media(TV, newspaper, radio and magazine) which they are sick of, and are looking for new and fresh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is, advertisers and people engaged in advertisement production are seeking new alternatives to find creative to attract consumers that are changing quickly. As an alternative solution, creative which gets over the limit of existing media and arouses curiosity, fun and interest of consumers using street trees, walls, bridges and stairs in ordinary life, has appeared and this is 『ambient advertising』.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is ambient advertising has the same type and context with 『expressional elements of visual scandal』 that catch attention of consumers, as a result of visual shock when seeing something new and unfamiliar, breaking from the stereotype. Visual scandal is a term which was first devised by a French graphic designer, Raymond Savignac in 1950, and is defined as 'something unusual which breaks from our common sense visually and is hard for us to understand and concentrates attention unconsciously through visual stimulus of visual image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and arouses interes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expressional elements of visual scandal from ambient advertising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creative media, and to examine various meanings and visual expression methods contained in it. Moreover, this paper studied how ambient advertising using expressional elements of visual scandal stimulates five senses of consumers and arouses interest and fun, in depth. 미국의 유명 광고인으로 소위 현대광고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는 “이 세상은 공기와 물과 광고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하며 우리의 일상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중요하고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자연스럽게 녹아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도 21세기의 현대인들은 365일 언제 어디서나 광고를 쉽게 접하게 되고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광고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이른바 ‘광고의 홍수시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이러한 광고와 더불어 다양한 오락거리와 매체로 이루어진 복잡하고 자극적인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너무 많은 소음, 과다한 정보, 쏟아지는 매체’ 등의 무분별한 자극적 노출은 소비자들에게 심적 부담감을 느끼게 하고 정보의 선택과 그것을 수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만들어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거부당하게 되었으며 더 이상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소비자는 기존 미디어(TV, 신문, 라디오, 잡지)를 활용한 4대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반복적이고 도식적인 광고커뮤니케이션의 식상함을 더 이상 원하지 않게 되었고, 이에 새롭고 신선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고 갈망하게 되었다. 여기에 광고주와 광고제작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크리에이티브를 찾아내고자 새로운 대안적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대안적 해결책의 실마리로서 기존의 매체의 한계를 벗어나 일상에서 발견되는 가로수, 벽, 다리, 계단 등을 활용한 광고의 표현으로 매체의 제한을 극복하고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재미, 흥미를 유발하는 크리에이티브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앰비언트 광고』이다. 본 연구자는 이 앰비언트 광고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것을 볼 때 발생하는 시각적 충격의 결과로서 소비자의 주목을 유도하는 『비주얼스캔들의 표현요소』와 유형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보았다. 비주얼스캔들이란 1950년도에 프랑스 그래픽디자이너인 사비냑(Raymond Savignac)이 처음 고안해 낸 용어로 ‘시각적으로 우리의 상식적인 것을 벗어나 우리가 이해하기 힘든 비일상적인 어떤 모습이며, 표현적으로는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자극을 주어 무의식중에 시선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미디어로서 주목받고 있는 앰비언트 광고에서 비주얼스캔들표현요소를 발견하고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의미와 시각적 표현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또한, 비주얼스캔들표현요소가 활용된 앰비언트 광고가 어떤 방법으로 소비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게 되었는지 그 안에 담긴 내면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 소설 『구운몽』 필사본 서체의 미학적 고찰 : 규장각본을 중심으로

        손영일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本論文是对17世紀後期西浦金萬重(1637~1692年)的韓文小說-「九雲夢」手抄本的笔体之美用书法美学的观点所进行的研究。 朝鲜王朝后期(17~19C),受到经济社会趋势的影响,在社会的各个阶层都出现了广泛的韩文小说读者,因此韩文文学的领域逐渐變廣,出现的作品也越来越多。在这样的一种社会背景下,出現了小說「九雲梦」的手抄本。當時小說的手抄形式,與其說是為了表達一種書寫的美感,不如說是為讀者傳遞內容的信息。儘管如此,「九雲夢」的手抄本的筆體依然展現出了一種自由奔放之美。 韓文小說「九雲夢」的手抄本(奎章閣蔵本)是在韓文的宮體十分盛行的朝鮮後期出现的。自韩文出现之后,宫体一開始主要由女性使用,比較受限制。因为在宮中只作为实用性的书写体来使用,因此一直表現出一種机械式的體態。在这样的时代性背景之下,想要表现那种“心象艺术”是具有一定的难度的。然而,这样的宫体到了正祖时期就出现了一些变化。因对韩文小说的需求不断增加,它所使用的字体也就突破了只限于宫体的那種局面。而在这样一个具有變化的时代背景下,「九雲夢」的手抄本創造了這萬分絕妙的筆體。 有關「九雲夢」手抄本的抄寫人,我們並不知道其姓名,因此在剖析其審美價值及原因時會比較困難。但是通過留下的字跡去分析其筆體之美,從而推測其變化的環境,再去判斷其審美價值卻是可行的。因此,作者從儒家之美著手,對「九雲夢」進行了美學價值的考察。 「九雲夢」手抄本中所載有的筆體,其儒家美的特點可以分為“文質彬彬的中和美”、“陰陽感應的對待美”、“氣韻生動的動態美”而進行分析。而其字體之美可分為“章法上的調和美”、“結構上的變化美”、“運筆上的節奏美”進行分析。 所謂中和美是指在創作書法作品時追究一種符合規矩的秩序,是古今相融、外形與本質恰當的組成協調之美的一種審美觀點。在「九雲夢」手抄本中的中和美主要體現在其構圖對薄厚、輕重、大小、長短、疏密、方圓等都十分恰當,展現出一種“沉著痛快”之美。另外在章法的運用上也有一種飄逸與灑脫的氣概,並表現出一種秀潤圓勁的情感。 對待美是以太極陰陽對待論為基礎的一種審美觀點。對待是指具有相對性的元素之間的關係法則,它使萬物變得有生氣,并且是決定世上運動變化的生命之本源。基於對待原理的對待之美是一種能夠給作品帶來生動之感的要素。「九雲夢」手抄本中的所列出的字形也在大小长短、疏疏密密、薄厚轻重、对峙相补、方圆呼应等對待美的要素运用上做得十分精彩,组成了一组生动的笔体之美。 动态美来自作者的“气韵生动”的气质。因动态美而展现出来的最迷人的美之特性是节奏之美。对笔体之美进行分析可以得出,运笔时节奏美的要素有运笔速度、阴阳对待的气韵、连接美与不均衡之中的协调等。「九雲夢」手抄本就具有這些自然的元素融合在一起展現出的一種氣韻生動美。 本論文對「九雲夢」手抄本中的筆體所帶有的特徵進行了分析,並對其美的價值進行了研究。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에 西浦 金萬重(1637~1692)의 한글소설 『구운몽』의 필사본 서체에 담긴 서체미의 특질을 書藝美學 측면에서 연구한 것이다. 朝鮮조 후기(17~19C)에는 경제․사회적 여건으로 인해, 한글 소설이 사회 전반적인 독자층을 폭 넓게 형성하면서, 한글 문학의 영역이 넓어져 다수의 작품이 간행되게 된다. 이러한 소설 다작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구운몽』 필사본이 간행되었다. 당시 소설의 筆寫는 예술적 思惟에서 쓰였다기보다는 독자에게 내용을 전달한다는 실용성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구운몽』 필사본의 서체는 자유분방하고 호방한 美를 지닌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한글소설 『구운몽』 필사본(규장각 소장본)은 한글 궁체가 미적 감흥을 고조시켜 나가던 조선후기에 서사되었다. 이전의 궁체는 한글이 창제된 이후 여성들이 사용주체가 되어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궁중에서 실용적 목적으로만 쓰여 지던 궁체는 엄격한 법도 아래서 기계적으로 서사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여건으로 인해 ‘心象藝術’이라는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담아내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 처했던 궁체가 英․正祖 시기에 이르러 변하게 된다. 한글소설의 需要가 늘어남에 따라 궁중의 법도를 벗어난 글씨가 쓰여 지게 된 것이다. 그러한 시대적 변화상 속에서 『구운몽』 필사본이라는 걸출한 서체를 낳게 된다. 『구운몽』 필사본은 서사자가 밝혀지지 않아, 심미가치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남겨진 글씨를 통해 서체미를 분석하여 연역적으로 당시의 서사 환경을 유추하고, 또 그 심미가치를 가늠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이에 論者는 『구운몽』 필사본을 유가미적으로 접근하여 그 미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구운몽』 필사본에 담긴 서체의 유가미적 특질로는 ‘文質彬彬的 中和美’, ‘陰陽感應的 對待美’, ‘氣韻生動的 動態美’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서체미에 대하여는 ‘章法上의 調和美’, ‘結構上의 變化美’, ‘運筆上의 節奏美’ 측면에서 분석 고찰할 수 있다. 中和美란 서예를 할 때 規矩에 맞는 질서를 추구하며 古今의 조화로써 외형과 본질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심미가치이다. 『구운몽』필사본에서의 중화미는 結構를 할 때 畫의 肥瘦, 輕重, 大小, 長短, 疏密, 方圓의 운용을 적정하게 하여 沈着痛快의 美를 나타냈다. 또 章法의 운용에서도 飄逸하고, 瀟灑한 기개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秀潤圓勁한 情感을 갖추었다. 對待美는 太極陰陽對待論을 基底로 삼은 미학범주이다. 對待는 상대성을 가진 요소의 관계성에 대한 법칙으로 만물을 生生하게 하고 세상의 운동변화를 결정하는 생명의 본원이다. 對待 원리가 적용된 對待美는 작품에 생동감을 주는 원천이다. 『구운몽』필사본은 자형의 결구를 할 때 대대미의 요소인 大小長短, 疏疏密密, 肥瘦輕重, 對峙相補, 方圓呼應의 적절한 운용으로 생명감 넘치는 서체미를 갖추었다. 動態美는 작가의 ‘氣韻生動’한 기질에서 우러나온다. 동태미로 인해 드러난 가장 큰 미적 특질은 節奏美이다. 서체미 분석을 통한 운필상의 절주미의 요소로는 運筆速度, 陰陽對待의 기운, 연결미, 불균형속의 조화가 있다. 『구운몽』필사본은 그러한 천연스러운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기운생동의 미를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은 『구운몽』 필사본 서체가 지닌 위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그 미적 가치를 연구하였다.

      • 현대사회의 정보화 과정과 한국의 정보화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손영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1855

        Where there is a change there is a cause. In this view there must be an inevitable cause in changing from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n what kind of an inevitable cause forced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to transform to the information society? How did the inevitable cause reshape an existing society? Is there any constant rule or not for the transformation? This study was embodied from these questions. They say we are at the threshold of a new kind of society. The change of a society is generally started from the development or innovation of new technologies which make an existing society be a better one. Accordingly all societies try to develop and innovate their technology. Such trial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change of the society. It is technological determinism. It is true that a technology changes the human society. An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that can stimulate significant social change is clearly underway. The exponential growth in computational capability per unit dollar and rapidly increasing bandwidth continues to fuel high expectations that computerization will transform informational and social structures. In a result these days information technology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future shaping of society. The idea of information society is not entirely new. It has its roots in the literature of post-industrialism. People started getting together and exploring the fact that there was going to be a revolution in technology which was going to change society so drastically. Alvin Toffler urged this point in his well-known third wave concept; The first wave is agricultural, the second, industrial and the third, information society. The computer plays a pivotal role in information revolution. Major social changes result from the establishment of new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s. Many seem to agree that bringing together computing with telecommunications spells the start of a new age. Daniel Bell also maintains that technology has been the chief engine of raised living standards and reduced inequalities, created new economic dependencies and new social interactions, and altered perceptions of time and space. New technologies apparently has the capacity to shape society in some autonomous fashion. In other words new technologies plays a central role in the restructuring of the advanced economies. New technology is as much a social product as the shape of society is a technological product. Information technology reduce the drudgery and danger of some occupations, speed medical diagnosis, crime detection or welfare benefits payment, help to conserve scarce national resources and to anticipate disasters such as crop failures or earthquakes. But it is a mistake to jump from specific social benefits to the assumption that all information technology's effects are equally benign. There is a constant interplay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Information society is also the product of the constant interplay between two factors. The main problem is the one way relationship expressed in the idea of social impacts of technology that is technologically determinist views. For it suggests the technology is somehow outside society. The social and the technological can not be separated in this way. It is quite clear that polity and economy are interdependent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far from simple. On the base of such interdependency between two factors I will try to disclose how economy, society, culture and polity can be changed in view of the economical determinism and how the general rule of a change can be se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efficiently I will divide all contents into six chapters. In chapter 1 which is preface, I will disclose the purposes, importance,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ies, in chapter 2, review the concep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arguments of dominant theories, in chapter 3, unveil the causes why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took the information technology as the best solution to improve the serious problems of the society, in chapter 4,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controversial points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chapter 5, forecast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information society on the base of Korean situation, finally in chapter 6 which is a conclusion chapter, summarise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treatise and forecast the future shaping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a next age.

      • 연역 기능을 갖는 지리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손영일 翰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1855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However, there is now some indication that current GISs do not adequately facilitate the decision process. The need for improvement of current GIS performance has promoted the integration of Expert Systems with GIS. This paper examine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integration of GIS and ES. In this paper un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and the systems, we propose implementation of a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o integrate GIS with deductive mechanism which can perform information retheval flexibly. This system can retrieve various database information about an environment, when the users retrive database through the system and deductive mechanism, the users can be variously offered information about the qu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