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성지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서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에게 영재교육의 기회를 높이고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역량 중심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에 맞게 재구성한다. 둘째, 재구성된 프로그램을 일반학급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와 함께 수업 시간에 나타난 학생들의 활동에서의 변화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T지역 Y초등학교 6학년 일반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 수업을 기존의 역량 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개의 단원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이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반응과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원을 선정하여 교과서와 차이점을 비교한 뒤 일반학급에 알맞은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및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하여 유의미한 수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조작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풀이에 문제점을 스스로 발견하고 수정해 나감으로써, 재구성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수학적 태도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자전적 서사를 활용한 소설 창작교육 방안 연구

        성지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revitalize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literature, this article aims to find practical creative education plans by focusing on the creative activities of literature. To this end, literary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of novel creation education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were reviewed, and novel creation education plans were devised accordingly. Chapter II examin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of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literature', which is a sub-element. In addition, 10 literary departments reviewed the aspects of the inclusion of the works of the "Reorganiza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 unit, and closely analyzed the patterns in the textbook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was emphasized, and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organiza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 unit were most explicitly implemented. In Chapter III, the "Reorganiza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 section was examined for 10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types of creation of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reconstruction activities that change detailed characteristics in existing works and creative activities that go one step further to create new literary works in existing works. In addition, learning activities dealing with the production process of literature were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analyzed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can be pointed out as a common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licit learners' interest because the creative process is different from textbook to textbook, and some processes in the creative stage are omitted. Chapter IV attempted to devise an educational method of creating novels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derived in Chapter III. First, the concept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was defined, and through this, the focus was on the fact that the learner's experience was a major subject in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literature. Next,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self-reflection perspectives, and sustainability of the 2015 curriculum,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was examined, and the incidental effect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 stage of novel creation was presented in five stages of 'Planning-Organizing-Generating-Evaluation-Modifying', and a detailed creation process was proposed accordingly. First, in the planning stage, the material of the work is selected by recalling the learner's experience before conducting creative activities in earnest. The content organize stage is the process of organizing learners' conscious experiences, and it presents the overall content of the work based on the central sanctions of the story for consistent creative activities. The content generation stage is a process of synthesizing and discuss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tages, and practical novel cre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tage of the novel (initiation, development, crisis, climax, and ending).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evious activity is evaluated, and in the rewriting stage,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work based on the feedback of the previous stage was presented.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novel creation education plan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using one's experience is emphasized. In addition, it is valuable in that it presented the stage of novel creation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existing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Finally, it can be noted that creativ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highlighting the productive aspect of creative education and urging the active attitude of learners. However, in this article, the reality of creative education of the novel was realized by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but it is regrettable that it was not connected to a specific learning guidance. In addition,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lan in the actual school field. Therefore, follow-up research on thi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se follow-up studies, we hope that learners can effectively educate the creative activities of literature, and that creative education methods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s can be further developed. 이 논문은 문학의 생산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문학의 창작 활동에 초점을 두어 실제적인 창작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문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자전적 서사를 활용한 소설 창작교육의 효과를 검토하고, 이에 따른 소설 창작 교육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의 수용과 생산’의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하위 요소인 ‘문학의 창작과 재구성’이 도입된 배경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문학󰡕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문학의 재구성과 창작’ 단원의 작품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교과서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을 강조하고 있으며 ‘문학의 재구성과 창작’ 단원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가장 명시적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문학의 재구성과 창작’ 단원을 살펴보았다. 학습활동의 창작 유형은 기존의 작품에서 세부적인 특성을 바꾸어 보는 재구성 활동과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존의 작품에서 새로운 문학작품을 만들어 보는 창작 활동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의 생산 과정을 다룬 학습활동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교과서마다 창작의 과정이 상이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어렵고, 창작 단계의 일부 과정이 누락되어 분절된 양상을 보이는 것은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된 한계점에 대한 대안적 방안으로 자전적 서사를 활용하여 소설을 창작하는 교육적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전적 서사의 개념을 규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의 경험이 문학의 생산 활동에 주요한 소재가 된다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다음으로 2015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자아성찰의 관점,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점을 토대로 자전적 서사의 교육적 의의를 살피고, 그에 따른 부수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소설 창작의 단계를 ‘계획하기-내용 구성하기-내용 생성하기-평가하기-고쳐쓰기’의 5단계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창작 과정을 제안하였다. 먼저 계획하기 단계에서는 본격적으로 창작 활동을 전개하기 전에 학습자의 경험을 상기하여 작품의 소재를 선별한다. 내용 구성하기 단계는 학습자가 의식화한 경험을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일관성 있는 창작 활동을 위해 이야기의 중심 제재를 기반으로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을 구상하도록 제시한다. 내용 생성하기 단계는 이전 단계들의 내용을 종합하여 담론화하는 과정으로, 소설의 구성 단계(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에 따라 실질적인 소설 창작 활동이 이루어진다. 평가하기 단계는 앞의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고쳐쓰기 단계에서는 앞선 단계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작품을 보완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고는 자신의 경험을 활용한 ‘자전적 서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따라 자전적 서사를 활용한 소설 창작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소설 창작의 단계를 제시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끝으로 창작교육의 생산적인 측면을 부각하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태도를 촉구하여 창작 활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자전적 서사를 활용하여 소설의 창작교육의 실제를 구현했으나, 구체적인 학습 지도안으로 연결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해당 교육 방안의 효과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문학의 창작 활동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자전적 서사를 활용한 창작교육 방안이 더욱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논의를 마친다.

      • 말뭉치 품질 제어를 위한 기계가독형 지침 설계 제안 : 보조용언을 중심으로

        성지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말뭉치의 자료 수집에 대한 접근 또한 이전보다 용이해졌다. 하지만 말뭉치의 양적인 측면에서 데이터 구축 및 처리 기술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음에 따라, 연구의 화두는 데이터 구축, 처리 및 관리의 질적 향상으로 옮겨갔다. 이러한 흐름의 한 가지로 대규모의 언어 자료를 자동, 반자동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류들 역시 언어자료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임에 의심할 여지는 없다. 현재까지 말뭉치의 오류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어져 왔으나, 말뭉치의 오류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말뭉치의 신뢰도를 검증할만한 객관적인 지표 역시 제안되지 못했다. 주석 말뭉치의 품질 관리와 관련해서는 주석 말뭉치의 오류 유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한다. 먼저 주석 주체가 작업자라고 생각했을 때, 작업자들 간에 주석 불일치 현상을 꼽을 수 있고 반대로 주석 주체를 기계로 본다면, 내부 태깅 룰의 결함으로 인한 주석기 오류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지침(Guideline)자체가 잘못 기술되거나 모호한 기술로 해석에 여지를 두는 경우도 있다. 현재의 말뭉치 주석 작업은 대규모의 말뭉치를 다루고 있다는 점, 많은 양의 작업량 때문에 여러 명의 사람들이 작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 주석기의 불완전함으로 최종 검수자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작업 중간에서 혹은 작업의 마무리에서 사람이 개입함에 따른 문제는 그 간의 선행연구에서도 지적해 왔듯이 말뭉치 품질 저하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주석 말뭉치의 품질을 관리 혹은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사람인 작업자를 위해 기술된, 다소 추상적인 주석 지침을 기계 가독형으로 전환하여 주석 말뭉치의 품질에 대한 검증에서 ‘사람’을 배제하는 것이다. 주석 말뭉치는 원시 말뭉치를 언어학적 관점을 투사하여 만들어 진 것이라 볼 때, 주석 지침은 말뭉치의 태깅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어휘 토큰에 대해 주석 지침의 각 항목들이 마치 하나의 ‘약속’이 되어 품사를 부착하고, 이 일련의 과정을 거친 결과물이 주석 말뭉치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각각의 주석 결과에 적용된 언어 규칙이 무엇인지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주석말뭉치가 참조한 지침(언어 규칙)에 대한 일치도를 기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말뭉치의 태깅(tagging)의 근거에 대한 가시적인 증거를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지침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주석 말뭉치 전체에 대한 주석 상황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자료의 품질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형태 주석 지침을 기계 가독화시켜 원시 말뭉치, 주석 말뭉치, 언어 규칙이 일대일 대응을 이루도록 하여, 최종 주석 말뭉치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으로서 '기계가독형 지침'을 제안한다. 지침의 기계 가독화는 언어 자료 관리 및 정보의 표준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가장 기본적으로 주석 결과와 지침 간의 일치도, 복수의 주석자 간의 일치도 등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고 오류를 개선해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 정보를 다루는 데에 있어 ‘표준화’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언어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상호호환성(interoperability)을 보장하고, 새로운 언어 자원을 구축하거나, 기 구축된 언어 자원을 재사용 및 병합할 때도 작업을 보다 수월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As the corpus has increased in size, and given that it has been diversely utilized by developing corpus-processing technology, the need to perform data quality control to ensure corpus accuracy has emerged as a hot issue. There are a variety of studies that have aimed to improve corpus quality, but since they have focused on variable elements, including the tagger who annotates the corpus, the annotator, as well as the errors associated with their application, there is no continuity or repeatability in the findings of related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ensure that the guidelines are met when the corpus is accurately annotated, not elements not to be fixed when the corpus is actually built like the tagger or annotator. This study can objectively express the corpus quality according to one’s compliance to the machine-readable guideline.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ethodology to the Korean POS-tagged corpus of the 21st century, the Sejong project,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auxiliary verb category, h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95.4% of items that matched the machine readable guidelines, while the remaining 4.6% of items may hold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the guidelines through the addition of rules and categories. Through the methodology in this discussion, the corpus quality can be verified and evaluated independently from the tagger or annotator, and during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the annotation guideline are modified or edited.

      •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적응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성지민 국립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를 질적 메타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 지 4편, 학술지 등재후보 1편, 박사학위논문 3편, 석사학위논문 2편까지 총 10편을 포함하였다. 선정된 연구물을 분석하여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적응 경험을 ‘부정적 심리 적응’, ‘긍정적 심리 적응’으로 명명한 두 가지 분류의 심리적 적응 경험을 도 출하였다. 이어 ‘신체적 고통과 불편감’, ‘체류 신분 때문에 불안함’, ‘차별을 받음’, ‘정체성 혼란’, ‘외부와 단절된 삶’, ‘한국 문화에 익숙해 짐’, ‘한국에서 당당하게 있 을 수 있게 됨’, ‘사회적지지 체계가 만들어짐’, ‘고국의 가족과 나은 미래를 희망 함’에 대한 아홉가지 하위범주로 구분하였다. 결과로는 신체장해와 인권침해 경험, 체류신분이 불안할수록 부정적 심리 적응 경험을 하였다. 반면에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어 체류자격을 변경한 경우, 사회적지지 체계가 견고할수록 긍정적 심리 적응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확인한 요인과 진술을 바탕 으로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적응 경험을 각각의 핵심 개념에 따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이주 후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적응 에 관한 연구 및 상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experiences of migrant workers. The analysis included a total of 10 articles, comprising 4 domestic academic journal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from 2010 to 2023, 1 journal under consideration for inclusion, 3 doctoral dissertations, and 2 master's the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studies, two categorie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experiences of immigrant workers were derived and named 'negativ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adaptation.' Subsequently, nine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hysical pain and discomfort,' 'anxiety due to residency statu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dentity confusion,' 'disconnected life from the outside world,' 'familiarization with Korean culture,' 'ability to confidently exist in Korea,' 'formation of social support systems,' and 'hoping for a better future for family in the home countr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adaptation experiences were associat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nsecurity in residency status. On the other hand, improved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leading to a change in residency status and a robust social support system were assoc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adaptation experiences. In the discussion, the identified factors and statements were used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experiences of migrant workers according to each key concept.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research 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migrant workers in the post-migration perio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동사 유형에 따른 '-다고' 인용 보문 산출 능력

        성지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대방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적절한 문장 구조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의미적으로 알맞게 전달할 수 있어야한다. 때문에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는 문장 구조는 단순한 문장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도를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사용하게 된다. 복문의 유형 중 한 종류인 보문은 내포문에 속하는 문장 구조로 복문의 형태 중 가장 이르게 발달한다(Bloom, Tackeff, & Lahey, 1984; Diessel, 2004; Diessel & Tomasello, 2001). 아동은 보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이나 믿음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인용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 이렇게 의사소통 기능이 강한 보문구조는 특정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러한 동사는 대체로 구체적인 담화에 참여하는 발화 행위나 마음속의 생각을 표현하는 인지 행위를 나타낸다(Diessel, 2004; Owen Van Horne & Lin, 2011). 일반적으로 인지 동사는 의미적으로 매우 추상적이며 관찰되지 않는 현상을 표현해야하기 때문에 습득과 사용에 있어서 높은 인지 수준이 요구된다. 또한, 동사의 습득 및 발달은 동사가 가지고 있는 구문적, 의미적 습득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곧 동사의 사용이 구문 구조의 사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복문 구조 산출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지만, 보문 구조의 특성에 주목하여 사용을 알아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보문 산출 과제를 통해 문장 구조 정확도를 살펴보고 보문 구조 산출 시 동사 정확도가 어떤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5-7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을 대상으로 보문 산출 과제를 진행하였다. 집단 간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동사 유형에 따른 문장 구조 정확도와 동사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 혼합 분산분석(two 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동사 정확도와 변인(연령, 표현 어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시 문장 구조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산출 과제의 문장 구조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집단 내 요인으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주효과와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 시 동사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동사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동사 정확도를 살펴 본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내 요인으로 동사 유형(발화 동사, 인지 동사)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사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연령, 표현 어휘력과 보문 산출 시 동사 수행 정확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어떤 변인과도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인지 동사 수행도와 연령, 인지 동사 수행도와 발화 동사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보문 산출 과제 수행 시 오류 빈도 및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문법형태소 오류를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뒤이어 의미 오류, 불완전수행 오류, 모른다 오류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문법형태소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불완전 수행 오류가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 의미 오류, 어순 오류, 모른다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보문 산출 시 문장 구조 정확도와 동사 정확도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장 구조 정확도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구문 구조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된 바와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동사 정확도에서도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보문 구조에 익숙하지 않고 구문 내에서의 동사 사용에 있어서 들은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일반 아동 집단과 달리 언어발달지연 집단의 동사 유형에 따른 동사 정확도와 연령, 표현 어휘력 간에는 아무런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구문구조에 취약함을 보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다른 기제의 결함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다. 일반 아동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 문법형태소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뒤이어 의미 오류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이 문장에 필요한 어떤 요소를 생략하거나 첨가시켜 의미를 변화시킴으로써 구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오류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보문 구조에 대한 이해 및 표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중재 시 문장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 유형의 동사를 구조 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dago'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s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ago' complement sentences were us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verb to examine structure produced, verb produced, and their error types. A group of 15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M=6.8) was compared with a group of 15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M=6.6).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12 items; 6 of complement sentences with communication verb, 6 of complement sentences with mental state verb. A short story was presented through video for each items and asked to say the situation that heard in complement sentence with correct verb. The quest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structure accuracy in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Does the verb accuracy in complement sentence with different verb typ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Does the verb accuracy correlated with age and expressive word ability for each group of children? (4) What are the error types of complement sentence production for each group of children?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addition, the error types in groups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occur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ollows; Th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difficulty in structure accuracy compared with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depending on verb types. Also,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difficulty in verb accuracy but no significance with verb types. However, two 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with verb types. Mental state verb accuracy correlated with age in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Both groups showed grammatical errors most frequently and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emantic errors second most while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did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whe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ttempt to produce complex sentence forms, they have weakness to gather all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in one sen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re seemed to need more support for use of complex sentence with variety types of verb at the same time.

      • Bartenieff 신체요법의 원리와 특징에 관한 연구

        성지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신체요법 중에서 바르테니에프(Bartenieff) 신체요법에서 제시하는 움직임의 원리 및 관련 개념을 바탕으로 움직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바르테니에프의 생애 및 업적과 그녀의 이론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된 라반의 움직임 이론 그리고 그녀의 신체요법에 대한 이론 및 움직임 훈련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바르테니에프 신체요법의 특징을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양식적인 측면에서 상상기법을 사용하고, 라반의 신체, 에포트, 쉐입 및 공간 등의 이론적 개념을 사용하여 요법의 기본원리 및 관련개념들을 이끌어냈다. 특히 신체의 개념을 확장하여 근육 및 관절 간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라반의 움직임 분석 체계를 통합적으로 응용한 훈련체계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근육의 사용과 움직임 패턴에 대한 평가를 용이하게 하고 조직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 훈련체계는 운동선수, 안무가 등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기본 훈련을 통해 더 발전된 움직임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셋째, 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은 항상 호흡과 함께 수행된다. 인간은 항상 호흡을 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에서는 이 호흡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이 호흡과 함께 움직임을 수행하면서 더 많은 근육의 강화 및 유연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넷째, 움직임 수행 시 항상 힘을 뺀 채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누워서 실행한다. 이 상태에서 행하는 바르테니에프의 기초훈련은 일상생활에서 항상 행하고 있는 걷기, 바닥에서 일어나기, 앉기와 같은 기본 동작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재학습의 개념을 갖고 있다. 다섯째,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여섯 가지 기초훈련을 토대로 움직임의 기초단계에서 점차 발전시켜 나간다. 이때에는 정해진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실행하는 사람에 따라 움직임 훈련의 유형을 달리 할 수 있다. 여섯째,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주입식이 아닌 실행하는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게 만들기 때문에 움직임의 부적응 상태를 스스로 깨달을 수가 있다. 일곱째,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실행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신체의 골격 체계를 의식하도록 만들고, 움직임의 표현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움직임 형태의 특성 및 공간적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관해 생각을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소아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움직임을 연구했기 때문에 쉽고 기본적인 움직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초기단계에서부터 발전적인 단계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어서 일반 사람부터 움직임을 전문적으로 하는 무용수에 이르기까지 움직임의 기초를 튼튼히 할 수 있는 활용 범위가 넓다. 또한 움직임 훈련의 기초단계 완성을 통해 발전단계에서 나타나는 신체의 부적응을 깨닫게 함으로써 움직임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신체의 상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은 무용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신체의 올바른 움직임 수행 방법을 터득하게하고 상해 예방의 한 방법으로서 신체요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차후 바르테니에프의 신체요법에 대한 실제 사례 연구에 대한 실험 연구 및 현황과 실제 효용가치에 대해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iming to find out ways to perform mov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nine principles and related concepts, extracted from 「Bartenieff Fundamentals」among other body therapies which a growing number of people get an interest in today. To this end, I conducted researches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Bartenieff, Laban movement theory that laid the ground for her study, and theories and movement training ways concerning her body therapy. Then, I found out characteristics of Bartenieff Fundamentals as follows. First of all, Bartenieff Fundamentals use imagery technique in terms of mode, and extracted fundamental principles and related concepts of the therapy by utilizing theoretical concepts of Laban, such as 'Body', 'Effort', 'Shape' and 'Space'. In particular, she emphasized the relations between muscles and between joints by extending the definition of body. Second, Bartenieff Fundamentals created a training system where the integrated Laban movement analysis was applied. It is an efficient way to facilitate evaluations on usage and movement patterns of muscles, and to structurize them. Consequently, the training system can be applied to almost everyone including sports athletes, choreographers, and pedestrian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study more advanced movements through this basic training. Third, movements always accompany breathing during training. People tend to disregard the importance of breathing because they breathe all the time. Bartenieff Fundamentals was designed to help people to ful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reathing, and performing movements with breathing can strengthen muscles and make them flexible in a more efficient way. Fourth, movements are always performed while lying down in the full relaxation without tensions. The Basic Six of Bartenieff is aiming to reeducate people in routine basic movements such as walking, getting up from the floor and sitting. Fifth, Bartenieff Fundamentals gradually proceeds from a basic stage to a more advanced stage, on the basis of the Basic Six. During this, people do not repeat dictated movements, and they differentiate the forms of movement training in accordance with performers. Sixth, since Bartenieff Fundamentals can help people realize maladjustment states of movements for themselves because it is not teaching but helping people feel and think. Seventh, Bartenieff Fundamentals makes performers conscious of the physical structure system and think about how expression of movements are conducted and how characteristics of movement forms and spatial relations change. As seen above, Bartenieff Fundamentals consists of easy and basic movements because it resulted from movement studies targeting people with polio. In addition, it is devised to be performed gradually from the most basic movement to more advanced one, therefore, it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 from normal people to professional dancers, in order to lay the ground for movements. Also, it can help in enhancing movement performing ability, and further, preventing physical injuries, by helping people realize physical maladjustment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stages through completing basic training of movem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Bartenieff Fundamentals will help normal people as well as dancers find out right ways to move their body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body therapy as a way to prevent physical injuries. In this regard, it is desirable to conduct experiment researches on practical examples of Bartenieff Fundamentals, and the present status and real usefulness of the therapy.

      • 은행산업에서의 경쟁과 위험추구

        성지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은행산업의 경쟁 정도가 개별은행의 위험추구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위험추구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으나, 이 비율은 위험을 사후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험을 사전적으로 측정하는 자산위험도(총자산 대비 위험가중자산비율)를 새로운 위험추구성향의 지표로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은행의 2001년부터 2012년까지 12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은행산업의 경쟁 정도와 위험추구 성향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위험추구 성향의 지표로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은행산업의 경쟁 정도와 위험추구 성향간의 상관 관계는 어떤 변수를 위험추구 성향의 지표로 선정하는지에 따라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지표의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자산위험도는 고정이하여신비율에 비해 위험추구 성향이라는 사전적 개념에 논리적으로보다 부합하며, 또한 위험추구 성향 외의 요인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점을 고려할 때 자산위험도가 보다 적합한 지표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level of competition in banking industry affects the risk-seeking tendency of individual banks. In earlier studies, NPL ratio was used as an indicator of risk-seeking tendency, but this ratio has limits because it is an ex post indicator of the risk. So we rather choose asset risk as a new indicator of the risk-seeking tendency which is an ex ante measure of the risk and analyze the data. We simulated the data of Korean banks from 2001 to 2012 an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of banking industry and the risk-seeking tendency. But interestingly, when we applied the NPL ratio as an indicator of risk-seeking tendency, we get the opposite results. Thu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in banking industry and the risk-seeking tendency depends on the indicator of the risk-seeking tendency. This means choosing appropriate indicator is the key component leading to the precise results. Asset risk is mo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risk-seeking tendency than NPL ratio, and it is more appropriate indicator considering asset risk is relatively less affected indicator other than risk-seeking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