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Parental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among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Adolescents of Tansen, in Palpa District, Nepal.

        선우진주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esteem and individual factor for adolescent, and to find out how parents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fluence their self-esteem. For thi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gone abreast. For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 investigation was taken for adolescent in Palpa district and Tansen Municipality of western hills area, Nepal. For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investigation was taken for field speciali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not meaningfully distinguished from gender, religion, caste e syst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individual factor. Second,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meaningfully distinguished from age, and school year in individual factor. Third,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related to their school year in individual factor, and to mother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relationship factor but is not related to father attachment only. Fourth, school year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concern self-esteem of adolescent. Fifth, self-esteem how adolescents realize themselves is quite low. So they need to reinforce internal control for improv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the survey of field specialist. This study investigates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that have not extensively researched and study into relation of relationship factor surrounding adolescents and reveal. It represents much to reveal what concerns to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s and use it to establish a mission’s strategy for them. This study makes sure that it can contribute even education development including happiness an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seeking that human has a better life in the point of view of a whole world not to just be tied up educ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at are overly attached to vocational train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을 둘러싼 개인요인 및 관계요인을 살펴보고, 관계요인 중 부모 애착, 또래관계의 질,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병행되었다. 양적 연구는 네팔의 서부산악지역인 팔파지구 탄센시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로는 현지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성별, 종교, 카스트, 학업성취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나이,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학년과 관련이 있으며, 관계요인 중 어머니 애착, 또래관계의 질, 교사와의 관계와 관련이 있고, 유일하게 아버지 애착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학년 및 또래관계의 질이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네팔 청소년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자아존중감은 낮은 편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현지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도출한 바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적 통제성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폭넓게 연구되어 오지 못한 네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조사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을 둘러싼 대상들과의 관계요인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여,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네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선교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전 지구적 관점에서 인간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도록 추구하는 국제개발의 동향과 발맞추어, 기초교육 및 직업훈련에만 치중되어진 교육개발협력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청소년의 행복과 심리적 지원까지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교육 개발로 확산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