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선연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선 연 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무용전공 지도교수 박 성 진 본 연구는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299명의 방송댄스, 스트릿 댄스 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 및 Dunnett의 T3 사후검정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무용 전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유형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과 자기효능감은 학년과 장르, 자아존중감은 장르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 중 부정적 피드백이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 중 긍정적 피드백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피드백이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모두 긍정적 피드백, 교정적 피드백을 높게 지각했을 경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피드백을 높게 지각했을 경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부정적 피드백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이론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 Study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by the Feedback Types of Practical Dance instructor - Focused o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y Seon, Yeon-Hee Majoring in Practical Dance Graduate School of Total Art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back types of a practical dance instructor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299 students majoring in Broadcasting dance and Street dance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ross-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T3 post-test by Dunnett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dance major.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gender, but there was difference i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and self-efficacy in grade and genre, and self-esteem was show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r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feedback perception type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on self-efficacy showed that negative feedback among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typ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eedback perception type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on the self-esteem showed that positive feedback among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he negative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Fourth,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back perception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both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perceived higher in the case of positive feedback and corrective feedback whil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perceived lower in the case of negative feedback. Based on the above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type by a practical dance instructo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Especially, negative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data to study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