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조현병환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선민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Schizophrenia patients have a two to three times high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schizophrenic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The subjects were 100 schizophrenia patients who lived in S city and used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or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 The study variables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diagnostic tests for metabolic syndrome, lifestyle, depression (CES-D), and social support (MSPSS) were measur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t-test, χ²-test, Fisher's exac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42.0%. According to the diagnosis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abdominal obesity was 61.0%, hyperglycemia was 46.0%, hyperlipidemia was 45.0%,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30.0%, and hypertension was 28.0%. 2)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occupation (χ² = 5.86, p = .015) and body mass index (χ² = 13.40, p = .001). In lifestyle,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t = 6.60, p <.001), eating habits (t = 7.87, p <.001), stress (t = 3.98, p <.001), sleep and rest (t = 3.64) , p <.001), and drug and health examinations (t = 5.36, p <.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metabolic syndrome groups.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ith or without metabolic syndrome showed depression (t = -5.18, p <.001), support of friends (t = 3.82, p <.001), and support of meaningful others (t = 2.29, p = .004)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ere body mass index,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eating habits, medication and health screening, and depression. The higher the body mass index (OR = 1.56, p = .005) and the depression score (OR = 1.18, p = .034), the highe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contrast, lifestyle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OR = 0.68, p =. 024), eating habits (OR = 0.70, p = .009), drugs and health checkups (OR = .49, p = .011)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 Th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body mass index,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eating habits, drug and medical examination, and depress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uld be continuous monitoring and education of healthy lifestyles. Also, psychosocial support for reduce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Keyword : Schizophrenia, Metabolic Syndrome, Lifestyle, Depression, Social Support 연구목적 : 조현병 환자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일반인에 비하여 2∼3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조현병환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거주하며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 100명이다. 연구변수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대사증후군의 진단검사, 생활습관, 우울(CES-D), 사회적지지(MSPSS)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방법, t-test, χ²-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42.0%이었으며, 대사증후군 진단기준별로는 복부비만이 61.0%, 고혈당이 46.0%, 고지혈증이 45.0%, 저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혈증이 30.0%, 고혈압이 28.0%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직업유무(χ²=5.86, p=.015), 체질량지수(χ²=13.4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습관에서는 신체활동과 체중조절(t=6.60, p<.001), 식습관(t=7.87, p<.001), 스트레스(t=3.98, p<.001), 수면과 휴식(t=3.64, p<.001), 약물과 건강검진(t=5.36, p<.001)에서 정상집단과 대사증후군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에서는 우울(t=-5.18, p<.001), 친구의 지지(t=3.82, p<.001),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t=2.29,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은 체질량지수, 신체활동과 체중조절, 식습관, 약물과 건강검진, 우울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OR=1.56, p=.005)와 우울 점수(OR=1.18, p=.034)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신체활동과 체중조절(OR=0.68, p=.024), 식습관(OR=0.70, p=.009), 약물과 건강검진(OR=0.49, p=.011)에 대한 생활습관이 좋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조현병 환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으로는 체질량지수, 신체활동과 체중조절, 식습관, 약물과 건강검진, 우울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조현병 환자의 대사증후군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시 대상자들의 생활습관을 파악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교육이 필요하며, 우울을 감소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조현병, 대사증후군, 생활습관, 우울, 사회적지지

      • 기혼 취업여성의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관한 혼합연구 :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선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married working women’s right to choose freely when they want to combine work and family and want to give birth to their seco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ety, work, and family by examining work and family related factors affecting married working women'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and work-family conflict's moderating effect of these rel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a sequential explanatory model of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preliminary study,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with situational context and to expand upon the results. In advance, we conducted a quantitative stud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married working women with a total sum of 222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work and family on married women's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f relation to gender discrimination culture in the workplace and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married working women, each with one chil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we examined how married working women' work and family environment and experiences were reflected in their desire to have a second child, and how the experiences of work-family conflict in gender discrimination culture in the workplace were reflected in their thought processes and inner willingness towards having a second chil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quantitative research, wag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However,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most married working women hesitate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background loom very large. In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we found that background related to wages was reflected in willingness to have a second child. Second, in quantitative research a family-friendly system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These results could confirm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at the family-friendly policies facilitates the care of the first child in married working women's work and home life, and that the ability to have children while continuing to work without interruption during pregnancy. However, because none of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provided or even if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provided, it were not actually available, married women avoided or gave up on having second children.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able to confirm various backgrounds and reason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finding that husband's share rate of domestic labor affected positively willingness to have a second child. Most married working women were under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due to their husbands' absolutely small housework share. And because of the social awareness that housework and child-raising should be done by women, they were not recognized by their husbands and suffered even more because they did not receive any financial compensation. If a second child would be born, married working women expected household labor would increase, so they avoided second children. Fourth,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illingness to have a second chil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However, in the qualitative study, a woman said that if she was satisfied with her present marriage and there was no dangerous situation, and she could expect that future life would be stable and economically spare, and she would not hesitate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However, other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but their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was low in order to avoid the risk of current marriage satisfaction being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burden of work-family conflicts. Fifth, in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when work-family conflict was strong, the stronger a gender discrimination culture in the workplace, the lowed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Qualitative research confirmed the background of and structural context in which these results were created.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iculty in continuing work due to experiencing gender discrimination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education, and promotion. Thus, due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rejecting pregnant women and women who gave children, married working women experienced severe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and these increased and deepened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due to the gender-segregated labor market, which was reluctant to employ married women with children, and offered only low-quality jobs, they faced the reality of non-reemployment and had to endure their current jobs. These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were added, and thus the willingness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was low. On the other hand, because men and women were treated fairly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job placement, and promotion in gender equal organizational culture, married working women's working burden appeared small. It was easy to obtain childcare while continuing to work in an organization favorable for working mothers. In this gender equal organizational culture, even if work-family conflict was strong, it was not difficult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due to just work or a company.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ventions are needed to resolve gender inequalities in home. To address gender inequalities in home, there is a need to improve perceptions of gender roles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levels. Second, workers should be provided various kinds of daycare centers, vacation, and flexible work hours in the workplace. In particular, irregular workers, who do not receive family-friendly policies benefits, need to be treated fairly. In addition, a workplace environment in which women can actually use the family-friendly policies provided needs to be established. Third, economic support is needed for raising the child. Policies supporting childbirth and parenting should be changed to ensure that there is no limit to income and that the period or amount of support is sufficient. In addition, the country needs to expand public education and provide support through various real estate policies for newly married couples and families with children. Fourth,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supply of care support facilities and to manage staff numbers for child caregivers. Also,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give priority for the use of childcare facilities to the children of working parents, and actively promote and expand ‘child care support projects’. Fifth, sexual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women with children in the labor market needs to be eliminat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problem of women’s irregularization, to provide gender discrimination rules and guidelines, and to improve sense of gender discrimination throughout education and workshops in the workplace.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취업여성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면서 둘째 자녀의 출산을 원할 때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혼 취업여성의 일과 가정 관련 요인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와 이에 대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아 사회, 직장, 가정에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 중 양적 연구를 선행적으로 실시한 후 이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를 통해 심층적인 이해와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여 결과를 확장하는 순차적 설명적 모델을 사용하였다. 먼저 여성가족패널 4~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222명의 한 명의 자녀를 가진 기혼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로직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기혼 취업여성의 일과 가정 관련 요인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직장 내 성차별 문화와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대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된 양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명의 자녀를 가진 기혼 취업여성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혼 취업여성의 일과 가정 환경 및 경험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이들의 성차별적 조직문화 속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의 경험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는 어떠한 과정과 내면세계를 통하여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결과와 질적 연구결과를 해석 단계에서 통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연구에서는 임금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질적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기혼 취업여성들이 둘째 자녀의 출산을 주저하는 이유와 배경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적 연구결과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반영되는 임금과 관련된 배경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양적 연구에서는 가족친화제도가 제공되는 경우에 둘째 자녀 출산의지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질적 연구에서 기혼 취업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병행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친화제도가 첫째 자녀의 양육을 수월하게 하며, 둘째 자녀의 임신 및 출산 시 경력단절 없이 일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구체적인 필요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족친화제도가 전혀 제공되지 않거나 제공되더라도 실제로 사용이 가능하지 않아서 기혼 취업여성들은 둘째 자녀의 출산을 기피하거나 포기하고 있었다. 셋째, 남편의 가사노동분담률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양적 연구결과가 나타나게 된 다양한 배경과 이유를 질적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기혼 취업여성들은 절대적으로 적은 남편의 가사분담으로 홀로 가사노동을 전담하면서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그리고 집안일과 육아는 여성이 전담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으로 인하여 남편에게조차 인정받지 못하고, 어떠한 금전적 보상도 받지 못하여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가정에서 공평하지 않은 가사분담으로 인하여 현재도 힘이 드는데 둘째 자녀를 출산하게 된다면 더욱 증가될 가사노동이 예상되어 둘째 자녀의 출산을 기피하게 된다고 하였다. 넷째, 결혼생활만족은 양적 연구결과에서는 둘째 자녀의 출산의지와 정적 관계가 나타났으나 질적 연구결과에서는 결혼생활의 만족스러운 상황에서도 다른 이유로 둘째 자녀 출산의지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현재 결혼생활에 만족하고 있어서 위험상황이 없기 때문에 미래의 생활도 안정적이고 여유가 있을 거라 예상되어 둘째 자녀를 출산하는데 주저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다른 참여자들은 결혼생활에 만족하고 있지만 둘째 자녀를 출산하게 된다면 일․가정 양립 갈등의 증가와 부담으로 인하여 현재의 결혼생활 만족도가 낮아지게 될 위험을 피하고자 둘째 자녀의 출산의지가 낮다고 하였다. 다섯째, 양적 연구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이 강할 때 직장 내 성차별 문화가 강할수록 둘째 자녀 출산의지가 낮게 나타났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 구체적인 배경과 구조적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로조건이나 교육, 승진 등에서 성차별을 경험하며 일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임신 및 출산한 여성들을 지원하지 않고 배척하는 조직문화로 인하여 육체적 및 정신적 어려움이 가중되어 일․가정 양립 갈등이 심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아이를 가진 기혼여성의 고용을 꺼리는 성차별적 노동시장과 질 낮은 일자리로밖에는 재취업이 안 되는 현실을 직면하며 현재 일자리를 힘겹게 버텨야만 했다. 이러한 직장에서의 어려움과 더불어 일․가정 양립 갈등이 심한 상황까지 더해져 둘째 자녀의 출산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성평등한 조직문화에서는 근로조건이나 업무 배치, 승진 등에서 남성과 공평하게 대우를 받고 있어서 일과 직장에 대한 부담이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워킹맘에게 호의적인 조직 분위기로 일을 지속하면서도 육아를 하는데 수월하였다. 이러한 성평등한 조직문화 속에서는 일․가정 양립 갈등이 강하더라도 일이나 직장 때문에 둘째 자녀의 출산을 어렵게 여기지는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성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가정에서의 성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적 수준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직장에서 근로자들에게 직장 어린이집, 휴직제도, 탄력근무제 등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가족친화제도의 제공을 전혀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도 공평한 처우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가족친화제도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직장환경 조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유자녀 가정에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출산 및 양육 등을 지원하는 정책들이 소득에 제한이 없이 지원 기간이나 금액도 충분하게 보장해 주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에서는 공교육 확대를 하고, 신혼부부나 유자녀 가정 등을 위해 다양한 부동산 정책들을 통한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부 차원에서 돌봄 지원 시설에 대한 공급 확대 및 돌봄도우미에 대한 인력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취업부모의 자녀에게도 보육시설의 이용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아이돌봄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확대하여야 한다. 다섯째, 노동시장에서 아이를 가진 기혼여성에 대한 성차별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여성의 비정규직화 문제를 해소하여야 하며, 직장에서 성차별 관련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성차별 의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 및 워크샵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관련법제 연구

        선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여성의 취업률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남성은 가정 밖에서의 유급노동을 전담하고 여성은 가정 내에서의 가사노동을 전담해야 한다는 기존의 성별분업적 인식은 많이 변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취업여성에게 유급노동 외에도 가정생활의 의무를 대부분 전담하게 만들어 이중부담을 주고 있으며, 일과 가정생활을 양립하는데 있어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비단 여성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성이 전담하고 있던 가사노동 등의 부재로 인해 취업남성들도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을 겪고 있다. 그리고 노동법에서 말하는 근로의 권리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보장되어야 한다. 취업여성들에게 전담되는 가사노동의 부담과 남성중심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근로시간관련 구조는 여성을 비자발적으로 직장 밖으로 이탈하게 만들어 경력을 단절시키거나 비정규직으로 머물게 하여 여성의 근로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 또한 남성에게도 가정생활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 주어야 하므로 일 중심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근로시간의 조정으로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법적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양립을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지원해 주기 위하여 근로시간관련법에 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일·가정 양립의 관점에서 근로시간과 생활시간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맞벌이 부부의 남녀별 생활시간을 살펴보면 성별 집단의 현격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취업주부여성은 취업남성보다 수입노동시간을 더 적게 사용하고 있지만, 가사노동시간으로는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고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취업주부여성은 총 노동시간으로 취업남성보다 약 1시간 30분 정도를 더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부부의 남녀별 생활시간의 차이를 해결하고 남녀가 균등하게 일과 가정생활에 참여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OECD 주요국에 비하여 장시간 근무를 하는 근로시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즉 장시간근로를 단축시킴으로써 남녀 모두가 삶이 일만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생활을 위해 보낼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이 잘 이루어지는 나라들에 비하여 유연한 근로시간제와 휴가의 사용률이 낮고, 근로자들의 유연한 근로시간제와 다양한 휴가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켜줄 법적 기반이 충분히 확립되어져 있지 못하다. 따라서 남녀 모두에게 일과 가정생활의 균등한 참여를 유도하고, 근로자들이 일과 가정생활 양자를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필요에 따른 유연한 근로시간제와 다양한 휴가제가 필요할 것이다. 3장에서는 제시된 근로시간의 현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근로시간관련법제를 성인지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근로시간관련법이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그 변천과정을 이끌었던 주체가 누구인지를 분석해 보았다. 주 40시간의 법정근로시간의 단축과 탄력근로시간제 및 연차휴가제의 변천과정의 기준이 되었던 자는 남성근로자였다. 과거 여성은 가사노동의 전담자였으나, 현재는 여성의 지속적인 취업증가로 인하여 2007년 기준으로 전체여성 중 50.1%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도 불구하고 여성근로자는 노동법의 근로시간관련법제의 적용에 있어 예외자로 취급되어져 왔다. 즉 장시간근로 현황의 이면에는 가사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남성중심적인 일 문화가 바탕이 되고 있어서, 여성근로자들에게 불편한 근로시간을 만들고 있다. 또한 유연하지 않은 근로시간은 가정생활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지 않은 남성중심적으로 설계된 것이며, 다양하지 않은 휴가제나 연차휴가의 부족도 가정생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여성에게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근로시간관련법의 주요내용을 통해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국제기준과 함께 우리나라보다 일·가정 양립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는 외국의 근로시간관련법제을 살펴보았다. EU지침과 결의에서는 일과 가정생활에 있어서의 남녀의 균형 있는 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들을 제시하였다. 프랑스의 근로시간관련법제 연구를 통하여 근로시간단축이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시간외근로, 근로시간의 특례규정과 탄력적 근로시간제 등에 있어서 주·월·연 단위 상한제한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하루 근로시간이 13시간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개인적인 필요에 따른 다양한 휴가를 보장하고 있어서 근로자의 생활시간을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스웨덴은 배우자 출산휴가와 부모휴가의 경우 반드시 아버지만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두고 있으며, 가족간호휴가로 최대 120일까지 보장하는 등 다양한 가족관련휴가가 마련되어져 있다. 일본은 시간외근로나 휴일근로 등을 줄이기 위하여 근로시간관련법의 규제를 근로자 보호에 초점을 맞춰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변형근로시간제는 1년간의 탄력근로제 등 다양한 제도를 두어 사업주의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근로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상한제한 등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일·가정의 양립을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육아·간호휴가 등을 도입하였고, 남녀 근로자 모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의 균등한 일과 가사노동의 참여를 유도했다. 5장에서는 제시된 우리나라 근로시간관련법의 개선방향과 국제기준, 외국의 근로시간관련법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관련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시간근로의 단축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써 주 40시간인 법정근로시간의 원칙을 지키기 위하여 연장·휴일근로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한 연장근로규정에 있어서 당사자 간의 합의를 노사간 합의로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1주간의 연장근로에 대한 제한만 있으므로 월과 연의 상한제한도 필요하다. 현재 휴일근로는 일반적인 제한규정이 없으므로 제한규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별한 사정에 의한 경우 연장근로의 상한규정이 없는데 1주간의 최대 근로시간의 제한 설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운수업 등의 특수한 사업의 경우와 업무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에도 최소한의 상한제한규정이 필요하며, 운수업 등의 특수한 사업의 적용범위를 줄여야 할 것이다. 둘째, 유연근로시간법제의 개선방안으로는 근로자가 필요에 의해 유연근로시간제를 요구할 수 있도록 법적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에서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의 근로자 사용촉진을 위해 사업주에게 더욱 실효성 있는 의무를 부과하여야 한다. 그리고 육아지원 및 가족 돌봄 등을 하는 근로자가 직접 유연한 근로시간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법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일과 가정 양립의 필요를 넘어 근로자의 개인적인 삶의 필요를 위한 유연근로시간제의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2주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1일 최장근로시간을 규정하고, 모든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주·월·연 등의 상한제한도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휴가제를 도입하여 근로자의 가정생활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간호를 위한 휴직은 강행성을 지니도록 보완되어야 하며, 해당 근로자의 범위와 사용가능 기간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연차유급휴가에 대해서는 연차휴가 일수를 늘리고,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우자 출산휴가를 늘리고, 육아휴직의 경우 스웨덴과 같이 아버지만이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정하여 이 기간은 양도하지 못하도록 규정하여 남성의 가사노동의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근로시간관련법제의 개선방안을 통하여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근로시간의 개선까지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육아나 간호 등의 특정의무를 담당하고 있지 않은 근로자와의 평등성 문제와 이러한 제도의 해당 근로자의 관련제도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더욱 '일과 가정'에서 '일과 삶'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employed women is increasing continuously, but still working hour in Korea is under the gender-based fixed idea that men work outside and women take charge of domestic labor. Under the existing working hour system, employed women have to shoulder the double burden of work and household running, and this difficulty makes employed women leave their job or become an involuntary part-time worker. In order to resolve these difficulties in employed women,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o improve working hour by supporting the coexistence of work and home through surveying the current state of working hour and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use of time. Working hour can be improved through reducing long-time work, establishing a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in which workers become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various family-related vacations. In order to implement these suggestions for improving working hour, we reviewed Korean laws related to working hour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m. In addition, we examined laws related to working hour in foreign countries where the coexistence of work and home is supported well or women’s employment rate and birth rate are both high, and analyzed regulations that make working hour favorable for the coexistence of work and home. Based on these analyses, in order to reduce long-time work, we suggested regulations for restricting overtime work and holiday work and putting the upper limit for special provisions allowing extended work infinitely.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rule that allows workers who meet certain requirements to demand the use of flexible working hour, and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friendly law related to working hour by the introduction of various family-related vacations.

      • 예술지원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공론장 역할에 관한 연구 : <춘천아트라운지 예술 공론장>을 중심으로

        선민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an inquiry into the role of public sphere such as roundtable discussions, public hearings, and deliberative sessions held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e objective was to create and continually develop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applying Jürgen Habermas's theory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political flow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institutional and experiential changes through public spher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rts support polici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reof. The focus was on the 'Chuncheon Art Lounge,' a public sphere conducted by the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an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interviews with the organizers and participants. Research on public spheres in the field of arts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how public spheres manifest and influence policies within the policy trends of cultural governanc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key concept of public spheres based on Habermas's theory. Habermas's theory has evolved over time, presenting the processes of 'will-formation' and 'opinion-formation' as components of the public sphere. Will-formation deliberation refers to the process where laws are legislated in the legislature and applied in the court, regulated by rules of policy decision-making and executive institutions. Opinion-formation deliberation, on the other hand, occurs in voluntary civil society public spheres. According to Habermas, legal legitimacy is acquired through communication in a free public sphere rooted in the lifeworld's private spheres, forming networks of civic societies. Additionally, the study established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the values that public spheres should imply within the context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 analysis focused on various documents from the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huncheon Art Lounge in 2021. Furthermo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the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the operators of the public sphere, and local artists who participated as forum member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public sphere for arts policy decision-making. The major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role of public spheres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uncheon Art Lounge, are as follows: Firstly, substantive deliberation for arts support policy decisions is still at an embryonic stage and remains at the level of discussion.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public sphere results to institutional change is minimal. For institutional change to occur, conclusions must be drawn through deliberation. However, reaching an agreement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 poses practical difficulties, as it requires significant time for expressing individual opinions,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and reaching a consensus. Secondly, the role of public spheres can be enhanced within the dimension of cultural governance. While the results of the public sphere did not directly bring about institutional changes, it was observed that policy stakeholders with different interests came together, expressed their opinions, and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Participants discovered a shared lifeworld as 'Chuncheon City Artists' during the exchange of opinions, experiencing mutually recognized and mutually beneficial communication. Thirdly, the role of public spheres in arts support policy decision-making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ors and participants, and there is a need for ways in which their activities can be interconnected. The operators can listen to the policy demands of the field through public spheres and reflect them in policie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tend to perceive public spheres as places where they can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fostering mutual trust. The formation of mutual recognition an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operators and participants is crucial. As Habermas argued, opinion-formation and will-formation deliberations need to be interconnected to have mutual value, even when conducted individually. Therefore, recognizing these differences and conducting further research that is specific, systematic, and diverse regarding the role of public spheres in arts policy decision-making is necessary in future research process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examining the role of public spher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rts support policies, specifically through the case of the Chuncheon Art Lounge, considering aspects of opinion-formation and will-formation.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public sphere research in the arts field, addressing the previously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functions of public spher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contribution will provide insight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ublic spher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beyond arts support policies.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에서 개최되는 라운드테이블, 공청회, 정담회와 같은 공론장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공론장의 개념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온 위르겐 하버마스(Juergen Habermas)의 공론장(Öffentlichkeit) 이론과 숙의 민주주의의 정치적 흐름을 적용하여 예술지원정책 결정 과정에서 공론장을 통한 제도적 변화와 경험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연구 대상을 춘천문화재단의 ‘춘천아트라운지 예술 공론장’으로 설정하고 예술 공론장 운영 주체와 참여 주체를 인터뷰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예술 분야에서의 공론장에 대한 연구는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했으며, 문화거버넌스의 정책적 흐름 속에서 공론장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 정책에 반영되고 변화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 주요 개념인 공론장을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은 근대부터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1996년 제시한 숙의 절차주의 모델에서 ‘의지형성(Will-Formation)’과 ‘의견형성(Opinion-Formation)’ 두 과정을 공론장의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 ‘의지형성 숙의’는 법이 의회에서 입법되고 법정에서 적용되는 과정을 뜻하며, 정책 결정 및 집행 기관의 규칙에 의해 제도가 규율되는 것이다. ‘의견형성 숙의’는 자발적인 시민사회 공론장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하버마스에 따르면 법적 정당성은 시민사회의 네트워크들로 이루어진 생활세계의 사적 영역들에 뿌리를 둔 자유로운 공론장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획득된다. 아울러 숙의 민주주의 환경 속에서 공론장이 함의해야 할 가치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인 ‘춘천아트라운지 예술 공론장’이 운영되었던 2021년 춘천문화재단의 각종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예술 공론장의 운영 주체인 춘천문화재단의 관계자와 참여 주체인 지역 예술인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예술 공론장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춘천아트라운지 예술 공론장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공론장 역할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지원정책 결정을 위한 실질적인 숙의는 아직 요원하고 논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론 결과가 제도적 변화에 기여하는 정도는 미비하다. 제도적 변화를 위해서는 숙의를 통한 결론이 도출되어야 하는데, 공론 참여 구성원들이 합리적 의사소통을 통해 합의에 도달하는 과정까지는 사실상 현실적 어려움이 따르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각자의 의견을 개진하고 상대의 의견을 경청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합의로 이끌어내기까지 여러 절차와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화 거버넌스의 차원에서 공론장의 역할을 제고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공론장의 결과가 직접적인 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각자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정책 당사자들이 모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듣는 과정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관계성이 생기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각자의 예술 활동과 의견을 나누러 온 자리에서 ‘춘천시 예술인’이라는 생활세계를 발견하고 상호인정과 호혜성의 성격을 가진 의사소통을 경험한 것이다. 셋째, 예술지원정책 결정 과정에서 공론장의 역할은 공론장 운영 주체와 참여 주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자의 활동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공론 추진 기구는 공론장을 통해 현장의 정책적 수요를 경청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반면 참여 주체에게 공론장은 각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서로를 알아가며 상호신뢰가 쌓이는 자리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난다. 하버마스가 주장하였듯 의견형성 숙의와 의지형성 숙의는 각자 활동하다가도 연계되어야 상호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공론장을 통해 도출되는 결론이 반영되는 정책 방향 등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정에서는 예술지원을 둘러싼 다양한 거버넌스에 대한 분석과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공론장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예술지원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공론장 운영 사례를 다루어 의견형성과 의지형성의 측면에서 공론장의 역할을 고찰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그동안 미흡했던 예술 분야의 공론장의 성격과 기능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공론장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지원정책을 넘어 문화예술계 전반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공론장 설계 및 운영에 있어 공론장의 역할 설정을 위한 시사점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음악과 창작학습에 있어서 「창작학습지」를 활용한 지도방법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中心으로

        선민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교 음악과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창작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매체의 하나로 「창작학습지」를 연구·제작하며 이를 현장에 적응함으로써 그 효과와 반응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첫 번째 광주광역시 남·녀 중학교 71개교, 현직 음악교사 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음악교육에 있어서 창작학습에 대한 현장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작학습 지도 면에 있어서는 교사의 체계적인 창작학습 지도 능력과 학습자료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교사들이 창작학습 지도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주광역시 중학교 1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음악과 수업에 있어서 창작 학습에 대한 현장실태 설문조사와 평가지를 이용한 음악과 창작학습 수준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학생들의 창작학습에 대한 관심도와 창작 학습 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 효과적인 음악과 창작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도구개발과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음악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 분석 및 현장실태조사에서 추출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단계적인 창작학습지를 연구·제작하였으며,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1단계:즉흥적인 리듬을 만들어 즉흥 연주한다. ● 2단계:주어진 마디에 이어 가락을 만든다. ● 3단계:시에 의한 한도막 형식을 만든다. ● 4단계:곡에 어울리는 반주를 만든다. ● 5단계:악곡의 특징에 맞는 악기 또는 목소리를 선택하여 곡을 만든다. 세 번째, 체계적인 창작학습지 적응을 위해 현장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주) 두산 1학년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삼아 연관수업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고, 1학기 분량의 교수-학습 지도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네 번째, 단계별 창작학습지를 현장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반응도와 효율성을 비교해 보았다. 실험방법은 광주광역시 소재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66명을 대상으로 이를 통제반과 실험반으로 나누었으며, 창작학습지 적응과 미적응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주 1시간씩 3주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도구는 설문지와 평가지를 사용하며 학생들의 창작에 대한 창의적인 측면과 인지적·심동적인 측면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이상과 같이 효과적인 창작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매체의 하나인 「창작학습지」 제작은 음악과 창작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체계적인 창작학습 진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도구의 하나로써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music composition materials in an attempt to design effective music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61 music teachers in 71 middle schools in Gwang-ju city were surveyed on their teaching of creative music composition.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creative music composition because of their lack of systematic teaching skills and study materials.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on 200 1st grad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attitude toward music composition classes and their level of composing music. the result reveale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d little interest in creative music composition and their level of composing music was low The two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effective study materials and lesson plans are needed. Second, analyses of middle music textbooks were conduc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surveys and the analyses of textbooks, 5-step approach toward making creative music composition materials. Step1:Compose improvisation rhythms and play them out step2:Compose melodies upon motive step3:Produce an one-part song form with a poem step4:Make accompaniment music to harmonize with the melodies step5:Choose instruments or types of voice for the music Third, year-long teaching lesson plans were established for the 1st grade music curriculum based on a Doosan music text book which is often used by many teachers. Forth, the effectiveness of newly developed materials was tested. In an experiment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of 33 students was exposed to other traditional study material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taught how to compose music 1hour a week over a period of 3 weeks. Later both groups were assessed on their views on creative music composition which were divided into 3 dimensions of affective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mentioned above, developing materials for creative music composition which works as a medium connecting teaching and learning of music will raise students' interest in composing music piece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new teachings materials will help in-service music teachers improve their teaching of music.

      • PEG 결합유무에 따른 리포좀의 99mTc 표지와 생체 내 분포

        선민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분해성이며 무독성인 리포좀은 최근 약물의 효능을 증가시키고 캡슐화된 약물의 독성을 줄이며 특정 조직 부위로 표적화 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신티그램촬영 연구(scintigraphic study)에서는 친수성 부분에 방사성 물질(^(99m)Tc, ^(111)In, ^(67)Ga 등)을 포함한 방사성 의약품으로써 진단영상화 응용부분에서 잠재적이다. 본 실험에서는 polyethylene glycol(PEG)로 표면 처리한 리포좀과 처리하지 않은 리포좀을 제조하여 크기 및 형태를 관찰하였으며, 지질친화성 킬레이터인 hexamethylpropyleneamine oxime(HMPAO)를 이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99m)Tc) 를 표지시켜, 표지효율 및 안정성을 측정하고 마우스 영상실험을 하였다. Phosphatidylcholine(PC), 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N-[polyethylene glycol 2000)(DSPE-PEG), cholesterol을 혼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여 TEM으로 관찰한 결과 크기는 100∼200 nm이고 구형이었으며, 초음파 처리시간을 늘임으로써 작고 균일한 리포좀(SUV)을 얻을 수 있었다. ^(99m)Tc-HMPAO의 방사화학적 순도는 76.4% 였으며, ^(99m)Tc-HMPAO 리포좀과 ^(99m)Tc-HMPAO-PEG 리포좀은 각각 91.2%와 92.3%의 표지효율을 보였다. 리포좀의 실온에서 안정성은 ^(99m)Tc-HMPAO를 표지시켜 컬럼을 통과시킨 후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8시간까지도 90%정도의 표지효율을 나타내 안정한 것으로 보였다. ^(99m)Tc-HMPAO, ^(99m)Tc-HMPAO 리포좀, ^(99m)Tc-HMPAO-PEG 리포좀을 준비하여 쥐의 꼬리정맥으로 주사하고, gamma camera로 촬영한 시간대별 영상을 통해 ^(99m)Tc-HMPAO-PEG 리포좀이 신장과 방광에서 가장 더디게 흡수됨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years, liposomes have been extended to enhance the drug efficacy, reduce toxicities of encapsulated drugs and target specific tissue sites due to their biodegradability and non-toxicity. In scintigraphic studies, liposomes, carrying radionuclides(^(99m)Tc, ^(111)In, ^(67)Ga etc.) within the aqueous space, have potential diagnostic imaging applications as a radiopharmaceutical. In this study, liposomes were prepared by coating with polyethylene glycol(PEG) to increase the circulatory half-life in the blood and examined its size or shape. After-loading technique was used to labeled liposome with ^(99m)Tc using the lipophilic chelator, hexamethylpropyleneamine oxime(HMPAO), mouse static images were acquired. Liposomes were prepared using phosphatidylcholine(PC), 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N-[polyethylene glycol 2000)(DSPE-PEG), cholesterol (molar ratio 1.85 : 0.15 : 1) and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r the size distribution and shape: the size of liposomes were ranged from 100 to 200 nm and they were ball shape. Longer sonication time made liposome size smaller. Labeling efficiencies and stabilities of ^(99m)Tc-HMPAO-liposomes and ^(99m)Tc -HMPAO-PEG-liposomes were measured by PD-10 column. The labeling efficiency of ^(99m)Tc-HMPAO-liposomes and ^(99m)Tc-HMPAO-PEG-liposomes were 91.2% and 92.3%, respectively. ^(99m)Tc-HMPAO-liposomes and ^(99m)Tc -HMPAO-PEG-liposomes were stable through 8 hr. ^(99m)Tc-HMPAO, ^(99m)Tc-HMPAO-liposomes, ^(99m)Tc-HMPAO-PEG-liposomes were injected through the tail vein of mouse and static images were acquired and TBR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BR shown that uptake of ^(99m)Tc-HMPAO-PEG-liposomes was much lower than ^(99m)Tc-HMPAO and ^(99m)Tc-HMPAO-liposomes in kidney and urinary bladder.

      • 생명의 순환 표현연구 : 본인작품 <기호의 숲>을 중심으로

        선민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it mainly discusses the cycle and organic view of living things, which is the major theme of artworks done by the writer. Through the concept called “Yeon-ki 緣起”, the theoretical and formative aspects of the artworks are analysed in this point of view. Nature that we encounter in our daily life would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perspective. For instance, the natural lines,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trees have a similarity with the human being’s life. In this perspective, living things would be understood as organic beings that constantly related to the world. Furthermore, living things’ death and reborn through all eternity are portrayed in the paintings.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the law of causality in Buddhism and Relational Aesthetic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eing’s that in a circulation of creation and extinction. In Yeon-ki, all beings change as they flow through endless relationships. All things are connected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cause and condition, and it is the Net of Indra that shows this directly. Next, Relational Aesthetics suggests a completely different, infinite and new realtionship from every realtionship of things. so that we confirmed all components of the world posses an interdependent and interrelated center not an independent one. Through this process, I found that the process of being creation and extinction was a natural and inevitable phenomenon, and it was able to find meaning for the expression of circulation of life and organic beings that appeared in my work. We are fluid and related. In order to identify and formation this presence, the researcher used decorative and circular forms of Seon-myo(線描). Put emphasis on visual mixing method in coloring, and for this purpose, I used juxtaposition color mixture method that overlapped color-field and seon-myo. In addition, everything on the canvas was not revealed to the extremely, it indicating complementary relationship by placing superimposed object of expressions, Through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irculation and repetition of lives as shown in Yeon-ki, Net of Indra, Relational Aesthetics and all existences is organic. Based on this, the thing that imagery of cyclical relationship on the canvas is indicates that the existence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the work as a symbol of the circulation of life, suggest we are relational being. Through this study, I had a possession for depth of my work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 think all of these processes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henceforward work activities. 본 논문은 생명의 순환과 유기적 관계를 형상화한 본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연구로, 작품의 동기가 되는 연기(緣起)를 통해 작품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고, 작품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마주할 수 있는 자연은 익숙하다가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면 전혀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나무가 갖고 있는 흐름의 생동감과 생성과 소멸이라는 순환은 사람의 인생사의 모습으로 투영된다. 본 연구자는 생명을 갖고 있는 존재를 타 존재와 끊임없이 관계를 맺는 ‘유기적 존재’로 파악했다. 그리고 이런 멈추지 않고 끝없이 생과 사를 반복하는 존재의 이미지를 평면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먼저 순환적 존재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불교의 연기사상과 관계미학의 존재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연기법에서 모든 존재는 끝없는 관계 속에서 유동하면서 변화해 나간다고 말한다. 만물이 서로 연관되어 원인과 조건으로 상호작용하면서 모든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인드라망이다. 다음으로 관계미학에서는 사물의 일상적 관계를 벗어나 전혀 다른 무한하고 새로운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세상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관련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중심을 소유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인은 이를 통해 존재가 생성되고 소멸해가는 과정이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현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인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순환적, 유기적 존재의 생명표현에 대한 의미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우리는 유동적이고 관계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존재를 파악하고 조형화하기위해 본 연구자는 장식적이고 순환하는 형태의 선묘를 사용하였다. 채색에 있어서는 시각적 혼합방법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위해 색면과 선묘가 중첩되는 병치혼색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표현대상을 중첩되게 배치하면서 화면 위의 모든 것을 극단적으로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상호보완적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위의 과정을 통해 연기법과 인드라망, 관계미학에서 보여주는 생명의 순환과 반복, 그리고 모든 사물은 유기적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면 위에서 그 순환적 관계를 형상화 시키는 것은 존재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동시에 작품이 생명의 순환을 표현하는 하나의 기호로서 작품을 통해 우리는 관계적 존재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품세계에 대한 사유의 깊이를 갖게 되었으며, 세계와의 관계를 넓혀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 모든 과정들이 향후 작품 활동에 큰 디딤돌이 되어줄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