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서혜원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유아기는 전 생애의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발달단계로 특히 학령전기 6~7세에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첫 영구치인 제1대구치가 나고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혼합치열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구강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강보건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일부 유아대상 연구들은 실태조사나 예방행위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6~7세 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매체와 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과 체계적 정립을 위해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고안하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여 교육내용과 교육목표를 선정하고 학습자들의 주의집중력과 흥미 유발을 위해 강의식, 강화를 사용한 시범․실습, 참여활동을 포함한 총 4회 교육을 계획하였다. 선정된 교육내용을 토대로 동화형식 스토리와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육매체를 개발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위, 구강위생상태를 교육효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의 특성상 지식과 행위는 연구대상자에게 면접 설문하였고, 일반적 특성은 교육동의서와 함께 보호자에게 설문하였다. 그리고 객관적인 구강위생상태의 평가를 위해 치면세균막지수를 활용하여 점수화하였다. 교육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실험군에는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대조군에는 기존 강의식 교육을 적용하고 교육 전 사전조사와 교육 직후, 교육 4주 후 총 2회 사후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와 유지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전, 사후검사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설문지의 이해력과 언어능력을 감안하여 무작위 선정된 수도권지역의 유치원에 있는 7세 유아 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교육과 평가 시 결석하거나 연구에 동의하지 않은 12명을 제외한 95명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sion 22를 사용하여 교차빈도분석과 기술적 통계분석, 독립 T검정을 실시하고 추가분석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정, paried T-test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유아는 기존 강의식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유아보다 구강보건효과의 향상정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면 다음과 같다. 사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비슷한 점수를 보였지만 교육 직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지식과 행위점수가 증가하고, 치면세균막점수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보건효과 향상정도가 더 높으므로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개발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이 기존 강의식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교육 4주 후 향상된 구강보건교육효과의 유지효과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 4주 후가 교육 직후에 비해 지식과 행위점수가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교육 직후 더 높게 향상된 점수가 교육 4주 후 시점에도 유의한 차이로 높은 점수대를 유지하였다. 구강위생상태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교육 직후 더 많이 감소된 치면세균막지수가 교육 4주 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개발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보건효과인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위, 구강위생상태 간의 향상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표준화 값으로 통일시킨 후, 실험군의 사전과 교육 직후 간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식, 위생상태, 행위의 순으로 유의하게 향상정도의 차이가 나타나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효과(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위, 구강위생상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대부분의 유아 및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네 번째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수도권지역 유치원의 7세 유아로 편의 표집하여 이루어진 결과로서 지역적인 한계와 일반화에 제한점을 갖는다. 그러나 유아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교육방법, 교육매체의 제작과 발전에 참고자료를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 구강보건교육에 관련된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 음악수업에서의 작곡활동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서혜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곡활동은 학습한 음악적 개념을 활용하여 음악을 직접 만들어보는 활동으로 고등학생의 음악적 감수성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하는 음악활동이다. 이러한 작곡활동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 음악교육에서 작곡활동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작곡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재학 중인 인문계 고등학생 106명(N=106)을 대상으로 Google Forms를 활용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자 중 10명(N=10)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지와 심층면담 질문 문항은 크게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작곡활동 학습 경험, 작곡활동에 관한 인식, 작곡활동에서의 어려운 점, 작곡활동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1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심층면담 결과는 크레스웰(Creswell)의 나선형 자료 분석 방법 절차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곡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의 인식 차이가 두드러졌다. 작곡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은 작곡의 음악적 가치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던 반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은 작곡은 어렵고 전문가만이 하는 활동이라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가창이나 기악 영역과 달리 작곡은 즐기기가 어렵고 음악전공생이 하는 전문적인 음악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작곡활동의 어려움과 그 원인은 작곡에 관한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긍정적 인식을 지닌 학생들은 다양한 아이디어의 부족으로 가락과 리듬 창작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으며 부정적 인식을 지닌 학생들은 음악 기초 지식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작곡을 시작하는 데에 있어 막막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효과적인 작곡활동이 이루어지려면 작곡 수업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고등학생은 흥미 있는 작곡 소재부터 교사의 피드백, 기초 음악 이론 설명까지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수월한 작곡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생의 요구를 반영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섬세한 작곡 지도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작곡활동이 추구해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음악 이론을 습득하고 개념을 내면화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부여되어야 한다. 둘째, 작곡활동의 음악 교육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수업이 구성되어야 한다. 평가에 초점을 둔 작곡보다는 작곡을 통해 음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에 수업의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작곡활동의 어려운 점을 파악하여 작곡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인식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작곡활동에 관한 수업지도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고등학생이 작곡을 통해 음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길 바라며 자신만의 음악적 감수성을 음악수업에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되길 기대한다. ‘Composing’ is the activity of making music by using learned musical knowledge which allows high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musical sensibility freely. The study aimed to promote vigorous usage of composing activities in school music classes by suggesting the direction that composing activities should pursue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omposition activities. For the evaluation, a non-face-to-face questionnaire using Google Forms was conducted on 106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N=106)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do, Korea. Among 106 participants, selected 10 respondents(N=10)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ir awareness, difficulties, and points to be improved in composing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with 21 versions of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nd Creswell’s spiral data analysis method procedure was used for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The result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who positively perceived composing activities and students who negatively perceived composing activities was evident. Students who positively perceived composition activities were aware of the musical value of composition, while students who perceived negatively believed that composition can be done by experts as it is difficult. It was also found that unlike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composing was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musical activity that is difficult to enjoy and performed by music majors. Second, the reasons for high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composing activities were different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composing activities. The students who had positive perceptions mentioned that the limitations of creating music and rhythm were caused by a lack of various ideas. And the students who had negative perceptions felt frustrated to start composing as they didn’t have enough basic music knowledge. Third, the teacher’s ability to organize composing activities in class systematically was important for effective composition activities.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various opinions from interesting composing sources to teachers’ feedback and basic music theory explanation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o bring out easy composition activities, a teacher’s delicate composition guidance based on the student’s requirements is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 that composition activities should pursue is as follows. First, adequate time should be given to acquire basic music theory and internalize the concepts they have learned. Second, the class that can carry out the musical educational value of composing activities should be organized. The class should aim to feel the joy of music through composing rather than focusing on an evaluation. This study means that it suggested a plan to set a desirable direction for composing activities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of composing activities based on learners’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s research could suggest the study of class guidance on composing activities to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feel the joy of music through composition, and expect to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with their musical sensibility in music class.

      •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연구

        서혜원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의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작품에서 포스트휴먼의 의미를 살핀다. 아동문학은 다양한 인간과 삶의 문제를 조망하는 창구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변화나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한국 아동문학 역시 다변화하고 있지만, 인간과 아동에 대한 탐구는 전통적인 인식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간상을 탐구하는 담론으로서 ‘포스트휴먼’이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포스트휴먼은 과학기술의 변화 속에서 근대적 인간관의 비판이자, 새로운 인간의 개념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즉,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들까지 포함한 ‘새로운 인간’인 동시에 ‘인간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서 포스트휴먼은 아동문학의 본질적 측면과 맞닿아 있다.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인간과 삶의 문제를 궁구하는 아동문학 작품 속에 들어와 존재론적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한다.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신체의 생성과 변이’, ‘경계의 해체’, ‘상호연결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포스트휴먼의 세 가지 특성은 사유 방식의 변화를 초래한다. 오랫동안 우리는 서구 중심의 이원론에 근거한 사유 방식과 삶의 모습에 익숙해져 있었다. 그러나 탈근대적 바탕에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나타난 포스트휴먼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사유 방식의 전환 및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포스트휴먼의 특성과 사유 방식의 변화는 새로운 인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을 탐색하는 방식에는 ‘존재 양식의 변화’, ‘인간성의 비판적 성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이해’ 가 있다. 생물학적/외형적 특성, 정신적 특성, 사회적 특성에 따른 전통적인 존재론적 인식 근거가 어떻게 해체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아동문학에서 새로운 인간상을 탐색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휴먼 탐색 방식을 바탕으로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특성과 아동상을 탐구한다.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소설 가운데 선정한 작품은『컬러보이』,『로봇의 별』,『열세 번째 아이』,『알렙이 알렙에게』이다. 한국 아동소설에서 포스트휴먼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해체하여 인간 개념의 확장을 시사한다.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비인간이 존재성을 드러내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생태적으로 인식하여 인간 중심적 사고를 전복한다. 이때 아동은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혼합체적 존재로서 다중의 정체성을 갖되, 스스로 삶을 고민하고 행동한다.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로 나아가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보여준다. 또, 타인의 욕망을 거부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선택하며, 비인간의 존재를 인식하고 이들과 공존하고 소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흐름으로 등장한 포스트휴먼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한국 아동소설에서 그 특징이 드러나는 양상과 아동상의 변화를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한국 아동소설 분석의 새로운 단초를 제공하고, 그간 도외시 되었던 아동상에 대한 연구로까지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문학교육에서 포스트휴먼과 관련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할 때, 이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에 관한 논의가 계속 이루어져 한국 아동소설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나아가 학생들의 반응연구나 문학교육 지도 방안에 관한 논의로까지 이어지길 바란다.

      • New Blue Phosphorescent Iridium (III) Complexes with N-methylimidazole Carboxylates as Ancillary Ligands

        서혜원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의 발광 시에 발광 층에 생성되는 엑시톤 분율 중 약 25%로 생성되는 일중한 엑시톤의 형광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일중항 엑시톤의 세 배이상 약 75%의 분율로 생성되는 삼중항 상태 엑시톤으로 부터의 발광과정은 스핀 금지 과정으로 매우 느리고 비효율적이어서 대부분이 발광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열로 소비된다. 최근 삼중항 엑시톤 에너지를 인광재료로 이용하여 발광으로 수확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색 인광을 내는 효율적인 인광 물질 개발을 위해 새로운 이리디움착물을 디자인하고 합성하였다. N-메틸이미다졸카복실레이트를 보조리간드로 2-(2?,4?-다이플루오로페닐)-4-(메틸)피리딘 및 2-[2?,4?-다이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피리딘을 주 리간드로 한 새로운 이리디움 화합물 4종을 합성하였고 그 착화합물들의 흡수 스펙트라, 인광 스펙트라, 그리고 인광 광양자효율 등을 측정하여 새로운 청색 인광물질 개발 가능성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 PZT를 利用한 鐵骨보 損傷計測

        서혜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Various monitoring sensors are being used for the prediction and detection of structural damage. Smart sensors such as glass-fiber sensor, PZT, MEMS, etc. have replaced traditional sensors and are being used in many area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amage by measuring the strain of strain gauge(SG) the voltage of PZT by impact load. Firstly, two beams of H-400×200×8×13 were joined with bolt for the test of damage to the beam joint.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accelerometer and PZT were compared by FFT. The damage to beam was presumed by loosening the bolt, and then the damage measurement was accompanied. Secondly, steel plate beam of PL600×65×5.8 was fabricated for the experiment of damage measurement. Impact loading test on three different locations was carried out. The ratio of frequencies before and after the damage were computed to quantify the damage level by using FFT, and the change in mode pattern with the increased damage was investigated to predict the damage.

      • 스파의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서혜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파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서비스 표준 모듈이 정착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어 서비스품질의 질적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마케팅 전략이 스파 기업의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몰입,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관계몰입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여 스파의 체계적인 경영에 필요한 서비스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스파 고객의 욕구에 맞는 고객 응대 매뉴얼 개발 방향과 스파가 지향해야 할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서울·수도권·제주도 지역의 스파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4일부터 2월 11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총 347부를 최종 분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원의 전문성과 고객의 욕구 파악을 위한 개별적 관심, 서비스의 정직성이 심리적 애착을 유발해 스파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희망하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감성, 확신성, 유형성이 계산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스파 직원의 능력과 지식에 대한 믿음, 스파의 물리적 시설의 효용성이 스파와의 관계를 사회적, 경제적 이득으로 느끼게 해 다른 스파로 이동을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확신성,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이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원의 전문적인 태도와 능숙한 기술, 대응의 신속성, 스파의 장비와 시설의 우수성, 스파 이용의 편리성이 스파와 고객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스파를 계속적으로 이용하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파의 관계몰입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몰입, 계산적 몰입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스파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지속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기보다는 스파와의 정서적, 감성적 몰입에 더 큰 가치를 두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스파의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이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스파의 서비스품질에 따라 관계몰입과 관계지속의도를 살펴보고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함으로써 스파가 지향해야 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윤이상 작품에 나타난 한국 전통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예악(禮樂)과 Interludium A를 중심으로

        서혜원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럽의 현대음악계에서 동양적인 철학 및 음악을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창조한 한국인 작곡가 윤이상(Isang yun 1917-1995)은 현재 세계음악사에서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역사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유럽의 연주회와 주요 음악콩쿨의 기본적인 레파토리로 꾸준하게 연주되어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관현악, 실내악, 독주곡, 오페라, 합창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작곡한 150여개의 작품에는 동서양의 음악을 조화롭게 결합한 그 만의 독자적인 음악세계가 잘 드러나 있다. 본 논문은 윤이상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전통적인 요소를 연구한 것이다. 그의 음악이 한국적인 요소와 불가분의 관계임은 그의 강연과 글, 작품을 통해 여러 차례 접해왔고,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의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자리 잡은 한국적인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음악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하였다. 작품으로 선정한 「예악(禮樂)」과 「간주곡 A(Interludium A)」는 그 만의 음악적 언어인 주요음향기법의 토대위에서 한국적인 요소들을 근사한 소리로 반영해주고 있는 곡들이라 하겠다. 「예악」은 윤이상 음악의 중요한 양식적 특징들이 총체적으로 잘 응축되어 있다. 이곡에서는 우리 전통음악에서 사용되어지는 악기들의 유려한 소리와 농현법과 같은 주법을 서양의 것으로부터 창출해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함께 동양음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간주곡 A」에서는 도교의 ‘정중동(靜中動)’ 사상을 잘 드러내주는 ‘주요음기법’의 짜임새에 가장 한국적인 시김새를 사용하여 동양적 색채를 표현하고 있다. 현대음악의 지배적인 주류에 편입되지 않고 오히려 그 지배적인 어법들을 특유의 방식으로 변형시켜 가장 한국적인 것으로부터 가장 세계적인 음악을 만들어낸 윤이상은, 넘쳐나는 서양음악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것을 등한시 해온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It is said that Isang Yun, a world-famous native Korean composer, created his unique music world by harmonizing Asian culture and music with western style. In this sense,his great music has been known as major repertories for main concerts in Europe, which attracts our research on. His creative music world with harmony of Korean and western style reveals in 150 compositions in the various genres such as orchestral works, chamber music, solo works,opera,and choral music.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Asian cultural characteristics in Isang Yun's music,and analyze how to harmonize them with Western European music. Core philosophy and basis of his music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aoism,His understanding of Taoism helped him create concept of oriental sound and 'movement within stillness', which produced techniques such as Hauptton and Hauptklang. "Reak" and "Interludium A" produce great sounds with techniques of Hauptklang and his own excellent skills reflecting Korean culture. In the "Reak", various sounds from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nd unique playing skills such as Nong-Hyun were recreated in western music,which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to make western people become interested in oriental music. In addition, "Interludium A" was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style with using Shi-Gim-Saeasa texture of Hauptklang.

      • 오렌지 아로마 흡입과 매트 필라테스 병행 프로그램이 산후 여성의 호흡 기능, 우울증 및 수면 질에 미치는 효과 : 6주간의 무작위 대조 연구

        서혜원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후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 회복을 위해 오렌지 아로마 요법과 매트 필라테스 운동을 병행한 프로그램이 호흡 기능 (노력성 폐활량, FVC), 산후 우울증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및 수면 질 (Verran and Snyder-Halpern Sleep Scale, VSH)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산후 6주에서 1년 이내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필라테스 운동만 시행한 집단 (PG)과 아로마 흡입과 필라테스 운동을 병행한 집단 (APG)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는 6주간 진행되었으며, PG와 APG 모두 주 2회 50분의 매트 필라테스 운동을 실시하였고, APG는 매일 5분간 오렌지 아로마 흡입 요법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APG는 PG에 비해 FVC, 우울증 점수, 수면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p < 0.001)을 보였다. 이는 필라테스 운동이 신체적 회복을 촉진하고, 아로마 요법이 심리적 안정과 호흡 패턴 개선을 통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두 중재의 통합적 효과를 제시하며, 산후 여성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한다. Postpartum women often face challenges such as diminished respiratory function, postpartum depression, and impaired sleep quality due to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following childbirth.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orange aromatherapy inhalation and mat Pilates on postpartum women’s respiratory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VC), depression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and sleep quality (VSH Sleep Scale) over six weeks. The study involved 20 postpartum women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mat Pilates group (PG) and an aromatherapy and mat Pilates group (APG). Both groups participated in bi-weekly 50-minute Pilates sessions for six weeks, with the APG group performing additional daily five-minute orange aromatherapy inhalation. Pre- and post-intervention measurements included FVC, EPDS scores, and sleep quality.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d variables in both groups, with the APG group demonstrating greater enhancements compared to the PG group. The APG group experienced a more pronounced increase in FVC (p < .001), greater reductions in depression scores (p < .001), and a larger improvement in sleep quality (p < .001).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ynergistic benefits of combining mat Pilates with orange aromatherapy inhalation for postpartum recover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comprehensive health recovery in postpartum wome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combined aromatherapy and Pilates program may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alleviat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leep quality.

      •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 특징 연구 : 역사교과서 『歷史: 中外歷史綱要 上篇』 분석을 중심으로

        서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출판된 고등학교 학제 과정의 역사교과서『중외역사강요(歷史: 中外歷史綱要)』상편 중국사를 분석하여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집권 초기부터 공식 연설에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강조하였다. 중화민족은 근현대시기 중국이 처한 대내외적 조건 속에 정치적 필요 의해 발명되고 구체화된 개념이다. 중화민족의 의미는 한족을 지칭하다가 후에는 대륙 내 각 민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한족 및 55개의 총칭으로 사용하여 중국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지칭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중화민족을 다양한 민족들이 융합한 단일한 민족체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는 관제민족주의로 중국공산당과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하향식 민족주의이다. 관제 민족주의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보완하는 국가주의적 속성을 가지기에 강한 국가를 추구하며 핵심 가치는 국가 영토 보전, 주권과 국가 통일이다. 이러한 관제 민족주의는 중국공산당의 필요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시진핑 시기에 들어 중화민족주의는 강화되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이 헌법 및 국정 목표가 되었다. 시진핑 시기 국정 목표는 역사적 담론으로서 중화민족의 재건을 강조하며 근거를 찬란한 역사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의 주창 근거를 역사서술에 주목하여 통편화 역사 교과서인 중외역사강요󰡕 상편 중국사를 분석 해 보았다. 본 연구 사례 결과, 첫 번째,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는 역사적 중층적인 성격을 가진다. 고대사와 근대사는 시진핑 주석이 중화민족주의를 합법적으로 주창할 수 있는 배경적 요인이다. 두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중화민족이라는 단일한 개념 강조를 통해 민족 단결과 영토를 보존성을 지닌다. 세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강대국으로서 공세적인 성격을 가지고, 네 번째 초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특징을 가진다. 다섯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중국식 발전 노선을 견지하는 민족주의로서 성격을 지닌다. 여섯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시진핑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이다. 본 연구는 시진핑 주석의 연임이 확정 된 현 시점에서,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 특징을 시진핑 시기 역사 교과서라는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밝혀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by analyzing Chinese history in the upper part of the history textbook "Chinese History Competition" published in 2019. President Xi Jinping emphasized the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people" in his official speech from the beginning of his administration. The Chinese people are a concept invented and embodied by political necessity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Chin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e meaning of the Chinese people refers to the Han Chinese, but later was used as a generic term for each ethnic group in the continent.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was used as a generic term for the Han Chinese and 55 people with Chinese nationality. The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of the 1980s, the Chinese people began to be regarded as a single national body in which various ethnic groups converged. During Xi Jinping's period, Chinese nationalism is controlled nationalism, which is a top-down nationalism l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government. Controlled nationalism pursues a strong state because it has a nationalistic attribute that complements socialist ideology, and its core values are national territorial integrity, sovereignty, and national unification. This controlled nationalism has a practical and instrumental character because it is used by the need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Chinese nationalism was strengthened, and China's dream of a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people became the constitutional and national goals. The national goal of Xi Jinping's period emphasizes the reconstruction of the Chinese people as a historical discourse and emphasizes the brilliant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China i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history, which is a comprehensive history textbook, focusing on history description as the basis for advocating Chinese nationalism during Xi Jin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has a historical layered character. Ancient history and modern history are background factors that allow President Xi Jinping to legally advocate Chinese nationalism. Second, Chinese nationalism has national un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through the emphasis on the single concept of the Chinese nation. Third, Chinese nationalism has an offensive character as a great power, and fourth, ultra-nationalist nationalism. Fifth, Chinese nationalism has a characteristic as a nationalism that maintains a Chinese-style development line. Sixth, Chinese nationalism is a nationalism that emphasizes loyalty to Xi Jinp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through a specific case of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at a time when President Xi Jinping's second term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