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순천만국가정원 방문객 만족도에 대한 연구

        서정길 배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순천만국가정원 방문객 만족도에 대한 연구 서 정 길 지도교수 정 강 환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이벤트축제학과 정원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우리나라에서 전 국민의 관심 속에 조성된 “순천만국가정원”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향후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2009년 전 국민의 관심 속에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정원이 정원이 조성되고, 이어 2013년 세계정원 박람회가 성황리에 마침으로서 명실상부한 세계 속의 정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은 심겨진 수목이 뿌리를 내리고 나날이 위용을 더해가며 정원을 풍요롭게 하고 있으며 공간별 쉼터와 사계절 조화로운 초화류의 전시, 그리고 다양한 이벤트와 축제를 통한 문화콘텐츠를 확보함으로써 국가정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원관광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으며 한해 2억5천만명 정도로 전체 관광객의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미국의 경우 정원 관광객이 7천 800만 명으로 그 규모가 라스베가스를 찾는 사람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관광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원관광의 산업으로서의 매력은 정원을 찾는 사람 중 40%가 해당지역에서 숙박을 하며 관광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킴은 물론이거니와, 지속적인 관광지로서의 필수 요건인 재방문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여러 가지 여건 부족과 함께 소홀히 다루어졌던 정원관광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도심의 각종 물질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연과 함께 정서함양을 높이기 위한 정원관광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일례로 캐나다 부챠드가든, 영국의 첼시가든 등 해외 유명정원을 조성하면서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을 이어져 오며 나무와 꽃을 가꾸며 자국민의 정서함양을 높임과 동시에 해외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끌어 들임으로서 중요한 관광수입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원의 개념과 종류와 기능 그리고 도시정원과 전통정원에 대하여 살펴보고 순천만국가정원을 비롯한 국내외의 유명한 정원 사례를 익힘과 동시에 우리나라 정원관련 법률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현황 파악과 동시에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하였으며 아울러 만족도에 대한 개념과 재방문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정원의 만족요인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순천만국가정원의 현황과 운영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원의 조성과 접근성, 관람동선 및 색채 모양 배열, 친절도, 그리고 시설물의 안전성 등을 정원관광관점에서 평가하였으며 특히 남·여간의 만족도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성별에 따른 관광객의 시장 세분화를 통한 향후 정원의 보완 방향을 모색한바 남자 관광객보다 상대적으로 여자 관광객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순천시에서는 정원의 보완 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남성보다 여성의 관점에서 보다 세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관광객의 다양한 욕구와 함께 정원 발전을 위한 소프트웨어 부분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영 측면에서의 검토를 하지 못하였음이 매우 안타까운 부분으로 향후 이 분야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여 제안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장점과 문화를 접목시킨 국가정원을 운영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정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명소로 발돋움 하여야만 할 것이다. 주요어 : 관광산업(Tourism Industry) 정원관광(Garden Tourism) 관광시장(Tourist Market) 만족도(Satisfaction Level)

      • 비고츠키 교육이론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4, 5, 6학년 주제중심 알고리즘 교육이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정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고츠키 교육이론과 주제 중심 교육을 고려하여 개발된 알고리즘 교수·학습 모델을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만족도, 학업태도, 즐거움 등의 내적 동기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 소재 초등학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3차시의 수업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개발한 비고츠키 교육이론을 기반으로 한 주제중심 알고리즘 교육의 교수·학습모델로 수업을 받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사위주의 수업을 받았다. 수업 후 본 연구를 검증할 데이터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존의 연구와 Aiken의 수학 흥미·태도 검사지를 참조하여 만든 내적동기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의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고츠키 교육이론을 기반으로 한 주제중심 알고리즘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그렇지 못한 통제집단보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교육에 대한 내적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 국가정원 방문객의 시장세분화 및 정원관광 평가에 관한 연구 : 순천만국가정원과 울산태화강국가정원 비교를 중심으로

        서정길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가정원 방문객의 시장세분화 및 정원관광 평가에 관한 연구 서 정 길 지도교수 정 강 환 배재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최근 관광 분야에 세계의 이슈로 등장하는 정원관광이 유럽과 북미를 거쳐 아시아권으로 불어 닥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뒤늦게 정원관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토의 서남부에 지정한 제1호 순천만국가정원을 비롯하여 동남부권에도 2호 울산태화강국가정원을 지정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정원으로서 관광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방문객 특성 규명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아직 미흡함에 따라 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두 곳의 정원이 지정연도와 조성 동기 등에서 차이가 있는 관계로 만족도를 비교평가 한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으나, 현시점에서 있는 그대로의 평가를 명확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어 관광객 시장세분화와 함께 정원관광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추세를 반영, 국가정원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시장을 세분화하고 만족도를 비교평가 함으로써 국가 정원별로 처한 현실을 명확히 하고 운영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우선 방문 동기에 있어 18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변수의 설문을 통하여 정원별로 기술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호 정원인 순천만국가정원 방문 동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보기 위하여’라는 응답이 1위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치유와 힐링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순으로 국가정원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성, 신기성, 휴식, 사회성으로 요인이 규명되었고 이들에 대한 이단계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영업, 주부, 학생 군으로 압축되었다. 군집 외적 분석을 병행하여 소비지출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남에 따라 최종적으로 소비지출이 많은 외부 고소득 남성집단과 소비지출이 매우 높은 지역 주부 집단, 그리고 소비지출이 낮은 외부 여학생집단으로 시장을 세분화할 수 있었다. 이어서 2호 정원인 울산태화강국가정원 방문 동기를 분석한 결과 ‘치유와 힐링을 위해’가 응답 1순위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그리고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보기 위해서’ 순으로 국가정원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한 바 지성(知性), 신기성(新奇性), 휴식(休息)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이들에 대한 이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사원, 학생으로 압축되었다. 군집 외적 분석을 병행하여 방문 선호 계절과 체류일수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남에 따라 최종적으로 봄을 좋아하고 당일 체류객인 지역 청장년 회사원 집단과, 봄을 좋아하나 계절을 가리지 않는 지역 여학생집단으로 시장을 세분화할 수 있었다. 평가결과 조사에서는 28개 항목의 변수를 가지고 평균값을 활용하여 국가정원 간 만족도 기술평가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결과 심미성(深美性,) 독창성(獨創性), 접근성(接近性 ) 및 만족(滿足), 안전기타(安全其他)로 요인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t-검정으로 성별, 거주지별, 재방문 여부와 숙박 여부별 평가를 가졌으며 분산분석(ANOVA)을 통한 소비지출, 연령대별, 소득수준별로 국가정원 간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순천만국가정원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뒤진 울산태화강국가정원은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어 시급한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국가정원의 발전을 위한 많은 시사점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관광 기본정책과 연계한 정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시장세분화에 따른 표적화 관광마케팅전략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양 국가 정원의 격차를 해소하고 특성화되고 차별화된 국가정원 조성과 발전을 꾀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 정원의 기능확장과 함께 국제정원박람회(AIPH : 국제원예생산자협회)등을 유치, 방문 동기유발과 함께 품격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체류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에 대한 소비지출을 유도하기위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유기적인 협력과 중앙부처의 장기적인 플랜에 기반한 지속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and garden tourism evaluation of national garden visitors Jeang-Gil, Seo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Gang-Hoan Jeong) In recent years, garden tourism, which has emerged as a global topic in the field of tourism, has made its way through Europe and North America to Asia. Korea has also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garden tourism, and appointed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n the southwestern region as the first national garden and the Ulsan Taehwa River national garden in southeastern region as the second garden. Nevertheless, as detailed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visitors have yet to be achieved to tourism create demand for these national garden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emerged. It may be somewhat unreasonable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atisfaction level due to differences in the two gardens in terms of designated year and motivation for creation,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evaluation as it is at the present time. As such,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along with the tourist market segm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reflects this social trend and subdivides the market in order to better evaluate and compare the national garden tourism industry and satisfaction level.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lity that each national garden faces and to present the operational status, marketing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promotion. First of all, through a questionnaire of variables composed of 18 items regarding motivation for visiting, techn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ach garden and the market segmentations were determin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ivation for visiting the first garde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the response of 'to see beautiful flowers and trees' was first, followed by 'for healing', and 'to relieve stress’ in that order. Nex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actors were identified as intelligence, novelty, rest, and sociality, and as a result of a two-stage cluster analysis on them, the main groups were determined to be self-employment, housewife, and student groups. As a result of conducting external analysis of those groups, the consumption expendit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ly, the market could be subdivided into external high-income male groups with high consumption expenditures, local housewife groups with very high consumption expenditures, and external female groups with low consumption expenditure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ivation for visiting the second garden, the Taehwa River National Garden, the response of 'for healing' appeared first, followed by 'to relieve stress' and 'to see beautiful flowers and trees' in that order. Factor analysis confirmed intelligence, novelty, and rest factors,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wo-stage cluster analysis on them, the main groups were determined to be office workers and students. As a result of conducting external analysis of the groups, as the season of visit preference and the number of days of stay displayed significance, the market could be subdivided into a group of local youth and office workers who like a day trip and a group of female students who like spring, but don't mind the season. In the satisfaction level survey, 28 levels of variables were use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national gardens using the average value.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confirmed aesthetics, originality,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and safety. Also, via satisfaction level t-test,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gender, place of residence, revisit, and lodging. ANOVA was conducted for a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national gardens by consumption expenditure, age group, and income level. As a result,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was dominant in overall while Taehwa River National Garden which was relatively and low appeared to have many problems and needed urgent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many implications were found for the development of both national gardens.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garden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tourism policy. Second, targeted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market segmentation. Third, the gap between the two national gardens should be resolved as soon as possible,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develop a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national garden.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garden that everyone can enjoy, attract international garden fairs, the AIPH(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orticultural Producers), and induce motivation for visiting and quality elev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y-type program and establish a plan to induce consumption expenditure on them. Lastly, continuous support is necessary from the local government for organic cooperation based on the central government's long-term plans.

      • 집단 구성원의 행위자 신념과 가치지향성이 집단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정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집단의 문화적 지향성이 집단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합주의 하위 차원 가운데 행위자 신념과 가치지향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들의 조합을 통해 집단 의사결정의 질을 예측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개인적 행위자 신념이 우세한 집단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동기화됨에 따라 집단 내에 의견의 다양성과 활발한 논쟁이 유발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 집합적 행위자 신념이 우세한 집단에서는 집단에 대한 적응과 조화가 강조됨에 따라 이러한 제 요인이 상대적으로 발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개인적 행위자 신념으로 인한 의견의 다양성과 활발한 논쟁이 우수한 집단 의사결정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상호 협력함으로써 다양한 의견이 적절하게 통합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개인적 행위자 신념으로 인한 촉진적 영향은 집단의 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이 우세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 개인주의 가치지향성이 우세한 집단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자 동기화됨에 따라 긍정적 집단 풍토가 상대적으로 발현되기 어려우며, 행위자 신념으로 인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행위자 신념: 개인적 행위자 신념/집합적 행위자 신념) × 2(가치지향성: 개인주의 가치지향성/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의 이원 피험자 간 설계를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3인 집단을 이루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개인별로 독립변수를 조작한 후, 집단 의사결정 과제를 실시하였다.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과제 특성상 집단 의사결정의 질에 대한 근접 지표로서 토론 과정에서 집단 구성원들이 제기한 주장의 질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아이디어 질에서 행위자 신념과 가치지향성의 이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가설과 일관되게 집합주의 가치지향성 조건에서는 개인적 행위자 신념이 점화된 집단이 집합적 행위자 신념이 점화된 집단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주장을 제시한 반면, 개인주의 가치지향성 조건에서는 행위자 신념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더하여, 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이 우세한 집단에서 개인주의 가치지향성이 우세한 집단보다 관계갈등을 낮게 보고하였고, 집단의 결정에 동의하는 정도도 높았다. 또한, 집합적 행위자 신념이 점화된 집단의 구성원들이 개인적 행위자 신념이 점화된 집단의 구성원들보다 집단 토론 과정에 균등하게 참여하였다. 종합하면, 행위자 신념과 가치지향성은 집단 의사결정 과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주의적 속성과 집합주의적 속성이 적절하게 조합될 때 집단의 의사결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과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member's cultural orientation on group decision making. This study primarily focused on agency belief and value orientation among components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ssuming that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components might predict the quality of group's decision outcome. It was predicted that when personal agency belief was prevalent in groups, members would be motivated to enhance their own influence, thus opinion diversity and controversy might be actively induced. In contrast, these effects might be decreased in groups with collective agency belief, because collective agency belief is related to adjustment and harmony in groups. However, opinion diversity and controversy are insufficient for groups to make superior decision without open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f diverse opinions. Thus, it was hypothesized that facilitative effects of personal agency belief would be prominent when group's value was collectivistic. In contrast, when group's value was individualistic, the effects of agency belief might be disappeared because members of these groups pursued their own interest and positive group climate was hardly induced.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experiment used a 2(Agency belief: Personal agency belief vs. Collective agency belief) × 2(Value orientation: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vs.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between-subjects design. Participants were initially introduced manipul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then performed a decision making task in 3-person groups. Because there was not a superior alternative in the decision task used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argument during group discussion was assessed to measure a quality of group's decision outcome. The results revealed an interaction between agency belief and value orientation. Specifically, the quality of argument was higher when participants with collectivistic value had a personal agency belief as compared to when their agency belief was collectiv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gency belief condition when participants' value was individualistic. Additionally, participants with collectivistic value showed less relational conflict and more agreement to the group's decision than those with individualistic value. And collective agency belief affected equal participation in group discussion. In sum, agency belief and value orientation had differential effects on group decision making process, and group's decision making quality was higher wh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ere combined harmonious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t the end.

      •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조합이 과업 집단 구성원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수행이 우수한 구성원의 동기 증진을 중심으로

        서정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과업 집단에서 다른 구성원들에 비해 높은 수행을 보이는 수행 우수 구성원들은 과업 수행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집단 상황에는 수행 우수 구성원들의 과업 수행 동기를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이들이 최적의 수행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수행 우수 구성원들의 동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집단의 효과성 증진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를 촉진하는 선행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인주의-집단주의(individualism-collectivism, Hofstede, 1980)에 초점을 두었다. 집단 과업에 대한 동기 현상은 본원적으로 사회적 궁지의 문제이다. 즉, 집단의 성취를 위해 집단 과업에 많은 노력을 투입할 것인지, 아니면 개인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을 철회할 것인지에 관한 선택의 문제이다. 따라서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관한 신념 체계인 개인주의-집단주의가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론 가능하다. 이러한 추론과 일관되게 선행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집단주의가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를 촉진한다는 입장(Karau & Williams, 1993)과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는 입장(Hong et al., 2008)이 혼재하고 있어 일관된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개념적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상승효과 모형’(이하 SYM-COIN; Choi, 2015, 2016, 2019; Choi et al., 2018, 2019; Choi & Euh, 2019; Choi & Kim, 2020; Choi & Yoon, 2018)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SYM-COIN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개념이 지닌 다차원적 속성에 주목한다. 즉, 개인주의-집단주의의 하위 차원인 가치지향성과 자기표상은 독립적인 구성개념으로서 개인의 사고 및 행동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더하여 Choi와 동료들은 가치지향성과 자기표상을 조형함으로써 개인주의적 속성과 집단주의적 속성이 결합된 새로운 문화적 구성(cultural make-up)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그 중에서도 특정 조합이 특정 상황에서 집단의 기능을 증진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상승효과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SYM-COIN의 가정을 수행 우수 구성원의 과업 수행 동기 장면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를 저해하는 두 가지 방해요인으로서 형평성 위협과 획일화 압력을 가정하고,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이 조합된 조건에서 상기 방해요인들이 극복됨에 따라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가 촉진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이를 세 편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은 가치지향성과 자기표상의 조합에 따라 수행 우수 구성원의 과업 수행 동기가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학생 참가자들은 과제에 대한 동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쉽고 단순한 과제를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수행하였다. 기저선 측정을 위한 1차 수행에서 참가자들은 실시간으로 자신을 포함한 집단 구성원들의 수행 정보를 제공받았으며, 이 때 수행 정보를 꾸며서 제공함으로써 모든 참가자들이 자기 수행이 팀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믿도록 하였다. 1차 수행이 종료된 후 독립변수 조작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과제가 끝난 후 종속변수 측정을 위해 동일한 실험 과제를 한 번 더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과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일련의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 1의 결과가 방법론적 결함에 기인한다고 추론하고, 이를 개선하여 연구 2를 실시하였다. 연구 2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이 조합된 조건의 참가자들이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상호의존적 자기표상이 조합된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높은 과업 수행 동기를 보였다. 반면, 개인주의 가치지향성 조건에서는 자기표상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치지향성과 자기표상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이들의 조합을 통해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를 예측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기본 가정과 일관된다. 연구 3에서는 참가자들이 서로의 수행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면대면 상황에서 연구 2의 결과를 반복 검증함과 동시에, 평균 수행 구성원의 동기에 독립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행 우수 구성원의 경우에는 가설과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평균 수행 구성원에서는 독립변수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세 편의 연구를 종합하기 위해 연구 내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편의 연구에서 관찰된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상승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각 연구의 효과크기 간에 이질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세 편의 실험을 통해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조합이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에 미치는 촉진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의 효과에 관해 상반된 예상이 혼재하나, 본 연구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개념이 지닌 다차원적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이러한 개념적 혼란을 해소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발견은 개인주의-집단주의를 단일차원의 양 극단으로 규정한 선행 연구의 관점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우며, 개인주의-집단주의 하위 차원들이 지닌 고유한 효과와 이들 간의 조합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가치지향성과 자기표상의 조합이라는 단순한 원리로 수행 우수 구성원의 동기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개입 전략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 superior performer, who shows outstanding performance compared to average members, play a pivotal role in the task group. However, there are numerous factors hampering superior performers’ motivation toward the group task, thereby groups often failed to capitalize upon their superior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both psychological underpinnings of motivation loss and antecedents of motivation gain on the part of superior performers. From this standpoint,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dition which is conducive to motivation gain of superior performers.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concep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Hofstede, 1980; I-C hereafter), which reflects two contrasting world-views regard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Because the phenomenon of motivation loss and gain reflects internal conflict between investing efforts for the success of the group and withdrawing efforts to conserve the individual cos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C is related to superior performers’ motivation. Along this line of reasoning, previous research on motivation loss and gain considered I-C as an important factor. However, there have been inconsistent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s of I-C. While a majority of research revealed that collectivism promotes motivation toward the collective task (cf. Karau & Williams, 1993), a negative impact of collectivism also reported (Hong et al., 2008). To resolve this conceptual ambiguity, the current study adopted the synergy model of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nd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SYM-COIN hereafter; Choi, 2015, 2016, 2019; Choi et al., 2018, 2019; Choi & Euh, 2019; Choi & Kim, 2020; Choi & Yoon, 2018). SYM-COI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C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That is, the two sub-components of I-C – value orientation and self-representation – are conceptually independent and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people’s thoughts and behaviors. Based on this, Choi and colleagues suggested that a cultural make-up can be constructed by a combination of value orientation and self-representation. They also argued that synergy effects forged by the combination of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nd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promote group functions in proper situations. Based upon this theoretical basis, the current study predicted that superior performers motivation gain is more likely when the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is combined with an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because superior performers in this condition overcome the main obstacles of motivation gain - equity threat and uniformity pressure. To test the hypothesis,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Study 1 was an attempt to gain initial support of the hypothesis. Undergraduate participants performed the experimental task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their motivation toward the group task. In the first trial for baseline measurement, participants were received the alleged scores of other teammates. They were led to believe that their own scores were highest among teammates. After the first trial, they performed manipulation tasks for value orientation and self-representation, then performed the experimental task again for measuring dependent variable. Results indicated no evidence for the hypothesized synergy effect. We performed post-hoc analyses and found several methodological flaws. We modified experimental procedures and conducted Study 2. As hypothesized, participants showed higher motivation when the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is combined with an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rather than with interdependent self-representation. In contrast, no effects of self-representation were found in the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otivation gain of superior performers can be predic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wo seemingly contrasting forces, that is,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nd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Study 3 was an attempt to extend the presumed synergy effect to the part of average performers. We replicated the findings regarding motivation gain of superior performers, however, there were no evidence of the synergy effect on average performers. We conducted internal meta-analysis to integrate our findings. The weighted mean effect siz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indication of heterogeneity.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found supports for the synergy effect of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nd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on superior performers’ motivation gain. Although there has been conceptual ambiguity regarding the effects of I-C, the current study resolved this issue by adopting the component-based approach of I-C.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pports the notion that predictive power of I-C can be enhanced by exploring the unique effect of I-C sub-components. Additional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지방정부 청정개발사업의 성과 극대화 방안

        서정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MA.Thesis A Study on Maximizing the Achievements of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of the Local Governments - In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Jung-Gil Seo Major in Autonomous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Autonomou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wan-Beom Lee) (Abstract)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1993년 12월에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하고 2002년 10월 30일에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였다.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에서 개도국(Non-Annex B)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아직은 감축의무가 없지만 경제규모는 세계 13위, 온실가스 배출량은 OECD국가 중 6위 수준이며, 지난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90%이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2012년부터는 우리나라도 감축 의무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청정개발사업이 지방자치단체 및 기업을 중심으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폐기물 위생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Land fill Gas, LFG)를 자원하는 사업과 풍력을 이용한 에너지 발전사업, 화학산업, 채광, 제조업 농업, 건축, 수송 15개 분야의 사업을 들 수 있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방천리 위생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자원화하는 동시에 청정개발사업으로 연계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청정개발사업시행을 위해 용역사업자 심사계획(2006. 1) 및 용역사업 계약체결(2006. 4. 12)부터 탄소배출권 획득(2009. 11. 2) 등에 이르기까지 3년 11개월의 장기간이 소요될 정도로 사업추진상의 많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방천리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의 추진에 따른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청정개발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CDM사업의 탄생배경인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이중 청정개발사업 중에서 대구시가 추진한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에 한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청정개발사업의 의미와 중요성, 청정개발사업 추진절차 및 종류, 국내외 청정개발사업 추진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관련사업의 정책사례로서 대구시 청정개발사업인 「방천리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의 추진실태와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정개발사업의 성과를 극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책 및 제도 지원 관점, 지역경제 활성화 관점 그리고 친환경 관점에서 모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 계획서, 정부 통계자료, 대구광역시 정책자료 및 보고서 등 문헌 연구·분석의 토대 위에서, 한편으로는 CDM사업과 관련된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CDM사업의 주된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관련하여 심층면접 방법(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지방정부 청정개발사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CDM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정책적·제도적 관점에서의 문제점은 지방정부는 물론 중앙정부 차원에서 실질적인 지원체계가 없다는 점이다. CDM사업 지원을 위한 관련 법령이나 조례, 규칙이 제정되지 않았고, 업무를 담당(환경6급 1명)하는 인력의 규모 및 전문성의 미흡 그리고 전문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또한 전무한 상태이다. 나아가서 CERs 판매로 얻어지는 수익에 대한 사용계획은 당초 CDM 사업추진 계획에 조차 반영되지도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지방정부가 CDM사업의 독자적 추진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의 제정, 행·재정적 지원 강화, 그리고 추진업무의 효과성을 제과하기 위한 전담부서 신설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CDM사업 자체가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업인 만큼, 민간 전문업체와의 공동참여를 모색하는 방안 내지는 대학 및 연구기관 등과의 MOU체결로 인력풀을 확보·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편 획득한 CERs에 대한 사용계획은 단발성이 아닌 가칭「탄소기금 운용 조례」 제정 또는 법인을 설립하여, 향후 신재생 에너지 관련사업, 탄소저감사업,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사업 등에 대한 지원이 적극 실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에 대한 사용계획을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대구시는 탄소배출권 획득에만 매달려 있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배출권 확보 이후의 계획수립이 미비된 상태였으며, 단지 배출권 판매에 따른 수입이 세외수입 계좌로 입금이 완료되면 CDM사업의 완결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순히 CDM사업에 그치지 말고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지역산업 연계 육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탄소배출권 판매는 국제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판매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강구한다든지,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판매시기, 판매방법, 구매자의 신용도 등 제반 조건에 대한 시장정보를 정밀 분석하여 대처하는 계획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CDM사업 관련 타 지자체 또는 제3국으로의 기술이전에 대해서도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을 뿐더러, 전담 인력에 대한 충원 및 전문성 제고 등의 인력관리 계획 또한 매우 미비한 실정인 것이다. 그리고 CDM사업 참여기업에 대한 신용보증 등 적극적인 협력 및 지원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CDM사업의 원래 취지는 유엔기후협약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대명제가 있기에, 탄소배출권 판매로 얻어지는 수익을 환경관련 연계산업 육성사업에 재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실행계획의 구체화가 필요한 것이다. 즉 CDM사업과 바이오매스 가스화, 풍력·Solar 에너지 대체산업 등 도시고형폐기물 재활용 관련 연계산업의 육성방안을 모색·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매립장의 특징 중 하나는 대부분 지자체 소유로 수많은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구 방천리 소재 위생매립장도 주민의 반대로 사업추진에 장애가 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그 동안 대구시는 주민과의 협약을 체결하고 단위사업 해결을 위한 노력에만 치우쳤다. 그러나 방천리 위생매립장 주변지역의 환경은 비산먼지, 청소차량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불안한 요소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러한 잠재민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매립장으로 인한 인근 주민의 불편함과 고통을 감안해서라도 영향권 지역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호강 개발과 연계한 문화와 복지, 교통까지 아우르는 복합적인 에코 종합 타운 조성사업도 반드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건물 신축할 경우에도 신재생에너지를 일정 부문 공급하는 적극적인 행정도 고려해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은 기후변화 대응 및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친환경조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방천리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것처럼 개인, 기업, 직장 단위에서 실행할 수 있는 탄소 포인트제를 확대·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 간, 공공기관 간에도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를 활성화하고, 저감 목표를 달성했을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저탄소 녹색성장 선도도시로서의 대구의 이미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청정개발사업이 단순하게 온실감축을 위한 사업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사업추진에 있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용역업체의 의뢰하여 탄소배출권을 과도하게 지불하는 우를 범하기도 하였다. 현 단계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은 CDM사업으로 얻어지는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자연환경보존과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향후 CDM사업의 발전지향적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정부는 조례제정부터 지원근거를 조속히 마련하여 정책적으로 CDM사업을 적극 뒷받침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CDM사업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그리고 매립장 지역주민에게는 친환경 공간을 제공해 주는 등의 선(先) 사회후생복지 효과 가시화를 통해 상생적 청정개발사업의 활성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MA. Thesis A Study on Maximizing the Achievements of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of the Local Governments - In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Jung-Gil Seo Major in Autonomous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Autonomou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wan-Beom Lee) <Abstract> In order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fforts to prevent global warming, Korea joined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in December 1993 and ratified the Kyoto Protocol on October 30, 2002. In Kyoto Protocol, Korea has secured the position of a developing country (Non-Annex B). Although Korea has no reduction obligations yet, since it has 13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s 6th among OECD countrie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growth ha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world, by more than 90% for the last 10 years, it is expected that our country will be a reduction obligation country from 2012. Meanwhile, in Korea, the clean development project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are underway centering in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The representative projects include 15 fields of businesses such as business making Land fill Gas (LFG) generated in waste sanitary landfill as resources, energy development business using wind power, chemical industry, lighting, manufacturing agriculture, architecture, transportation etc. Daegu Metropolitan City is promoting a project making Land fill Gas generated in Bangcheonri sanitary landfill as resources as well as linking to the clean development project. However, for the clean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ation, there were a lot of practical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 project enough to take a long time as long as 3 years 11 months from service provider screening plan (January 2006) and service business contracting (April 12 2006) to Carbon Emission Allowance. Henc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problems focusing on the cases according to promotion of Daegu Bangcheonri Land fill Gas resources project and present measure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clean development project.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main content of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and the Kyoto Protocol,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CDM projects and research by limiting to Land fill Gas resources project that Daegu promoted among the clean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I studied meaning and importance of clean development projects, promotion procedures and types of clean development projects and promotion status of Korean and foreign clean development projects. And as a policy case of related businesses, I deeply analyzed promotion status and problems of 「Bangcheonri Land fill Gas resources project」, which is the Daegu clean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 studied in terms of a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perspective, local economy activation perspective and eco-friendly perspective as a solution for maximizing performance of clean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respect to the main problems and solutions of CDM project targeting 55 experts related to CDM project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such as the government plan, the government statistics, Daegu Metropolitan City policy materials and reports etc.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easure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 clean development project through focus expert group interview like this, I could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DM projects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are that there are no real support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as well as local government level.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rules for CDM project support are not established yet and scale and expertise of the workforce responsible for the job (environment 6 class, 1 person) are insufficient and cooperation network with professional organizations does not exist at all. In addition, the plan for the use of earnings earned from the CERs sale is not reflected even in the CDM business promotion plan at the beginning. As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need to newly establish a task force team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being promoted and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establishing related regulations so that the local governments can promote the CDM projects independently. Also, since CDM project itself is a business that requires high specialty, we need to the measures to secure and utilize manpower pool by MOU contract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etc. or ways to seek co-participation with private special companies. Meanwhile, as for the use plan on acquired CERs, support for future renewable energy-related projects, carbon reduction projects, energy conserva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etc. needs to be actively conducted by enacting tentatively named "Carbon Fund Operation Ordinance" and establishing a corporation, not a single shot. Second, it is actively necessary to search and pursue to the measures to connect the use plan on carbon emission allowance sales revenue with local economy activation. It may be fairly said that Daegue city has been working on only acquiring carbon emission allowance in the meantime. Therefore, planning after securing carbon emission allowance is incomplete and they recognized that if earnings according to emission allowance sales are deposited into the nontax receipts account, CDM projects are complete. It is the time that a concrete plan on local industry connection development is needed in terms of local economy activation, not just stopping at CDM projects. Because carbon emission allowance sales take plac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 plan to deal with by precisely analyzing market information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how to minimize risk of sale, specific sales period related this, sales methods, credit rating of a buyer etc. should be prepared. Plans about technology transfer to the 3rd countries or other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CDM projects have not been established nor workforce management plans such as supplement of the personnel and professionalism enhancement of dedicated staff is very incomplete as well. And active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 need to be established such as credit guarantee etc. for CDM projects participating companies. Most of all, becau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DM project is greenhouse gas reduction as stated in the UN Climatic Change Convention, revenue earned from the sale of carbon emission allowance should be reinvested to environment-related connection industries nurturing projects and materialization of execution plans is necessary for this. That is, we should search and pursue nurturing measures of urban solid waste recycling related connection industries such as CDM projects and biomass gasification, wind power and solar energy alternative Industry etc. Thir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landfills is that most of them are owned by local governments and are suffering from many complain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difficulty in promoting Daegu Bangcheonri sanitary landfill due to opposition of residents. In the meantime, Daegu city conclude an agreement with residents and inclined to make efforts to solve a unit business.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several unstable elements such as fugitive dust, clean vehicles etc. around Bangcheonri sanitary landfill. Efforts to resolve these potential complaints should be the first. Given the inconvenience and pain of nearby residents until now due to the landfill, it is the time when a comprehensive alternative is needed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within the influence region. The construction project of comprehensive complex eco-towns including culture and welfare, transportation in conjunction with Gumho river development will have to be promoted If necessary, when newly constructing buildings, should consider active administration that provides renewable energy to some extent.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is an essential element to create eco-friendly environment for climate change countermove and global warming prevention. Just as the Bangcheonri landfill gas resources project contributed to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practicable carbon point system needs to be expanded and operated in individual, company, workplace unit. Also, if carbon emission allowance trading system is activated between companies and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incentives are granted when achieving reduction goals,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upgrade the image of Daegu as a leading city of low carbon and green growth. In conclusion, clean development project should not be just limited to a business only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Moreover, in promoting projects, although local governments must take the lead in promoting them, they made a mistake to excessively pay carbon emission allowance by asking service providers to do it. The matters to be focused at the present stage are to find a workable plan that can be linked with low carbon and green growth industries and nature conservation through greenhouse gas reduction by appropriately using carbon emission allowance sales revenue earned from CDM projects. For the development-oriented activation of the future CDM projects, local governments must actively support CDM projects as a policy by preparing support base from ordinances enactment as soon as possible. In addition, a lot of effort should be made to materialize activation of coexistent clean development project through visualization of social welfare effects in advance such as providing eco-friendly space with landfill local residents and activation of local economy through CDM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