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사"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연구

        서유란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저금리 시대가 마무리되고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반면, 시장에서는 4차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을 이끌어나갈 주요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AI, IOT, Wearable 같은 첨단 기술은 공통적으로 첨단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고,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중요한 시기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반도체 기업 “A”사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서 대내외적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지속 가능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농촌관광에서 방문동기의 만족도 영향 : 성주산골 농장 사례

        서유란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농촌관광에서 방문객의 만족도 향상은 재방문을 통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어떻게 영항을 미치는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7월 27일(월)부터 8월 11일(수)일 까지 16일간 성주산골 농장을 방문한 가족 방문객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5부의 설문 조사 중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35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20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SPSS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문객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30대 103명(51.5%), 40대 67명(33.5%), 30대, 40대의 연령층이 가족과 함께 농촌체험을 가장 많이 다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력별, 대학교(전문대)졸업 132명(66.0%)이 비율이 가장 높았고, 사무직이 86명(43.0%)이다. 그리고 ‘자녀 및 부부동반’이 153명(76.5%), ‘당일’ 162명(81.0%), ‘1박2일’ 38명(19.0%)으로 나타났다. 농촌관광 체험활동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워터슬라이드’(4.64), ‘피자 체험’(4.55), ‘물놀이체험’(4.50)으로 높은 만족도가 나왔으며, ‘바이킹 그네’(4.40), ‘비누 체험’(4.31), ‘쿠키 체험’(4.12) ‘동물 먹이 주기’(4.11), ‘모기퇴치제 만들기’(4.00)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탈출’, ‘사회화’, ‘고품격 및 고독’과 ‘색다른 경험’, ‘즐거움’, ‘학습과 가족’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6개의 요인 중 가장 변량이 높은 것은 ‘일상탈출’ 요인이었다. 이는 일상탈출 요인이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동기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요인은 ‘색다른 경험’ 요인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방문객이 색다른 경험 동기가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기요인의 만족도에 영향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품격 및 고독’과 ‘색다른 경험’이 관광객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체험농장을 방문하는 방문객은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있지만, 특히 ‘고품격 및 고독’ 동기와 ‘색다른 경험’ 동기를 가진 방문객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러한 동기를 가진 방문객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체험농장 프로그램을 이에 맞추어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고품격 및 고독’ 동기와 ‘색다른 경험’ 동기는 서로 상반될 수 있는 동기이기 때문에, 위의 두 가지 동기를 가진 방문객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리하여 체험농장에서는 위의 두 가지 동기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경우, 체험농장의 여건에 따라서 이 중 한 가지 동기를 선택하여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Satisfaction improvement of tourists in the rural tourism is critical for successful business by enabling to get them back to the sit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tivation of a tourist who is participating in the rural exper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with regard to how the visiting motivations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for family vacation.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of family tourists who visited a mountain farm located at Seongju for 16 days from July 27(Mon) to August 11(Wed), 2019. Of a total of 235 survey questionnaires collected, 20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35 copies due to poor credibilit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variables, people in their 30s and 40s have participated in the rural experience program the most with their family members, accounting for 103 persons (51.5%) and 67 (33.5%), respectively. As for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ticipants, it was revealed that the people graduated a university(a college) were 132 (66.6%), accounting for the highest portion and the people with office work were 86 (43.0%), which was the highest portion as well. Moreover, the people accompanying children and spouse were 153 (76.5%), and 'one day' visit was 162 (81.0%) and 'one night' was 38 (19.0%). The analysis results on satisfaction level for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by event were as follows. The 'water slide' exhibited the highest satisfaction (4.64), then followed by 'pizza trial' (4.55), 'water play experience' (4.50), 'viking swings' (4.40), 'soap experience' (4.31), 'cookie trial' (4.12), "feeding animals' (4.11) and 'making a mosquito repellent' (4.00) in order. Factor analysis conducted on the motivation revealed six factors such as 'escape from daily life', 'socialization', 'premium class and solitude', 'unique experience', 'pleasure' and 'learning and family'. Of these six factors, the factor with the highest explained variance was 'escape from daily life'. This implies that the 'escape from daily life' is the most significant and meaningful motivation factor. The factor with the highest mean value was 'unique experience' and this indicates that most of visitors overall showed relatively higher scores in the motivation of 'unique experienc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motivation factor with regard to influential relationship.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mium class and solitude' and 'unique experience' both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ourists. Tourists who visit the rural experience farms have various motives. In particular, since 'premium class and solitude' motive and 'unique experience' motive are important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xperience farm programs that are customized to those motives. However since both 'premium class and solitude' motive and 'unique experience' motivation have the opposite concepts each other in nature, there may be conflicts between two, thus it can be a challenge to develop the experience program that can accommodate both simultaneously.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xperience program by focusing on one of both motivation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an experience farm. On the otherhand, if each farm were not good enough to provide experience programs for their farm, it is effective that each farm make collaboration and network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programs.

      • 체험 수학 학습이 수학불안과 수학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변화의 사례 연구

        서유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affective competence of learning mathematic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knowledge-based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learning who are isolated from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of anxiety in learning mathematics which research students experience, and examined the changes in affective domain after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professors and experience mathematics. A total of 16 lessons were held in the research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uses of mathematical anxiety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sabilities wer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mathematics teachers and colleagues during early grades, influence from home environment, indifference to mathematical education, lack of basic knowledge which creates anxiety, negative opinions of the subject and its beliefs, lack of diverse experiences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that is following various rules. Second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negativ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mathematics and its lessons,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teachers, and showed positive effects to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such as motivation and confidenc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erived from summarizing the results. Students with anxiety and disabilities in learning mathematic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thoughts about mathematics and its beliefs. And they have negative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while their parents and teachers are less interested in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positive changes in mathematics can bring positive changes even for students with negative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were found to lack mathematical foundations and various mathematical learning experiences in classe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terest in mathematics has been raised through the research experiments related to real life and experiential mathematics that students had never experienced before. 본 연구는 미래지식 기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수학학습의 정의적 역량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수학불안과 수학학습 장애를 지닌 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학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우리나라 수학 교육은 과거에 비해서 질적·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지만, 수학의 양극화는 점점 더 심해지고, 수학 공부를 포기하거나,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중은 점점 증가를 하고 있다. 우리가 준비하는 사회는 일부 상위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이 아닌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을 준비해야 한다. 그런 의미로 수학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수학학습 불안과 수학학습 부진, 수학학습 장애를 지닌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정확한 파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들의 수학의 정의적 문제 해결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 불안과 수학 학습 장애를 겪고 있는 한 학생의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서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학생의 수학학습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직접교수와 체험 수학을 통한 수학학습을 한 후의 수학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수업은 총 16차시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수학 수업의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 불안 측정 검사도구와 수학적 태도 검사도구의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장애를 가진 학생의 수학 불안의 원인은 저학년 때의 수학교사와 동료들에 대한 부정적인 관계 형성, 가정환경의 영향과 수학공부에 대한 무관심, 부족한 수학 기초와 수학적 불안감, 수학 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낮은 수학적 신념, 수학수업에 대한 다양한 체험의 결핍, 규칙을 따라야 하는 수학교과의 특수성이 수학 불안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체험 수학을 학습 후의 수학불안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 전보다 불안이 감소하였다. 연구 실험을 통해서 수학교과와 수학 수업에 대한 부정적 생각 및 경험, 수학교사와 관련된 부정적 경험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수학학습 동기 및 자신감도 향상되는 등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수학 불안과 수학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수학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낮은 수학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자기 통제와 자아개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연구 실험과 학생과의 대화와 수업시간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었고, 학생이 관심 있는 분야의 교과목을 접목한 수업을 통하여 수학적 흥미와 즐거움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이 알지 못했던 지식의 향상과 수학적 경험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면서 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에서는 연구 실험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자신의 수학적 능력의 한계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못하고 역효과의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둘째, 수학 불안과 수학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수학교사와 친구들에 대한 부정적 경험과 관계형성을 지니고 있고, 자신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부모님과 교사의 관심도가 낮고, 학생 또한 부모님과 교사의 수학적 기대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실험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가 수학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경험을 지니고 있는 학생이라도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수학 불안과 수학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수학적 기초가 부족하고 수학수업에 대한 다양한 수학 학습 체험이 결핍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 연구 실험과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체험 수학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암기와 계산 풀이 위주의 수학 공부 방법을 해왔던 이전과는 다르게 경험과 체험을 통하여 수학적 지식을 떠올리는 공부 방법을 경험을 경험할 수 있었고, 수학은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연구

        서유란 광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지위가 Marcia의 모델과 같이 네 가지 지위인 성취, 유예, 유실, 혼미로 분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분류된 진로정체감 지위가 자아정체감 지위와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진로정체감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440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정체감 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몰입의 두 차원으로 Marcia의 모델과 같이 국내 대학생들의 네 가지 지위가 확인되었다. 이렇게 나타난 진로정체감지위는 개인의 자아정체감지 위와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나 동일한 수준의 발달과정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년, 전공, 개인이 지각한 진로결정정도에 따른 진로정체감지위 분포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성숙은 진로정체감의 성취, 유실, 유예, 혼미 지위의 순으로 낮아졌고 이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또한 세부적으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의 영역에서 지위의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정체감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의 성차를 확인한 결과 유예지위, 유실지위에서 지위의 주효과, 성별의 주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Vocational identity is one core component of identity construction in adolescenc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term of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would differentiate among students in vocational identity achievement, foreclosure, moratorium, and diffusion. Korea students while in college(N=440) participated in the study. Groups were created usi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mensions of career exploration and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as dependent variable indicated result. The average score of maturity of career attitude were indicated achievement, foreclosure, moratorium, diffusion groups in order.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of Maturity of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resul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서유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노인요양시설이 급증하였고,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도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 업무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을 뿐더러 기관마다 업무가 상이하며 구체적인 역할도 모호한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현재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관적 인식을 탐색하는데 효과적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충북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3년 이상 재직하고 있는 총 3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Q-분류판을 배열하고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상황에 따라 문제를 처리하고 보호자에게 정보전달 및 협조요청을 강조하는‘고충처리 및 가족연계 중시형’, 지역사회에 기관을 홍보하고 대상자발굴과 입소관리를 강조하는‘기관운영 및 홍보 중시형’, 평가매뉴얼에 맞춰 업무를 진행하고 행정업무를 강조하는‘평가 및 성과 중시형’,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강조하는‘사회복지 전문서비스 중시형’의 4가지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주요 역할을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밝혀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화 작업은 노인요양시설의 사회복지사들이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식유형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각각의 특성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아직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및 역할이 모호한 현장에서 중요성을 논의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the nursing home is not standardized, even though the number of nursing home and Social Workers who work there are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The roles of Social Workers vary by nursing home and main role of them is also fairly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in the nursing home' using PQMethod which is an effective methodology to recognize one's subjective perception. 30 social worker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years at the nursing home in Chung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Q-sorts arrangemen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them. It is concluded that rol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in the nursing home is categorized into 4 types : ‘adjustment of grievance and family relationship recovery focused’, ‘operation and advertising of facility focused’, ‘evaluation and achievement of facility focused’, ‘professional social work service provision focused’. Implications for how differently Social Workers in the nursing home perceive their roles are suggested. Further research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cial Worker's role at the nursing home are expect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 高麗 鐵畵靑瓷의 發生과 特徵

        서유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2007 국내석사

        RANK : 1823

        鐵畵靑瓷란 鐵畵技法으로 시문하여 만든 청자를 말한다. 고려청자에 사용된 다양한 기법 중 철화기법은 시문이 용이하고, 안료를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청자의 시문기법으로 폭넓게 사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철화기법은 해남일대에서 생산된 초기청자에 주로 사용된 기법으로, 비색청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이 떨어지는 소위 粗質靑瓷에 활용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요지 발굴 결과는 기존의 인식처럼 철화기법이 해남지역에서 만들어진 초기청자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발굴 성과들에 주목하여, 생산지와 소비지 출토품과 현전하는 편년유물들을 재검토하여 고려 철화청자의 발생시기와 특징을 연구하였다. 생산지 출토 양상에서 판단되는 철화기법의 발생 시점은 진흙가마(土築窯)에서 후햇무리굽청자완이 생산된 단계이다. 이와 비교되는 소비유적 출토품 가운데 초기 철화청자를 대표하는 완도해저 인양의 매병과 장고가 있다. 그런데 후햇무리굽 단계의 특징을 공유하는 십이동파도해저에서는 두 기종 및 철화청자가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완도해저의 철화청자는 발생시기의 생산품이라고 여겨진다. 한편 이 해저유물들을 13세기 전반에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강진 용운리 10-Ⅱ층위의 생산품 및 이와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고려 중기의 각 지역 요장과 비교하면, 바로 前 단계의 조형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십이동파도와 완도해저유물은 12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것이 타당하며, 이시기에 철화청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고 생각된다. 생산ㆍ소비유적의 상황으로 판단하면, 시작단계 철화청자의 대표적인 생산지는 해남 진산리 窯址이다. 일반기종보다는 長鼓ㆍ梅甁 등의 특수한 기종, 소형보다는 대형기종에 철화기법이 사용되었다. 문양소재는 주문양으로 牧丹唐草紋ㆍ菊唐草紋 등이, 보조문양으로 菊瓣紋ㆍ蓮瓣紋이 시문되었다. 시기적 차이는 있으나, 해남 진산리와는 다르게 강진일대 요지에서 제작된 철화청자는 楪匙ㆍ盞ㆍ蓋 등 소형기종이 중심이고, 간략한 草紋ㆍ牧丹唐草紋 등의 제재가 나타난다. 현전하는 철화청자의 대다수는 鐵畵로만 시문되었지만 他 기법과 병용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기도 하였다. 음각은 철화기법의 거친 표현에 섬세함을 보탰고, 철화는 보다 쉽게 흑백의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백화 또는 백상감기법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철화시문 위에 사용된 백화는 강조효과 및 象嵌에 상당하는 흑백의 대조효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융통성 있는 시문기법과 문양의 공유현상은 고려청자의 다양한 제작기법의 모색과 연관된다고 생각되며, 철화기법은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전반, 고려청자 제작기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던 시점에 등장하여 발전하였다. 한편, 철화청자의 문양은 시기에 따라 일정한 양식적 변화가 감지된다. 철화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종인 梅甁ㆍ長鼓ㆍ注子 등의 시기별 변화를 고려청자의 흐름과 비교하여 볼 때 철화청자는 발생에서 소멸까지 세 시기로 나뉜다. 제 1기는 12세기 후반으로 철화청자가 발생하고 발전한 시기이다. 제 2기는 13세기 전반으로 철화청자가 확산되고 지속되는 시기이다. 고려청자에 다양한 시문기법들이 활용되는 가운데 철화는 기법적인 발전이 모색되고 다양한 기종에 시문된다. 제 3기는 13세기 후반 이후로 철화청자의 쇠퇴기이다. 상감기법이 고려청자의 주류를 이루면서 철화기법이 점차 쇠퇴하였다. 고려청자 가운데서도 철화청자는 독특한 미적 세계를 구축하였다. 이것은 동시기 다른 기법의 청자와 구별될 뿐만 아니라 중국 철화청자의 양상과도 차별된다. 때문에 비색청자와 상감청자가 주도해 간 고려청자의 흐름 속에서 철화청자의 존재는 더욱 각별하다. 동시에 철화청자의 등장과 그 특징은 고려청자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Run-length distribution of multivariate control charts for covariance matrix with runs rules using finite markov chain imbedding : 유한 마코브 체인 임베딩과 런 규칙을 이용한 공분산 행렬에 대한 다변량 관리도의 런 길이 분포

        서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Hotelling (1947) 은 동시에 다양한 특성을 관찰하는 다변량 관리도를 제안하였다. Hotelling의 chi^2의 관리도는 공정에 아주 작은 변화가 생겼을 때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여러가지 보조 런의 규칙을 갖는 다변량 관리도를 제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적인 Shewhart 관리도가 갖 단점을 극복하고자 사용한 방법인 Western Electric Company (1956) 의 보조 런의 규칙을 추가하는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Fu와 Koutras (1994) 는 유한 마코브 체인 임베딩 방법을 적용하여 특정 런과 패턴의 수에 대한 정확한 확률 분포를 계산하였다. 본 논문은 유한 마코브 체인 임베딩 방법과 보조 런의 규칙을 사용하여 다변량 관리도에서 런 길이의 확률분포를 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분산 행렬에 대한 런 길이의 확률분포를 구한다. 이때 공분산행렬의 변화에 따른 상관계수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평균 런 길이는 관리도의 성능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보조 런의 규칙을 갖는 다변량 Shewhart 관리도의 확률분포는 대칭성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평균 런 길이뿐만 아니라 사분위수를 함께 나타냄으로써 관리도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다발경화증의 한약치료 현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서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Multiple sclerosis(MS) is a chronic immune-mediated inflammatory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gradually increasing. The etiology of MS remains unknown, but it is assumed to be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autoimmune regulation. Although immunomodulatory agents are representative treatments,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on whether they have a clin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many MS patients resort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In this sense,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evidence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MS and aim to provide the research strategy in the future. Method Scoping review is an emerging methodology for knowledge synthesis adopting the Arksey and O’Malley framework.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has been studied about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MS?”. Searches of articles published until 2019 in six databases(Pubmed, Embase, Cochran, Koreamed, NDSL, OASIS) were conducted in March 2020. Data from the included studies were charted and descriptively analysed in relation to the study’s research questions. Results From the 1445 articles, 14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Single and serial case reports dominated at 42.86%, and 57.14%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China. There were a total of 20 prescriptions used in intervention studies and observational studies, and 95 herbs were used. Herbal medicin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linical symptoms of MS and reduced the recurrence frequency. The main presumed cause of MS is oxidative stress, enhancing inflammation and in consequence causing death of the neurons. In this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herbal medicine can be used to improve the symptoms of MS and reduce the recurrence frequency by regulating immune fun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MS patient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evidence.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can help to plan the treatment and research of MS in the future studie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정도부사 인식 연구

        서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Korean degree adverbs between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hapter 1 identifies the purpose of the study, classifies the study on degree adverbs into five categories: contrastive study, corpus analysis, error analysis, textbook analysis, and survey, and embodies the subject and method of study. Through a recognition survey, this study analyzes the cognitive judgments of learners when using the degree adverbs and help Korean learners communicate fluently and accurately by using the degree adverbs correctly. Chapter 2 defined definition and function of degree adverbs, as well as the lis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degree adverbs in prior research. Although the degree adverbs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rior research, they can be organized into adverbs that function as designating degrees,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the modificand. Chapter 3 selected subjects which show well the characteristics of degree adverb. In addition, the degree adverbs were reclassified to make it easy to figure out of the grade size and the rank relationship between grades of the degree adverb. Recognition is the making of individual judgments based on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reasoning, imagination, conceptualization, and experience. Therefore,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degree adverbs, we have to express them in objective figures to construct survey questions. In Chapter 4, a survey was conducted for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recognition of ‘너무’, ‘참’, ‘더 욱’. Chinese Korean learners’ recognized the grade size of ‘너무’ as smaller than that of Korean, while the grade size of ‘참’ and ‘더욱’ were recognized as larger than that of Korea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참’ and ‘더욱’, both adverbs were highly preferr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which found the possibility of a connection between preference and the grade size of degree adverbs. Therefore a few things should be noted to prevent Chinese Korean learners from having a wrong recognition. First, an accurate description and various aspects of utilization should be present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grade size of degree adverbs. In addition, they should use the sentences frequently which have degree adverbs,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degree adverbs when presenting degree adverbs in translation.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subjects was selected by analyzing the prior study of degree adverbs, and that degree adverbs was reclassified by the new standards, also that the survey is for defining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recognition of the degree adverbs. 본 연구는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한국어 정도부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정도부사에 관한 연구를 대조 연구, 말뭉치 분석, 오류 분석, 교재 분석, 설문 조사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연구 대상과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본고는 인식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정도부사를 사용할 때 내리는 인지적 판단을 분석해 보고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정도부사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정도부사의 정의와 기능, 그리고 선행 연구의 정도부사의 목록과 분류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의 목적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정도부사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인 정도성을 가지고 피수식어의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 표지의 기능을 하는 부사로 정리할 수 있다. 3장은 정도부사의 특질을 잘 드러내는 것을 위주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또한 정도부사의 등급의 크기와 등급 간 서열 관계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정도부사를 재분류하여 도식화하였다. 인식이란 지각, 추리, 이성, 상상력, 개념화 및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역적 추론을 근거로 개인의 판단을 내리는 것이다. 따라서 정도부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이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설문 조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도부사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두 집단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정도부사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인식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으며 중국인 학습자가 잘못된 인식을 갖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정도부사의 등급 크기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확한 설명과 다양한 활용 양상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정도부사를 사용한 문장을 충분히 노출해야 하고 정도부사를 대역어로 제시할 경우 정도부사 간 의미 차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도부사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여 정도부사를 재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도부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