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 후 발기부전의 치료로 타다라필 5mg 매일 투여에 관한 연구 : 서영은

        서영은 동아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 후 발기부전의 치료로 타다라필 5mg 매일 투여에 관한 연구 The Efficacy and Safety of Tadalafil 5mg Once Daily in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After Robot- 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 1 Year Follow-up 의 학 과 서 영 은 지도교수 성 경 탁 목적 :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 후 발생한 발기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 타다라필 5mg 매일 투여의 안전성과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동아대학교병원에서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을 받은 92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상기 환자들은 IIEF-5 (the abridged five-item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questionnaire) 설문검사를 바탕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지는 술전, 술후 6개월, 술후 1년에 3번에 걸쳐 시행되었다. 92명의 환자중 타다라필을 복용한 타다나필 군이 47명, 타다나필을 복용하지 않은 비타다라필군이 45명이었다. 각각의 군을 또 신경 보존 술식에 따라 양측 신경보존 술식 군과 일측 신경보존 술식 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술후 6개월 째 IIEF-5 총점은 타다라필군이 10.0 ± 3.4, 비타다라필군이 7.0 ± 4.0 이었다. 술후 1년째 IIEF-5 총점은 비타다라필 군에 비해 타다라필 군에서 확연히 높았다. (7.7 ± 4.8 vs 13.2 ± 5.6) (p<.0001) IIEF-5 설문지의 모든 5개 영역에 있어서 타다라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관찰된 데에 반해, 넌타다라필 군에서는 술 후 1년째에 5개의 영역 중 어떤 영역에서도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보고된 부작용에는 안면홍조(8.5%, 4명), 두통(4.3%, 2명), 그리고 어지럼증 (2.1%, 1명) 등이 있었다. 결론 : 신경보존 술식으로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을 받은 후 발생한 발기장애 환자가 타다라필 5mg를 매일 복용한 경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타다나필을 복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주목할 만한 발기능 회복을 보였다. 주요어 : 타다라필, 로봇 전립선 적출술, 발기능

      • Topomer search and 3D-QSAR studies of UCH-L1 inhibitors

        서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L1(UCH-L1)은 ubiquitin C-terminal의 에스테르와 아마이드의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deubiquitinating 효소 중 하나이다. 뇌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약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뉴런과 정소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원발성 폐암에서는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UCH-L1의 새로운 저해제 개발을 위해 Topomer search 기술을 사용하여 25000개의 화합물 라이브러리에서 가상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Topomer search 기술은 topomer field와 pharmocophoric property를 이용하여 분자 구조를 비교하는 기술로서 현재 UCH-L1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isatin 유도체와 3-amino-2-keto-7H-thieno[2,3-b]pyridin-6-one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높은 활성값을 갖는 두 개의 query를 사용한 결과 총 877개(각각 749개와 128개)의 hit을 얻을 수 있었다. Topomer search를 사용한 가상 스크리닝과 함께 UCH-L1 저해제로 알려진 isatin 유도체 시리즈를 이용하여 UCH-L1 저해효과에 중요한 구조를 알아보고 구조와 저해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3D-QSAR)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CoMFA)와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CoMSI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좋은 3D-QSAR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분자구조간의 공통구조에 따라 화합물을 분류하는 hierarchical clustering tool인 Distill을 사용하여 분자구조를 적절하게 align하였다. 그 결과 CoMFA(q² = 0.564 와 r² = q²와 CoMSIA(q² = 0.523 와 r² = 0.942) 연구에서 적절한 cross-validation correlation 값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test set의 활성 값과 contour map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모델이 수립되었으며, isatin 유도체의 UCH-L1의 저해효과와 그 구조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L1 (UCH-L1) is one of the deubiquitinating enzymes (DUBs) and it catalyzes the hydrolysis of C-terminal esters and amides of ubiquitin. UCH-L1 constitutes 1-2% brain proteins and is normally expressed in neurons and testis, however, it is overexpressed in many primary lung tumors and appears to be related to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Parkinson's disease. In order to find new inhibitors of UCH-L1, virtual screening was performed in our in-house chemical library of 25,000 compounds using a novel Topomer search technology which compares molecules using topomer fields and pharmocophoric properties. Two series of UCH-L1 inhibitors, the isatin derivatives and the 3-amino-2-keto-7H-thieno[2,3-b]pyridin-6-one derivatives were currently reported. From each series, one of the representative and active compound was selected as query for Topomer search. The 877 compounds of Topomer search hits from queries 1 and 2 were obtained (749 hits from query 1 and 128 hits from query 2).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3D-QSAR) studies were performed with the isatin series of the UCH-L1 inhibitors.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and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 (CoMSIA) were studied to uncover correlations between the structure and inhibitory activity. To align the molecules, the hierarchical clustering tool Distill, which classifies compounds according to their common structures, was used. The cross-validated correlations were obtained with CoMFA and CoMSIA, resulting in q² of 0.564 and 0.523, and r² of 0.884 and 0.942. Also, a reliable prediction of test set activities and optimal contour map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reliable models were generated and it might confirm the correlations between UCH-L1 inhibitory activity of isatin derivatives and its structure.

      • 항균물질 첨가시기를 달리한 저식염 고추장의 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서영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 kochujang in which parts of salt were replaced for alcohol or mustards, or solely replaced for chitosan,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 of low salt kochujang to which anti-microbial substance was added before ripening during aging.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 of the low salt kochujang to which anti-microbial substance was added before ripening during storage were as follows: The α-amylase, ß-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were low in kochujang to which alcohol was added and mixed. The number of yeasts in late period of kochujang ripening decreased remarkably with addition and mixing of mustards, chitosan additions were high except for control group. The group with the lowest kochujang ORP was alcohol-mustard added group. As for kochujang color, L-, a- and b- values all decreased as ripening progressed due to addition and mixing of alcohol-mustard-chitosan. Alcohol added kochujang showed small decrease of water activity degree during ripening, and as pH decrease was not significance, titratable acidity change was not that large. Reducing sugar of kochujang was increased at first, and throughout the 15 weeks, it tended to decrease. Alcohol generation was prohibited the most with ethanol addition. The amino nitrogen of kochujang increased with the addition and mixing of alcohol-mustard-chitosan, however formation of ammonia was the lowest at alcohol-mustard-chitosan addition group. The taste and flavor of kochujang were best with alcohol added kochujang, and production of low salt kochujang was most efficient when some of the salts were added by mixing with alcohol and mustard. 고추장은 간장, 된장과 더불어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조미식품으로 찹쌀 등 전분질과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고 koji와 소금 등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독특한 맛과 기호성을 가진다. 고추장에 대한 연구는 숙성중의 품질변화 요인에 대한 원인규명과 저장·유통과정에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또한 식염의 과잉섭취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고추장도 세계적인 조미식품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저식염화가 바람직하나, 식염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숙성·저장 과정에서 이상발효에 의한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 제조 시 식염의 일부를 알콜 또는 겨자나 키토산의 단독 첨가로 대체한 저식염 고추장의 발효특성에 이어 이들 항균물질을 숙성전에 첨가한 저식염 고추장의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균물질을 숙성전에 첨가한 저식염 고추장의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고추장의 ß-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알콜첨가 혼합첨가 고추장에서 낮았으며, α-amylase도 마찬가지였다. 고추장의 숙성 후기의 효모수는 겨자의 혼합 첨가로 현저히 감소하였고 키토산의 첨가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높았다. 고추장의 ORP는 알콜-겨자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알콜-겨자-키토산 혼합 첨가로 숙성이 진행되면서 L, a, b 값 모두 저하되었다. 알콜 첨가 고추장은 숙성중에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적었으며, pH의 저하는 급격하지 않아 적정산도 변화가 그리 크지 않았다. 고추장의 환원당은 처음에 증가하다 15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콜 생성은 에탄올 첨가로 가장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고추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알콜-겨자-키토산 혼합 첨가로 증가되었으나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콜-겨자-키토산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고추장의 맛과 향은 알콜 첨가한 고추장에서 양호하여 저식염 고추장의 제조는 소금의 일부를 알콜과 겨자를 혼용하여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딥러닝에 기반한 프로세서 분기예측

        서영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CPU의 높은 연산 성능이 요구된다. 분기예측은 CPU에서 분기예측을 통해 연산 속도를 높이는 중요 요소이다. 이 기술은 해당 분기문에서 분기가 이루어질 지(Taken), 아닐 지(Not taken) 예측하는 것으로 다음 실행 명령어는 이 예측 결과 기반으로 정해진다. 전통적인 분기예측은 분기 최근 결과 데이터를 통해 규칙기반으로 구현되어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분기예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예측기의 구조는 점점 복잡화되고 있다. 최근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가 널리 소개되고 있고 GPU 성능 또한 개선되었다. 분기예측 방법론 또한 딥러닝 기술과 접목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데이터로 학습된 신경망 모델로 분기예측을 할 때 학습된 어플리케이션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일반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항공사 직원이 지각한 ESG 경영이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 ESG 수용태도 및 적합도의 조절효과 - ESG management perceived by airline employee influencing growth potential of company - Acceptance attitude and fitness of ESG management as moderating variables -

        서영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ESG 경영이라는 개념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생소한 단어로 여겨졌으나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거론되며 급변하는 기업경영 패러다임의 주축이 되고 있다. 이미 잘 알려진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시작된 ESG 경영은 많은 기업에서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ESG 경영을 실행하지 않는 기업이 오히려 퇴행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항공사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산업 분야로, 유례없는 팬데믹으로 항공산업은 현재 경영방식에 대한 점검을 통해 선제적 방어 경영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절실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ESG 경영에 관한 연구는 기업의 관련 활동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살피는 마케팅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기업 경영의 주체이자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인적관리 전략으로서의 ESG 경영은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경쟁우위가 되었으며,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잠재적인 고용주를 평가할 때 직원들은 기업이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하는 방식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tephen Shergold, 2022). ESG 활동을 하는 주체는 결국 직원이다. 인재들을 통해 기업의 목표를 올바르게 수립하고, 업무수행을 실현해야만 ESG 경영이 지속 가능하다(유규창, 2021).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 직원이 지각한 ESG 경영(환경 요인, 사회 요인, 지배구조 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인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ESG 수용태도와 적합도의 차이를 통해 조절 효과로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ESG 수용태도와 적합도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여 국내 항공사 직원이 지각하는 ESG 경영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ESG 경영을 실현해나가는 주체로서 조직구성원을 살펴보고 영향력이 있는 각 변수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실제 항공사 ESG 경영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설문은 2023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국내 항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을 수집하였다. 설문은 총 460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답변과 회수하지 못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56부를 통계자료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5 통계 패키지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Chow-test를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직원이 지각한 ESG 경영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ESG 경영의 하위요인 세 가지 요인(환경 요인, 사회 요인, 지배구조 요인) 모두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사 직원이 ESG 경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업의 미래성장성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수 있다. 둘째, 항공사 직원이 지각한 ESG 경영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ESG 수용태도는 조절변수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 결과, ESG 수용태도가 독립변수인 ESG 경영 하위요인 중 환경 요인과 사회 요인과 미래성장성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지배구조 요인과 미래성장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이 ESG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ESG 경영 중 환경 요인, 사회 요인과 관련된 활동들이 기업이 미래성장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항공사 직원이 지각한 ESG 경영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적합도는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 결과 적합도가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ESG 경영 하위요인 중 환경 요인과 사회 요인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배구조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기업이 실행하는 ESG 경영이 기업의 이미지와 적합하고 업종특성과 일치하며 ESG 경영 시기가 적합하다고 지각하는 직원들은 ESG 경영이 기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강건성 검증을 위하여 Chow-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검정을 위해 조절효과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ESG 경영 중 지배구조 요인, 환경 요인, 사회 요인이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ESG 수용태도가 높은 집단이 수용태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환경 요인(t=1.986), 사회 요인(t=2.347)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ESG 경영 중 지배구조 요인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ESG 수용태도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추가적으로 실시한 Chow-test에서 적합도가 높은 집단이 지배구조 요인, 환경 요인, 사회 요인이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ESG 적합도 낮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 요인(t=2.086), 사회 요인(t=2.273)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배구조요인이 미래성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ESG 적합도 유무 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는 기업이나 소비자의 관점에서 기업 ESG 경영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직원을 대상으로 한 ESG 경영과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ESG 경영과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내적 동기의 보상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ESG 수용태도와 적합도가 높은 직원들은 기업의 미래성장성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예상한다. 직원들의 수용태도와 적합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에 따라 ESG 수용태도와 적합도가 높은 직원들에게 ESG 경영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고, 상대적으로 낮은 직원들의 참여 유도를 통해 ESG 경영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업의 ESG 경영은 인적역량을 향상시키면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셋째, ESG 경영 하위요인 중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던 지배구조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균형 있는 ESG 경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지배구조 요인과 관련된 경영활동에 대한 직원들의 지각 정도를 높이고 관심을 이끌어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어 : ESG 경영, 미래성장성, ESG 수용태도, 적합도

      • 국내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몰입의 매개효과

        서영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의 시류에 맞춰 서비스산업에도 자동화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 지고 편리함과 기민함, 그리고 언택\트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인적서비스 범주 밖의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원가 절감 및 부가서비스 이윤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객실승무원과 직무만족,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에서 알수 있듯이 객실승무원의 안전 업무를 포함한 인적서비스는 항공서비스의 근간이며 대체될수가 없다. 그러므로 객실승무원에 대한 인적자원관리는 항공사의 꾸준한 투자와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특히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은 직무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와 스케줄유연성의 관리를 통해 여가활동몰입의 증가 또한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이 있을 것을 전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저비용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여가활동몰입을 매개효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국내 저비용항공사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직 종사자이며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설문지 300부를 조사 실시하여 유효하게 나온 총 300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이 여가활동몰입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케줄유연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케줄유연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여가활동몰입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케줄이 유연하면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케줄의 유연함에 따라 여가활동몰입이 증가하게 되고, 동시에 직무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므로, 객실승무원이 스케줄 유연성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스케줄 관리체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인지해야 한다. 기내에서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객실승무원이 곧 기내 안전을 포함한 항공 서비스를 대표하는 주요 요인이며,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다. 항공사의 꽃이라 불리는 객실승무원의 스케줄유연성을 높임으로서 여가활동몰입의 증가는 객실승무원 개인의 삶과 일의 균형을 맞추고, 더불어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서비스 품질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What is essential to air transport operators in the service industry is the need for the continued concern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willingness to improve.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roduction of automated systems has become more active in the service industry, and various changes are taking place that incorporate convenience, agility, and "untact(non-contact)" technology. These changes are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companies maximizing cost savings and profit of ancillary services through automated processes outside the human service category. However, as studies on flight attendants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show human services, including the safety work of flight attendants, are the basis of airline services and cannot be replaced. Therefore,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flight attendants must be backed by airlines with constant investment and effort. In particula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 increase in leisure activity immersion through the management of schedule flexibility and the expectation that the flight attendant's schedule flexibi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ight attendant's stress at work.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chedule flexibility of Korean low-cost carrier flight attendants on job stress by injecting leisure activity immersion as a mediating effect. Subject to the research are those who work for low-cost airlines in Korea, and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rveyed by the self-administered method and a total of 300 copies were utilized as the final effective samples. Data processing has been verifi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ie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edule flexibility of flight attendants in Korean low-cost airline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mersion in leisure activities. Second, schedule flexibil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schedule flexibility on job stress act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y the immersion in leisure activities. The flexibility of the schedule not only directly affect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job stress, but also increases the immersion in leisure activities as the schedule is manageable, and at the same time, the job stress is seen to have an indirect effect of decreasing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edule flexibility of flight attendants in Korean low-cost airlines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 stress, 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schedule management system so that flight attendant can manage schedule flexibility well. The flight attendant, who directly serves customers on board, is a crucial factor representing airline services, including maintaining in-flight safety and is a fundamental basis for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schedule flexibility of flight attendants who are called the flower of the airline, the increase in the immersion in leisure activities can be expected to balance the lives and work of them, as well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by reducing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