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等學校 國際政治 敎育의 實態와 問題 : 脫冷戰 國際政治 理論을 中心으로

        서경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교과서의 변화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초창기 사회과 교육은 미국의 사회과 교육을 그대로 도입하여 실시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사회과 교육의 개념 정의 및 발달사와 비슷하게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변화를 겪은 사회과 교육은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의 자질을 길러주기 위해 문화유산과 사회과학을 비롯한 인문 및 자연분야로부터의 선정한 지식, 기능, 가치, 태도 등의 내용을 학생들의 사회 문화적 경험을 통합하여 학습하게 하는 교과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런 사회과 개념교육의 변화 내용을 보면 20세기 중반에는 사회의 개혁운동과 신사회과 운동에서 사회문제의 심화와 세계화와 정보화에 대한 사회적 상황에 맞는 교육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볼 때 교과서의 변화 중 가장 빠르고 가장 꾸준하게 변화해온 교과서는 단연 사회교과서이다. 그러나 최근 1990년대 이후부터 변화되어온 국제 정세에 따른 국제 정치 분야의 변화에 폭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고1사회, 정치, 경제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서 국제 정치 내용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수정 보완 되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분야의 국제정치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앞으로의 국제 정치 분야의 교육과정의 부분에서 고려하여할 사항을 정리해보고 또한 국제 정치 분야에서 제시하는 내용에서 꼭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에서 필요한 사항과 미래의 국제 정치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즉 먼저 냉전시대의 국제정치 교육의 내용과 탈냉전 시대의 국제 정치 교육의 내용을 사회교과서를 중심으로 자료 검색을 통해 변화 과정을 알아본 다음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국제정치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국제 정치에 관한 이해의 폭이 어느 정도인지 설문조사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교육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현재 고등학교 국제정치 교육내용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과목이 시간이 지날수록 제대로 된 역사의 고찰연구를 접한 반면 국제 정치 교육은 교과서가 나온 뒤 불과 얼마 되지 않아 검증되지 못한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국제정치교육으로서의 성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정치적인 주체로서의 국민들이 국제화 시대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의식과 태도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국제정치교육의 비중을 높이되 특히 한국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고등학생들에 대한 국제정치교육은 그 방향이나 내용면에서 더욱 더 치밀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그 동안의 국제 정치교육은 개인 보다는 정권 및 체제 중심적이며, 국제 사회의 변화 지향적이기 보다는 체제의 수호와 안정의 확보에 치중해왔음을 수정하여 다. 형식화·도식화되고 보수화되었던 과거 국제정치 교육을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의 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이런 국제정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협한 국제정치의 사고를 버리고 미래지향적인 합리적 사고의 국제적 시각을 제시하여야 한다. 국제 이해 교육과 국제 정치 교육은 핵문제를 보는 관점과 실업문제, 미국과의 FTA, 외국인 근로자 문제, 제3세계를 보는 눈 등에 대해 국민들이 일부의 언론에 휩쓸리는 것도 국제정치의 협소한 시각이 가져다주는 결론이기도 하다. 또한 국제정치 교육도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교육이어야 하며 적어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필수 영역으로 교육되어지기를 바래본다.

      • 재소자의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방법의 적용

        서경숙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소자들이 영원한 아이 시치료에 참여하면서 겪는 주관적인 시치료 경험의 현상과 치료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실시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 1회 3시간씩 12회기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하기 위하여 코라지(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영원한 아이 시치료 프로그램은 OO교도소에서 2009년 5월 10일부터 2010년 4월 18일까지 12회기 프로그램이 총 2번, 매 회기 3시간씩 실행되었다. 각 회기별로 10명씩, 20명의 참여자 중 연구에 동의한 12명의 참여자로부터 관찰법과 현장 기록, 프로그램 시행 후 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원한 아이 시치료 프로그램 개발은 독서 치료 전공 상담학 교수 1인, 분석 심리학자 교수 1인, 시인이면서 상담학 교수 1인에게 심리학 전반과 시치료에 대하여 검증을 거쳤고, 시 자료에 대한 것은 시인이자 국문학 교수 1인에게 검증을 받았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 과정에서 권력적 해석의 오류를 최 소화하기 위하여 의미 요인 추출 과정에서 상담학 박사 3인의 검증을 거쳤으며, 치료 요인의 분석 과정은 상담학 박사이면서 독서치료 전공교수 1인, 분석심리학자 교수 1인의 검증을 거쳤다. 분석 과정에서 추출된 의미 요인은 모두 180개이며, 의미 통합 과정을 거쳐서 13개의 하위 주제와 75개의 의미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의 현상으로 13개의 주제군과 시치료 경험을 통해 발견된 11가지 치료 요인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의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에서 도출된 13개의 주제군은 다음과 같다. 1) 내가 어떤 사람인가 생각하게 되고 나를 정리한다. 2) 내면의 모르는 것을 알게 되고 문제의 원인을 찾아낸다. 3) 두려움에 빠지면서 고통스러운 순간이 다시 찾아오는 것을 경험한다. 4) 영원한 아이를 발견하고 치유한다. 5) 모성 콤플렉스를 분화한다. 6) 부성 콤플렉스를 분화한다. 7) 여성과 사랑에 대하여 다시 생각한다. 8) 자신의 욕구를 찾고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9) 감정의 신체화 증상, 우울, 탈모, 불안, 불면, 자살 충동 등이 좋아진다. 10) 시를 쓰면서 생각이 구체화 되고 현실화되며, 마음이 정리되고 응어리가 풀리면서, 긍정적 사고로 전환한다. 11) 어떠한 일이라도 하며 살아갈 자신감이 생기고 행복함을 경 험한다. 12) 새로운 나로 변화한다. 13) 신앙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고 봉사하는 삶을 계획한다. 연구 결과 속에서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의 치료 요인 11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영원한 아이 시치료 프로그램 매 회기 시를 읽거나 쓰면서 상 징을 체험하였다. 2) 시를 읽고 쓰면서 자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다. 3) 시를 읽고 쓰면서 무의식의 의식화를 경험하였다. 4)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고 분화하였다. 5) 자신의 내면에 있는 영원한 아이를 발견하고 치유하였다. 6) 모성/부성 콤플렉스를 분화하였다. 7) 아니마를 분화 시키고 발달시켰다. 8) 욕구를 인식하고 분노를 조절하였다. 9) 감정과 신체가 치유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10) 부정적 사고에서 긍정적 사고로 전환하며, 행복을 찾고, 새로운 나로 변화하면서 개성화로 출발하였다. 11) 종교성을 회복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코라지(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서 재소자의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을 13개의 주제군과 75개의 의미요인과 47편의 시와 1편의 편지를 요목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시치료 경험의 현상을 명료하게 살필 수 있게 하였다. 2)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이 갖는 치료 요인을 11가지로 해석하고 표로 제시함으로써, 시치료 경험이 갖는 치료 요인과 과정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3) 본 연구는 재소자들이 시를 쓰고 진술한 내용 등에서 자신의 삶에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는 영원한 아이를 발견하고 그 근본 원인이 되는 콤플렉스를 분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4) 재소자의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영원한 아이 시치료 프로그램’은 재소자들에게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5) 상담이 마음이나 행동만을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치유도 일으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6) 시치료 집단 상담에서 어떠한 종교적인 자료와 종교적인 행위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가장 근원적 생명력인 종교성을 회복하였다. 7) 영원한 아이 시치료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시와 자료들은 재소자들이 자신도 잘 모르는 무의식에 접근 하여서 의식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재소자들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에 접근하여서 치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재소자들을 위한 시치 료 연구와 시치료 적용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을 기대하며 시치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영국 홍차문화 확산과정 연구

        서경숙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족이나 국가의 고유문화는 생성, 발달 그리고 정착의 단계를 거치며 발전한다. 그 과정에서 외래문화의 유입은 고유문화와의 융합과정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내고 다시 발달과 정착의 과정으로 편입된다. 오늘날 우리의 차문화도 고유의 전통 차문화에 영국식 홍차 문화가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간에 음으로 양으로 영향을 미쳐 하나의 다도로 형성 발전되어 왔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우리의 차문화를 연구하기에 앞서 영국 홍차 문화의 확산과정을 살펴보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보고 여기에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영국 홍차 문화를 개관하고 그 전개 과정과 특징을 살펴 본 다음 영국 홍차 문화의 형성과정과 확산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다른 차문화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아울러 우리와 일본의 독특한 녹차문화와의 상관관계도 고찰해 보았다. 홍차 문화의 유입은 피상적으로 홍차의 소비와 서구 문화의 유입이라는데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차를 마시는 문화가 의식 및 수양적인 측면에서 일반 대중에게 친숙한 음료 문화로 전환되었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국 홍차 문화라는 매개체가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차 문화를 상류층 중심의 문화에서 대중적인 문화로 계승 발전되는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보겠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때 차는 처음 동양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어 유럽식 차문화를 형성 발전 시켰고, 다시 동양으로 유입되어 대중적인 차문화로 발전 되었다. 동양의 전통 문화가 서양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의 차문화는 다시 서양과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더욱 발전 계승 될 것이다. 앞으로 한국 차문화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요구되는 소이(所以)가 여기에 있다. Nation's traditional culture advances with routine processing of the creation, development, and settlement. In the processing, foreign culture is occasionally imported and fused with tradition, and the created fusion culture is entered to the routine processing. It is presumable that the indigenous tea culture of Korea has become a kind of tea cult, influenced by the British black tea culture in both abstract and corporeal ways.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British black tea culture prior to examining the Korean traditional tea cult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ritish tea culture and others are to be examined closely by researching the history, the characteristic, and the spread of the British black tea cultur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 culture of Korea and that of Japan is to be examined in this paper. Korean tea culture after Korea dynasty was developed by aristocratic (yangban) class and buddhist monk as a ceremony and a mind-cultivation method, and Japanese tea culture was also developed by 'Samurai' as a similar purpose to Korea. Therefore, traditional tea cultures in both nations were not for the mass of people, but for the restricted people. British black tea culture was flown by Japanese opening in 1856, and this was fevered by Japanese high class and expanded to the mass of people. This trend was naturally imported to Korea without any questions, because that time of Korea was a Japanese most colony. The significance fact of the influx of British black tea culture is not only the import of one of the western culture to Asian country, but also the change of tea culture in both nations. After British black tea culture influx, the ceremonial 'tea culture' by high class was changed and turned to 'drinking culture' for the mass of people. In conclusion, British black tea culture was an important mediator for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tea culture in 20th century. In the aspect of civilization, tea was developed by transmission from the East to Europe and it was developed into the general public culture in Eastern again as it was incoming from Europe. The value of the culture of Asia has been re-evaluated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the tea culture of Korea will flourish, influencing each other with the western culture. This is the reason that we need to cherish and study the Korean tea culture more.

      • 유기용매 및 식용색소를 이용한 cyanoacrylate 훈증 현출 지문의 개선

        서경숙 忠南大學校 平和安保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yanoacrylate (CA) fuming is one of best method to develop latent fingerprints left on the non-porous surface. However, CA fuming method is influenced by man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fuming time etc. In many case, therefore, overdevelopment or low development of the fingerprints under the not suitable conditions are common that minimize the contrast of the fingerprint ridge and valleys. But a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by re-processing the overdeveloped fingerprints with organic solvents. In this study, to identify additional minutiae from the overdevelopment part of fingerprints with CA method, the re-process procedures were applied to dissolve selectively the overdeveloped CA with the mixtures of three organic solvents (acetone, methyl alcohol, tetrahydrofuran (THF)). To evaluate the re-process effects of solvents quantitatively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was applied over the treated areas of the fingerprints. Also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food colorant which is less harmful as visualizing agents for CA method was tested. The re-processing of the overdeveloped fingerprints on the surface of slide glass with THF (100%) provided best results tha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reas of the peaks of the ridges which demonstrated best contrast between the ridges and valleys of the treated fingerprints. And an acceptable improvement was obtained with methyl alcohol (90%) and acetone (60%). Since the number of samples was small, an additional study with larger number of samples is required to verify current finding in the future study. The visualization of CA developed fingerprints with the powder of food colorant was similar to that of s-powder. Improved identification of fingerprints on the clear plastic bag was shown with Blue No. 1 but not with Blue No. 1 Aluminum lake. The re-processing of the CA overdeveloped fingerprints with organic solvents to improve the contrast between the ridges and valleys can be proved to be an effective the contrast between the ridges and valleys can be prove to be an effective method with additional study. And the visualization of CA developed fingerprints with less toxic food colorant provided additional saf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latent fingerprints.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경숙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on the operation ability of measurement areas of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1) whether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length oper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and (2) whether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time oper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sixth-grade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This study employed an AB design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operation ability.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received a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implemented in 14 period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was an effective program to fostering the length and time oper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low achievement. 수학학습부진아들은 측정영역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의 시간과 길이의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수학학습부진아 3명이었고,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의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교시훈련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 길이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교시훈련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 시간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성취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3명의 수학학습부진아 모두 길이와 시간의 문제해결에 성취도가 향상 되었다. 그러므로 자기교시훈련은 수학학습부진아의 길이 연산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시간의 연산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자기교시훈련은 측정영역의 연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초·중등 인공지능 교재의 키워드 분석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서경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정부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인공지능교육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소프트웨어교육과 인공지능교육은 서로 다른 형태의 교육이 아니라 정보교육이라는 틀에서 편성이 되어야 하며 프로그래밍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 초·중등 학교급에 맞는 인공지능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2021년 2월에 지원한 인공지능교육 보조교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목적을 갖고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인공지능교육 보조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의 관심 질문으로, 어떤 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지고 있는지, 학교급의 내용 체계는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향후 인공지능교육 교재 개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교육 교재 선정이 본 연구에서는 중요하였다. 분석 대상으로서, 국가 기관의 주도로 온라인상에 보급된 다섯 권의 인공지능교육 교재의 본문 전체를 활용하였다. 주제어 빈도분석, 동시 출현 빈도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넷마이너(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네트워크의 기본정보,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향후 인공지능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전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는 주제어 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제어 가운데에서도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주제어가 존재한다. 핵심 주제어들을 중심으로 지식 내용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는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지수가 모두 높다. 이는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는 주제어가 많고, 주제어끼리 잘 연결되어 있으며, 영향력을 가지는 주제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중학교는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와 근접 중심성 지수는 가장 낮다. 이는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는 주제어가 적고 영향력을 가지는 주제어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등학교는 전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과 비슷한 지표를 보인다. 셋째, ‘인공지능의 이해’ 영역과 ‘인공지능의 원리와 활용’ 영역의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는 주제어만으로 학습 목표를 모두 의미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영역의 목표에 해당하는 주제어가 비슷하게 추출된 것으로 보아 영역의 목표에 맞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영역은 주제어만으로는 학습 목표에 가깝게 제시되었는지 알 수 없다. 넷째, 교재의 내용의 주제어의 수직적 연계성을 학교급별로 영역의 내용을 분석 결과 ‘인공지능의 이해’ 영역에 초·중·고에는 ‘인공지능’, ‘인간’, ‘판단’, ‘컴퓨터’, ‘생각’, ‘학습’, ‘생활’, ‘수행’, ‘기술’, ‘능력’, ‘구현'이 공통으로 나타나며, 중·고에는 ‘알파고’, ‘발전’, ‘딥러닝’, ‘전문가 시스템’, ‘기계’, ‘데이터’, ‘기계학습’, ‘지능'이 추가로 나타난다. 그리고 ‘에이전트’, ‘퍼셉트론’, ‘정의’, ‘정보’, ‘환경'은 고등학교에서만 나타나 양적 확대의 계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원리와 활용’ 영역에 초·중·고에는 ‘데이터’, ‘학습’, ‘분류’, ‘그래프’, ‘예측’, ‘패턴’, ‘의사결정’, ‘컴퓨터’, ‘입력’, ‘기술’, ‘인간'이 공통으로 나타나며, 중·고에는 데이터, 학습, 탐색과 관련된 주제어들이 있다. 인식과 탐색 및 추론, 학습과 관련한 주제어는 고등학교에서만 나타난다. 이 주제어는 계열성의 양적 확대와 탐색의 질적 심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영역에 초·중·고에는 ‘데이터’, ‘서비스’, ‘상황’, ‘학습’, ‘인간’, ‘시스템’, ‘제품’, ‘개발’, ‘활용’, ‘기술’, ‘제공’, ‘관리’, ‘인공지능’, ‘발생’, ‘수집’, ‘문제’, ‘필요’, ‘사회’, ‘사용자’, ‘로봇’이 공통으로 나타나며, 중·고에는 ‘윤리’, ‘변화’, ‘의사결정’, ‘목적’, ‘기계’가 추가로 나타난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만 나타나는 주제어는 ‘데이터 편향성’, ‘원칙’, ‘구글’, ‘공동체’, ‘공정’, ‘특성’, ‘역량’, ‘설계’로 양적으로 확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둔 시점에 앞으로 인공지능교육 교재 분석, 교재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기존에 초중고 내용 체계를 갖춘 인공지능교육 교재가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성 분석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주제어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교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연계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구현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government announced guidelines for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hea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softwar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in the framework of information education rather than different forms of educ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rough programming. Second in order to raise the necessary skills for students to live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pplementary materials supported in February 2021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Science and Creativity Foundation to effectively provid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itable for secondary school level was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using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al aid as a research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xtbooks by considering what kind of content is being taught and how the school-level content system is connected as a question of interest in the study. Sel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materials was important in this study. As the analysis target, the entire body of the fiv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xtbooks distributed online led by national institutions was used. The main word frequency analysis,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NetMiner program, and basic information and centrality analysis of the network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xtbooks. First, the overall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 is organically connected between the keywords, and among the keywords, there is a keyword that plays a key role. The content of knowledge is intensively explained with a focus on key themes. Second, elementary schools have high indices of degree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This means that there are many keywords that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etwork, that the keywords are well connected, and that there are many keywords that have influence.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has the lowest degree of connection centrality index and proximity centrality index. This means that there are few keyword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and relatively few keywords with influence. High school shows similar indicators to the whole subject word network analysis. Third, the result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dom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and application' domain cannot be said to mean all the learning goals with only the keyword, but the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domain's goals are similarly extracted. It can be seen that it appeared according to the goal of the boa area.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soci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domain is presented close to the learning goal only by the keywor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omain by school level for the vertical connection of the subject word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judgment', ‘computer',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judgment', ‘computer', ‘Thinking', ‘Learning', ‘Life', ‘Performance', ‘Skill', ‘Ability', and ‘Implementation' appear in common. ‘Expert Systems', ‘Machine', ‘Data', ‘Machine Learning', and ‘Intelligence' appear additionally. and ‘agent’, ‘perceptron’, ‘justic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only appear in high school, confirming the sequence of quantitative expansion. ‘Data', ‘learning', ‘classification', ‘graph', ‘prediction', ‘pattern', ‘decision making', ‘computer', ‘Input', ‘technology', and ‘human' appear in common, and there are keywords related to data, learning, and search in middle and high school. Key words related to recognition, exploration, reasoning, and learning appear only in high school. This keyword can confirm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equence and the qualitative deepening of the search. ‘Data', ‘Service', ‘Situation', ‘Learning', ‘Human', ‘System', ‘Product', ‘Development', ‘Utiliz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oci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technology', ‘provision', ‘management', ‘artificial intelligence', ‘occurrence', ‘collection', ‘problem', ‘need', ‘society', ‘user', ‘robot' appear in common, In middle and high school, ‘ethics', ‘change', ‘decision making', ‘purpose', and ‘machine' appear additionall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keywords that appear only in high school have been quantitatively expanded to ‘data bias’, ‘principle’, ‘Google’, ‘community’, ‘fairness’, ‘characteristics’, ‘competence’, and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xtbooks ahead of the 2022 revision of the curriculum . In the past, there was n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xtbook with a content syste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Although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of the main linkage analysis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tudy by analyzing whether particular implementation is reflected in how the linkage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

      • 한국어 화자의 발화 수정 연구

        서경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화자의 발화 수정의 특징과 구조를 살피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화 수정 과정에서 삽입되는 수정 표지의 기능과 개별 수정 표지들의 변별적 특징, 발화 수정의 산물인 대체 표현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때 오류 유형과 수정 표지의 상관성, 오류 유형과 대체 표현의 상관성도 함께 살핀다. 아울러 수정 표지와 대체 표현에 의해 수정되어 가는 발화 수정의 구조를 검토하고 그 유형을 분류하여 속성을 밝히고자 한다. 발화 오류와 수정은 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빈번히 발생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의사소통하는 구어 상황에서 문어 상황에서와 같은 정확성과 유창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발화에는 빈번한 휴지나 중단과 주저함, 감탄사의 삽입과 같이 어느 정도의 비유창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자연스러운 비유창성이 존재하는 구어에서 발화 수정은 필수적이다. 발화 수정이란 화자가 자기 점검을 통해 자신의 발화 의도와 실제 산출한 발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발화상의 문제를 탐지하고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궁극적으로 발화 수정은 화자 자신의 발화 의도에 부합하는 최선의 발화를 산출하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발화 수정 과정에서 삽입되는 수정 표지는 화자에게는 산출한 발화를 점검하고 수정할 시간을 확보해 주고 청자에게는 화자의 발화 내용을 보다 쉽게 해석할 수 있는 언어적 단서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수정 표지는 내적 수정이냐 외적 수정이냐에 따라 그 사용 양상에 차이를 보인다. 내적 수정의 77.2%가 내적 발화를 점검하는 동안에 수정 표지가 사용되었고, 외적 수정의 47.3%가 산출된 외현 발화를 점검하고 수정하는 동안에 수정 표지가 사용되었다. 내적 수정일 경우에는 수정 표지 ‘어’가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외적 수정일 경우에는 수정 표지 ‘그’가 많이 사용되었다. 또 수정하려는 오류가 정확성 오류냐 적절성 오류냐에 따라 수정 표지의 사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정확성 오류의 수정일 경우에는 수정 표지 ‘그’가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적절성 오류의 수정에서는 수정 표지 ‘그까’가 현저하게 선호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 표지를 크게 감탄사류 수정 표지(어, 음, 아), 대명사류 수정 표지(뭐, 그), 부사류 수정 표지(그까, 아니), 표현류 수정 표지(그게 뭐지?, 뭐랄까?, N이 아니라, N이래 등)로 나누어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들 수정 표지는 화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되고 일견 무질서하게 사용되는 듯하지만 개별 수정 표지마다의 고유한 기능이 있으며 오류 유형과 수정 표지 사용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 수정의 산물인 대체 표현은 수정 범위와 관련지어 볼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수정된다. 화자는 오류가 발생한 해당 부분만 수정을 하기도 하고(제자리 수정), 오류 부분의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부분부터 수정을 시도하기도 하며(회귀적 수정), 기존의 통사 구조나 메시지를 포기하고 새롭게 시작하면서 수정을 하기도 한다(새롭게 시작하기). 대체 표현의 수정 방식과 오류 유형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화자가 정확성 오류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오류 부분만을 수정하려는 제자리 수정이 선호되었고, 적절성 오류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시작하기가 선호되었다. 화자가 오류를 대체 표현으로 수정하여 청자에게 제공할 때 청자를 위한 해석의 단서도 함께 제공하게 된다. 그 단서는 ‘동일 단어 규칙’과 ‘동일 범주 규칙’이다. 화자가 ‘동일 단어 규칙’을 사용하면 청자는 의미 조정을 위해 대체 표현의 첫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행 발화에서 탐색해 그 부분에서부터 의미를 재해석해 나간다. 오류가 없는 부분에서부터 수정해 나가기 때문에 청자에게는 다소 인지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동일 범주 규칙’을 사용하면 청자는 의미 조정을 위해 대체 표현의 첫 단어와 통사 범주가 동일한 단어를 선행 발화에서 탐색해 그 부분에서부터 의미 수정을 시작한다. ‘동일 범주 규칙’은 일순간에 오류를 탐색해 새로운 대체 표현으로 바꾸어 의미 해석을 시작해야 하므로 ‘동일 단어 규칙’보다는 청자에게 인지적 부담이 크다. 정확성 수정은 이 두 가지 규칙에 의해 재해석이 용이한 반면, 내적 수정과 적절성 수정의 대부분은 이 두 단서(동일 단어 규칙, 동일 범주 규칙)가 도움이 되지 못할 때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청자는 수정 표지로도 대체 표현의 수정 범위와 유형에 대한 단서를 제공받게 된다. 수정 구조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체로 발화 오류, 수정 표지, 대체 표현과 같은 요소들의 출현 여부와 그 순서에 따라 일곱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제1 유형부터 제4 유형은 외적 수정에 해당하고, 네 유형 중 제1 유형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제5 유형부터 제7 유형은 내적 수정에 해당하고, 세 유형 중 제5 유형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일회적인 말실수나 비유창한 표현으로 인식되어 왔던 모어 화자의 발화 수정을 구어 의사소통에서 자신의 메시지를 정교화하고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전략으로 보고 발화 수정의 구조와 특징을 말뭉치 자료와 실험 전사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self-repairs in spontaneous speech by native Korean speakers. It also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editing markers inserted in the repairing process, their typical features, and alternations as a by-product of self-repairs. This paper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error and editing marker, as well as the type of error and alternation. In addition, I examine the structure of self-corrections that are corrected by editing markers and alternations, classify their types, and identify their properties. Speech errors and self-corrections are often found in the utterances of native speakers. It is largely because it is harder to guarantee the accuracy and fluency of spontaneous speech than it is with written language. As a result, speaking has some disfluencies such as pauses, interruptions, stutters, and interjections. Speech repair is essential to spoken language due to natural disfluencies. Self-repair is a process in which speakers monitor their speech to identify and handle errors when they notice a gap between what they say and what they intend to say. Ultimately, it means that self-speech correction is the effort to deliver appropriate speech as intended. Editing markers provide a speaker time to monitor and correct their utterances while also offering linguistic clues to help the listener understand. Editing markers also a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vert repair or an overt repair. For covert repairs, 77.2% of speakers used editing markers when they monitor their internal speech, whereas 47.3% of them produced editing markers in their overt speech. The editing marker ‘eo’ is used relatively more often in covert repairs than the editing marker ‘geu’ in overt repairs. The use of editing marker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it is an accuracy error or an appropriateness error. For accuracy error repairs, the editing marker ‘geu’ is often used, whereas the editing marker ‘geukka’ is used remarkably more to handle appropriateness errors. This paper classifies editing markers into interjectory editing markers (‘eo’, ‘eum’, ‘a’), nominal editing markers (‘mwo’, ‘keu’), adverbial editing markers (‘geukka’, ‘ani’), and expression editing markers (’geuge mwoji?’, ‘mworalkka?’, ‘N-anira’, ‘N-irae’, etc.), and each feature is identified. Although it seems that these editing markers are randomly selected and used by speakers, editing markers contain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 of error and editing marker. Alteration as a product of error correction is used in three ways in terms of a range of words to be repaired: 1) the speaker directly repairs the error (instant repairs); 2) the speaker retraces to a point before the error was made and corrects the problem in their speech (anticipatory retracing); and 3) the speaker deserts the existing syntactic structure or message to repair erroneous utterances by newly starting speech again (fresh starts). Furthermore, we can identify a correlation between the repair pattern of alternation and the type of error. For accuracy, speakers prefer to use instant repairs, whereas fresh starts are preferred for fluency. Speakers offer listeners a clue to interpretation when they correct an error by using alternation, which is labeled as the word-identity convention or the category-identity convention. Listeners figure out a word 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word of alternation in the original utterance, and they reinterpret the meaning when the speaker uses the word-identity convention. It gives listeners time to recognize the change as the repair starts from a point where there error is not found. On the other hand, listeners identify a word which is the same as the syntactic category of alternation in the preceding utterance and start the meaning repair from it when the speaker uses the category-identity convention. In the case of the category-identity convention, listeners feel more of a burden than with the word-identity convention as they must instantly detect errors, replace them as alternations, and understand the meaning. These two clues, the word-identity convention and the category-identity convention, do not directly help listeners understand in the case of covert repairs and appropriateness repairs; however, these two clues are helpful for reinterpretation in accuracy repairs. In some cases, listeners get a hint about the range and pattern of repair provided by the editing marker. Repair structure is classified into 7 types based on the presence of a speech error, the editing marker and alternation, and its sequence. Types related to overt repairs are from type 1 to type 4, and type 1 has the highest ratio among them. Types from 5 to 7 are linked with covert repairs, and type 5 has the largest ratio among them. Based on this analysis of utterance repairs treated as slips of the tongue or disfluencies found in corpus data and experimental data,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self-repair is an essential strategy and communicative skill for sophisticated native speakers.

      • 부모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진로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특히 부모의 진로지지를 아버지 지지와 어머니 지지로 구분하여 그들 각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이 효과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과 진로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발달 수준을 높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소재의 2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544명의 설문지를 SAS 9.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20일부터 2015년 4월 11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진로 관련 부모지지 척도(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는 Turner 등(2003)이 제작한 ‘진로 관련 부모 지지 척도(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를 김수리(200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MSE)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자기효능감 검사(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MSE)를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를 타당화 한 것을 이은경(2001)이 중 . 고등학생을 위해 수정하여 제작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진로의식성숙도 척도(Career Maturity Inventory; CMI)는 Crites(1978)가 개발하고 이현림(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진로지지 및 어머니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선, 아버지와 어머니 진로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성숙도와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역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영역 간 관계에 있어서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거나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변인도 있었다. 둘째, 아버지 진로지지 및 어머니 진로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 진로지지와 어머니 진로지지는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진로지지의 하위영역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진로지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우선, 아버지의 진로지지에 있어서는 언어적 격려와 진로관련 모델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 진로지지는 언어적 격려, 정서적 지지, 진로관련 모델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진로지지 및 어머니 진로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 진로지지와 어머니 진로지지는 모두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진로지지의 하위영역에는 아버지 진로지지와 어머니 진로지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우선, 아버지의 진로지지에 있어서는 언어적 격려와 진로관련 모델링이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 진로지지는 언어적 격려, 진로관련 모델링은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도구적 조력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업성적, 경제수준,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에 따른 아버지 진로지지, 어머니 진로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아버지 진로지지, 어머니 진로지지, 진로성숙도는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 학력이 높을수록 따라서 높아지는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모든 변인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진로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지지를 아버지 지지와 어머니 지지로 구분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아버지 지지와 어머니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진로지지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른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몇 몇 하위 영역에 있어서는 아버지, 어머니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는 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진로지지를 제공함에 있어, 자녀가 필요로 하는 적절한 지지와 조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부모의 진로지지는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더욱 높이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search the influence of parental career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especially to compare th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y parental career support. The purpose is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by offering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prepare their career effectively.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executed with 544 students from 2 academic high schools in Gyeonsangnamdo for about 4 weeks from March 20th 2015 to April 11th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9.2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father’s career support and mother’s career suppor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lso, there was meaningful positive core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score and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there were some variables to show meaningful negative corelation or not to show any corelation. Therefore, parents can increase children’s career maturity by sublating negative variables and strengthening meaningful positive variables. Second, father’s career support and mother’s career support increase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career support. Verbal persuasion and career-related modeling in father’s career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emotional support and career-related modeling in mother’s career support increase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is showed these parental career support made high school student children set career goal with confidence, plan their future and collect information to solve their problem well as a source to rais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ird, father’s career support and mother’s career support increased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career support. Verbal encouragement and career-related modeling in father’s career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and career-related modeling in mother’s career support increased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mother’s instrumental help decreased children’s career attitude maturity. Therefore,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parent needs to give verbal encouragement and compli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nd voc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parent can enhance high school students children’s career attitude maturity by being a good vocational role-model related to career by themselves. Fourth, there w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father’s career support, mother’s career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gender, age,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status,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Therefore, individual customized career guidance needs to be conducted at home and schoo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n addition, I hope these findings can help the process of adolescents'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at home and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