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형제관계의 질과의 관계

        변지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형제지위변인(아동의 성, 출생순위, 형제간 성구성)에 따라 형제관계의 질이 차이가 있는지, 형제지위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형제관계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형제수가 둘 이상인 285명의 초등학교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아동에게는 형제관계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어머니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질문지를 실시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아동보다 여자 아동들이 형제관계를 더 애정적으로 지각했다. 이성형제보다 동성형제가 형제관계를 더 갈등적으로 지각했다. 첫째 아동이 갈등과 상대적 지위/권력을 높게 지각하고, 셋째 아동은 경쟁의식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다른 아동보다 첫째 아동에게 더 애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애정적이고 외향적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온정적이고 친밀한 아동의 형제관계와 관련이 있었으며, 통제가 적은 양육태도는 형제간의 보살핌과 형제간의 지배성을 나타내는 아동의 형제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bling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sibling structure, and maternal attitudes depending on the sibling struc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and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s. The subjects was 285 fifth 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selected form two elementary schools in Kyunggi-do.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ys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 warmer than girls. Same-sex siblings had more conflict than those with the opposite sex siblings. First-born children had the highest conflict and relative status/power, and third-born children had the highest sibling rivalry. Second, maternal attitudes were more warm to first-born children than second born and latest children. Third, warm and external maternal attitudes were related to perceived warmth and intimacy relationship between siblings.

      • Henoch-Schönlein 자반증의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

        변지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Henoch-Shönlein 자반증 환자에서 재발과 신장 침범은 비교적 흔히 관찰되며 예후의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신장 침범의 위험인자로는 성인, 심한 복통, 혈뇨,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자반증, 재발 등이 있다. Henoch-Shönlein 자반증 환자에서 재발은 흔하지만, 이와 관련된 예측 인자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저자들은 재발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재발성 Henoch-Schönlein 자반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검사실 소견,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1996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13년간 본원에 내원하여 임상적으로 특징적인 Henoch-Schönlein 자반증으로 진단받았던 1022명의 환자 중에서 직접면역형광 검사에서 IgA의 침착을 보인 38명(남자 18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재발성 HSP가 임상적으로 30세 이상,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1달 이상 지속되는 자반증, 복통, 혈뇨가 있는 경우와 조직학적으로 백혈구 파쇄증이 심하고 IgM의 침착이 없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됨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는 재발성 HSP환자에서 재발의 예측인자를 확인하여 향후 Henoch-Shönlein 자반증 환자 진료시 재발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자연수화의 문형특성에 관한 연구

        변지원 檀國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화의 문형표현이 농아동들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명의 농아동들이 대화시에 사용한 27개의 문장을 수집하였고, 이를 기본문형, 복합문형, 의문문형, 부정문형으로 나누어 각 문형안에서 사용된 자연수화와 문법성 수화의 사용빈도를 살펴 보고, 자연수화 문형이 가지는 고유한 표현 특성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농아동들은 대부분의 문형안에서 60%가 넘는 자연수화의 사용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이 사용한 자연수화의 표현은 단어의 형태가 아닌 관용구·절등의 형태(=합성수화)와 농민들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관용적 표현형태(=농식수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농아동들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서는 건청인들의 어순을 따르는 문법성 수화, 구화의 지도와 함께 문법성 수화와 농인들의 주된 의사소통 수단이 되는 자연수화와의 차이를 좁히고 효율을 국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전략의 수립과, 자연수화의 표현특성들을 고려한 교수법의 개발이 병행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Talking into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for the discription of sentence expression in natural sign language this paper is intended to account the character of sentence expression in natural sig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character of sentence expression in natural sign language. There have been two main motivations for the character of sentence expression in natural sign language ; One is the composed sign language Ex. 1) not a one - sided diet methodical sign : (not) (a) (one) (sided) (diet) composed sign: (colorful) (do not mind) Ex. 2) not anything to think methodical sign : (not) (anything) (to) (think) composed sign : (think) (paralysis) The other motivation is the sign language as the deafness expression a system. Ex. 1) He smells the rats methodical sign: (He) (smells) (the) (rats) natural sign: (He) (smells the rats) Ex. 2) Keep your shirt on methodical sign : (keep) (your) (shirt) (on) natural sign : (Keep your shirt on)

      • 오디 피아노 교육의 기능화성감 지도 연구 : 「오디 피아노·피아노 오디」를 중심으로

        변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아동기의 다루어져야 할 음악 발달 중 기능화성감 증진을 위한 피아노 교수방안의 연구이다. 고든(Edwin E. Gordon)의 음악학습이론(Music Learning Theory)을 철학적 기반으로 다년간의 실험 연구 끝에 편찬된 한국오디에이션교육연구소의 유아 피아노 교육 방법론을 수록한 「오디 피아노·피아노 오디」교재의 악곡들 가운데 기능화성을 위한 악곡을 중심으로 선별, 분류하여 유아 및 초등 저학년들의 기능화성감을 함양하기 위한 목표로 피아노 수업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과제이다. 조성음악을 진정으로 사유하는 방식 중 하나는 화성의 이해이며 이는 화성악기인 피아노를 학습하거나 연주 할 때에도 그 의미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피아노 학습자에게 화성의 이해는 필수적인 역량이다. 화성적 이해는 음계와 화음을 분석하여 정리하는 이론적 이해 이전에 각 화성이 조성적 중심의 힘에 의해 감지되고 인식되어 소리의 중력으로서 받아들여질 때 보다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이론에 의해 화성감을 증진하는 것은 피아노 음악도에게 매우 중요하다. 화성에 대한 이상적인 이해는 인간의 생애 전반에 걸쳐 한층 깊이 있게 발전하여야 하겠지만 고든에 의하면 만 9세 이전의 유동 음악 소질 시기를 놓치면 그 이후에 치료적으로 회생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9세의 유아 및 초등 저학년의 아동을 대상으로 화성적 내용을 기반으로 한 피아노 교수법은 선행 연구인 고은숙(2014)를 제외하고 국내에서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아동기에 다루어져야 할 화성적 이해를 위하여 '기능화성감'의 용어 및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유아음악교육의 세계적 권위자인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의 교수-학습 원리를 한국 아동의 교육적 환경과 정체성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연령에 알맞은 피아노 교수-학습 원리로 개발한 오디(Audie) 피아노 페다고지의 학습절차에 따라 베이스 라인의 인식, 3화음, 종지감 형성을 위한 기능화성감 수업의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화성적 이해는 소리에 의한 접근으로 시작하여 화성에 대한 소리 변별력을 갖추어서 피아노 연주로 구현하고 소리와 감각기관으로 느낀 화성의 이름과 기호에 대한 인식을 통해 화성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로 다가설 때 공고해진다. 화성에 대한 이해는 보다 깊이 있는 음악 활동과 연주를 도모하는 확고한 기반이다. This is the study on piano teaching measure to increase the functional harmonic sense out of the musical development to be handled during the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iano teaching guidanc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functional harmonic sense in the children and lower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by sorting and classifying the musical pieces for the functional harmonic sense out of the musical pieces found in 「Audie Piano·Piano Audie」, the piano manual for children of Korea Institute for Aidieation Music Education compiled based on the music learning theory by Edwin Gordon. One of the methods to teach and learn the tonal music truly is to understand the harmony, which meaning is applied same when learning or playing the piano, which is the harmonic instrument. Therefore, understanding the harmony is the fundamental competence for the piano learners. Since the harmony can be understood well essentially when each harmony is detected and recognized by the gravity of the marmonic center and accepted as the gravity of the sound, improving the sense of harmony by the function theory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ents who learn the music. The ideal understanding of harmony should be developed deeply across the human life but according to Gordon, if one misses the musical talent developing period before 9 year-old, the possibility to call it back later by treatment is significantly low.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piano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harmonic contents for 7-9 years old children and the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has not been made domestically except the preceding research by Goh Eun-Sook(2014). Therefore, for the understanding on harmony, which should be treated during the childhood, the researcher examine the terms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functional harmonic sense' and prepared the teaching guide of functional harmonic sense class for the recognition of base line, primary chord and the formation of sense of cadenc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dure of Audie Piano Pedagogy, which has been developed as the piano teaching-learning principle appropriate for the age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of the music learning theory by Gordon, who is recognized as the world authority i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in order to fit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ildren.

      • 민들레 부산물 함유 배지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변지원 강릉원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im of the study is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oyster mushroom, a food material commonly used throughout the world. For this,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oyster mushroom cultivated on a medium containing dandelion extract residue(ODE), which is well known for its anti - inflammatory effect, was confirmed.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ODE, hot -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confirmed with RAW264.7 cells, L929 cells, and was not toxic up to a concentration of 100μg/m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ODE extra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changes in inflammation-related factors by treating LPS known as a typical pro-inflammatory agent. The measured inflammation-related factors were NO, COX-2, iNOS, TNF-α and IL-1β. It was confirmed that the NO produced in the cells treated with the ODE decreas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RT-PCR and western blotting were performed to confirm changes in COX-2, iNOS, TNF-α and IL-1β.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decreas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OD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 - inflammatory effect was increased in the oyster mushroom cultivated in the medium containing dandelion extract residue.

      • ADP로 활성화된 microglia의 actin dynamics를 조절하는 LRRK2 작용 연구 : LRRK2 regulates actin dynamics in ADP-treated microglia

        변지원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Parkinson’s disease (P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caused by dopaminergic neuronal death in the substantia nigra. Microglia are brain macrophages that continuously survey the microenvironment of the brain to find out and repair brain damage. Although PD associated genes are expressed in microglia, their roles in these cells are largely unknow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LRRK2, a PD-associated gene, regulates the migration of microglia. LRRK2 was located in ruffles, an actin rich structure of moving cells, when ADP induced microglial movement. In immunoprecipation assay, LRRK2 interacted with focal adhesion kinase (FAK), a protein that regulates the adhesion and migration of cells. LRRK2 and FAK were co-localized with ruffles when microglia actively moved. The overexpression of LRRK2 reduced the phosphorylated FAK levels compared with that of the mock, which suggests that LRRK2 inhibits FAK activation. LRRK2 G2019S, a pathologic LRRK2 mutant, mor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AK activation and the movement of microglia than non-transgenic LRRK2 did. Furthermore, microglial migration defects were also observed in stab-wounded LRRK2 G2019S TG mice brai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RRK2 suppresses microglial movement by inhibiting FAK activation. Importantly, mutations of LRRK2, such as G2019S, could increase the risk of PD development, since microglia could not properly respond to and repair brain damage.

      • 인문계 및 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변지원 부산외국어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in both general and commercial high schools in terms of their career choice. I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schemes for career guidance in general high schools and commercial high schools. To do this, I divide group of interest into four subgroups;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s consider academic backgr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in commercial high schools do in their students' job searching process. Second, I also find that consulting methods and data used by teachers are somewhat limited and scope of consulting is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ird, a number of teachers point out that the lack of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and data are the most important problem that they face in career education. The channels though which teachers collect career information are found to be limited, and the use of relevant data is not enough. Fourth, I find that schools do not greatly contribute to forming the students' viewpoints on their future career. Therefore, it would be reasonable for high schools to promote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m form a proper viewpoint on their career. Fif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from career consulting is higher among general high schools students than that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nsulting is also conducted well in general high schools, which is supported b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consulting between the two types of schools. Sixth, it is found that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s does not play an important part in guiding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ir own career plans. Seventh, the results by surveying the students on their perception of promising jobs show that promising jobs are less understood among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than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 is also reported. Next, the survey shows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make a decision on high school not based on their aptitude or interest, but based on their character or family support. Hence, in many cases,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finding interest in their schoolwork because their aptitude is not related to what they learn in high schools. It can be a major reason why many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iculum,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ot effectively performed. Last, it is shown that many students do not fully understand themselves as well as their interests and aptitude. I also find tha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students are unable to decide on their career plans due to the lack of interest in their career.

      • 기미병변에서 섬유아세포 기원 인자의 발현과 기미 발생기전에서 색소형성의 역할

        변지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Melasma is a common acquired hyperpigmentary disorder. Though its pathogenesis is known to be related with sun-exposure, sex hormone, and stress, it is poorly understood why it recurs easily and is frequently aggravated with treatments. Pigmentation of melasma is confined to the epidermis, but epidermal ablation or peeling to treat melasma leads to melasma recurrence and aggravation. Interactions between melanocytes and neighboring cells, such as keratinocytes in the epidermis and also fibroblasts in the dermis, are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melanocyte function. We hypothesize that dermal factors are suspected to play crucial roles in the recurrent and refractory nature of this disorder.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the primarily cultured fibroblasts from a melasma tissue have a melanogenic function on the cultured human epidermal melanocytes. We also investigated their cytokine profile and the effect on the pigmented epidermal equivalents. The results showed that fibroblasts from the melasma secreted more interleukin-1α, interleukin-6, interleukin-10, tumor necrosis factor-α, hepatocyte growth factor, stem cell factor, nerve growth factor-β, and neurotrophin-3. The perilesional skin fibroblasts had more nerve growth factor-β and neurotrophin-3 than buttock skin. The conditioned medium of fibroblasts from the melasma and perilesional skin increased melanogenesis of cultured human epidermal melanocytes by increasing tyrosinase, TRP1, and TRP2. In the study with pigmented epidermal equivalents, melanin pigments, nerve growth factor-β and neurotrophin-3 were increased in the equivalents co-cultured with lesional and perilesional fibroblasts. In conclusion, the fibroblasts of melasma lesional and perilesional skin increased melanogenesis of human melanocyte cell line and pigmented skin equivalent, suggesting that fibroblasts is the major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melasma. In addition, the perilesional skin and dermal fibroblast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rmatologists treat patients with melasma, because perilesional fibroblasts show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as melasma lesional fibroblasts. 기미는 주로 얼굴의 자외선 노출부위에 발생하는 과색소성 질환으로서 이들의 발병에는 유전적 요인, 자외선 노출, 성 호르몬, 스트레스 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왜 치료에도 쉽게 재발하고 악화되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기미의 색소침착은 주로 표피에만 국한되어 있어서, 기미의 치료로 박피를 시행할 수 있지만 오히려 기미가 더 악화되거나 치료 후에 재발을 하게 된다. 이는 멜라닌세포가 주변세포인 표피의 각질 형성세포뿐 아니라 진피의 섬유아세포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멜라닌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재발과 치료에 불응하는 기미의 특성에 진피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사람의 기미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섬유아세포가 사람 표피 멜라닌세포 및 색소인공피부 조직에서 멜라닌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섬유아세포 기원 사이토카인과 이들의 색소인공피부 조직에의 영향을 연구해 보았다. 그 결과 각각의 피부에서 분리배양한 섬유아세포 배양액을 사람 표피 멜라닌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였더니 이 중 기미병변과 기미주변 병변에서 분리 배양한 섬유아세포 배양액만이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켰고 그 증거로 tyrosinase, TRP1, TRP2가 증가되었다. 색소인공피부인 MelanoDerm 조직을 각각의 피부에서 분리 배양한 섬유아세포와 공배양을 실험을 한 결과 기미와 기미 주변 섬유아세포로 공배양한 MelanoDerm 조직에서 색소 생성, nerve growth factor-β, neurotrophin-3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기미병변에서 분리 배양한 섬유아세포는 interleukin-1α, interleukin-6, interleukin-10, tumor necrosis factor-α, hepatocyte growth factor, stem cell factor, nerve growth factor-β, neurotrophin-3 사이토카인이 증가되어 있었다. 흥미롭게도 nerve growth factor-β, neurotrophin-3 가 기미병변 뿐 아니라 기미주변 병변에서 분리 배양한 섬유아세포에서도 엉덩이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다. 결론으로 기미병변 뿐 아니라 기미주변의 진피 섬유아세포는 사람 표피 멜라닌세포와 색소인공피부 조직의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진피 섬유아세포가 기미 발생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기미 병변뿐 아니라 기미 주변 병변에서부터 섬유아세포가 기미병변을 유발 및 악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피부과 의사들이 기미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섬유아세포의 변화까지 유도하는 치료가 필요하며 기미주변부도 치료에 포함시켜야 함을 시사하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