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문화예술 정책연구 경향 분석 (2007∼2016) : 정부·광역지자체 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백현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Culture and art are the strong resources, ideology, history of country and the heritage which can be handed over to the coming age. Korean are a people with immemorial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have been inherited fine culture and art and cultural policies for protecting them have been enforced. Now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es can be seen to have been started since 1970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Day, fifth day of August 1945, Korea had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to be cleared off promptly and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account of ideology differences laid all the key industrial complexes in ash and caused the loss of economic power and severe famine. In these phases of time, culture and art were regarded as luxurious and only for the elite by the public therefore they were hard to be realized in the national policy. For Culture and Art Promotion Acts was established in 1972, full-fledged Culture and Arts policy set cornerstone of support and through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Foundation,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Raising started and built five-year revival project of art and literature. However, those policies during Yushin regime included artist control and censorship by state-run system and this widened cultural inter-regional inequality. Later, inaugurated Civilian Government seeking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higher degrees of enjoyment of culture started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ried to expand cultural programs and facilities. Finally local culture and art policies have been transformed to adapt features of each local and are pursuing improvement of life quality via balanced develo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tilization form of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policy which was enforced since Civilian Government by the various regions. And it is the study on policy-trend judged by the report of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in local-government and we make the statistical indicator which people can get the degrees of utilization based 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14 Korean broader unit/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issued 934 cases of culture and art-related-policy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s classified as 10 divisions of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e, Cultural Basic Facilities, Cultural Welfare, Cultural Betterment, Indicators Development, Artistic Promotion, International Culture, Man-power Policy, Financial System is analyzed by 3 sectors: Years, Regions, Fields. First is trend analysis by the years. There has been total 943 cases of research report for 10 years. 84 cases in 2007, 85 cases in 2008, 83 cases in 2009, 81 cases in 2010, 100 cases in 2011, 102 cases in 2012, 101 cases in 2013, 109 cases in 2014, 96 cases in 2015 and 102 cases in 2016. Average 94 cases of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verage 83 cases were reported from 2007 to 2010 and average 101 cases from 2011 to 2016 increased 18 cases a year. In overall, ceaseless studies on policy were progressed and these were seen as the effects of balanced development including special account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1990s by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regional research institution opened and on 2016,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ion made its debut, too. Now 14 research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Korea Culture Tourism Institution study Culture and arts policy and try to improve and keep policy. This way, the active role of loc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s and balanced-development policy enabled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nd local cultural industry support resulting in consistent research report. Second is trend analysis by the regions. Central governmental institu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Institution account for 37% and there has been 346 cases of overall research activities on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y. Looking at the research cases by each local institution, there have been 63 cases by Seoul Institution, 30 cases by Gyeongi Institution, 35 cases by Incheon developmental Institution, Daejeon Sejong Institution, 27 cases by Gwangju Jeonnam Institution, 48 cases by Jeonbuk Institution, 88 cases by Gangwon Institution, 25 cases by Ul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38 cases by Chungbuk Institution, 50 cases by Chungnam Institution, 58 cases by Daegu Kyungbuk Institution, 30 cases by Kyungnam Developmental Institution, 33 cases by Bu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and 31 cases by Jeju Institution. Gangwon Institution reported 88 cases and this accounts for 9% of total cases as the festival-related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for recent years. The number of total festival-related research reports is 63 and 23 them are reports by Gangwon Institution. Most of them are talking about assessment and plans for development. Third is trend analysis by the fields. This paper is classified as 10 fields of Culture and Arts policy. 268 cases of Cultural Industry, 238 cases of Local Culture, 97 cases of Cultural Basic Facilities, 79 cases of Cultural Welfare, 74 cases of Cultural Betterment, 57 cases of Indicators Development, 51 cases of Artistic Promotion, 38 cases of International Culture, 32 cases of Man-power Policy and 9 cases of Financial System. Cultural Industry takes up the biggest part as 28% of total, Local Culture accounts for 25% and Cultural Basic Facilities and Cultural Welfare follow. Wide spectrums of cultural industry made a big influence in addition Korean wave and content business having emerged as higher value added industry took up a large amount of percent. And also after the se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re has been trials for developing local products and programs such as local festival where people can taste ow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ow, the various contents have become the major resources of nation’s industry in these times. Culture has been subdivided therefore improvement of policy and the range of policy research are getting widen. The other fields except for culture and arts are being studied on their trend analysi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of boundary, culture and arts lack of trend analysis materials. Research reports by different governmental cultural polices were active. However, according to report of local research institution, quantities of culture and arts polices are only a few for the last 10 years. Culture and Arts of Modern society rapidly move to software system however local cultural industry is still staying in hardware such as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Especially, policy report is seldom if ever or only related to tourism or cultural property. They do not come up with the speed of current culture and arts trend and only imitate precedents. On the other side, along with the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its aim to the software and reflect its own features into cultural brand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policy-reports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of 14 local-government. Therefore, this excluded activity of extra government and civilian. There is a possibility of minute error between research of center and local however the paper is based on documents of researchers in local comprehensive Policy Study Institution. Through this result, analysis on trend of policy of recent 10 years are able to be utilized as base line data to discuss of trend of culture and arts policy. 문화와 예술은 국가의 강력한 자원이자, 이념이며, 역사이고 후대에 물려줄 유산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민족은 오래 된 역사만큼이나 수려한 문화와 예술을 물려받았고 이를 지키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 역시 과거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정책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는 36년 간의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터라 국내 질서 확립과 일재 잔재 청산이 시급하였고 이념 차이로 발발된 6·25 전쟁은 남한에 모여 있던 주요산업시설을 초토화 시키며 국가경제력 상실과 국민의 극심한 빈곤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당시 시대상에서 문화예술은 상위 부유층이 즐기는 고급향유문화로 치부되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겐 사치문화로 인식되었기에 국가정책으로 구현되기 어려웠다. 1972년 제정된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으로 본격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지원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고 1973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설립하여 문예진흥기금 모금을 개시하며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신체제 속에 수립 된 문화예술정책은 국가주도로 시행하며 예술인 통제와 검열을 거쳤으며 중앙 정부중심의 문화행정으로 지역과의 문화격차를 벌려놓게 되었다. 이후 출범한 문민정부는 균형발전과 문화향유 증대를 위하여 지방자치제로 분권하며 문화시설과 프로그램의 확충을 과제로 삼았고 지역문화예술정책은 지역별 특성에 맞게 변모하며 현재까지 균형 발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화예술 정책 수립 과정을 거치며 생긴 중앙 집권의 문화예술 정책이 문민정부 이후 시작된 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정책 중 지역별 활용 형태에 대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각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정책연구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지역문화예술 정책의 활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통계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전국 14개 광역·지자체 연구원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문화예술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는 934건 발행되었다. 문화산업, 지역문화, 문화기반시설, 문화복지, 정책개선, 지표개발, 예술진흥, 국제문화, 인력정책, 재정체계 등 10가지 영역으로 분류 된 연구보고서는 연도별, 지역별, 분야별 등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도별 경향 분석이다. 10년간 전체 연구보고 활동은 943건으로 2007년 84건, 2008년 85건, 2009년 83건, 2010년 81건, 2011년 100건, 2012년 102건, 2013년 101건, 2014년 109건, 2015년 96건, 2016년 102건이다. 평균 94건의 연구보고 활동이 매년 이루어졌는데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평균 83건이었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평균 101건으로 연간 18건으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지방분권으로 지역별 연구원이 개원하였는데 2016년 기존의 대전연구원이 대전세종연구원으로 새롭게 개 원되며 현재 지자체 14개 연구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문화예술정책을 연구 하며 지역개발과 정책개선 및 유지를 위하여 활동 중이다. 이처럼 지역정책연구기관의 활동과 균형발전 정책으로 인한 지역문화기반시설 및 지역문화산업 지원 등으로 꾸준한 연구보고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지역별 경향분석이다. 중앙 정부 소속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전체 37%로 346건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에 대한 전반적 연구 활동이 있었다. 각 지자체 연구원을 살펴보면 서울연구원 63건, 경기연구원 30건, 인천발전연구원 35건, 대전세종연구원 41건, 광주전남연구원 27건, 전북연구원 48건, 강원연구원 88건, 울산벌전연구원 25건, 충북연구원 38건, 충남연구원 50건, 대구경북연구원 58건, 경남발전연구원 30건,부산발전연구원 33건, 제주연구원 31건이다. 강원연구원은 88건으로 전체 9%의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 산재되어 있는 축제 관련 연구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건수도 증가하였다. 전체 축제 관련 연구보고서는 총 63건인데 그 중 23건이 강원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이며 대부분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가 주요를 이루었다. 세 번째, 분야별 경향 분석이다. 10가지 분류 된 문화예술정책 영역으로 각 연구보고서를 분류하였는데, 문화산업 268건, 지역문화 238건, 문화기반시설 97건, 문화복지 79건, 정책개선 74건, 지표개발 57건, 예술진흥 51건, 국제문화 38건, 인력정책 32건, 재정체계 9건이다. 문화산업이 전체 28%, 지역문화가 2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문화기반 시설과 문화복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화산업이 가진 넓은 범주도 영향이 있지만 한류열풍과 콘텐츠 사업 등 문화산업이 국가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등장하며 전체 연구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지방자치제 이후 지역문화의 개발로 지역의 특성과 유산에 대한 상품 개발, 그리고 각 지역별 지역축제의 육성으로 많은 연구활동이 이어졌고 주요를 이루었다. 현대 사회가 가진 다양한 콘텐츠는 이제 국가 산업의 주요 자원이 되었고 그 범위 또한 세분화되어 정책의 개선과 정책연구의 범위 또한 넓어지며 변하고 있다. 문화예술 이외의 다른 분야는 현재 경향분석에 대한 활동이 다양하고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은 경계의 모호함으로 경향분석 자료가 많지 않으며 최근 경향의 다각적 분석 자료도 드물다. 정부별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 보고는 활발하지만 지역의 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살펴보면 10년간의 문화예술정책 범위와 양은 그리 많지 않다. 현대사회의 문화예술은 빠르게 소프트웨어로 이동하지만 지역의 문화산업은 아직 하드웨어 즉, 문화재 관리, 유산 보존, 전통문화 등에 머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예술 관련 정책보고서는 없거나 1~2건에 그치며 나머지는 관광, 혹은 문화유산에 관계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문화예술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과거 문화예술 정책연구에 대한 답습 현상이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문화산업과 더불어 지역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그 발전 가능성을 짐작하게 할 수 있다. 지역문화 분야별 연구 활동을 살펴보면 하드웨어 중심인 것들이 많지만 조금씩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브랜드 개발과 자료보고 활동이 이어진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14개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경향 분석이 이루어졌기에 민간 활동과 타 지자체의 시행활동에 대해서는 분석되지 않았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예술정책과 연구 활동에 대한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지역의 종합적인 정책 연구 시행기관인 연구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향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최근 10년간 예술에 도달하는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정책사업의 현황 파악 및 기초자료로서 세부적인 지역문화예술발전이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