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백성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회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국제회의의 성공적 개최, 예산 절약, 인력활용, 서비스 수준향상을 위해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제회의 조직에서는 자원봉사자관리가 가장 중요한 인적자원이슈(Armstrong, 1992; Geber, 1991: Wilson, 1984; Adams & Shepherd, 1996 재인용)임에도 불구하고 조직들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자원봉사자에 의존하는 조직들은 자원봉사자의 중도포기나, 활동저하 등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자원봉사자의 관리 및 성공적인 국제회의 개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에 따른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국제회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145부 중 12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은 t-test, 일원분산분석, DMR-test,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참여동기의 일반적인 경향을 보면, 국제회의 자원봉사자는 자기개발적 동기의 평균이 대의적 동기, 외부적 동기, 여가적 동기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개발적 동기와 대의적 동기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개발적 동기는 연령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가 유의했다. 4년제 대학 재학 중인 집단이 나머지 집단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는 자기개발적 동기, 대의적 동기, 외부적 동기의 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동기가 강할수록 만족도의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적 동기의 경우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만족도에 대한 참여동기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중 외부적 동기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부의 기대부응에 대한 동기가 강할수록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만족도에 대한 활동관련관계요인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활동관련관계요인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함께 활동하는 동료 자원봉사자 및 직원과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만족도 역시 높아진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회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처음 시도된 실증적 연구로서,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후속 연구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연구를 통해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특성 및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국제회의 자원봉사자 관리에 있어 문제점을 확인하고,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국제회의 자원봉사자의 만족도에 활동관련 관계요인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자원봉사자를 활용 시 주최측은 직원과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및 동료 자원봉사자간의 관계의 원만함을 증진시켜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다섯째, 참여동기 연구 시 타 분야에서의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연구에서 지금까지 다루어 지지 않았던 여가적 동기에 의한 참여 정도를 측정하려 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creasing the convention, it is an important issue, how to manage the volunteers, to hold the convention successfully. As volunteer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egment of the human resources issue, it is critical for the organization that depends on volunteers to understand volunteers in order to recruit and retain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volunte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convention and to help volunteer management improved, examining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empiricall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29 volunteers in the 37th Annual Meeting of the Board of Governors Asian Development Bank and the Global Summit of Women Seoul in 2004.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one-way ANOVA including DMR-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evelopmental dimension of the volunteer's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the highest mean score. And satisfaction in education, compensation and recognition was lower than other part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volunteers and efficient management system. Second, the self-developmental motiva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and age, and the purposive motiva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Third, the satisfac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 of education. Fourth, the volunteers' satisfaction was pro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 of self-developmental motivation, purposive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except for leisure motivation. Namely,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evelopmental motivation, purposive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as, the higher satisfaction was. Fifth, the variable that influences on volunteer's satisfaction was external motivation. Sixth, the activity relationship variable influences on volunteer's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tudy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volunteers in convention made the base of the following empirical study on the volunteers in conven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present situation of volunteers in convention can be confirmed by the study. Third, problems in volunteer management were confirmed and the solutions can be suggested. Fourth, the fact that the activity relationship with volunteers and employees affects on the volunteer's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organizers train the employee t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volunteers and provide volunteers opportunities to meet other volunteer before convention. Fifth, it is worthy of trying to examine leisure motivation in volunteer's study.

      • 나노 서멀 그리스의 열 특성에 관한 연구

        백성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fields of electricity, automobiles, and medical devices have been pursuing weight reduction, miniaturization, and versatility. Therefore, a lot of heat is generated in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highly integrated. In electronic devices, heat is shortening the lifetime of the device and deteriorating the reliabil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technology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heat is emphasized. Thermal grease, a type of thermal interface material(TIM), is use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sink. In this study, nano thermal grease was prepared by adding graphene, silver and copper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improve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thermal grease. Thereafter, the sample was applied between copper plates of the same size, and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plate to the upper copper plate was measur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As a result, about 11% of graphene 3vol% sample, about 10% of silver 3vol% sample and about 6% of copper 3vol% sample were improved than non coated sampl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thermal grease can be greatly improved even if the amount of the powder added to the thermal grease is small.

      • 박종선·김일구·서용석류 아쟁산조 비교연구 : 중중모리 리듬을 중심으로

        백성미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악독주 음악인 산조는 19세기 말 가야금산조를 시작으로 각 악기들의 산조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그 중 아쟁산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한일섭 (韓一燮 1929~ 1973)에게서 박종선 (朴鍾善 1941~ )윤윤석 (尹尹鼫 1939~ 2006)으로 이어지는 류파를 형성하였고, 장월중선 (張月中仙 1925~ 1998)에서 김일구 (金一球 1940~ )로, 정철호 (鄭哲鎬 1928~ )에게서 서용석 (徐龍錫 1940~ )으로 전승되는 세 유파가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2세대로 박종선류, 김일구류, 서용석류 등으로 불려지며 짜여진 산조특징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선 박종선·김일구·서용석류의 계보와 그들의 아쟁산조 중 중중 모리의 리듬을 분석을 알아본 결과 첫째, 박종선류 중중모리에 비해 김일구류와 서용석류 중중모리는 3분박 4박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장단을 연주했고, 혼분박 중에서는 혼합B리듬형이 많이 출현하였다. 박종선류 중중모리는 5가지의 다양한 혼박자를 사용함으로 중중모리의 리듬박이 다양함을 알렸다. 둘째, 리듬형의 사용빈도수를 살펴보았는데, 박종선류의 경우 총60장단 중 혼합B리듬형이 25%로 가장 높게 나온 반면 김일구류는 3분박4박이 55%로, 서용석류도 김일구류와 마찬가지로 63.8%로 3분박4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게 나온 리듬형도 있었는데, 혼합E리듬형은 박종선류에 단 1회 출현으로 1.6% 나타났고, 혼합A리듬형 김일구류는에서는 4.08% 서용석류는1.7%를 나타내었다. 셋째, 박종선·김일구· 서용석류 아쟁산조 ‘중중모리’에서 사용한 선율 리듬형의 종류를 살펴보면 박종선류가 7종류, 김일구류가 4종류, 서용석류가 4종류로 나타났다. 여기서 알 수 있는건 박종선류 중중모리 선율리듬형이 3종류 더 많았고, 2분박과 3분박을 혼합한 혼합리듬형이 많이 출현하였다. A Sanjo means solo instrumental music type and each music instument's sanjo built up from Gayagumsanjo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is three different and particular cases of a Sanjo. First school was from Ilsub Han(韓一燮, 1929- 1973) to Jongsun Park(朴鍾善, 1941- )and Yonsuk Yon(尹尹鼫 , 1939- 2006). Second school was from Jangwerljoongsun(張月中仙, 1925- 1998) to Ilgu Kim(金一球, 1940- ). Third school was from Chulho Chung(鄭哲鎬, 1928- ) to Yongsuk Seo(徐龍錫, 1940- ). These three schools called by names of second generation. A school of Jongsun Park, Ilgu Kim, and Yongsuk Seo. These three schools move on different types of a Sanjo. In this thesis contains an in- depth comparative case study on three different schools and an analysis of Joongjoongmori rhythm in this three schools. First of all, Ilgu Kim and Yongsuk Seo's Joongjoongmori was performanced with 3bunbak 4bak mostly and they used the mixed Brhythm when performanced a Honbunbak. Jongsun Park's Joongjoongmori has five different styles of Honbakja so joongjoongmori can be proved by them as it can be more various. In the second place, there is a frequency in use of a rhythm style. In case of Jongsun Park, the mixed B rhythm is used 25% in whole 60 rhythms. Ilgu Kim's case was 55% and Yongsuk Seo's case was 63.8%. There is the mixed E rhythm and it shows the lowest percentage. the mixed E rhythm used only one time(1.6%) and mixed A rhythm by Ilgu Kim has 4.08%. In case of Yongsuk Seo was 1.7%. Thirdly, In Ajaengsanjo 'joongjoongmori' of Jongsun Park, Ilgu Kim, and Yongsuk Seo, They used diffrent types and frequencies of rhythm. Jongsun Park used 7 types of rhythm, Ilgu Kim and Yongsuk Seo has 4 types. In result, Jongsun Park's joongjoongmori used three kinds of melody rhythm than others and they used 2bunbak and 3bunbak mixed rhythms in many times.

      • 문화예술교육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을 중심으로

        백성미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예술교육선택에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3개의 대안(방과후 학교, 학원, 과외교습)을 제시하여 학부모의 입장에서의 중요성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 문화예술교육 시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임정은(2006)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경영에 관한 연구에서 학부모 179명과 교사 61명,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보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초등교육과정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미치는 요인으로 타 과목의 학습영향, 정서 안정 및 발달, 대인관계 개선, 창의력 증진, 전인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문화예술교육의 영향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긍정이 57.9%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문화예술교육이 타 학습이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어떤 부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해서 대인관계 개선이 36.5%로 가장 많았고, 정서안정 발달, 창의력 증진, 전인교육, 타 과목 학습영향의 순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윤기순(2007)은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에서 초등교사 400명과 학부모 80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아였으며, 이를 보면 방과후 교육 활동의 목적, 내용, 방법 및 지원, 성과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으며, 2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방과후 교육 활동의 목적으로는 특기·소질·적성발견, 창의력 신장, 다양한 학습욕구 충족, 사교육비 절감이 있었고, 활동의 내용영역에는 방과후 프로그램의 다양성, 학습 심화 프로그램의 다양성, 특기 신장 프로그램의 충실성, 학습 심화 프로그램의 충실성, 방과후 교육 활동의 실용성 등이 있었다. 그리고 활동 방법영역으로 지도 교사 및 강사의 신념과 열의, 인원수의 적절성, 실시 시간의 적절성, 수강료의 적절성, 반편성의 적절성으로 구성되었고, 활동 지원영역에는 담당 강사의 유능성, 학교운영위원회의 관심과 지원, 학부모의 관심과 지원, 학교장의 관심과 지원, 교구 및 시설의 충분성, 강사 수당의 적절성, 안전사고의 대비성 등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활동의 성과영역에서는 특기·소질·적성 발견에 기여도,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 충족, 사교육비 절감에 대한 기여도, 시설활용의 극대화, 창의성개발,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으로 구성하였다. 위와 같이 여러 학자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여 선택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녀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시키고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초등학교 일부 교사들과 학부모들과의 프리스터디를 통해 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의 선택요인으로 상위계층 5개 부문과 하위계층 12개로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 3개로 구성하였다. 각 선택요인을 살펴보면 첫 번째, 소질 및 잠재력 개발부문은 학생들의 내제된 특기·소질·적성을 발견하고 개발하기 위한 것, 창의력 개발 향상,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장래 직업으로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 항목을 포함하여 특기·적성, 창의성, 지속성 등 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부문은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충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지, 지도강사는 유능하고 전문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학교수업과의 연결되어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평가항목을 포함하여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도강사의 능력·전문성, 학업과의 연관성 등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시간의 효율성 부문은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는 적절한 수업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시간의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지, 가까운 거리에서 접할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항목을 포함하여 수업시간의 적절성, 자유로운 시간 선택, 접근성 등 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네 번째로는 환경적 요인부문으로 수업을 함에 있어 교육 장소가 쾌적하며 교구 및 시설이 충분한지, 교육 활동 및 이동 중에 안전사고 위험은 없는지, 학급당 수강 인원이 적절한지에 대한 평가 항목을 포함하여 수업환경·시설, 안전성, 수강인원의 적절성 등 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비용부문은 수강료와 교재비, 교통비 등 모든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각 부문과 항목들을 중심으로 방과후 학교, 학원, 과외교습 3개의 대안을 선정하여 학부모들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선택요인을 찾기 위해 부산지역의 방과후 시범학교를 찾아가 학부모와 교사들의 의견을 참고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인 문화예술교육과 방과후 학교, 학원, 과외교습의 현황에 대해선 각종 문헌과 관련논문자료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1~6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방과후 교육활동을 근간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 선택요인으로 소질 및 잠재력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 시간의 효율성, 환경적 요인, 교육비용등 5개로 구분하고 각 부문의 세부항목과 대안을 구성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3개의 대안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평가모형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집단의사결정방법 중의 하나인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 Analyical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세부평가항목별 가중치 산정결과로 평가항목별 배점기준을 설정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선택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질 및 잠재력 개발( .397),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 .232), 시간의 효율성( .168), 환경적 요인(. 110), 교육비용( .093)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문화예술교육에 있어 특기·적성과 창의성 개발이 중요하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지도강사의 능력과 전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문화예술교육자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켜 문화예술이 좀 더 많은 발전이 있길 바라는 학부모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비용의 부문은 제일 낮게 나타나 문화예술교육을 시키는 입장에서의 비용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안을 살펴보면 학교 교육 이외의 교육시설에서는 방과후학교( .401), 과외교습(.333), 학원( .266)순으로 보았을 때 요즘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로 많은 학생들이 교육을받고 있으며 전문적인 지도자들이 방과후 학교에서 많이 종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식정보사회에서 창의성과 다양성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나가는 핵심동력이다. 앞으로는 과거와 같이 암기와 반복으로 얻은 지식보다는 창의적 사고와 혁신적 행동을 통해 체득한 지식만이 가치를 발할 수 있는 사회형태로 진화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모든 분야의 사람들에게 창조적 사고, 문제해결력, 나아가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교육은 어떤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위한 훈련뿐 아니라 보다 광범위하게 교육하여 다른 많은 잠재성도 계발해야 한다. 이러한 능력들과 창의성, 다양성은 기초 예술에 달려있다. 기초예술은 우리사회에 창의성, 다양성, 상상력을 공급함으로써 자발성과 자유를 가져다주고, 정신적 위기에 처한 사회에 새로운 꿈과 희망을 제공해 준다. 문화예술분야는 시간이 흐를수록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몫을 하게 될 것이고, 문화복지의 개념으로 예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대될 것이다. 그리고 주 5일 근무제의 정착과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여가 문화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문화예술에 대한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오늘날 초등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욕구 충족과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질적 변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이에 문화예술교육자 입장에서는 다양해져 가는 학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성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초등학생 문화예술교육 선택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무엇이며, 어떤 선택요인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개선해야하는 지를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활발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든 선택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학부모 입장과 학생의 입장에서 중요한 요인을 찾아 보완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culture art education.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reference of alternatives for culture art education such as after-school, education institution, and private lesson by directly asking to 30 parents of students.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was developed by Saaty(1980), was used to find selection factors and preferences of culture art education. As selection factors comparing to education alternatives, this study considered five primary factors which include 13 sub-criteria and three decision alternatives. Five primary factors are development of student's nature and potential, conformance of education program, efficient use of time, circumstance, and total cost. By doing pairwise comparison for 5 criteria, 13 sub-criteria and 3 alternatives, this study found that development of student's nature and potenti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education alternatives and conformance of education program, efficient use of time, circumstance, and total cost were followed in order. Among 13 sub-criteria student's tal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sustainability, capability of lecturer, education cost, conformance of education time, variety of program, and so on were followed. Also this study found the overall pritority for 3 alternatives which after-school was the most preferable alternative, private lesson was next, and education institution was the third. Thus, this study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priorities in selecting culture art education and suggesting which factors are managed and improved more importantly by managers or teachers.

      •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이 초등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백성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이 초등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20명에게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 후 주의집중력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 검사 평가도구는 독일의 H. Moosbrugger 와 J. Oehlschlaegel 가 공동 개발한 FAIR(Frankfurter Aufmerksamkeits Inventar)를 오현숙이 2002년에 번안한 한글판 FAIR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versio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전과 후의 주의집중력에 대한 비교 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t tes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주의집중력의 M 값 수치가 상승되었다. 분석 결과, 주의 집중력 M 수치는 로즈마일 오일을 처치 받지 않은 것 보다 처치 받은 후에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t=-3.59, p<.01). 둘째,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주의집중력의 P 값 수치가 상승되었다. 분석 결과, 사전검사를 통해 나타난 집중력 P 수치는 처치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값을 통해 나타난 t 값 또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t=-20.660, p<.001). 셋째,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주의집중력의 Q 값 수치가 상승되었다. 분석 결과 로즈마일 오일은 이전의 주의집중력 2개 요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과 마찬가지로 Q 수치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t=-4.570, p<.001). 넷째,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주의집중력의 C 값 수치가 상승되었다. 분석 결과 사전집단에서는 .60에서 1.00 사이에 대부분 분포되어 있으나 사후집단에서는 집중력 Q값이 .97에서 1.0사이에 대부분의 피험자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에 살펴보았던 집중력 M값이나 P값의 변화양상과 동일하게 전체 피험자의 집중력 Q값을 모두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다섯째,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주의력 M, P, Q, C 모든 수치의 상승과 함께 주의집중력의 전체 수치도 상승되었다. 분석 결과 로즈마일 처치를 받은 후에는 처치받기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집중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19.98, p<.001). 이러한 결과는 로즈마일 오일을 지속적으로 처치할 경우 집중력을 오랜 시간 유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 후 FAIR 주의집중력의 M(이해), P(능력), Q(품질), C(연속) 수치가 상승되었다.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의 각성효과로 인한 전체적인 주의 집중력향상 효과까지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로즈마리 아로마 오일 흡입이 주의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Abstract MS Thesis The Effect of Rosemary Aroma Oil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ek, Sung Mi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Majoring in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rosemary aroma oil which is well known with the awake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concentrate and learn.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of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ith rosemary aroma oil to the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residing in Kyung-ki province. As the measuring tool for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Korean version of FAIR which is translated by Hyunsuk Oh in 2002 was used. The original FAIR (Frankfurter Aufmerksamkits-Inventar) was co-created by H. Moosbrugger and J. Oehlschlaegel in Germany.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the statistic program SPSS/PC(version 12.0), and the comparison of the degrees of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as analyzed by the paired-t tes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the value M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986 to 998 after inhaling rosemary aroma oil and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ly, the value P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227.50 to 517.30 after inhaling rosemary aroma oil and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irdly, the value Q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843 to .978 after inhaling rosemary aroma oil and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Fourthly, the value C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195.89 to 506.30 after inhaling rosemary aroma oil and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Fifthly, the whole values of M, P, Q, and C of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the improved ability to concentration and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t clearly showed the effect of inhaling rosemary aroma oil to enhance the ability to concentration.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the value M, P, Q, and C of the FAIR was increased after inhaling rosemary aroma oil. Therefore, with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ability to concentration by the awakening effect of rosemary aroma oil, the inhalation of the rosemary aroma oil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the concentration.

      • 스마트폰 게임의 사용자 유인 요인 연구

        백성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factor in smart phone games that draws users. <Angry Bird>, <Paladog>, and <Infinity Blade> are the examples of top contents with high number of users. The research will be focusing on these three games, and will be analyzed in two different factors; exterior attraction, and interior attraction. Provisions of exterior attraction has been drawn out as following; reputation, publicity·marketing, price, graphic, user's review, recommendation made in person, and information. Provisions of interior attraction has been drawn out in four categories; interface, character design, story, and sound. Implications will be given on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smart phone game's marke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exterior attraction that makes users to choose certain games, and analysis of interior attraction to find the factors which makes users to constantly play the gam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xterior attraction was that all of the following has to be active; reputation, publicity·marketing, price difference, user's review, recommendation, and information.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ior attraction was; 1. <Angry Bird>, <Paladog>, and <Infinity Blade> share a different interface in details, but was considered that the interface was suitable for the changes of cellular device; 2. character design wise, <Angry Bird> is very easy to recognize and <Paladog> gives a familiar feeling to human by using animal characters in game. <Infinity Blade> went for character's exterior changes based on the items which the character wears or us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from game to game, but over-all character design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casual game; 3. it's hard for a smart phone game to have a vest amount of story like PC games. These three games used a video to deliver the story to users and also to backup the weakness of smart phone game's story delivering ability. Especially <Angry Bird> used the cellular device's network and pairing the device with 'youtube' to expand and share the story with the others; 4. the BGM(background music) of these games complement the progress of the story and also to explain the spacial background. All of these games use the sound effects very clearly and sounds are being used effectively based on the mood of the game. Various sounds are being used, but mainly used sounds are limited due to repetitiveness of certain sounds. Smart phone game market is still growing, as well as the quality of domestic smart phone games. Hope this study of the main factors that draws users somehow contribute to the domestic smart phone game's research advancement. Keyword: User attracting factor, interior attraction, exterior attraction, smart phone game, continuity, top contents, game application. 본 논문은 스마트폰 게임의 사용자 유인 요인 분석에 주요 목적이 있다. 스마트폰 게임 중 사용자가 많은 상위 콘텐츠인 <앵그리 버드>, <팔라독>, <인피니티 블레이드> 중심으로 외부 유인 요인과 내부 유인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게임의 외부 유인 요인 항목은 명성, 홍보·광고, 가격, 그래픽, 사용자 평가,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추천, 정보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스마트폰 게임의 내부 유인 요인 항목은 인터페이스, 캐릭터 디자인, 스토리, 사운드의 네 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사용자들이 특정 게임을 선택하게 하는 외부 유인 요인 분석을 통해 앞으로 스마트폰 게임의 마케팅에서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내부 유인 요인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게임을 사용하게 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찾아냄으로써 게임 개발 시 고려할 요소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부 요인 분석 결과 명성, 홍보·광고, 가격의 차별성, 사용자 평가, 추천, 정보요인이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부 유인 요인 분석 결과 1.<앵그리 버드>, <팔라독>, <인피니티 블레이드>는 세부적으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인터페이스 과정에서 디바이스의 변화에 맞게 최적화되었다고 판단되었다. 2.캐릭터 디자인의 경우 <앵그리 버드>는 즉각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가시화되어 구성되어졌으며 <팔라독>은 동물 캐릭터가 주축을 이루며 인간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의인화되어 구현되어졌다. <인피니티 블레이드>는 아이템을 구매하면 장착되어 캐릭터에 반영되는 형태로 PC게임에서 등장하는 캐릭터 외형의 변형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가 있지만 캐릭터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캐주얼 게임의 특성에 부합하여 구성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스마트폰 게임은 PC게임처럼 방대한 양의 스토리를 구사하기 어려기 때문에 스토리 전달의 한계가 있다. 세 게임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영상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전달하였다. 특히 <앵그리 버드>는 스마트폰의 네트워크성을 활용하여 유튜브와 연동되며 스토리를 외부로 확장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연구대상 게임의 배경음악은 스토리의 진행을 보완해주며 공간적 배경을 설명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두 효과음이 뚜렷하게 쓰이고 있으며 게임 분위기에 맞는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구사하고자 하였다. 음향은 다채롭지만 반복성이 강하기 때문에 주로 표현되는 사운드는 한정되어있다. 스마트폰 게임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스마트폰 게임의 질적 상승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사용자 유인 요인 분석이 국내 스마트폰 게임의 연구 향상에 기여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사용자 유인 요인, 내부 유인, 외부 유인, 스마트폰 게임, 지속성, 상위 콘텐츠, 게임 애플리케이션.

      • 유아안전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

        白成美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를 돌보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들의 안전의식과 실천행동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유아 교사의 역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유아안전에 관한 인식과 부모로 하여금 가정에서 안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교사와 부모의 안전의식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포항 및 경북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둔 부모 각각 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α=.05로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조사대상 교사와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둘째, 교사와 학부모의 유아안전 관련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χ2: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고, 셋째, 교사와 학부모의 안전관련 실천행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많은 요인에서 교사와 학부모는 안전교육에 있어 그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그 실천상태도 상호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 안전교육 내용 및 활동의 다양화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나,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연수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안전교육 실천상태의 경우 일부 실천항목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실천 항목에서 교사가 학부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천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안전교육은 교사만의 문제, 학부모만의 문제가 아닌 상호 협력 하에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이다. 교사가 먼저 안전의식과 실천태도를 갖추어 유아교육시설 내․외의 각종 위험 요소를 확인․점검하고, 일상생활에서 질서와 안전 수칙을 지키고, 안전에 대한 지식을 실천에 옮겨서 유아들에게 좋은 모범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사 혼자만으로는 이러한 노력들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우므로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발달 특성과 안전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정기적으로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유아기 자녀의 안전생활 및 안전지도에 필요한 관련 정보와 지식, 기술을 제공해 준다면 유아의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들의 인식, 교육방법, 실천상태를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유아안전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현장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유아들이 쉽게 접해볼 수 있는 컴퓨터 매체를 활용한 안전교육 자료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또한, 효과적인 유아안전교육 실시를 위해 가정과의 연계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방안, 안전과 관련된 기관이나 전문단체와의 협조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by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of teachers and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and by investigating the child safety awareness required for teachers to professionally perform their roles and parents’ safety awareness at home. The study targeted 7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education at preschools and daycare facilities in Pohangand Gyeongbuk and 79 parents who leave their children in the aforementioned institutions.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on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α=.05, followed by the below analys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teachers and paren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second, to se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 safety awarenes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 study employed cross-tabulation analysis (χ2: chi-square test); third, to check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fety practi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t also used a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a number of reasons, which led to a huge difference in their safety practice status. In particular, although both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ed diversification of child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activities important, parents placed more importance upon them, while teachers perceived that giving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raining about safety education was necessary. When it came to safety education practice status, in almost every practice types, teachers were more highly engaged than parents, which bore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Child safety education is a matter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to work on together, rather than individually. Teachers should set an example to their students, by showing the right attitudes towards safety and practice, checking up on all kinds of dangerous factors within the facilities, observing order and safety rules in daily life, and putting their knowledge about safety into practice. However, it is hard for teachers alone to take on such tasks. There should be programs about the infa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afety for parents, including organized safety training on a regular basis, so that parents can get full information, knowledge, and techniques about safety guidance, in order to ultimately prevent safety accidents involving their children. In closing, this study includes the research of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child safety education, training methods, and their practice status. Future studies, based upon previous study findings, should develop more resources that can directly help on the site by designing and applying infant safety educational programs. They will also have to diversity educational resources by using computer media infants can easily access. Additionally, to conduct child safety education more efficiently and link it to ho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plans for training parents and joint programs between safety-related institutions or specialized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