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기의병 시기 황해도 평산의병의 陣容과 活動

        배한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ighteous army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began with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and went through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it, and then the late Righteous army arose largely after Emperor Gwangmu's forced retirement and dissolution of the army in August 1907. At the time, the disarmed soldiers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and the Righteous Army War was expanded nationally, and it left a remarkable in the history of the righteous army. The late Righteous army spread across the country with participating of the great ordinary people as well as the disarmed soldiers. In September 1907, the righteous army raised also in Pyeongsan region of Hwanghae-do. Pyeongsan righteous army was a troop consisted of the Hwaseo school of Confucian scholars who having spirit of Wejung-chuksa, the disarmed soldiers, and people of all levels of society. They worked actively Hwanghae-do as well as Nothern Gyeonggi-do and Gangwon-do. Also, according to Euiam Ryu In-seok who was a master of the Hwaseo school of Confucianism, they left their traces behind to Primorsky Krai and Manchuria. On the other hand, Lee Jinpryong and Cho Maeng-sun remained in Korean and waged the righteous army war after the collapsed of the country. In socially, Pyeongsan region, where Pyeongsan righteous army raised, was easy access to us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it had Yeseong River flowing to the east and Myeoraksanmaek to the north. In addition, it was the region that the so-called Seobukdaero linking Pyeongyang and Seoul was passing and it was considered as a strategic point. It was the place that Yurim force was strong and the local people who were influenced by Yurim had a strong Consciousness of Rejecting Heterodoxy and Anti-Japanese thought, so they cooperated and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Pyeongsan righteous army located on Dopyeongsan Masanmyeon in Pyeongsan formed the command, recruited righteous soldiers, and then many people gathered in the camp. As a result, Pyeongsan righteous army camp consisted of the Hwaseo school of Confucian scholars, Ganghwa righteous army, peasants, and hunters were formed. Pyeongsan righteous army camp began their activities in Hwanghae-do region centered on Jangsusan and Myeoraksan. However, the large troop formation of Pyeongsan righteous army couldn’t be maintained for long time. They should be changed on the formation due to the lesson from the fail of the Righteous Army of the Thirteen Provinces and number of soldiers reduced because of Japanese massacre and defection policy. Thus, on April 19, 1908, Pyeongsan righteous army was reorganized its formation centered on small combat units that was good for guerilla wars. As the Japanese suppression had continued, the size of the troops got smaller and smaller. In other hands, the small units were maintained for the strategical reasons. At the same time, they joined the neighboring righteous armies and mounted military operation to combat against Japanese. The members of Pyeongsan righteous arm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Confucian scholars centered on Hwaseo School who led the formation of the army. At the beginning of Pyeongsan righteous army, the half of the command was consisted of Confucians of Hwaseo School. However, most of them were elderly people with less combat power, so they moved to Primorsky Krai with Ryu In-seok. Those who remained in Primorsky Krai sought the ways of resistance to Japan with Ryu In-seok and formed the Righteous Army of the Thirteen Provinces, and some of them who returned Korea including Lee Jin-ryong were newly armed and continued the righteous army wars against Japanese. Second was Ganghwa righteous army. The disarmed soldiers of Ganghwa Ginwidae and people related to enlightenment from Ganghwa were participated in Ganghwa righteous army. They escaped Ganghwa and joined Pyeongsan Camp after the armed uprising with Lee Dong-hwy. Third was ordinary people. Most of them were peasants and hunters. Some of them had experiences of peasant army by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Some were indirectly engaged in the righteous army. They were the people who supported Pyeoengsan righteous army. The people supported the righteius army by supplying war funds and delivering information of Japan. What is specially noteworthy in some of Peongsan righteous army was that the people from Qing Dynasty were participating in Sim No-sul’s troop in 1909. They seemed to be in charge of repairing weapons and making ammunition rather than combat. Since Pyeongsan righteous army raised on Dopyeongsan Masanmyeon Pyeongsan-gun in Hwanghae-do on September 14, 1907, they continued their activities until 1914 with starting of the Dodong Battle. The reason that Pyeongsan righteous army continued for a long time was that there were always someone maintaining the troops and keeping the resistance to Japan. When the commander, Yu Dal-su died, Lee Jin-ryong followed him, and when the troop leader Kim Chang-ho died, Kim Yong-gi followed. After the death of leader Lee Keun-soo, Kong Tae-won succeeded him as a leader of the unit. The continuous succession of Pyeongsan camp positions and keeping the righteous army unit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late September 1907 shows that Pyeongsan camp was continuing its pulse in the early Pyeongsan camp,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that it was unable to identify the camp's true nature after it was not possible. Continuing succession of the Pyeongsan Camp and keeping the righteous army showed that they were remaining the early Pyeongsan Camp, unlike previous research, Pyeongsan Camp dispersed after being defeated by the Japanese in late September 1907 and was unable to find substances of the camp. The troops of Pyeongsan army carried out single-handed guerilla wars, but also engaged in its activities with each other or neighboring units. Park Ki-seob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of Thirteen Provinces, Kim Yong-gi and Lee Keunsoo carried out a joint operation with Ji Hong-il of Ganghwa, and Lee Ji-ryong engaged and worked with Yeon Gi-woo and Gang Gi-dong. The area of Pyeongsan righteous army was mostly in the region of Hwanghae-do but Changeui storm troop and Lee Keun-soo unit got through to Ganghwa-do and surrounding islands in 1908, while Changeui storm troop was active in 1910 between Gangwon, Hwanghae, and Gyeonggi-do in 1910. In addition, Lee Jin-ryong traveled to Primorsky krai and China and brought weapons to strengthen its military power. After Hwanghae-do Great Suppression on 1911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Lee Jin-ryong and Cho Maeng-sun of Pyeongsan righteous army which was fiercely fought thought the activities in Korean would be difficult and defected to Seogan-do to be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Han Jung-man and Kim Jung-hwan, who remained in Korea, carried out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Korea, and Pyongsan's all activities ended when they scarified their life for the country in 1914, 구한말 의병은 1894년 “甲午倭亂”으로 시작되어 전기·중기의병을 거치다가 1907년 8월에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을 계기로 후기의병이 크게 일어났다. 이때의 의병에는 해산군인들이 참가하여 의병전쟁이 국민적으로 확산되면서 의병사에서 괄목할 자취를 남겼다. 후기의병은 해산군인뿐 아니라 평민들도 대거 참여하는 양상을 띠며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1907년 9월 황해도 평산지역에서도 의병이 일어났다. 평산의병은 위정척사 의식을 가진 화서학파 유생들과 해산군인들, 그리고 각계각층에서 사람들로 이루어진 의병부대였다. 이들은 황해도지역을 비롯해 경기 북부와 강원도 등지에서 활약했다. 또한, 화서학파의 종장인 의암 유인석을 따르며 멀리는 연해주와 만주지역을 무대로 활동하는 자취를 남겼다. 그런가 하면 이진룡, 조맹선 등은 나라가 망한 뒤에도 국내에 남아 유격전을 벌이며 의병전쟁을 벌여 나갔다. 평산의병이 일어났던 평산지역은 동쪽으로는 예성강이 흐르고, 북서쪽으로는 멸악산맥을 끼고 있어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활동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다. 또한, 평양과 서울을 잇는 일명 서북대로가 지나가는 지역으로 군사적 요충지로 여겨지는 곳이었다. 사회적으로는 유림세력의 힘이 강한 곳으로 유림의 영향을 받은 지역민들도 척사의식과 배일사상이 강하여 의병의 활동에 협력하고 지원해주는 곳이었다. 평산 마산면 도평산에 자리잡은 평산의병이 지휘부를 편성하며 의병을 소모하자 많은 사람이 의진에 모여들었다. 그 결과 화서학파 유생, 강화의병, 농민·포수 등으로 구성된 평산의진이 결성되었다. 평산의진은 장수산과 멸악산을 중심으로 황해도 지역에서 활동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평산의진의 대규모 부대 편제는 오래 유지되지 못하였다. 13도창의군의 실패에서 얻은 교훈, 일제의 학살과 귀순정책으로 줄어든 의병의 수로 인해 편제에 변화를 주어야 했다. 그렇게 해서 1908년 4월 19일 평산의진은 유격전을 전개하기에 유리한 소규모 전투부대를 중심으로 하는 편제로 재편되었다. 일제의 탄압이 계속되며 부대의 규모는 갈수록 소규모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의병의 전략상의 문제로 소규모 부대를 유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도 전략에 따라 주변의 의병부대와 합진하여 연합작전을 전개하기도 하면서 일제와의 전투를 수행하였다. 평산의병의 구성원은 크게 세 범주로 살필 수 있다. 첫 번째는 의진 구성을 주도했던 화서학파를 중심으로 하는 유생들이다. 평산의병 초기 지휘부의 절반이 화서학파 계열의 유생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전투력이 떨어지는 고령의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유인석을 따라 연해주로 이동하였다. 여기서 연해주에 남은 이들은 유인석과 함께 대일항전 방안을 모색하여 13도의군을 창설하였으며, 국내로 돌아간 이진룡 등의 일부는 연해주에서 얻은 무기로 새롭게 무장하고 의병 항쟁을 이어갔다. 두 번째는 강화의병이다. 강화의병은 강화진위대의 해산군인과 강화출신의 계몽운동 계열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은 이동휘라는 연결 고리로 이어져 강화진위대 무장봉기를 함께하고 강화도를 빠져나와 평산의진에 합류하였다. 세 번째는 평민들이다. 대부분은 농민과 포수로 이루어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하여 농민군으로 활동한 경험을 가진 이들도 있었다. 평민 중에서는 의병에 간접적으로 활동한 사람들도 있었다. 바로 평산의병을 후원해 준 민중들이다. 민중들은 군자금을 지원해주고, 일제의 정보를 의병에게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하며 의병을 지원하였다. 평산의병의 구성원 중 특기할 만한 것은 1909년 심노술 부대에 청나라 사람들이 가담하고 있었던 점이다. 이들은 전투보다는 무기의 수리와 탄약의 제조를 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평산의병은 1907년 9월 14일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도평산에서 거의한 후 1907년 9월 26일 도동 전투를 시작으로 1914년까지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산의병이 오랫동안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의병부대를 지탱하는 사람이 계속해서 나타나 항전을 이어갔기 때문이었다. 유격장 유달수가 죽자 이진룡이 그 뒤를 이었고, 돌격장 김창호가 죽자 김용기가 그 뒤를 이었다. 소모대장 이근수가 죽은 후에는 공태원이 뒤를 이어 부대를 이끌었다. 계속해서 평산의진의 직위를 계승하며 의병부대가 이어지는 모습은 평산의진이 1907년 9월 말에 일제에 패산하여 흩어진 후 의진의 실체를 확인할 수 없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초기 평산의진의 맥을 이어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평산의병의 부대들은 단독으로 유격전을 수행하다가도 평산의병끼리 혹은 주변 부대와 연합하여 활동을 전개하였다. 박기섭은 13도창의대진소에 참여하였으며, 김용기와 이근수는 강화의 지홍일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고, 이진룡은 연기우·강기동 등과 연계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평산의병의 활동지는 주로 황해도 지역이었으나 창의돌격대와 이근수 부대 등은 1908년에 강화도와 주변 섬까지 진출하여 활동하였고, 창의유격대는 1910년에 강원·황해·경기도를 오가며 활동하였다. 또한, 이진룡은 연해주·중국 방면으로 왕래하여 무기를 들여와 전력을 강화하였다. 일제와 치열하게 항전하던 평산의병은 일제의 황해도 대토벌이 시행된 1911년을 고비로 이진룡과 조맹선 등은 국내에서의 활동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서간도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 전환하였다. 국내에 남은 한정만과 김정환이 국내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해갔으며 이들이 1914년에 순국하면서 평산의병의 활동이 끝나게 되었다.

      • KLHDC7B and long non-coding RNA, STAR1 are up-regulated in breast cancer and act as anti-cancer effectors through interferon signaling pathway

        배한솔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KLHDC7B (Kelch domain containing 7B) is Kelch domain possessing protein known to be hypermethylated in breast cancer. Throughout current study, it is proven that KLHDC7B suppresses cancerous characteristics when it is down-regulated in breast cancer. KLHDC7B down-regulation has caused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induced apoptotic activities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and MDA-MB-231. It is shown that its function was conferred through interferon signaling pathway. Significant amount of the pathway related genes were down-expressed when KLHDC7B was down-regulated which indicates interferon signaling has altered the breast cancer cells into less cancerous state. Additionally, a long non-coding RNA that shares expression pattern with KLHDC7B was discovered. ST8SIA6-Antisense RNA1(STAR1) have the same tendency of expression on breast cancer and normal breast with KLHDC7B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0.5887), however, it did not show its effect the same direction as KLHDC7B did. In contrast KLHDC7B activities, STAR1 shown to suppress cancerous activities when it is up-regulated. STAR1 upregulation caused cancer cell migration decreased and apoptotic activity increased. These actions of the two genes were strongly related through interferon signaling pathway. As tested through qRT-PCR, STAR1 up-regulation has altered expression of genes in the interferon signaling pathway. Alteration of interferon signaling pathway means the state of cancer would become fragile to defense systems.

      • Runx2+/- 두개쇄골이형성증 마우스에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에 의한 뼈 이상 회복 기전 연구

        배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Runx2 is a key transcriptional factor of early osteogenesis. Abnormally expressed Runx2 due to disturbance of transcription and post-translational regulation is closely associated to various bone diseas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leidocranial dysplasia (CCD) and studied efficacy of drugs in terms of molecular biology and epigenetics to recover the disease. CCD is a genetic skeletal disorder primari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bones which is caused by Runx2 haploinsufficiency. As it follows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pattern, even if one of the parents has a disease, it can be inherited to a child with a 50% probability. Most of CCD patients have symptoms that defective clavicles and large fontanellels due to delayed skeletal development. Generally, it is caused by Runx2 haploinsufficiency.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RUNX2 function in bone development and osteoporosis; to date, however, no therapeutic strategy has been proposed for CCD. Therefore, we try to discover a way to overcome the disease with therapeutic regimen. Previous report suggests that there is a critical threshold of Runx2 mRNA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CCD pheno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assumed that the phenotypes of CCD could be relieved when the functional Runx2 which have normal transcription activity is induced up to a certain degree in the patient. In part I, we showed that in utero treatment of MS-275 which is kind of a class I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 prevented delayed ossification of calvarial bones in Runx2+/- mice a model animal of CCD. Through several experimental analysis, we demonstrated that this effect was mediated via two different mechanisms: 1. post-translational acetylation of Runx2 protein, which proevented the protein from proteosomal degradation and then promoted its transacting activity; 2. increased expression of Runx2 and osteogenic bone marker genes through epigenetic regulation. In addition, we reveal that MS-275 promotes proliferation of osteoblast both in vitro and in vivo implying that delayed closure of cranial sutures in CC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reduced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n frontal area as well as the delayed osteogenesis.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athogenic mechanism of CCD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reating it with pharmacotherapy. Next, in part II, we carried out gene expression analysis by RNA-sequencing in primary mouse calvarial cells to validate the in vivo results from part I. Through the Bioinformatics technique, we were able to examine the in vitro changes by Runx2 deficiency and MS-275 treatment at the genomic level. Thereby, we could make linkage between skeletal development an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Collectively, we demonstrate here that MS-275 exerted its specific therapeutic effect by promoting proliferation, induction ability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regulating extracellular matrix of osteogenic front cells in the suture region.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the prospective advantages of the therapeutic approach using of MS-275 to alleviate symptoms of CCD and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ole of MS-275 on osteoprogenitor cells during osteogenesis. Runx2/Cbfa1/AML3는 초기 골 분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이다. Runx2 유전자의 전사나 단백질의 합성후수식 조절 기전에 저해되어 비정상적인 발현이 일어날 경우, 여러 골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쇄골이형성증 (Cleidocranial dysplasia; 이하 CCD)이라는 질환에 주목하여 약물을 처리하였을 때 증상 회복 여부를 분자생물학적 측면과 더불어 후성유전학 측면에서 확인하고 검증하였다. CCD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RUNX2 유전자의 반수체부족성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CCD 환자들의 주요 증상은 부진한 골격 발달로 인하여, 쇄골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양상을 보이거나 두개골이 완전히 유합되지 않아 정상인보다 큰 천문을 가진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골 발달과 골다공증 등의 분야에서 RUNX2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까지 CCD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요법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동물모델에서 CCD 표현형을 나타내는 데에는 Runx2 mRNA 발현임계치가 존재한다고 한다. 우리는 이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어, 약물을 처리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Runx2의 양을 어느 수준까지 향상시킨다면 환자들의 CCD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 가설을 세우고 기존 연구에서 Runx2의 발현 및 활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규명한 약물, MS-275 (제 1형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를 후보 약물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S-275를 동물모델 및 세포 모델에 처리하여 우리의 가설을 검증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이를 통해 CCD 질환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CCD 표현형을 나타내는 Runx2+/- 마우스의 태아에 MS-275를 투약하였을 때 두개골의 유합 양상을 포함한 여러 골 기형이 정상 형질에 가깝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한 바, 이를 시작으로 실험적 검증을 통해 MS-275의 CCD 표현형 마우스에 대한 약물 효과는 다음 두 기전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1) Runx2 단백질을 합성후수식 조절 (단백질 아세틸화)을 통해 안정화시켜 전사인자로써의 역할을 활성화시킨다. (2)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해 Runx2를 포함한 타 골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또한, MS-275는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을 동물 조직과 세포 수준에서 규명하였다. 이는 CCD 환자에서 골격 형성이 부진하게 이루어지는 증상이 골전구세포들의 증식능 결함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후 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약물을 처리한 조직 및 세포에서 Runx2 반수체부족성 유전형이 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 군과 감소하는 유전자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유전자 군이 관여하고 있는 생물학적 기전을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Runx2 유전자 결핍에 의한 병인학적 현상을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한편으로는, MS-275를 처리하였을 때 발현양상이 정상형질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유전자 군을 확인함으로써 MS-275의 약리학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이 관여하는 생물학적 기전이 대부분이 세포의 증식, 조골세포의 분화, 그리고 골격의 형성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앞서 수행한 in vivo 및 in vitro 연구와 상응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MS-275라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가 Runx2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그와 동시에 Runx2 유전자 전사 및 골 형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의 증식 및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CCD의 뼈 이상 회복 효과를 야기하였음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약물치료법이 전무했던 CCD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는 것과 MS-275에 의한 골전구세포 분화기전을 실험적ㆍ정보학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직한 초임 남자유아교사들의 이야기

        배한솔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직한 경험이 있는 초임 남자유아교사들의 삶과 그 심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각자의 개별적이고 고유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갈수록 남자유아교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그와 동시에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남성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의 남자유아교사는 아직도 2%대에 불과하며 여전히 남아 있는 편견으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인 세 남성은 현장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사직하게 된 초임 남자유아교사이며, 그들이 소수자로서 살아왔던 삶과 사직 후 현재의 삶을 시간성, 사회성, 장소 차원의 3차원적 공간에 따라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을 통해 각자가 가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으로 시작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일부가 되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협동작업이다. 또한 서로가 삶의 이야기 한 가운데로 들어가 그 삶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한 단계 더 나아가게 된다. 본 연구는 크게 현장으로 들어가기, 현장텍스트 작성하기, 연구텍스트 작성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먼저 연구의 일부로서 내러티브의 현장 중심에 있기 위해 연구자 자신의 이야기에 들어갔다. 그 후,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적절한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고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면담과 기타자료들을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현장텍스트는 내러티브 탐구의 방향성에 따라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 경험 탐구의 4방향성을 고려하여 해석하였고 그 의미를 구성하여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A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유아교육에 대한 흥미를 찾아갔던 과정, 어린 시절의 상처를 극복하며 삶의 의미와 보람을 찾아가려 했던 학창 시절, 예비유아교사 시절 겪었던 소외감과 외로움의 극복과정, 유아교사가 되면서 그동안 이루고자 했던 교육적 신념을 현실의 벽에 부딪혀 실현해나가지 못함으로 좌절감을 느꼈던 과정, 사직 이후 공립 유치원 교사를 준비하며 겪게 되는 심리변화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는 여전히 이상을 실현할 수 없을 것 같은 유아교사의 길과 인정받는 경험을 했던 바리스타의 길을 비교하게 되면서 이상의 실현과 현실의 타협 간 고민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 B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는 자신의 성향을 따라 그저 아이들이 좋아 유아교육을 선택했던 과정, 인정과 부담감 사이에서 점차 유아교사로서 자신을 준비해갔던 대학 시절, 유아교사로 근무하면서 스트레스로 갑작스레 찾아온 안면마비 때문에 입원하게 되면서 느꼈던 심리적 변화의 과정 등이 드러난다. B교사는 입원 기간 직업으로서 유아교사를 되돌아보게 되었고, 결국 남성의 직업으로 유아교사를 이어가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면서 사직을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사직한 현재에도 여전히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C교사의 내러티브에서는 두 가지 꿈인 유아교육과 사회복지를 모두 이룰 수 있는 아동복지학과에 입학했던 경험으로 시작된다. C교사는 함께 의지할 수 있는 남학우들이 있었기 때문에 대학 생활이 다소 평탄했으나, 손재주가 없어 다른 여학생들과 비교되거나 실습에서의 좌절을 경험하기도 했다. 유아교사 시기에는 그간 쌓아왔던 신념대로 아이들과 부드러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던 근무환경이 일할 수 있었지만, 평가 등 너무 힘든 업무로 인해 지치게 되었다. 결국 C교사는 예전부터 꿈꿔왔던 해외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사직을 결정한다. 그러나 계획과는 달리 결혼을 준비하면서 안정을 찾게 되고 사회복지사로 취업하였다. 이후 C교사는 유아교사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그리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비슷한 경험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 사직한 초임 남자유아교사들과 함께 삶을 공유하며 우리가 그동안 겪었던 경험과 사직한 현재 가지고 있는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고찰, 심정을 풀어내면서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의미를 발견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유아교육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사랑하면서도 미운 애증의 유아교육>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상으로서 꿈꿔왔던 유아교육에 대한 사랑과 그것을 실현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좌절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두 번째는 우리의 마음 속 심정의 근원을 직면한 이야기인 <우리가 만난 감정, 두려움>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유아교사로 재진입하기를 주저하고 있었으며 그 근원에는 거절의 경험, 사회적 인식과 시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남성이 유아교육을 한다는 것에 대해 두려움의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는 <현실과의 타협점>으로 각 연구참여자들은 남성에게는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직도 너무 많이 남아 있는 남자유아교사가 오래 근속할 수 있는 직업인지를 고민하고 있었으며 이와 대비되게 자신의 현재 불안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거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대안의 직업을 찾게 되었다. 이는 남자유아교사가 더더욱 현실에 안주하고 다시 유아교육현장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는 큰 이유였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의 논의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정당성의 측면에서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는 자신이 가져온 유아교사로서의 삶을 다시 한번 재조명해보고 그동안 외면해왔던 나의 정체성을 다시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다. 여전히 현실적 어려움에서의 두려움을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언젠가 직면해야 했을 유아교사로서의 ‘나’를 맞이한 소중한 시간이었다. 실제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남자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몇 가지 실천적 변화를 제공한다. 남자유아교사에게는 그다지 온정적이지 않은 사회적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와 용기가 요구된다. 또, 사직한 남자유아교사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남자유아교사 자신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해해나가는 것은 남자유아교사들을 유아교육 현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변화될 때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한걸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우리는 서로를 그동안 너무 불신하고 있지는 않은지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오늘날 우리는 평등을 지향한다고 하지만 서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평등을 실현하기보다 부조리함을 기반으로 평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사회가 회복되고 더 발전되기는커녕 갈등이 더욱 심해지는 퇴보의 길로 향하는 지름길이다. 우리는 유아교육자로서 이 땅에서 미래를 살게 될 아이들에게 ‘회복의 문화를 선물할 것인가?’ 혹은 ‘갈등의 문화를 선물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함께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 Do Older Mothers Deliver Smaller Babies? : A Korean Study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배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LBW)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in Korea and is now at an alarming level. This trend makes health professionals and policy-makers concerned because it imposes large costs on society in the short and long term. However, this trend is not expected since most birth weight determinants have changed in favor of increasing it. Using birth registration data, this study finds that increasing maternal age adversely affects birth outcomes, especially increasing the incidence of LBW. Specifically, advanced maternal age has a negative effect on gestational weeks and then the birth outcomes aggravate.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y maternal age has a negative effect on gestational weeks. This study provides plausible explanation that the increasing incidences of subfertility and gestational diabetes with age account for deceasing gestational weeks. Low birth weight babies can be burden to individual and society in that the average hospital cost of low birth weight babies amounted to about 15 million won in 2016 and government's expenditure on policy of fundholding for LBW exceeded 11 billion won in 2016. Therefore, policies and campaigns that deal with pre/during-pregnancy maternal health status need to be implemented.

      • Classification and interaction modes of rice E2 ubiquitin-conjugating enzymes with seventeen ARM-U-box E3 ubiquitin ligases

        배한솔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박사

        RANK : 248623

        Rice, a monocot model plant, contains at least 77 U-box E3 ubiquitin (Ub)-ligases and 48 E2 Ub-conjugating enzymes. To investigate the minimal E2-binding domain of U-box E3 Ub ligases, we used SPL11 as the U-box E3. After the screening of SPL11-interacting E2 partners, serial deletions and site-directed mutagenesis analys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in addition to an intact U-box motif, the N-terminal tetra-peptide (IPDE) short extension of the U-box was essential for the interaction of SPL11 with E2s and Ub-ligase activity. The Ile and Pro residues at the ?4 and ?3 positions of the U-box, respectively, were crucial for this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terminal tetra-peptide extension of the U-box participates in the specific interaction of SPL11 E3 with E2s in a sequence-specific manner in rice.Based on the homology comparisons with forty Arabidopsis E2 proteins and thirty-five functional human E2s, forty-eight rice E2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fifteen different groups. Yeast two-hybrid analysis showed that, among forty rice E2s, eleven E2s accounted for more than 70% of interactions with seventeen ARM-U-box E3 Ub-ligases. Thus, a single E2 could interact with multiple ARM-U-box E3s, suggesting the existence of the E2 hubs for the E2-E3 interactions in rice. Rice SPL11 ARM-U-box E3 displayed distinct self-ubiquitination patterns, including poly-ubiquination, mono-ubiquitination or no ubiquitin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E2 partners. This suggests that mode of ubiquitination of SPL11 E3 is critically influenced by an individual E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