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정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의 차이,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놀이에 대한 이해와 활용 및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일반 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아버지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의 차이는 어 떠한가? 2-1.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교육수준, 놀이시간)에 따른 놀이신념의 차 이는 어떠한가? 2-2.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교육수준, 유아의 연령, 유아의 성별)에 따 른 훈육방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하위변인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구시와 부산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의 유아와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 검사도구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과 훈육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또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 유아 자기조절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의 놀이신념의 전반적인 수준은 학습중심신념(M=4.19)이 놀이지지신념(M=4.03)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들의 훈육방식으로는 논리적 설명(M=3.95)을 가장 많이 보이며, 강압적 태도(M=2.37), 방임(M=1.88)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M=3.05)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하위변인별로는 자기평가(M=3.93), 행동억제(M=3.15), 자기결정(M=2.99), 정서성(M=2.3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신념은 교육수준, 놀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지지신념은 교육수준이 대학원이상의 집단이 고등학교졸업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F=5.60**), 놀이지지신념(F=4.03**과 학습중심신념(F=2.34*)에서 아버지와 자녀와의 놀이시간이 5시간이상의 집단이 놀이시간 전혀없음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훈육방식은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연령이 30~34세의 집단이 30세미만의 집단보다 강압적체벌이 높게 나타났으며(F=2.62*), 아버지의 연령이 35~39세, 40~44세 집단이 30세미만의 집단보다 방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43*).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졸업의 집단이 대학원 이상의 집단보다 강압적체벌이 높게 나타났으며(F=2.62*), 대학원 이상의 집단이 고등학교 졸업, 전문대 졸업의 집단보다 논리적 설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6.60**). 자녀의 성별이 남아인 아버지들이 여아의 아버지들보다 강압적 체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43*). 셋째,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의 하위요인들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21.3%의 설명력을 보이며, 전체 자기조절능력에는 아버지의 놀이지지신념과 논리적 설명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훈육방식의 하위요인들은 유아의 자기평가에25.6%의 설명력을 보이며, 놀이지지신념과 논리적 설명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유아의 자기결정에는 13.5%의 설명력을 보이며, 놀이지지 신념이 긍정적인 영향을, 강압적 체벌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유아의 행동억제에 19.6%의 설명력을 보이며, 놀이지지신념과 논리적 설명이 긍정적인 영향을 강압적 체벌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유아의 정서성에는 54.2%의 설명력을 보이며, 아버지의 강압적 체벌과 방임이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자녀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아버지 역할

      • 장애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배정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가 자신의 행동, 정서, 인지 등을 조절하는 능력인 자기조절력은 생애 전반에서 활용되는 주요 능력 중 하나이고, 유아특수교사는 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살펴볼 기회가 많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사들이 장애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48명의 유아특수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3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차이가 나타난 경우에는 Scheffe를 통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장애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하여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배경변인 중에서는 최종학력에 따라 장애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유아특수교사의 소속 기관 유형은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소인 자기결정, 정서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장애유아의 장애유형에 따른 자기조절력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소인 자기평가, 자기결정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교육 기관 적응과 관련되는 자기조절력에 대하여 유아특수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통하여 장애유아들의 자기조절력이 보통 수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장애유아들의 자기조절력 증진의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고 자기조절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련 연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Self-regulation, which is young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their behaviors, emotions, and perception, is one of the significant skills that they make use of throughout life,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many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4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2 questions conducted. All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hen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from the analysis results, Scheffe test carried out as a posteriori tes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the average level. Secondly,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 to which they belo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perceiving self-determination and emotionality as sub-elements of self-regulation. Thirdly, the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ing self-regul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s in perceiving self-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it is related to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adjustment.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ir perception of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the average level.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re is still a high possibility tha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improve their self-regul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regulation improve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relevant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한국의 개발협력정책 발전모델 연구 : ICT4D의 국제비교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배정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2009년 OECD 개발협력위원회 가입을 전후로 ‘한국적 개발협력모델’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타 원조 공여국(供與國) 대비 질적 차원에서의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특히 1990년대 이후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ICT 기반의 국제개발협력, 즉 ICT4D에 주목하여 관련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원조 규모의 확대는 국가 규모 상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은 타 공여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을 활용하여 질적 비교우위를 확보하여야 하나,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명확한 방안이 드러나 있지 않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주요 공여국들의 ICT4D 현황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상황과 비교해보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2000년대를 전후하여 진행된 ICT4D는 일반적으로 원조 공여국들의 주도로 이뤄졌다. 공여국들은 주로 인터넷에 대한 수원국(受援國) 주민들의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인터넷으로 인한 정보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사업들을 진행했다. 그러나 Heeks(2009)는 이런 사업들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ICT4D에 대한 기본적 접근방식을 정보에 대한 접근성 향상에서 정보에 대한 활용성 향상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더불어 수원국의 상황에 보다 적합하고 효율적인 ICT4D 사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원국 주민과 기업, 그리고 공여국 기업 및 개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대안적 ICT4D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영미를 비롯한 주요 선진 공여국들의 경우 Heeks가 주장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 점차 ICT4D 사업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과거의 핵심 사업이었던 정보접근센터 등 인프라 구축사업 규모는 축소되는 반면 개발도상국에 이미 널리 확산되어 있는 무선인프라를 활용하거나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대안적 프로젝트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원조 효율성 강화와 혁신적 아이디어 획득을 위해 원조기관들 스스로가 민간 기업과의 협력 및 웹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다른 행위자들과의 보다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말까지 한국의 ICT4D 원조기관들이 시행해 온 정책을 분석해보면 아직은 선진 공여국과 같은 변화의 움직임을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의 ICT4D 사업은 PC 및 유선 네트워크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접근센터 구축 및 개발도상국의 정부기관 인프라 구축이 여전히 주력이다. 또한 교육연수사업과 해외봉사단 사업 역시 단기 위주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내용 역시 전자정부 등 일부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현재 한국의 ICT4D 정책은 수원국 내에서의 정보흐름 및 파급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수립되기 보다는 공여국 차원에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역량 위주로 디자인되어 있다. 선진 공여국 및 한국의 ICT4D 정책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의 ICT4D 모델은 신속한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 및 경제, 사회발전을 위해 휴대폰 등을 포함한 기존 개도국 인프라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간 기업과 개인 등 보다 다양한 행위자들을 ICT4D 사업에 참여시키는 형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첫째로는 기존의 인프라 구축 위주의 사업을 지양하고 수원국의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 사회적 발전을 시도하는 적정기술 위주의 프로젝트들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에 폭넓게 보급되어 있는 동시에 한국이 타 공여국들에 비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이동통신 산업 역량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수원국의 빈곤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이 우선되어야 하는 만큼,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역적 전문성 향상 및 이를 통한 수원국 주민들의 주체적 참여 확대 역시 과제로 제시된다. 그리고 민간 기업 및 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기존의 ICT4D 사업에서는 한국 정부와 원조사업기관, 그리고 개발도상국 정부가 주요 행위자였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CT 분야에서의 역동성을 ICT4D에 접목하고 이를 수원국의 발전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국내 기업과 수원국 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기술이 자연스럽게 이전되고, ICT4D 분야에 관심을 갖는 개인들 역시 자신들의 역량을 통해 사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금보다 폭넓은 차원의 민관협력을 고민할 시점이다. South Korea is trying to secure comparative advantag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ield through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after joining OECD DAC in 2009. In accordance with those plan, Korea government is moving focus on ICT4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evelopment, with world-class competitiveness in ICT field. South Korea, however, still doesn't set a clear road-map to get the comparative advantages in quality of ICT4D, compared to other donor agencies to overcome short resources in relative.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recent trend on ICT4D in other donor agencies and tried to compare it with the situation of ICT4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Heeks(2009), the new trend of ICT4D, so called ICT4D 2.0, is summarized as a donor country should consider but all flow of information and especially its application, not accessability to internet and telecenter construction for it. Private cooperations and Individuals also can be core participants in ICT4D 2.0 process, moreover, to provide a recipient countries with more effective aid. Most of donor countries, including U.S and U.K, are also getting to change their paradigm of ICT4D. They more and more prefer to launch alternative projects for enhancing capacity of corporations in recipient countries and try to mainstream ICT in other industries by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such as mobile broadband, TV and radio, rather than to build ICT infrastructures. Furthermore Aid agencies are trying to communicate with new tools such as world wide web and social network services. However, aid agencies in charge of ICT4D in South Korea, mainly KOICA or NIA, are still hesitate to catch up with the new trend. They are failed not only to use most developed mobile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 in effective, but also to cooperate with private ICT companies and social entrepreneurs that have potential resources in ICT4D development field. Consequently, South Korea needs to focus on ICT4D projects which use ICT as valuable tool to achieve goals such 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Alternative projects using appropriate technologies such as mobile phone in recipient countries should be increased. Training on mobile application programming can be a good example. It is also strongly recommended that improving institution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ICT companies and social entrepreneurs who can contribute innovative idea.

      • 체제전환기 ICT 스타트업 생태계 연구 - 중국·베트남·쿠바 사례와 북한에 대한 함의 -

        배정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점진적 체제전환국들은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추구한다. 이런 체제전환국들에서의 ICT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과정에서는 기업가와 투자자의 적극적 역할을 전제로 하는 일반적인 ICT 스타트업 생태계와는 다소 상이한 발전 경향이 나타난다. 사회주의 체제 성립 이후 장기간 생산수단을 독점해온 정부는 체제전환 초기 민간에서의 ICT 스타트업 형성이라는 현상을 인지하게 되고,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체제전환국 정부는 생산수단의 실질적 사유화를 일부 인정하더라도 민간 ICT 기업가의 스타트업 설립을 용인하여 새로운 행위자의 등장을 받아들이고 이들에 대한 물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성장의 과실을 나누는 비공식적 합작 구도를 택하거나, 아니면 민간 기업가가 설립한 스타트업의 활동에 대해 승인 없이 묵인하는 형태로 대응함으로써 ICT 인프라를 활용한 체제 내 생산성 증대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택하게 된다. 중국이 전자의 선택을 했다면, 쿠바는 후자에 가까운 선택을 취했다. 베트남은 중국과 비슷한 입장을 택했으나, 정부의 신속한 제도개선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초기조건상의 열위로 인해 중국보다 ICT 스타트업 생태계의 형성이 다소 지연되었다. ICT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자본을 공급하는 행위자 역할을 하는 투자자는 ICT 스타트업들이 형성된 이후의 생태계 발전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생태계 형성기에 ICT 스타트업의 활동을 허용한 체제전환국 정부는 부족한 생산요소인 자본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게 되나, 벤처금융에 대한 역량 부족으로 인해 내부적인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중국은 미국 실리콘밸리 등과의 교류 등을 통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외국계 벤처캐피털들을 끌어들임으로써 ICT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 베트남은 국제기구 및 인접국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외국계 투자자 그룹을 유치할 수 있었다. 체제전환국에서의 ICT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과 발전 경험은 북한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물론 ICT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노동과 자본 측면의 행위자인 민영 기업가와 투자자가 북한에 아직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북한 역시 2010년대 이후 ‘우리식 경제관리방법’ 등 기업에 대한 자율성을 확대하는 형태의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고, 점진적 체제전환국들과 유사하게 인적자원 면의 강점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중심 경제발전 노선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본다면 북한에도 ICT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은 갖춰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돈주 등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 ICT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의 열쇠는 공식적으로 생산수단을 독점하고 있는 북한 정부가 쥐고 있다. 중국 및 베트남에서와같이 북한 정부가 이후 잠재적 민간 기업가들과 사실상의(de facto) 민관합작을 취하며 정부 벤처캐피털과 같은 형태로 자본을 공급, 육성하는 방향으로 나간다면 북한에서도 ICT 스타트업 생태계가 형성되어갈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북한이 가진 지정학적 장점을 고려했을 때, 미국에 필적할 정도로 성장한 중국의 ICT 스타트업 생태계는 국제기구 등을 통한 지원이 제한된 북한이 활용 가능한 또 하나의 외부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갖는다. In the transition process from a socialist economy to a market economy, transition countries such as China, Vietnam, Cuba tend to take different approaches to develop their ICT startup ecosystem than market economies do, mainly due to the state monopoly on the means of produ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period, socialist governments witness the growing private ICT startups and are faced with policy-level decision to cope with the new phenomenon. One approach is to choose a form of unofficial cooperation, acknowledging the partial privatization of the start-up by entrepreneurs and using the growth of ICT start-up for economic development. Another is to silently reap the socio-economic benefits from the activities and infrastructures of the ICT startups without any official approval. China chooses the first approach, while Cuba took the second. Vietnam took a similar position as China’s, but Vietnam's ecosystem developed more sluggishly due to its inferior initial conditions. Investors, who supply capital in the ICT startup ecosystem, appear after the startups are formed and as the ecosystem develops further. Transition countries that allowed the startups in the inception seek ways to supply capital, only to face limitations due to the lack of venture financing experience. Faced with this difficulty, China improved its institutions through exchanges with Silicon Valley and attracted foreign venture capitals to deepen its understanding on the ICT start-up ecosystem. Vietnam was able to leverage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eighboring countries to attract foreign investors. Such experiences of the transition countries offer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It is yet to say that North Korea has an ICT startup ecosystem set in place with explicit entrepreneurs and investors, respectively playing roles of labor suppliers and capital suppliers. However, North Korea is promoting economic reforms that allow state-owned enterprises to be more autonomous since the 2010s and pursuing a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development based on its strength in human resources, much like the transition countries mentioned above. These conditions indicate that North Korea also has the potential to form its own ICT startup ecosystem. Despite the recent growth of “Donju,” North Korean private capitalist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till officially holds a monopoly on the means of production and hence the key to formation of the ICT startup ecosystem. I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stablishes a ‘de facto'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potential private ICT entrepreneurs, it may signal the beginning of the ICT startup ecosystem in North Korea, like in China and Vietnam. Besides, considering North Korea's geopolitical advantages in East Asia, China's ICT startup ecosystem, which has grown to a level comparable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can serve as external resource that North Korea may leverage amidst the international economic sanction.

      • 여성 바보담 연구

        배정민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ypes of the stories about silly women based on the data from legendary tales, and to analyze the aspects and the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chapter, we discuss under what conditions silly women stories were created. How the women's life was in our traditional society and how these stories started are studied. Our traditional society was men-centered patriarchal. Womens' life was very strictly regulated. Women had many different duties as a mother, a daughter, a wife, and a daughter-in-law. Unlike the wisdom stories expressing women's strong will to fac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strict regulations an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ir life, these stories about silly women were created to find positive ways of lives. In the third chapter, the asp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ies are discussed. Depending on in what position and how their stupidity was expressed, the silly women stories can be grouped into four subtypes, which are named subtype 1. of obedient women, subtype 2 of illiterate women, subtype 3 of imitative women, and the last subtype of stupid women respectively. Women in the obedient subtype stories are so innocent that they do anything as ordered even in inappropriate situations. This subtype was originated with an intention to express the inappropriate solution. With the repeated mistakes, the story gets more and more interesting, which is a typical silly women stories. In the stories, absolute obedience sometimes brings a success by accident. This subtype stories are again divided according to 4 different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who is deaf, the second who is a daughter-in-law and uses honorific words, the third who tries a second marriage, and the last who was not a filial daughter-in-law but becomes the one later. The illiterate subtype, which is similar to the imitative and the stupid subtype, has own features. It includes a typical character who has no knowledge on sex(for example, a servant birding a girl, a cunning salt seller, a woman tricked by her husband, a woman who gets goods after having sex, and a bachelor), the foolish mirror subtype of characters, the subtype in a story of excrement and soybean paste. Most of these are the sex stories.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stories about the characters who were not exposed to the civilization, do not tell the excrement from the soybean paste, or didn't have a chance to study. The imitative subtype includes stories about foolish characters or stupid behaviors, and stories about the cheaters are also included. The imitative subtype has a underlying conflicting elements in a compatible structure. Conflicts between good and evil, a mo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a normal and an abnormal states underlie the structures. This subtype stories describe a stronger daughter-in-law than a mother-in-law. Not simply depicting usual obedient daughters-in-law and powerful mothers-in-law, they encourages good and punish evil. I examined them with focus on the mixture of an amusement and an instruction. The stories about the stupid women, which are the most popular among the silly women stories, include family relationship or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The last two subtypes mentioned above focus on the stupid women themselves, but this subtype stories are about general stupid persons. Women continuously want equal treatment and better place even in the feudal system, which is the popular theme. These desires were expressed more specifically, especially in the unsatisfactory positions and finally led to the active solution, not to the resign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heroines in the silly women stories should not resign themselves even in the pressing realities, seek new ways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express sense of humor. Since they were supposed to stay at home, it was also meaningful to just examine the aspects of the traditional women's lives and their recognition levels of sex, and the funny characters in the stories. 본고는 설화 자료 중에서 여성 바보담 유형을 설정하고 그 양상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보 여성담의 출현 배경에 대해 살핀다. 전통 사회에서의 여성의 삶과, 그 속에서 여성 바보담이 발생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피는 것이다. 우리의 과거 전통 사회는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였으며, 그로 인해 여성들은 철저히 통제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여성들은 며느리이자 아내로, 어머니이자 딸로 그 의무를 수행하며 살아왔다. 특히 여성 바보담은, 일반적으로 ‘여성들을 억압하는 사회의 현실 문제를 직시하고 삶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여성들의 의지의 표출에서 비롯된 지혜담’ 과는 달리, 삶의 긍정적인 해결 방식을 찾으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Ⅲ장에서는 여성 바보담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본다. 여성이 어떤 위치에서 어떻게 바보스러운 행동을 하는지, 어떤 모티프를 가지느냐 등에 따라, 여성 바보담을 1. 맹종형, 2. 무지형, 3. 모방형, 4. 우둔형으로 나누고자 한다. 맹종형은 너무도 순진하기 때문에, 상황에 부적절한 경우에도 시키는 대로만 하려고 하는 여성 바보담을 다루었다. 이러한 型은 바보의 비정상적인 해결을 거듭 나타나게 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거듭되는 실수담으로 웃음의 강도가 높아지며, 바보 실패담의 전형이기도 하지만 맹목적인 복종은 우연하게도 성공을 가져오기도 하는 型으로, ① 벙어리 시집살이型과 ② 공대말 쓰는 며느리型, ③ 개가(改嫁)하려는 여자型, ④ 효부된 불효부型으로 나뉜다. 무지형에서는, 여성 바보담의 ‘모방형’ 이나 ‘우둔형’ 과 같은 型에 들면서도 실제로는 이러한 型들과는 구별되는 요소를 지닌 작품들을 다루었다. ① 남녀 간의 성(性) 무지型(처녀 꼬인 머슴型, 간교한 소금 장수型, 남편 꾀에 속은 여자型, 관계하여 물건 얻은型, 고추 불 끈 총각型), ② 우자(愚者)의 거울型, ③ 똥된장 이야기型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型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남녀 간의 성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그 외에도 새로운 물건이나 문명 등에 대한 원리를 모르거나, 똥과 된장도 구분하지 못하는 無知, 배우지 못한 데에서 오는 無知로 인해 일어나는 型을 다루었다. 모방형이란, 전체적으로 어리석은 사람, 또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이야기가 많은 가운데, 또 한편에 남을 골려먹는 인물들에 관한 이야기가 한 몫을 차지하는 型이다. 이 ‘모방형’ 의 바탕에는 몇 가지 대립 요소가 맞물려서 병립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선․악의 대립 관계, 그리고 시어머니와 며느리 및 정상․비정상으로써의 대립 요소가 맞물려 대립 관계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요소가 이야기 흐름과 맞물리는 가운데, 또 다른 차원의 의미를 드러낸다. 여기서는 보통 시어머니가 며느리보다 나약한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며느리가 순종적이라거나 시어머니의 권위가 느껴지기 보다는, 권선징악(勸善懲惡)적 요소나 의식도 그 속에 담겨 있다. 이처럼 여성 바보담의 ‘모방형’ 구조 속에도 ‘흥미’ 와 함께 ‘교훈’ 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살펴본다. 우둔형은 바보담의 대표적인 소화(笑話)로, 가족 관계나 남녀 관계에서의 여성 바보담 유형을 포함한 일반적인 관계에서의 여성 바보담이다. 이러한 型은 앞의 두 型이 바보 여성 주체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일반적인 바보 이야기이지만 단지 성별만 여자일 뿐인 이야기를 주로 다룬다. 봉건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들은 평등을 추구하며 더 나은 세상을 향한 노력을 역사 속에서 꾸준히 요구해 왔다. 설화에서도 이러한 소망은 끊임없이 나타나는 주제이다. 더구나 현재의 위치가 자신이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닐 때, 이러한 욕구는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나며 체념보다는 다른 방법으로 이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구체화되고 전승된다. 특이하게도 여성 바보담의 주인공들은 자신을 억압하는 현실의 관제화된 사고에 위축되지 않고, 새로운 방식의 소망 추구와 일상 생활과 관련된 경험적 재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또한 여성에 대한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또한 전통 사회에서 여성들은 활발한 바깥 활동보다는 가정 내에 머물렀으므로, 여성 바보담 연구는 여성들의 삶의 양상과 그들의 성 인식, 전반적으로 여성들의 해학적인 모습을 살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MDI trimer를 이용한 PT-PUIRF의 내열성과 난연성 향상 연구

        배정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유자원의 고갈로 인해 에너지 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의 저장과 보존 기술이 함께 이슈화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열재의 적용과 단열성능의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은 대표적인 유기 고분자 단열 소재로 건축물 내장재 또는 LNG 선박 및 저장 탱크 등과 같은 분야의 단열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잇따라 발생하는 화재사고들로 인해 경제적, 인적 피해가 생겨남에 따라 단열재의 난연성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MDI를 pre-trimerization 시켜 pre-trimerized isocyanurate prepolymer(PT, PMDI trimer)를 합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pre trimerized - polyurethane polyisocyanurate foam(PT-PUIRF)을 합성하였다. TGA와 LOI, UL94 V 및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합성된 PT-PUIRF와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PUIRF)의 열 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을 비교하였다. FT-IR을 통해 PT-PUIRF에 포함되어있는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PUIRF 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로 인해 PT-PUIRF가 PUIRF 보다 높은 내열성과 난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oncerns about energy shortages are mounting due to the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and conservation technologies are also being addressed.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insulation and improvement of insul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reduce energy los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Polyurethane foam is a typical organic polymer insulation material and is used as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or insulation material in areas such as LNG ships and storage tanks. In recent years, however, subsequent fire accidents have caused economic and human damage, which is intensifying regulations on the flame retardancy of insulation materials.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urethane foam, the pre-trimerized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 (PT-PUIRF) was prepared using pre-trimerized isocyanurate prepolymer (PT). Herein, PT was synthesized by pre-trimerization using PMDI and trimerization catalyst. Thermal stabil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T-PUIRF and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 (PUIRF) were evaluated via TGA and UTM. Also, the flame retardancy of these foams was investigated by limiting oxygen index (LOI) and vertical burning test (UL94 V). FT-IR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isocyanurate in PT-PUIRF was higher than that of PUIRF, suggesting that PT-PUIRF exhibits superior thermal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than PUIRF.

      •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 몰입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정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ovide a clue to the use of tools such as contextual game-based metaverse, or Minecraft, in the school field. The research problem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affect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depending on the grad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y participation experienc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participation) i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7 students from K Specialized High School. T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grade, particip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type), pre-test sco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as covarianc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had an effe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whether to understand and master knowledge, thinking, functions, and skills in a specific area,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ffects diffuse thinking,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nd motivational factors. In additio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were found to affect learning commitment. It was found to affect the sub-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harmony of challenge and ability, integration of behavior and consciousness, clear goals, specific feedback, focus on tasks, sense of control, loss of self-consciousness, distortion of sense of time, and self-purpose experience. In additio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n the difference betwee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according to grad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additio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addition, metaverse-based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type. Suggestions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ame-based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and actively use it in programming class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ame-based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and actively use it in various other class situations in addition to programming classe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to various classes,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a result of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support for external Internet networks to use game-based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in class. Through this, teachers in schools will be able to actively use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in various class situa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so that game-based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classes. Through this, teachers will be able to easily use it in various class situations as well as design various educational media such as game-based metaverse such as educational Minecraf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rogramming classes using Minecraft, one of the game-based metaverse platforms,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educational level, and provides clues to designing teaching media and using contextual game-based metaverse, or Minecraft, tools.

      • Vivienne Westwood 작품에 나타난 다원적 절충주의 분석 연구

        배정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다원화됨에 따라서 복식도 다양한 스타일이 등장하여 공존하게 되었고 과거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의 결합, 동,서양문화의 결합, 남성적 요소와 여성적 요소의 결합 등 상반되는 개념들이 혼합,절충되어 패션에 다양성을 부여해 주었다. 문화적 다원주의와 이 시대의 중요한 사회,문화적 현상의 한 흐름으로 급부상하여 지속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절충주의 현상에 대한 고찰과 이를 바탕으로 패션에 나타난 다원적 절충주의 현상에 관한 연구는 연구적 가치가 높다고 사려되며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혁신적이며 절충주의적인 영국 패션을 세계에 알린 Vivienne Westwood의 작품을 통해 다원적 절충주의의 선례를 연구하고 20세기 이후 다원성과 함께 절충주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원적 절충주의 현상을 사회?문화적 시각으로 살펴보고 패션에 나타난 절충주의 현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다원적 절충주의의 일반적인 개념을 고찰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다원적 절충주의 현상의 사례를 시간적 절충주의, 공간적 절충주의, 상황적 절충주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원적 절충주의적 관점에서 Vivienne Westwood의 작품을 시간적 절충주의, 공간적 절충주의, 상황적 절충주의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Vivienne Westwood는 주로 시간적 절충주의인 역사주의 경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80년대 이후 Mini-Crini Collection을 통해 Crinoline Dress를 파격적으로 짧게 재해석하여 새로운 방향을 일으켰다. 그녀는 역사의 다양한 부분에서 절충을 시도했다. 때로는 남성복에서 때로는 화류계의 여자로부터 또한 공예품이나 왕실의 드레스에서까지 시간을 넘나들 뿐만 아니라 사회 계층을 넘나들면서 역사의 현대화를 시도한 디자이너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Vivienne Westwood 작품에서 보이는 공간적 절충주의는 인디언에서 영감을 얻거나 열대지방 부두교에서 이름을 차용한 초기 Collection 테마 등에서 보인다. 90년대 이후 에스닉 트랜드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주된 경향은 아니며 작은 아이템의 사용에서 에스닉적인 요소가 미미하게 엿보인다. 마지막으로 Vivienne Westwood 작품에 나타나는 상황적 절충주의인 인프라 패션은 상황적 절충주의와 함께 역사적 절충주의도 보여지는 다원적 절충주의로 해석될 수 있다. 매번 Collection 마다 등장하는 코르셋은 Harris Tweed Collection이후 단순한 디자인, 18세기 문양으로 재해석되거나 그림이 프린트되어 등장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모든 문화는 문명의 세계화에 따라 그 문화의 차이, 다양성, 다원주의에 의해 절충주의적 형식을 띄고 있으며 혼혈적이고 다층적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수많은 트랜드와 스타일의 슈퍼마켓 안에서 영향력 있는 존재로 공존하는 환경 속에서 영국의 전통을 현대화하는 다원적 절충주의 경향을 파격적으로 표현한 Vivienne Westwood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경향에서 드러나는 다원적 절충주의의 선도적인 의의를 입증하였다.

      • Delong 이론의 지표적 고찰을 통한 패션의 형태적 과장 현상 연구

        배정민 중앙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복식은 인체를 매개로 표현되며, 그 시대의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라 인체 형태의 특성을 살리거나 혹은 인체 형태의 특성과 관계없이 새롭고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된다. 인체의 고유한 형태를 벗어나 조형적인 공간을 만들어내는 형태적 과장 현상은 더욱 다양화되고 추상적인 구조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형태적 과장 현상의 분석을 통하여 과장 현상에 내재된 다양성과 복합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인 관점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인체 고유의 형태를 벗어나 과장된 형태로 인지되는 복식을 하나의 객관적인 대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형태적 관점에서 Delong이 제시한 대립 개념을 이용한 분석법을 통하여 복식의 형태에 대한 객관적인 태도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장 현상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형태의 과장 현상에 대한 미적개념과 사고의 변화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갖는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통하여 본 연구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조형예술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형식적 양식 이론과 복식조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Delong의 형태적 개념 쌍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과장 현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복식의 형태적 근원을 역사 복식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그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Delong의 이론을 지표적 틀로 하여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형태의 과장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역사 복식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론적 연구와 사례고찰을 근간으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 과장은 시각적 흥미로움을 유발하고 새로운 공간의 방향을 제시한다. 복식에 있어서 형태적 과장은 복식의 선과 실루엣이 인체의 형태를 벗어나 실제의 인체보다 눈에 띄게 확대되어 새로운 공간 확장을 형성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시각적 인지에서 크고 지나침이 확연히 구분되는 형태로 공간감과 입체감을 표현한 복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Delong 이론의 지표적 고찰을 통해 역사 복식의 형태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형태적 과장 현상이 두드러진 르네상스 시대의 복식은 폐쇄적이고 정적인 명료형이며, 부분형, 공간분리형, 평면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바로크, 르네상스 시대 복식은 유사한 시형식으로 분류되며 불명료하고 다양한 장식으로 인한 개방형, 전체형, 공간통합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릴, 러플, 리본, 루프와 같은 디테일은 깊이감과 입체감을 부여한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로맨틱 시대 복식의 형태적 과장 현상은 르네상스 시대 복식과 유사한 폐쇄형과 부분형, 공간 분리형으로 특징지어지지만, 소매 디자인이나 장식의 면에서 입체형과 불명료형의 특징이 고찰되었다. 크리놀린, 버슬, 아르누보 시대 복식은 전체적으로 화려함과 장식성이 강조된 비구축적인 형태의 개방형, 화려한 장식과 소재의 중첩으로 전체형, 공간통합형, 입체형, 불명료형의 특성이 강조된다. 셋째, 전체적으로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과장 현상은 움직임에 의해 가변적인 개방형 과장 현상이 큰 흐름을 이룬다. 즉 공간과 폐쇄적인 형태로 과장이 진행되기 보다는 가변적이고 개방적이 형태로 공간 확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공간의 확장은 인체를 볼륨감 있게 확장하고 과장함으로써 기능적 측면이나 과시적 측면을 강조하기 보다는 자유로운 감각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성적 측면에서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복식 구성 원리와 디자인 원리에서 탈피하여 구성방법의 첨단화로 다양한 형태의 과장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2000년 이후 전반적인 패션 트랜드인 로맨티시즘의 영향으로 과도한 러플장식, 리본장식의 사용으로 복식 공간을 확대시킨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는 복식의 경계선과 공간을 불명료하게 구분하며, 복식 전체를 먼저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과도한 장식은 움직임에도 크게 영향을 받으며, 공간과 복식을 통합하는 형태로 많이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차용된 역사적 요소와 장식적 기법은 발전된 새로운 기술과 재료들이 결합되어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과장 현상을 환상적이고 로맨틱한 분위기로 만들어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과장 현상은 여러 양식이 혼재되고 다양화되는 경향이 보여진다고 할 수 있다. 한 디자인 안에서도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요소가 있었고, 명료한 표면과 불명료한 표면이 혼재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장 현상도 찾을 수 있었다. 형태적 과장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은 영역상의 경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기법과 재료에 따른 다양한 표현 방식과 창의적인 시각이 제시되었다. 2000년 이후 패션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과장 현상 역시 조형예술로서 형태에 대한 적극적인 시도와 창조로 과장 현상의 표현방식과 영역을 더욱 넓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형태적 과장 현상을 통해서 새로운 과장 형태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 더욱 다양하게 창조되어지는 형태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사려된다. 과장 현상의 형태 해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연구자마다의 개별적 기술방식이나 조형요소와 원리에 따른 조형적 분석이 주를 이룬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Delong의 이론은 복식의 형태를 분석한 하나의 지표라고 할 수 있으며, 창조적이고 다의적인 형태적 과장 현상과 그 내적 의미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장 현상의 형태를 분석하는 객관적 시각과 형태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의 제시와 대입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형태적 과장 현상 중에서도 서양의 여성복이라는 부분적인 연구로 진행되었다. 이에 남성복이나, 동양의 형태적 과장 현상에 관한 연구나 이들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어진다면 복식의 형태에 관한 더욱 발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Costume is expressed a human body as the medium, and is expressed with new and diverse aspec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nd shape in a human body o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nd shape in the human body.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makes the plastic space, escaping from the form peculiar to the human body, is being developed into the more diversified and abstract structure. Accordingly, through analyzing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the necessity for a research was raised, which can predict the objective viewpoint of being able to understand diversity and complexity immanent in the exaggeration phenomenon and the future directionality. With recognizing this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nquire into the costume, which is perceived as the exaggerated form and shape, escaping from the form and shape peculiar to the human body, as one objective subject. This study deeply analyzed on the form and shape of costume with the objective attitude through analyzing a method of using an oppositional concept, which Delong presented from the formative viewpoint. There are value and significance of a research in a sense tha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n the exaggeration phenomenon were understood and that a consideration was performed on a change in the aesthetic concept and in the thought about the exaggeration phenomenon in a new for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approach direction of this study was sought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First, it considered the formal mode theory,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plastic arts, and the theory on the costume modeling, centering on the pair of formative concept in Delong. Second, in order to consider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that has been shown in fashion since 2000, its relevance was grasped by considering the formative origin of costume based on the historical costumes. Third, it analyzed the exaggeration phenomenon in diverse forms and shape shown in fashion since 2000, by having Delong's theory as the index frame. Through this, it inquired into the common point and the difference with the historical costumes, and grasped its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which were elici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case consideration. First, the formative exaggeration causes visual interest,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new space. The formative exaggeration in costumes implies the phenomenon that the line and silhouette in costumes form the expansion of new space, by being expanded noticeably more than the actual human body, escaping from the form and shape of the human body. Namely, it can be said to be the costume that expressed the spatial sense and cubic effect in the form that largeness and excess are explicitly divided in the visual awareness. Second, through the index consideration in Delong's theory, the form and shape of historical costumes can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 costume in Renaissance, in which the formative exaggeration is remarkable, is determinate that is closed and static, and can be classified into part, planer separation, and flat. The costumes in Baroque and Renaissance are divided into the similar formative perspectives, and can be said to be open, whole, and integration due to indeterminate and diverse decorations. Also, the details such as frill, ruffle, ribbon, and loop grant depth and cubic effect. Entering the modern times, the formative-exaggeration phenomenon in the costume of the romantic era is characterized by closed, part, and planer separation similar to the costume in Renaissance. However, in the aspect of sleeve design and dec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were considered. The costumes in Crinoline, Bustle and Art-Nouveau age are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in open in the unconstructive form, which was wholly stressed the dressiness and fanciness, in whole with reiteration in colorful decoration and materials, and in integration, rounded, and indeterminate. Third, as for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has been wholly shown in fashion since 2000, the open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is changeable depending on movement, forms a big flow. In other words, rather than being progressed exaggeration with the space and the closed form, the space was expanded in the changeable and open form. By extending the human body with a sense of volume, the expansion in this space can be said to be expression of free sensation rather than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 or the conspicuous aspect. Also,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ly and generally costume composition principle and design principle in the constructional aspect, the possibility on exaggeration in diverse forms could be considered with the high-tech constructional method. Fourth, due to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that has been the overall fashion trend since 2000, the form was developed, which expanded the costume space with the use of excessive ruffle decoration and ribbon decoration. This indeterminately divides the boundary and space in costume, and allowed the whole costume to be possibly recognized first. The excessive decoration can be sai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movement, and to be developed much in the form of integrating space and costume. Namely, the borrowed historical element and the decorative technique are combined the new technology and materials, thereby proceeding with making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has been shown in fashion since 2000, with fantastic and romantic mood. Finally,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has been shown in fashion since 2000, can be said to be seen the tendency that several modes are mixed and diversified. There was the element available for dividing into closed and open even within one design. And, even the exaggeration phenomenon could be found, in which interactions of visual definers are formed by being mixed the determinate surface and the indeterminate surface. The overall tendency on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as collapsed the boundary in light of sphere. And, diversely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 sights were presented depending on new technique and materials. As even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which has been shown in fashion since 2000 is the plastic arts, it can be said to have further broadened the expression method and sphere in the exaggeration phenomenon with positive attempt and creation for the form and shap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 opportunity that can analyze on the new exaggeration from and shape and can predict the potentiality of development in the form, which is created more diversely in the future, through the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analysis on the form of the exaggeration phenomenon are mainly composed of the plastic analysi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escriptive method or plastic element in each researcher. Delong's theory, which wa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one index that analyzed the form and shape of costume. And, a method, which can analyze the creative and poly semic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and its internal significance, is diverse depending on viewpoint. For this reason, the suggestion and substitution in diverse theories are further requested, which can induce the objective sight and the formative change that analyzes the form and shape of the exaggeration phenomenon.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a partial research called the Western female dress even among phenomena of formative exaggeration. Accordingly, given being carried out a research on the Eastern formative exaggeration phenomenon or a research of comparing these things, it will be a more developmental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form and shape of costu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