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BSe fun reading을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배재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과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자 EBSe 영어교육방송 프로그램 중 Fun Reading 전자도서관 도서들을 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영어 읽기 능력 향상과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학습의욕 부분의 정의적 영역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도서들을 픽션과 논픽션으로 나눠 흥미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의 중 수준의 실력을 가진 두 학급을 실험집단(20명)과 통제집단(20명)으로 나누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 계획 및 자료 수집, 수업모형 설계, 수업실시, 결과 분석으로 연구 절차를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읽기 능력 검사와 영어전반과 읽기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실험교재인 EBSe Fun Reading의 픽션 10편과 논픽션 10편을, 통제집단 학생들은 교과서 본문과 교과 과정으로 학교에서 정한 독서교재를 사용하여 두 집단 모두에게 균형적 읽기 교수법으로 총 2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 읽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 태도에 대한 사후 검사 그리고 EBSe의 유용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를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e Fun Reading 읽기자료를 활용하여 읽기 학습을 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영어 읽기 능력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 학생들이 다양하고 흥미로운 소재의 읽기 자료를 몰입하여 읽고 더불어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 법을 터득함으로써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EBSe Fun Reading 읽기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학습의욕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가 있었다. 영어 읽기에 대한 참여도에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어 읽기 참여도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긍정적으로 응답한 학생 수가 실험 후 증가한 것으로 보아 EBSe Fun Reading 읽기자료를 활용한 읽기 지도가 실험집단 학생들의 참여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픽션과 논픽션에 따른 흥미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실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픽션의 흥미도가 논픽션보다 높았다. 실험집단의 경우 EBSe Fun Reading 읽기자료를 활용한 후 픽션 뿐만 아니라 논픽션의 흥미도 평균이 실험 전보다 훨씬 상승했다. 넷째, 실험집단의 사후 설문 조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EBSe가 영어 읽기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한 개인적으로 EBSe로 영어 공부를 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EBSe를 활용한 영어 책 읽기 활동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에서 볼 수 있듯이, EBSe를 활용한 영어수업은 중학교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과 영어 읽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영어 읽기 교육에서 EBSe를 활용한 읽기 지도는 효과적이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이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배재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ims to re-establish objective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propose a direction the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in accord with the goal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us far,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been given as an educational tool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anguage or along that lin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 various purposes of learning the Korean cultu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new paradigm in the culture education, besides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the study of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motives and objectives so that it can construct a new paradigm of culture education and accordingly suggest a direction of teaching the culture. Chapter Ⅰ presents the aim and necessity of this study, examining the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the current topic into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ulture education,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and methodologies of culture education. Then it explains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research. Chapter Ⅱ critically considers the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extensive and stratified,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language pedagogy which is relevant to the research, as well as from the those of humanities, sociology, and anthropology. Furthermore, a close insp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is carried out on each type of culture educations, i.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quo of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vestigated in terms of debate over the status and methodology of culture education. There is a suggestion that the notion of culture, confined to the communication for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be extended. Chapter Ⅲ establishes two paradigms of culture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new paradigms includes the three kinds of motivation, viz., instrumental motivation (la motivation utilitaire), integrated motivation (la motivation intégrative), and existential motivation (l'existence d'une motivation)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solidify this theory, there was a depth interview with Korean Americ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wh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background of a native country and the motive of learning Korean. As a result, another purpose of developing ‘Cultural Literacy’ could be extracted as a paradigm, which is additional to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goal and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There was also a relation set up between the two paradigms of culture educati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developing ‘Cultural Literacy.’ Chapter Ⅳ presents the principles of culture education and suggests a direction that the culture education should follow according to the two paradigms. To begin with, the features of Korean culture, as an educational subject, were examin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Cultural Products, Cultural Practice, and Cultural Perspective.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were also defined: Their relationships could be cast in the culture of visible outcomes and the culture of invisible actions, in which the Cultural Products and the Cultural Practice occur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Perspective whereas the Cultural Products and the Cultural Practice influence the Cultural Perspective in return. These close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were applied as a foundation fo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ulture education. Next,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ere presented: One is an ‘intercultural approach’ in which the Korean culture is positioned in comparison to a native country(residing country) and the other is a ‘holistic approach’ to the three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Based on such, a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was proposed in accord with the two paradigm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Literacy.’ Chapter Ⅴ reconsiders the key issues of the research and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it presen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new paradigm of fostering ‘Cultural Literacy’ for the existing study on the culture education which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s part of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sought a direction of educating cul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come the foundation in the research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that mirror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diverse variables, and the suggested direction in compliance with the two paradigms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in the study of methodologies for the culture education. Moreover, the attempt that the properties of Korean culture were applied as a basic principle for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ntrinsically related the research of Korean culture with its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를 재설정하고, 문화 교육의 목표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 교육의 도구이거나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문화 학습에의 다양한 목적을 고려할 때 문화 교육 목표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학습 목표를 살펴봄으로써 문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방향, 문화 교육 내용,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 다음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우선 광범위하고 중층적인 문화의 개념을 인문학, 사회학, 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외국어교육학에서 논의하는 문화의 개념도 알아보았다. 이어 현재 한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유형별 특성을 면밀히 짚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현황을 문화 교육의 위상과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의 틀 안에 묶여 있는 문화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의 이론적 배경은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동기에 도구적 동기 및 통합적 동기와 더불어 실존적 동기가 존재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론을 공고히 하기 위해 자국 문화 배경과 한국어 학습 동기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재미교포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외에 또 다른 목표인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패러다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으로 구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의 관계를 설정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문화 교육 원리를 제시하고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한국문화를 성취문화, 행동문화 및 관념문화로 범주화하였으며, 그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을 밝혀보았다. 이들의 관계는 가시적 결과의 문화와 비가시적 작용의 문화로 규명할 수 있는데, 관념문화를 바탕으로 성취문화와 행동문화가 발생하고, 성취문화와 행동문화는 다시 관념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한국문화 범주 간의 긴밀한 상호 관계성은 문화 교육 원리의 근거로 적용되었다. 다음으로 자국(거주국) 문화와의 비교 속에 한국문화를 자리매김하는 ‘상호 문화적 접근’과 한국문화 세 범주에 대한 ‘총체적 접근’을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이라는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 점들을 다시 짚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언어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 온 문화 교육에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한 문화 교육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 제시는 문화 교육 연구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국문화의 특징이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시도함으로써, 한국문화 연구와 한국문화 교육의 내재적 연계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기숙사·룸메이트 배정 문제 : 서울시립대학교 기숙사 배정방식을 중심으로

        배재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룸메이트가 존재하는 기숙사 배정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지녀야 할 바람직한 공리로 기존의 효율성, 전략무용성, 안정성과 본 논문에서 새로이 정의한 약한 안정성을 제시하고 서울시립대학교 기숙사 배정방식이 각 공리를 위배함을 보였다. 본문의 분석에서는 학생들이 가지는 선호의 형태를 일반적인 선호와 계단식 선호 두 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선호 하에서 불가능성 정리가 성립하여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효율성, 전략무용성, 약한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으로 표준순차독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계단식 선호 하에서도 불가능성 정리가 성립하여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표준순차독재 메커니즘 외에 효율성, 전략무용성, 약한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으로 완화순차독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theoretically analyzes the problem of dormitory allocation in which roommates exist. First, we introduce well-known axiom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Stability and newly defined Weak Stability as desirable axioms of the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and prove that dormitory allocation method of The University of Seoul violates each axiom. In the analysis of the main text, students’ preferenc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General Preference and Cascading Preference. Under General Preference, the Impossibility Theorem was established, showing that there is no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Stability. In addition, we propose the Standar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as a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and Weak Stability. Even under Cascade Preference, the Impossibility Theorem was established,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no stable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and in addition to the Standar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the Modifie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is suggested as a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and Weak Stability.

      •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배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after cardiac surgery that impairs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the high incidence of it has serious consequences for healthcare costs. The significance of preventing and managing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y cannot be overestimated.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at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y, estimating their effect size,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ultimately, enhancing cardiac patients’ quality of life. The literature search and se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PRISMA flow chart. Four foreign databases and journals published from 2009 to 2018 were screened for inclusion criteria. A total of 14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46 factors related to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y that were divided into 28 individual factors and 18 operative factors. For the quality assessments of study, the Newcastle-Ottawa Scale was used to conduct the quality assessments for the case-control studies and cohort studies and Risk of Bias was conducted for RCTs. Of the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assessed, 11 were of high quality, and one was of low quality. One of the two RCTs was of high quality and had a low risk of bias while another RCT was of fair quality. For statistical processing, R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each individual and operative factor as well as publication biase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f 30 effect sizes from a total of 9 studies with the same pain measurement and analysis. All the studies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used regressions and two different pain measurement tools. In respons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pain measurement. Th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conducted using the Brief Pain Inventory-Short Form revealed that acute postoperative pain (OR = 7.96)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wound infection (OR = 3.43). Individual factors (OR = 1.53) had larger effect sizes than operative factors (OR = 5.26).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of studies conducted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indicated that gender (OR = 3.15)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using the internal mammary artery (OR=1.85) and acute postoperative pain (OR = 1.57). To connect these results, research on the variables related to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y focuses on the area of individual factors. Operative factors related to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ies need to be identified and analyzed more extensively. Furthermore, operative factors, including acute postoperative pain and wound infection,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individual factor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cusing on modifiable related factors, such as acute postoperative pain and wound infection, may help to minimize or prevent persistent postoperative pain after cardiac surgery. In this way, the result can als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ies while reducing social and economic costs.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가장 주요한 합병증으로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서 흔히 발생한다.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에 뒤따르는 결과는 환자의 고통과 낮은 삶의 질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와 사회 지지 체계에 따르는 비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에 대한 예방 및 관리는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중재 개발을 위한 최상의 근거를 개발하는 것으로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의 개별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문헌 검색과 선정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4개의 국외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기 검색을 통하여 2009년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중 14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 대상 문헌의 방법론적 질 평가를 위하여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는 the Newcastle-Ottawa Scale 도구를, RCT는 Risk of Bias 도구(Higgins, 2011)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를 포함한 12편의 문헌 중 연구 방법론적 질이 높은 문헌과 낮은 문헌이 각각 11편, 1편이었다. 2편의 RCT 중 1편이 높은 질의 문헌이었고, 나머지 1편이 보통의 질인 문헌이었다. 14편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결과,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은 총 46개였으며, 개인적 요인과 수술적 요인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8개, 18개이었다. 선정된 문헌 중 메타분석에 포함한 문헌은 9편이었다.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과 관련된 개별 요인의 효과 크기와 개인적 요인과 수술적 요인의 효과크기는 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ief Pain Inventory-Short Form 도구와 Numeric Rating Scale 도구를 이용하여 지속적 통증을 측정한 문헌으로 나누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BPI-SF 도구를 사용한 문헌의 메타분석결과,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과 관련된 요인의 개별 효과 크기는 수술 후 급성 통증(OR=7.96), 수술부위 감염(OR=3.43) 순이었다.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의 분류 별 효과 크기는 수술적 요인(OR=5.26)이 개인적 요인(OR=1.53)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NRS 도구를 이용하여 지속적 통증을 측정한 문헌을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의 결과,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의 개별 효과 크기는 여성(OR=3.15), 내흉 동맥 사용(OR=1.85), 수술 후 급성 통증(OR=1.57) 순이었으며 수술적 요인은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과 관련이 있었다(OR=1.34).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 중 개인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수술적 요인에 대한 연구보다 더 넓은 범위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과 관련된 수술적 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의 누적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술 후 급성 통증, 수술 부위 감염은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의 관련 요인이었으며, 심장 수술 후 지속적 통증에 대하여 수술적 요인의 효과 크기가 개인적 요인보다 더 큼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적 요인 중 조절 가능한 요인인 수술 후 급성 통증과 수술 부위 감염 관리에 집중한 심장 수술 환자를 위한 수술 후 지속적 통증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 栗谷哲學思想의 實學的 淵源 硏究

        배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율곡철학사상으로부터 실학의 연원을 밝혀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율곡은 성리학의 이론적 발달에 공헌을 한 위대한 철학자일뿐 아니라 성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經世濟民의 실천을 강조한 경세가로서도 높이 평가되어 왔다. 즉 율곡의 성리학은 이론적 논리에 그치지 않고, 그것이 현실의 만남을 통해 實을 거두려 했다는데 그 특색이 있다. 율곡의 성리학은 그의 경장론의 철학적 기반이 되며 또한 경장론은 그의 성리학의 현실적 실천이다. 율곡은 理氣論에서 주자를 거쳐 퇴계에 계승된 理의 초월적 성격을 부정하고 氣를 理와 더불어 마땅히 있어야 할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즉 理先氣後說을 부정하는 입장에서 理氣之妙를 주장한다. 이것은 삶의 구조로서의 사회적 현실은 보편적 정신세계를 떠날 수 없으며 보편적 정신세계도 구체적인 사회 현실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고 구현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율곡은 나아가 心性論에서도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면서 氣發而理乘之가 있을 뿐이라 강조한다. 그리고 四端과 七情이라는 퇴계의 이원론적 발상을 무너뜨리고 本然·氣質의 二性에 관하여도 性 그 자체를 일원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衆人도 기질변화를 통해 聖人이 될 수 있으며 人心을 道心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간관·능동적 인간관을 역석한다. 氣를 중시하는 경향은 그의 心論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율곡은 心을 명확히 氣로 보았고 이를 통해 心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인간 내면의 본연성이 현실로 드러나야 한다는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외부 세계에 대하여 실천적인 경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므로 율곡에서의 실천윤리는 퇴계처럼 修己之學의 명목하에 단지 居敬靜座라든가 格物窮理와 같은 內省的인 성격에 머무르지 않고 현실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으로 전개된다. 이는 그의 更張論에서 보다 명백하게 나타난다. 율곡은 대동사회의 현실적 구현을 위한 실천적 태도로서 실공과 실효를 추구하는 務實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개혁추진의 실무적 담당자로서 도덕적 인격성과 전문적 능력을 겸비한 士의 역할을 강조함과 함께 民□의 정확한 파악과 선책의 수렴을 위한 言路의 개방을 강조한다. 그러면서 율곡은 실제적으로 安民을 위한 폐법의 개혁을 주장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한다. 여기서 율곡은 아무리 높은 도덕적 가치라도 경제적 가치를 뒷받침하지 않고는 실현될 수 없다는 경제기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요컨대 율곡의 철학사상은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의 문제에만 집착하던 당시 성리학의 사변적 사상경향을 넘어서서 관념적 도덕세계와 함께 경험적 현실세계를 중요시하여 실제적 실천에 이를 것을 역설한 것으로 성리학의 자기반성적 체계이자 실학의 선구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origin of Shi hsu¨eh(實學) on the basic of Yulgok's(栗谷) philosophical thought. Yulgok has been highly estimated not only as a great philosopher who contributed to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Hsing-li hsu¨eh(性理學) but also as a statesman emphasized national administration and relief (經世濟民) based on the theories of Hsing-li hsiieh. That is, he characteristically tried to get benefits from the contact of the theory and reality. Yulgok's Hsing-li hsu¨eh consists the basis of his Kyung-jang theory(更張論), which is a realistic study of practice. Yulgok rejected the transcendental character of Li(理) held by Chu-tzu(失子) and T'oegye(退溪) and regarded Ch'i(氣) as an essential being to be as Li(理) is. That is, he rejected Lisunch'hu(理先氣後) and emphasized Lich'ijimyo(理氣之妙). This means that social reality as a structure of life can not depart from general spiritual world, which in turn can not exist, or be realized, without concrete social reality. Furthermore, Yulgok criticized T'oegye's Hobal theory(互發說) in the field of Hsin-hsing theory(心性論) and emphasized there is only Ch'iballiseung(氣發理乘). And he broke down T'oegye's dualistic concept of Satan(四端) and Chilch'ing(七情) and understood human nature(本然) and disposition(氣質) monistically as hsing(性) itself. Therefore, he asserted positive, active views of man that an ordinary man(衆人) can be a saint(聖人) through dispositional change and jen-hsin(人心) can transform into tao-hsin(道心). Also, he clearly saw hsin(心) as Ch'i(氣) and, with his standpoint that man's inner nature should reveal itself to the reality based on the dynamics of hsin(心), actively showed practical tendencies toward outside world. These tendencies appear more clearly in his Kyung-jang theory(更張論). Yulgok stressed substantial efforts for pursueing actual merits and effects with his practical attitude to realize ta-t'ung(大同) society. And he emphasized the role of virtuous scholars(士) with moral humanity and professional faculty as persons to take charge of innovating and promoting society as well as opening of public opinion to exactly grasp people's difficulties and to collect views to establish good policies. Meanwhile, he claimed to renovate evil regulations and laws for people and presented concrete plans of renovation. Here Yulgok assert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foundation saying that any moral value no matter how high it is can not be realized without supports of economical value. In short, Yulgok's philosophical thought can be said that it demonstrates his pioneering Shi hsu¨eh(實學) and self-reflective academic attitude toward Hsing-li hsiieh(性理學) sinc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pirical reality and actual practice beyond the speculative traits of thought at the time when only moral problems of man were exclusively discoursed.

      • 저작 도구를 활용한 인포그래픽 수업모형

        배재원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포그래픽은 데이터, 정보, 지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는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시대의 큰 흐름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인포그래픽의 기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인포그래픽은 하나의 이미지에 안에 복합적인 정보를 함축적으로 담을 수 있기 때문에 SNS와 웹상에서의 정보 전달과 공유에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교육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해야 한다. 그래서 중등미술교육에서 정보를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구조화하고 시각화하는 필요한 인포그래픽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래서 미술교육에서 주어진 정보에 대한 이해력과 창의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개념과 인포그래픽의 교육적 필요성을 살펴보고, 제작방법과 저작도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육 과정의 미술 교과서 내에 인포그래픽 교육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작도구를 활용한 인포그래픽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그 후 수업에 적용하여 인포그래픽에 대한 학습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포그래픽 수업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선별해봄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표현적인 부분까지 경험해보았으며, 둘째, 저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활용하여 인포그래픽 제작을 하였다. 그래서 저작도구라는 스마트매체로 아이디어스케치를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해봄으로써 기존 미술도구와는 다른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미술 표현활동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 생활 속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시각문화 중 하나인 인포그래픽이라는 소재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 중 하나인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인포그래픽 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컴퓨터를 활용한 인포그래픽 수업모형을 적용하는 데에는 학교의 시설과 장비에 관한 부족과 교사들의 전문적 교육훈련의 미비라는 두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그래서 미술 수업에서의 인포그래픽 수업을 위한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 먼저, 학교 수업 현장에서 미술 수업에서의 여러 가지 표현활동을 위한 스마트장치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고 미술 교사는 빠르게 변하는 정보화 사회 속에 다양한 미술 활동을 위한 전문적인 훈련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