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배영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은 유아기자녀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첫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은 유아기 자녀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은 유아기자녀의 정서의 사고촉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은 유아기자녀의 정서의 지식활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 유아기 자녀의 정서의 반영적 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D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H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유아기 자녀 70명이다. 이들 중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D초등학교 병설유치원 35명 (남아 21명, 여아 14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일반 부모교육을 받은 H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아 35명(남아20명, 여아1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유아용 정서지능 검사도구이며 5세 유아가 유치원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 중에서 Mayer 와 Salovey (1997)의 내용요소에 부합할 수 있는 문항으로써 이영자 외 (2005)가 평소 관찰된 유아의 행동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사가 평정하는 방법인 교사평정에 의한 정서지능 발달 평가도구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정서지능의 4영역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을 근거로 하여 특강으로 주1회 8주 동안 매주 3시간씩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경 변인의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사전 사후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정서지능검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들은 자녀를 대하는 태도가 많이 바뀌었으며, 이로 인해 자녀들 또한 정서지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술은 다른 정서적 기술과 마찬가지로 정서지능을 교육할 수 있고 훈련으로 정서 지능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에 대한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의 사고촉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나 `정서의 지식의 활용'과 '정서의 반영적 조절`의 2개 영역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사후 실험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 결과를 보여 프로그램처치 후 전반적으로 볼 때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은 유아기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아직 선행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을 위한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유아들에게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정서지능을 위한 연구 자료가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영자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 영 자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양연숙)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는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기본적인 관계이며 개인의 성장 발달에 있어 중요한 결정요인중의 하나이다. 부모와의 경험을 통해 유아는 일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규범을 익혀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간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급격한 사회발전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자녀양육은 어머니 혼자만의 문제가 아닌 부부공동의 관심사로 역할을 분담하고 공유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부공동양육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김천시 소재의 민간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 23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 1. 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 갈등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간 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부부공동양육은 VanEgeren 와 Hawkins(2004)가 개발한 척도를 박잎새(2012)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은 Markman 외 연구자들이 ‘결혼문제예방 및 결혼생활향상 프로그램(PREP)을 위하여 개발된 도구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를 한국아동패널의 5점척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경자, 김영아(2009)의 CBCL 1.5-5 부모용 매뉴얼중 표준화된 검사지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분만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t검증 및 F검증, scheff 사후검증, person의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중공선성을 실시하여 문제가 없음을 확인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연령이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일때 비난적 부부공동양육이, 학력이 고졸보다 높을 때 지지적 부부공동양육이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은 30대보다 40대 초반일 때와 학력이 초대졸 이상보다 고졸이하 일 때 높았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은 여아가 정서적 반응과 불안우울의 수준이 높고, 출생순위가 첫째일 때 정서적 반응이 높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이하 일 때와 외벌이 가정의 유아, 가족 월수입이 200만원 이하 가정의 유아가 위축과 관련된 문제행동과 주의집중 문제, 공격행동이 더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지지적 부부공동양육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적 반응,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비난적 부부공동양육은 내재화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어머니의 지지적 부부공동양육에서 유아의 주의집중및 공격행동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비난적 부부공동양육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에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서 유아의 정서반응은 어머니의 비난적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고 유아의 불안 우울, 유아의 신체증상, 유아의 위축은 어머니의 지지적인 부부 공동양육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으로는 유아의 주의집중관련 문제행동과 유아의 공격행동은 어머니의 지지적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은 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어머니가 부부공동양육을 지지적으로 인식할수록 유아의 정서적 반응, 불안우울, 신체증상과 위축행동, 유아의 주의집중 문제 및 공격행동이 적어지고 어머니가 비난적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 할수록 유아의 주의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과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고,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 부부공동양육 및 부부갈등 해소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사회자본이 빈곤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비빈곤 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영자 경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ajector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grades 4-6 an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oor children, as well as to compare non-poor children.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ing was analyzed on first grade panels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using data from the fourth to sixth year of the survey. First, it was found that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had decreased through the 4th to 6th grade. Second,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and most importantly relationships with pe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oor children at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Lastly, the effect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oor children was less pronounced in comparison with non-poor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ies and other practical means to aid poor children in their academic advancement are proposed.

      •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영자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6곳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외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상담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다루어 주는 것뿐만 아니라, 진로포부를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적 진로장벽과 외적 진로장벽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지도나 상담에서는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장벽이 내적 진로장벽인지 외적 진로장벽인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at process in order to present baseline data for th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vided to students of social welfare.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478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by using SPSS 1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directly neg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exert indirect effects as well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did not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directly; however, they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Therefore, to help students of social welfare for better career decision in career guidance or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them and also develop programs and apply counseling techniques to enhance their career aspirations. Also, as it is shown that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in different ways, career guidance or counseling provided to the students should approach to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barriers perceived by them are either internal or external ones.

      • Globalization, institutions, and industry development : a case study of the personal computer industry in Korea and Taiwan

        배영자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98 해외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한국과 대만의 개인용 컴퓨터산업 (PC산업) 발전 과정을 비교한다. 세계 PC산업 발전과정에서 초국적 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음을 고려하여 세계 주요 PC 기업들의 세계화 전략과 이에 대한 한국과 대만의 기업 및 정부의 대응 과정을 중심으로 1980년대 양국 PC산업의 기술 축적과정과 1990년대 PC산업 구조 재조정과정을 고찰한다. 본 논문은 양국 PC산업 발전 과정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국가는 양국의 산업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세계화 과정의 심화와 양국 PC 기업들의 기술력 향상으로, 초국적 자본과 국내 기업들의 역할이 PC 산업발전에 매우 중요하였으며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국가중심적 산업발전 연구가 특정산업 분야에 따라, 또한 산업발전 시점에 따라 다른 요소들, 예컨대, 초국적기업이나 국내자본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하여 주요 요소들 간의 관계를 보다 역동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복합적인 분석틀로 대체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의 PC 산업이 기업내 수직적 생산 구조를 지닌 재벌위주로 발전한 반면 대만의 PC 산업은 중소기업들이 서로 수평적으로 관련된 구조로 전개되어 왔다. 양국의 상이한 PC 산업구조는 서로 다른 기술 축적 및 산업구조 재편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한국은 표준화되었거나 자본집약적인 상품의 대량생산에 관한 노하우를 중점적으로 축적해 왔음에 비해 대만은 기술이나 시장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상품들을 공략하는 유연하고 신속한 생산 구조를 구축해 왔다. 한국의 PC 산업이 자본 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인 핵심부품 생산 위주로 재편되어 가고 있음에 비해 대만 PC 기업들은 생산기지 이전이나 효과적인 부품조달체제 수립 등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세계 PC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해 왔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pioneer Korean christians in beginning indigenous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nd in translating the Gospels into the Korean vernacular. Protestant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 Korea at a time when traditional religions were in a state of decay. The peoples receptivity to Protestant Christian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climate, since they were looking for something new that would quench their religious thirst. They were quick to appreciate the gospel. In addition, the instability of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that wae created through a series of cries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ncouraged people in Korea to turn to Protestant Christianity. Pioneer Korean Christians who came mainly from northwestern Korea established the first indigenous Presbyterian churches, beginning the first Protestant missions in the forbidden land in which bo missionary was allowed to work, Most of these indigenous churches were self-supporting and self-propagating from the beginning. The indigenous Christians also played a renarkable role in translating the Fospels into the Korean vernacular. They produced two indigenous versions of the Gospels, the Yesoo Shung-Kyo version in Manchuria and the Yi Soo-Chung version in Japan, before growth of Protestant Christianity in Korea, laying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carried on their work in the indigenous Protestant churches. They did not claim to be the founders of the Protestan church in Korea, bur they played a remarkable role in training indigenous leadership the developing the soul-winning chu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