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용무도 발달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연구

        배연준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용무도 역사를 재조명하고, 용무도의 창립부터 현재까지 발달과정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용무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 각종 서적 등을 포함한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그에 따른 용무도의 창립 시기부터 발전과정을 연혁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하여 용무도의 활성화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용무도의 발달과정에 따른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무도의 창안은 무도, 스포츠 교육을 재정립하여 한국적인 것을 특성화시키고 나아가 이를 세계적으로 보급함으로써 한국 무도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용무도 종목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스포츠지도사 종목을 개설하고 용무도 체육지도자를 육성하며 생활체육 연합회를 구축하여 폭넓은 용무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용무도 활성화의 원동력을 기반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용무도의 다양한 교육사업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되어야 한다. 대한용무도협회의 교육사업은 승단 심사, 지도자 교육 및 심판 자격증 발급사업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용무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용무도 인재 양성을 통한 용무도 연구회 설립, 용무도 포럼 개최, 용무도 활성화 세미나, 용무도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 중앙협회인 대한 용무도 협회의 조직체계 개편을 통하여 시장가치 확보, 비즈니스 모델 구축, 생활체육 보편화와 같은 다양한 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대한용무도협회의 전문인력 지속적 활용과 같은 전략 키워드가 필요하다. 다섯째, 용무도의 비즈니스 홍보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조직체의 커뮤니케이션과 PR(Public relations)은 대중화되었으며, 홍보의 방안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판가름 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따라 용무도의 대승적 발전을 위하여 중점적인 SNS와 대중매체, 비대면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홍보방안 실행을 적극적으로 이행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연구자는 스포츠 행정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실무자로서 실무중심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용무도는 용인대학교에서 창안한 무예이며 창안 초기부터 현재까지 미흡하고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용무도의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용무도 실무자들의 노력으로 짧은 시기에 국내 및 국제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많은 부분에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여기에는 조직체계 개편과 비대면 콘텐츠 개발, 용무도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세계화 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shed new light the history of Yongmudo and to revitalize Yongmudo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founding to the present. In conducting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prior research, and various books, were conducte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Yongmudo was analyzed in a chronologic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the business. In conducting this study, prior research, and various books, were conducte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Yongmudo was analyzed in a chronologic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the business. Measures for revitaliz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business road shall be as follows. First, the invention of Yongmudo was developed with the center of Yongin University's Mudo Research Institute to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martial arts by reestablishing martial arts and sports education to characterize and further distribute it globally. Second, to revitalize the daily sports of Yongmudo, it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 driving force for vitalizing Yongmudo by nurturing Yongmudo sports instructors, and establishing a daily sports club to provide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Yongmudo. Third, new measures should be found to expand the educational business of yongmudo The educational projects of the Yongmudo Association may be classified into yongmudo black belt-testing, leadership education, and projects for issuance of referee certificates and revitalize Yongmud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Yongmudo research society through nurturing Yongmudo talents, hold a Yongmudo forum, develop a seminar for the activation of Yongmudo, and curriculum development education for Yongmudo. Fourth, strategic keywords such as the continuous use of professional manpower of the Korean Yongmudo Association are needed to establish various administrative systems such as securing market value, establishing business models, and universalizing life sports through the organizational system reorganization of the Korea Yongmudo Association. Fifth, a business promotion plan of Yongmudo should be sought. In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public relations (PR) have become popular, an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a business is determined by the method of public relations. Accordingly, for the great development of Yongmud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mplement various promotional measur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focused SNS, mass media, and untact content. Finally,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a practical point of perspective practitioners, practical affairs specializing in sports administration. Yongmudo was matial arts invented by Yongin University , an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the from the beginning, yongmudo has secured i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through the efforts of staffs. However, it is still time for a variety of strategies in many areas. 여It is believed that research will be needed to reorganize the organizational system, develop non-face-to-face contents, establish business models for Yongmudo, and globalize them.

      •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배연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업혁명에 의해 생산체계는 기계화, 대량생산화 되었고, 이로 인해 사회 전체에 대중화, 규격화, 획일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런 사회적 변화와 함께 건축 공간은 독단적 기능주의적인 특성을 보이게 되었고 그것은 추상적이고 몰개성적인 형태적 공간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장식에 대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배제 그리고 역사적, 지역적 연속성의 무시,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인간적 감성, 정서와 같은 체험적 요소들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시작된 현대 건축 공간에 서는 이러한 획일적 기능주의 공간을 탈피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1950-60년대의 겹 공간, 1960-70년대의 복합 공간, 1980년대의 해체 공간 등의 새로운 공간적 접근들이 많이 시도 되는 등 공간에서의 인간성 회복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다. 그에 따른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은 공간에서의 중심은 인간이고,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의 상호 교감은 공간을 일종의 유동체적 공간으로 만드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매체의 보편화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질서가 생겼고, 이것을 과거 일방적이고 획일적이며 몰개성적인 공간 구성 개념에서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용자 중심의 공간 환경으로의 변화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겠다. 과거에는 공간에서 상호작용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나타난 기술적 한계와 공간적 한계는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과학 기술의 접목으로 인해 공간의 상호작용성은 더욱 다양하고 적극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공간에서 나타난 확장된 오브제 요소들을 통해 더욱 극대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합리주의의 소산인 일루젼(Illusion)의 미학(모방의 미학)에 대한 부정으로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object) 개념, 그리고 모더니즘 건축의 부정으로 진행되어지는 현대 공간 디자인의 상호작용성은 같은 시대적 흐름 속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겠다. 즉, 현대 공간 디자인이 상호작용(Interaction)적 공간으로 전환이 미술에서 오브제 개념의 확장과 사회 문화의 수직적 계층구도에서 수평적 관계 구도로의 인식의 변화, 즉 각 영역간의 상호소통적인 관계로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갈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에서 나타난 오브제 요소들이 공간의 올 지원해 주는 매개적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며,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적 요소와 오브제간의 관계에 있어서 나타나는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적 표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 공간은 더 이상 영유의 목적으로서가 아니라 연간과 상호 교감하는 커뮤니케이션 대상의 공간으로 의미 확장이 된다. 이것은 인간과 공간이 서로 반응하는 인터랙션 공간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때로는 공간과 공간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불확정적인 공간, 끊임없이 유동성을 가지는 공간으로 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요소들을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오브제적 공간 요소를 통해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보다 수평적이고, 상호 소통적 관계로 회복시켜 인간과 공간을 하나의 통합체로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물리적 규모 측면에서는 소규모의 공간에서 대규모의 환경 안에서의 건축 공간 등을 모두 포괄하는 범주로 삼는다. 그리고 공간 디자인에서 나타난 오브제(Object) 요소의 분석 대상은 기존의 오브제 개념인 물질적 요소에서부터 확장된 의미로서 비(非)물직적 요소까지 포함하여 공간의 상호작용성(Interaction)과 관계성이 있는 모든 공간적 요소를 대상으로 하며, 본 연구의 기본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 조형 예술사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발생 배경과 현대 미술에서 오브제 개념의 범위 및 의미 확장에 대해 연구한다. ■ 둘째, 조형예술에서 의미 확장된 오브제가 공간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며, 오브제와 공간의 관계에 대한 개념적 정리를 한다. ■ 셋째, 시대적 패러다임에 의해 나타난 공간의 변화 중 공간의 상호작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유형을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해본다. ■ 넷째, 분석된 공간에서의 오브제 유형과 공간의 상호작용성 양상에 따라 표출적 상호작용성과 잠재적 상호작용성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별로 키워드를 도출한다. ■ 다섯째, 추출된 키워드에 의해 제시된 분석률을 기준으로 상호작용성의 표현 양상을 다양한 작품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tructure of production has become mechanized and mass productive and this has brought populariz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to through out the society. Along the line of such social change, the architectural space started to show arbitrary functional characteristic and it turned out as abstract and non—individualistic space. Discarding the intrinsic human desire towards ornamentations in space designing and neglecting the regional and historical continuity as well as uniform designing has brought the change of experiential values being raised such as human sensitivity, sentiment, and etc.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s, started with the end of the 2nd world war,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grow out of the type of uniform functional space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ttempting to recover the humanity in space making new spatial approaches such as the layered space of 1950s-60s, the mixed space of 1960s-70s, the deconstructive space of 1980s, and others. The interactivity in space regards the human being as the core of space and the mutual response between man and space, and space and space c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making the space as a kind of fluid—like space. Especially with the advancement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a new social order has formed with the generalization of the digital media. This has created the change of what used to be one way, uniform, and non—individualistic space structure concept into making its shift to a user—oriented spatial environment that induces enthusiastic participation of the mass. The technical and spatial boundary, what appeared in the past while expressing the interactivity in space, has made the interactivity of spa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with the change of spatial paradigm, to appear in a more enthusiastic way with more varieties and particularly with the expanded objet elements appearing in space, it is showing a more extreme tendency. The conception of objet, appearing with the negation of the aesthetics (the aesthetics of imitation) of the illusion being an outcome of the rationalism, and the interactivity of the modern spatial. design, what advances to become neg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could be regarded as existing in the same era. In other words, the modern spatial design making a transition to be an interactive space could be regarded as being in the same context a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ion, objet, and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hierarchy of the social culture changing the perception into being horizontal structure of relations. To rephrase, it is same as bringing a change for there to be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respective domains. Therefore, this study starts at the point where the objet elements that have appeared in space act as intermediary elements supporting the space and to study the interactive descriptions between space and space, and man and space that appear in the relation between the objet and the spatial elements that surround human beings. The modern space can be interpreted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mutually responding with man and no longer as an object for possession. This is also described as an interactive space where man and space respond to each other and sometimes space and space interact with each other shown through the objet elements appeared in space as the space having incessant mobility. Therefor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man and space as one integrated object through reme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space to a more horizontal and interactive kind through these objet—like spatial elements.

      • 중앙코어형 초·고층건축물의 연기확산방지 및 피난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배연준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urban concentration and high density phenomenon of population is deeping around the big citi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connection with this, high-rise buildings are planned and constructed as a means for the use of limited land and an alternative plan for urban improvement. Most of the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domestically are of central core type in which it is concentrated and arranged in a certain space and a central part considering the structural safety of building structures, the movement traffic of building users, the location of corridors interconnecting function rooms, etc. A central core type building has advantages such as the maximization of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nside the build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design outside the building, so it is suddenly planned and construct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However, a central core type building contains a lot of risks in case of a fire, although it has diverse advantages.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high-rising of a building raises risks pursuant to fire occurrence due to the increase of evacuation time a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residents becomes long and due to the sudden vertical spread of smoke resulting from a stack effect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he unique evacuation means available for residents in central core type building are only of 2 types. The first type is a horizontal migration route, a central corridor, and the second type is a vertical migration route such as an evacuation staircase and an elevator. However, in case of a fire, the central corridor shall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space such as an interim base space for fire fighters' fire suppression as well as a primary evacuation safety space for residents. The main problems due to smoke in case of a fire in central core type high-rise building are caused by the outflow of smoke from a fire space to a corridor, the horizontal/vertical movement of smoke and the spread of smoke into another space through the corridor, staircase, elevator, etc.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building in the long run. The regulation of the domestic building law and fire service act prescribes that one should install an ancillary room in a staircase and an elevator, vertical traffic, only when the use, height and floor number of a building are above a certain scale and install a private air supply and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to prevent smoke from flowing in. However, the smoke prevention measures for a central corridor are not specially prescribed in domestic laws. They are prescribed only for a special evacuation staircase and an emergency elevator, vertical migration traffic. This study investigated a counter plan to suppress and prevent the spread of smoke and the inflow and spread of flames and smoke into a central corridor, the primary safety space absolutely important in terms of residents' safety, in case of a fire in central core type high-rise building being constructed most as a residence facility, and classified and presented its alternative plan largely into 3 kinds(an architectural counter plan, an equipment counter plan, and a mixed counter plan of these two). Besides, this study selected an officetel building, a central-corridor and central core type building, among central core type high-rise buildings to be constructed in Korea as an object to analyze and verify the presented alternative plan, analyzed the behavior of flames and smoke by applying the operation scenario of fire and ventilation devices set in each alternative plan to the FDS(Fire Dynamics Simulation) modeling, and obtained the final results for the presented counter plan as follow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oposed counter plans, it was almost im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and spread of smoke into the common corridor by using an equipment counter plan. It was judged that this happened due to non-compliance with the fluid mechanical law,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nter plan belonging to this was an equipment counter plan executing only the air supply and exhaust of the whole corridor. Especially, executing only the air exhaust of the whole corridor attracted flames and smoke from the fire space to the corridor fast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state in the corridor. On the contrary, executing only the air supply of the whole corridor resulted in a temporary smoke interception effect caused by the suppression and delay of smoke inflow due to the positive pressure state in the corrido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s effect decreased and disappeared after time passed. Finally, the mixed counter plan of the architectural counter plan and the equipment counter plan showed the optimal effect to secure the human life safety of residents to the maximum by suppression and preventing the inflow and spread of smoke into the central corrid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entilation method to supply and exhaust air between 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corridor by separating the central corridor into 2 zones(corridor-zone A/B) among the equipment counter plans also exerted a minimum effect.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counter plans and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as a ventilation method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for central core type high-rise building from the building planning stag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new establishment and complement of related safety criteria will minimize the damage due to smoke in high-rise buildings and help the development of fire fighting technology although it is a poor ability. 최근 국내외적으로 인구의 도시집중화와 고밀도 현상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정된 토지이용의 수단과 도시정비를 위한 대안으로 초·고층건축물이 계획되고 건립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 건설되는 초·고층건축물의 대부분은 건축구조의 구조적 안전성, 건물 이용자의 이동 동선, 기능실을 상호 연결한 복도의 위치 등을 고려한 일정공간과 중앙부에 집중·배치하는 중앙코어형식의 건축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중앙코어형식인 건축물은 건물내부의 공간 활용의 효율성 극대화와 건물외각 디자인의 다양화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의 건설시장에 급격하게 계획되고 건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중앙코어형식의 건축물은 다양한 장점이 있는 반면 화재발생 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방재(Disaster Prevention)’의 관점에서 볼 때, 건물의 고층화는 거주자의 수직이동 거리가 길어 피난시간의 증가와 건축물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서 기인한 연돌효과(Stack Effect)로 연기가 급격히 수직 확산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가중시킨다. 중앙코어형식의 건축물에서 거주자가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난수단은 단, 2가지 유형이 전부이다. 그 첫째는 중앙복도인 수평이동경로이며, 둘째는 피난계단 및 승강기와 같은 수직이동통로가 유일한 피난수단이다. 그러나 화재 시 중앙복도는 거주자의 1차 피난안전공간으로써 뿐만 아니라 소방대의 화재진압을 위한 중간 거점공간으로써 중요한 공간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중앙코어형식의 초·고층건축물에서 화재발생 시 연기에 의한 주된 문제는 결국, 건축물 중앙부에 설치된 복도, 계단과 승강기 등을 통하여 연기가 화재공간에서 복도로 유출되고, 수평 및 수직 이동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서 야기되는 문제들이다. 국내 건축법과 소방법 규정에서는 건축물의 용도, 높이와 층수가 일정규모 이상이 될 경우에만 수직 동선인 계단과 승강기에 부속실을 설치하고,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전용의 급기 가압제연설비를 설치토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복도에 대한 연기의 방호대책은 국내법규에서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수직이동 동선인 특별피난계단과 비상용승강기에 관해서만 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시설로 가장 많이 건설되고 있는 중앙코어형식의 초·고층건축물에 화재발생 시 연기확산과 거주자의 인명안전 측면에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1차 안전공간인 중앙복도로 화염 및 연기가 유입·확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지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연구해, 그 대안을 크게 3가지(건축 및 설비적인 대응방안과 이들 2가지를 혼용한 대응방안)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대안을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 국내에 건설예정인 중앙코어형식의 초·고층건축물 중 ‘중복도형 중앙코어식’인 오피스텔 건물을 대상으로 선정, 각 대안에서 설정한 화재 및 제연관련기기의 동작 시나리오를 FDS(Fire Dynamics Simulation) 모델링에 적용해 화염과 연기의 거동을 분석하고, 제시한 대응방안에 대한 최종결과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대응방안들에 대한 평가결과 설비적인 대응방안으로는 공용복도로 연기가 유입·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이는 유체역학적인 법칙에 부합(符合)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에 속하는 대응방안은 복도 전체를 급기 또는 배기만을 수행하는 설비적인 대응방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복도 전체를 배기만 수행할 경우, 복도가 부압(負壓)상태가 되어 화재공간에서 화염과 연기를 빠르게 복도로 유인했다. 그와 반대로 복도 전체를 급기만 수행할 경우에는 복도가 양압(陽壓)상태가 되어 연기유입이 억제·지연됨으로 일시적인 연기차단효과가 발생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그 효과가 감소되고 사라져 연기가 공용복도로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중앙복도로의 연기유입 및 확산을 억제하고 방지해 거주자의 인명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선 건축적인 대응방안과 설비적인 대응방안을 혼용한 대응방안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설비적인 대응방안 중 중앙복도를 2구역(복도-A/B구역)으로 분리계획하고, 제연시스템을 복도에서 상호 급·배기하는 제연방식도 최소한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대응방안과 결과들이 중앙코어형식의 초·고층건축물을 가진 건축물에 대한 연기확산 방지를 위한 제연방식으로서 건축계획단계에서부터 고려되었으면 한다. 또한 차후 관련 안전기준 들이 신설 및 보완되어 초고층건물에서 연기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기를 기대하며, 소방기술의 발전에 미력이나마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 여가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배연준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여가제약과 여가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제약협상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중도 포기를 막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중년여성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2021)의 국민 생활체육 조사 중년 여가 스포츠 참여율 상위 5개 종목인 걷기, 등산, 보디빌딩(헬스), 요가(필라테스), 골프 종목을 대상으로 동호회와 상업 스포츠시설 및 공공스포츠시설, 교육기관 등에서 참여하고 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최소 6개월 이상, 1회 50분 이상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023년 7월 31일부터 8월 18일까지 19일간 중년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19부를 제외한 총 41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Win Ver. 28.0과 Amos Win Ver. 2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원 변량 분산분석과 사후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변인별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인과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매개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가 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만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제약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만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년여성의 지속적인 여가스포츠활동을 위하여 개인의 심리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내재적 제약과 환경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제약, 대인관계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대인적 제약을 여가제약협상 전략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면 여가만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중년여성의 지속된 여가스포츠활동과 여가만족을 향상하려면 여가제약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과 여가제약협상을 활용하여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2021) national sports survey conducted on clubs and clubs targeting the top five sports walking, hiking, bodybuilding(fitness), yoga(pilates), golf with middle-age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rat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for at least 6 months for at least 50 minutes at a tim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focusing on groups participating in commercial sports facilities,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30 middle-aged women over 19 days from July 31 to August 18, 2023. Afterward, a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11 people's data, excluding 19 whose responses were judged to be poor or unreliable. In this study, IBM SPSS Win Ver. 28.0 and Amos Win Ve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testing were conducted through the 28.0 program.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ausal structure model,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econd,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Third,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or leisure satisfaction. Fifth, the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the continuous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there are inherent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aspect, structural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interac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been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if interpersonal constraints that arise reduced or eliminated through efforts to negotiate leisure constrain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middle-aged women's continued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or eliminate leisure constraints from a personal perspective and to overcome them by utilizing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